KR101498572B1 -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572B1
KR101498572B1 KR1020130091879A KR20130091879A KR101498572B1 KR 101498572 B1 KR101498572 B1 KR 101498572B1 KR 1020130091879 A KR1020130091879 A KR 1020130091879A KR 20130091879 A KR20130091879 A KR 20130091879A KR 101498572 B1 KR101498572 B1 KR 10149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ensation
ventilation
duc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882A (ko
Inventor
이국주
이기성
최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3009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5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의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여 습기 또는 결로가 대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장소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FOR REMOVING MOISTURE}
본 발명은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 특정 공간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환기 기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시행됨에 따라 최근에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 건물이나 병원, 도서관, 지하상가, 지하역사, 터미널과 같은 다중이용시설 내에 의무적으로 환기 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 환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열교환 유니트와 공기필터가 내장된 전열 교환기에 급기 및 배기 덕트를 독립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열 교환기를 사용하는 경우 실내의 현열 및 잠열 에너지를 모두 회수하여 외기 온도를 높여주므로 환기 과정에서 오는 온도 하락 및 이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필터를 이용하여 신선하고 청정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에서 발생한 담배 냄새, 음식 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해 준다.
도 1 및 도 2는 공동주택인 아파트의 세대 평면도 상에 전열 교환기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전열 교환기(10)는 발코니, 창가 등 외기와 쉽게 접촉할 수 있는 곳에 주로 설치된다. 이 전열 교환기(10)는 실내의 전열(현열 + 잠열)을 이용하여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킨 다음 2개의 순환모터(급기용 모터, 배기용 모터)를 이용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저온의 실외공기는 실외공기 유입구(11, OA: Outdoor Air)를 통해 유입되어 전열 교환기(10) 내에 장착된 열교환 유니트(15)을 통과하면서 실내공기 유입구(13, RA: Room Air)를 통해 유입된 고온의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열교환에 의해 실외공기가 실내공기 온도의 70% 이상이 되며, 그 결과 환기에 따른 실내의 열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열교환된 실외공기는 실외공기 공급구(12, SA: Supply Air)와 연결 설치된 급기 덕트(20)를 통해 세대 내의 각 방으로 공급된다. 도 1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르면, 급기 덕트(20)가 침실1, 거실, 침실2, 침실3으로 연결 설치되고, 각 방에는 급기용 디퓨져(21,22,23,24,25)가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재실 내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실내공기는 각 방으로부터 연결 설치된 배기 덕트(30)를 통해 전열 교환기(10)쪽으로 이송된다. 도 1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르면, 배기 덕트(30)는 드레스 룸, 침실1, 거실, 침실2, 침실3으로 연결 설치되고, 각 방에는 배기용 디퓨져(31,32,33,34,35)가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이송하게 된다. 전열 교환기(10)로 이송된 실내공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 유입구(13, RA: Room Air), 열교환 유니트(15)를 차례로 통과한 후 실내공기 배출구(14, EA: Exhaust Air)를 통해 실외로 최종 배출된다.
이 때, 열교환 유니트(15)에는 공기 필터가 실내외 공기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냄새 입자 등을 제거함으로써 청정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주로 실내의 CO2의 함량이 일정 기준 이상(예를 들어 1000ppm 이상)일 때에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자동 모드와 거주자 스스로 환기가 필요하다고 느낄 때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 모드로 구성된다.
최근에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있어서 외벽 단열이 잘 되지 않는 구조적 요인, 복잡한 실내공간 구획으로 인해 공기 순환이 잘 되지 않는 설계적 요인, 고온 다습한 여름이 길어지는 계절적 요인 등으로 인해 세대 내에 습기 발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를 바로 제거해주지 못할 경우 곰팡이나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고온다습한 실내공기나 곰팡이 등으로 인해 피부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동절기에는 결로에 의한 동파로 잦은 민원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상기한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거주자들은 신발장이나 붙박이장 내에 제습제를 놓아두거나 습기나 결로가 발생한 벽면을 난방기나 전열기를 이용해 공기를 건조시키고 있으나, 이는 임시 방편적인 방법에 지나지 않아 근본적인 해결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업계의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기존의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여 습기 또는 결로가 대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장소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와 하나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에는 환기용 조절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에는 결로 방지용 조절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와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의 연결 부위에는 공기의 이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조절 댐퍼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 교환기는 열교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에 유입되는 이송 라인 상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교환기는 열교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이송 라인 상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교환기 내에는 내부 순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 순환통로를 통해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와 하나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에는 환기용 조절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에는 결로 방지용 조절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와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의 연결 부위에는 공기의 이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조절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각각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상기 습도 측정센서로부터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공기 교환기로 결로 방지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환기 시스템 구성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습기 및 결로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습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습도 조절 및 결로 방지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결로 방지 및 곰팡이 제거를 통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 다습한 공기 또는 곰팡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피부질환 및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동절기에 결로에 의한 동파를 방지해 줌으로써 주민의 불만을 해소하고, 나아가 주택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물 내 환기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라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환기 장치를 예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한 가지 설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통상의 환기 시스템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즉, 건물 내의 발코니, 창가 등 외기와 쉽게 접촉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10), 이 공기 교환기(10)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20); 상기 공기 교환기(10)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물이라 함은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 건물이나 병원, 도서관, 지하상가, 지하역사, 터미널과 같은 다중이용시설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공기 교환기(10)도 도 1에서 설명한 내부에 열교환 유니트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뿐만 아니라 열교환 없이 단순히 모터를 이용해 공기만을 교환시켜주는 기본적인 환기장치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가장 포괄적인 의미로서 실내외 공기의 교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환기장치를 포함한다는 뜻에서 "공기 교환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 교환기(10)는 실외공기 유입구(11, OA), 실외공기 공급구(12, SA)를 통해 공급된 실외공기를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20)를 통해 침실1, 거실, 침실2, 침실3 등으로 이송하고,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20) 상에 설치된 급기용 디퓨져(21,22,23,24,25)를 통해 실외공기를 재실 공간으로 최종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공기 교환기(10)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30)에 설치된 배기용 디퓨져(31,32,33,34,35)를 통해 드레스 룸, 침실1, 거실, 침실2, 침실3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기 유입구(13, RA) 및 실내공기 배출구(14, EA)를 통해 실외로 최종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구성은 상술한 종래의 환기 시스템의 급기 및 배기 덕트(20,30)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 중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를 선택하여 별도의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라 함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현관의 신발장 부근의 공간(A), 각 재실의 구석진 벽면 공간(B), 드레스 룸 등에서 붙박이장이 설치된 공간(C)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3가지 공간 이외에도 주택 설계 또는 구조 상 결로가 발생될 수 있는 공간은 많이 존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들 공간에 환기 시스템의 급기 및 배기 덕트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공간에 습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아 결로가 발생하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은 보일러 등의 난방 장치를 가동하여 건조시키는 방법과 해당 공간의 공기를 충분히 환기시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난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된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이용하여 습기를 최대한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한다는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와 대응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에 따르면, 공기 교환기(10), 환기용 급기 덕트(20) 및 환기용 배기 덕트(30)로 된 기존의 환기 시스템 구성에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환기 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발생 방지용 환기 라인은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와,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측정된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51,52,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교환기(10)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51,52,53)로부터 전송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기 덕트에는 결로 방지용 디퓨져(41,42,4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습도 측정센서(51,52,53)는 습도 센서, 결로 센서 등 실내의 상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특정 공간 내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여 이 습도량이 향후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을 작동시킨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상기 습도 측정센서(51,52,53)로부터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센서 제어부(70)를 더 포함하고, 이 센서 제어부(70)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51,52,53)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공기 교환기(10)로 결로 방지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의 작동 제어를 기존의 공기 교환기(10) 내에 내장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도 있고, 이와 독립적으로 설치된 센서 제어부(70)를 통해 실행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자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거주자가 전기비 절약 등을 이유로 공기 교환기(10)의 전원을 꺼 놓는 경우에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도 함께 동작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후자와 같이 별도의 센서 제어부(70)를 두어 습도 측정센서(51,52,53)으로부터 전송된 습도량이 결로 발생 위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의 공기 교환기(10)에 전원을 자동으로 인가하고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어떤 경우에도 결로 방지 동작을 담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상기 센서 제어부(70)는 공기 교환기(10)가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습도량이 위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거주자에게 경보 알람을 송출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교환기(10)의 온/오프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저장하고 결로 발생 여부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날짜별, 계절별 결로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이에 맞추어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센서 제어부(70)의 구성은 후술하는 제2 내지 제7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로 방지를 위해 습기가 많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가 추가로 설치된다. 더욱이, 이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기존의 환기용 배기 덕트(30)와 하나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존의 환기용 배기 덕트(30)를 연장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기존에 CO2의 함량을 기준으로 작동되는 환기 모드와 습도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량을 기준으로 작동되는 결로 방지 모드가 하나의 배기 라인을 통해 동작하므로, 불필요한 작동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결로 방지를 위한 작동일 불필요한 경우에도 환기 모드가 작동되면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 및 송풍 팬도 함께 작동하게 되므로 에너지가 낭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에 따르면, 공기 교환기(10), 환기용 급기 덕트(20) 및 환기용 배기 덕트(30)로 된 기존의 환기 시스템 구성에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환기 라인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은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에 연결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또한,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습도 측정센서(51,52,53)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교환기(10)는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에 설치된 결로 방지용 디퓨져(41,42,43)를 이용하여 습기가 많은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도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가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30)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와 환기용 배기 덕트(30)를 별도의 이송 라인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30)에는 환기용 조절 댐퍼(36)가 설치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에는 결로 방지용 조절 댐퍼(44)가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단순히 환기 모드가 작동되는 때에는 결로 방지용 조절 댐퍼(44)를 폐쇄하고, 환기용 조절 댐퍼(36)만을 개방함으로써 경제적인 환기 모드 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해준다. 반대로 결로 방지 모드가 작동되는 때에는 결로 방지용 조절 댐퍼(44)를 개방하고, 환기용 조절 댐퍼(36)를 폐쇄하도록 동작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적인 환기 시스템과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의 구성은 앞서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30)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30)와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의 연결 부위에는 공기의 이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조절 댐퍼(45)가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조절 댐퍼를 사용하여 환기 모드와 결로 방지 모드에 따른 배기 라인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경제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교환기(10) 내에는 내부 순환통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교환기(10)는 조절 댐퍼(47)를 이용하여 실내공기 배출구(14)로 배기되는 라인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 순환통로(46)를 통해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20)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비록 일정 기준치 이상의 습기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20)를 통해 실내의 더 넓고 환기가 잘 되는 공간으로 이송되므로 상대 습도가 낮아져 결로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내부 순환을 통해 실내공기를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실내의 열이 외부로 나가지 않고, 공기 교환기(10) 내에 설치된 2개의 순환모터(급기용 모터, 배기용 모터) 중에서 하나의 모터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더욱 경제적이다.
이러한 내부 순환통로(46)의 구성은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를 사용하는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에 따르면, 공기 교환기(10), 환기용 급기 덕트(20) 및 환기용 배기 덕트(30)로 된 기존의 환기 시스템 구성에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환기 라인을 추가로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또한, 상기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은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와 습도 측정센서(51,52,53)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교환기(10)는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에 설치된 결로 방지용 디퓨져(41,42,43)를 이용하여 습기가 많은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도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가 환기용 배기 덕트(30)가 아니라 상기 공기 교환기(10)에 직접 연결 설치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가 환기용 배기 덕트(30)가 아니라 공기 교환기(10)에 직접 연결되면, 별도의 댐퍼 구성이 없이도 환기 모드와 결로 방지 모드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공기 교환기(10)는 열교환 유니트(15)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15)에 유입되는 이송 라인 상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습도가 높은 실내공기이기는 하나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내공기의 온도가 높은 겨울철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은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가 공기 교환기(10)에 직접 연결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기 공기 교환기(10)는 열교환 유니트(15)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15)로부터 배출되는 이송라인 상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습도가 높은 실내공기이기는 실외공기와의 열교환 없이 곧바로 배출된다. 이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지 않은 간절기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을 기존의 배기 라인에 연결 설치한 것이 아니라, 급기 라인에 연결 설치하였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드레스 룸의 붙박이장 부근 공간(C)은 욕실2의 공간과 인접해 있다. 따라서, 욕실에서 샤워 등을 하는 경우에 많은 습기가 한꺼번에 존재할 수 있다. 물론 욕실 내부에 별도의 송풍팬이 있지만, 이는 통상적으로 욕실등과 연동하여 온/오프되기 때문에 샤워를 마치고 욕실등을 소등하게 되면 곧바로 송풍팬도 정지되어 많은 습기가 고스란히 욕실 부근에 잔존하게 된다.
드레스 룸에 설치된 습도 측정센서(53)가 이 다량의 습기를 감지하고, 공기 교환기(10)가 결로 방지 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와 같이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40)만이 작동하게 되면 욕실 내의 다량의 습기가 드레스 룸으로 유입되어 걸어놓은 옷에 습기가 더 많이 묻을 수 있다. 통상 천장 부근에 설치되는 습도 측정센서(53)가 그 측정 반경 내의 습도는 기준치 이하가 되었더라도 다량의 습기가 드레스 룸의 하부에 그대로 잔존하여 옷 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통상의 경우와 같이 습기가 많은 실내공기를 배기시킬 것이 아니라 실외공기를 유입시켜 실내공기를 다른 공간으로 분산시키도록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결로 방지용 디퓨져(43) 및 습도 측정센서(53)를 기존의 환기용 급기 덕트(20) 상에 설치한 것이다.
이 때, 상기 결로 방지용 디퓨져(43)는 드레스 룸의 붙박이 장이 설치된 벽면으로부터 욕실2 쪽으로 공기를 불어 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습도가 적은 것이어야 하므로 열교환 유니트(15)를 통과시킨 실외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결로 방지용 환기 라인을 기존의 배기 라인에 연결 설치한 것이 아니라, 급기 라인에 연결 설치하였다는 점에서 상술한 제6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60)를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20)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20)에는 환기용 조절 댐퍼(26)가 설치되고,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60)에는 결로 방지용 조절 댐퍼(61)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제6 실시예와 상이하다. 상기 댐퍼의 기능 및효과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기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도 9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60)는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20)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20)와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60)의 연결 부위에는 도 6의 경우와 같이 공기의 이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조절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60)는 기존의 환기용 급기 덕트(20)가 아니라 상기 공기 교환기(10)에 직접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댐퍼의 추가 구성없이도 환기 모드와 결로 방지 모드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음은 이미 상기한 바와 같다. 다만, 이 경우에 유입되는 실외공기에는 습기가 적어야 하므로 열교환 유니트(15)를 통과한 실외공기를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공기 교환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1의 (a)는 지금까지 설명한 통상의 전열 교환기(10)로서 열교환 유니트(15)를 통해 실내외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구성된다. 도 11의 (b)는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이송 라인 상에 실내공기를 열교환 유니트(15)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는 바이패스 라인(16) 및 조절 댐퍼(17)가 추가로 설치된 공기 교환기(10)이다. 이를 사용하면 실내외 공기의 온도차가 크지 않은 간절기에 열교환 유니트(15)를 사용하지 않고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1의 (c)는 열교환 유니트 없이 단순히 실외공기를 유입하는 급기장치(10a) 및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장치(10b)가 별도로 구성된 공기 교환기 세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공기 교환기 20: 환기용 급기 덕트
30: 환기용 배기 덕트 40: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
41,42,43: 결로 방지용 디퓨져 51,52,53: 습도 측정센서
60: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 70: 센서 제어부

Claims (14)

  1.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와 하나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에는 환기용 조절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에는 결로 방지용 조절 댐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와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의 연결 부위에는 공기의 이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조절 댐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5.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교환기는 열교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에 유입되는 이송 라인 상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교환기는 열교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이송 라인 상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교환기 내에는 내부 순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결로 방지용 배기 덕트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 순환통로를 통해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9.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와 하나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에는 환기용 조절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에는 결로 방지용 조절 댐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는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와 별도의 이송 라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급기 덕트와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의 연결 부위에는 공기의 이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조절 댐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13. 건물 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시키는 공기 교환기;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건물 내의 각 방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
    상기 공기 교환기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서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 및
    상기 건물 내에 결로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습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교환기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결로 방지용 급기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14. 청구항 1, 청구항 5,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측정센서로부터 해당 장소의 습도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습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량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공기 교환기로 결로 방지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KR1020130091879A 2013-08-02 2013-08-02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KR10149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879A KR101498572B1 (ko) 2013-08-02 2013-08-02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879A KR101498572B1 (ko) 2013-08-02 2013-08-02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882A KR20150015882A (ko) 2015-02-11
KR101498572B1 true KR101498572B1 (ko) 2015-03-04

Family

ID=5257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879A KR101498572B1 (ko) 2013-08-02 2013-08-02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1148A4 (en) * 2020-07-31 2023-08-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DENSATION PREVEN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928B1 (ko) * 2021-01-27 2023-08-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KR102569971B1 (ko) * 2021-01-27 2023-08-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발코니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결로방지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739A (ja) * 1993-01-11 1994-07-26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結露防止装置
JPH0960956A (ja) * 1995-08-25 1997-03-04 Kajima Corp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3254559A (ja) * 2002-02-26 2003-09-10 Sanyo Electric Co Ltd 除湿システム
KR20090119887A (ko) * 2007-02-23 2009-11-2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조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739A (ja) * 1993-01-11 1994-07-26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結露防止装置
JPH0960956A (ja) * 1995-08-25 1997-03-04 Kajima Corp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3254559A (ja) * 2002-02-26 2003-09-10 Sanyo Electric Co Ltd 除湿システム
KR20090119887A (ko) * 2007-02-23 2009-11-2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조 환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1148A4 (en) * 2020-07-31 2023-08-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DENSATION PREVEN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882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9126B2 (en) Climate smart fan ventilation
KR101304421B1 (ko) 실내의 환기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092724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rooms within a building
US9664405B2 (en) Control system for energy recovery ventilator
KR20130001025A (ko) 욕실 통합형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8572B1 (ko)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EP3330628B1 (en) Air-conditioning system, controller, and program
JP4647503B2 (ja) 空調システム
JP7418852B2 (ja) ダクト式空調換気システム
KR102190386B1 (ko) 드레스룸 환경조성장치
JP2024036429A (ja) 空調換気システム
JP2012180953A (ja) 建物用換気システム
KR100979193B1 (ko) 욕실 환기장치
JP2005241160A (ja) 浴室換気暖房乾燥装置
KR101259055B1 (ko) 발코니 결로방지 및 제습장치
JP2005009796A (ja) 換気量制御方法
KR2018012374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2277020A (ja)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方法
JP6060374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20180107494A (ko) 통합 세대 환기장치
JPH09318139A (ja) 全館空調システム
JP2004116808A (ja) 空調用室内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H0828902A (ja) 空気調和機
JP7170562B2 (ja) 熱交換換気システム
KR20180123744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