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033B1 -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033B1
KR102205033B1 KR1020190129450A KR20190129450A KR102205033B1 KR 102205033 B1 KR102205033 B1 KR 102205033B1 KR 1020190129450 A KR1020190129450 A KR 1020190129450A KR 20190129450 A KR20190129450 A KR 20190129450A KR 102205033 B1 KR102205033 B1 KR 10220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medicine
collision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희
Original Assignee
송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희 filed Critical 송현희
Priority to KR102019012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방약재들로 이루어진 한방재료를 준비하는 한방재료준비단계와, 상기 한방약재들을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하는 한방약재분쇄단계와, 상기 한방약재분쇄단계에서 분쇄된 한방약재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교반시켜 혼합하는 한방약재교반단계와,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한방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시키는 약재혼합물형성단계와, 상기 약재혼합물을 가열용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약재혼합물가열단계와, 상기 약재혼합물을 가열하여 형성된 한방약액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져, 한방재료준비단계와 한방약재분쇄단계와 한방약재교반단계와 약재혼합물형성단계와 약재혼합물가열단계와 포장단계를 거치면서,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활혈탕을 효과적으로 제조함으로써,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재발을 방지하며, 포장된 활혈탕들이 균일한 효능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 Method of manufacturing Hyeheoltang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ticulum skin vasculitis }
본 발명은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방재료준비단계와 한방약재분쇄단계와 한방약재교반단계와 약재혼합물형성단계와 약재혼합물가열단계와 포장단계를 거치면서,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활혈탕을 효과적으로 제조함으로써,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재발을 방지하며, 포장된 활혈탕들이 균일한 효능을 갖게 되는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혈반모양 혈관염(livedo vasculitis)은 만성 재발성으로 통증을 동반하는 피부 질환으로 주로 하지나 발에 나타난다. 중간 크기의 동맥 내강에 혈전을 형성하는 혈전성, 비염증성 질환으로 침범한 혈관의 내막하 유리질 변성을 일으킨다. 즉 염증이 아닌 지속적인 혈전 형성으로 인한 혈관병증으로 엄밀히 말하면 ‘혈관염’은 잘못된 용어이다. 이 질환은 뚜렷한 이유를 알 수 없이 저절로 생길 수 있으나, 때로는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나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antiphospholipid syndrome) 등의 자가면역질환과 동반하여 나타날 수 있다.
1955년 Feldaker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고, 1년 동안 약 10만명당 1명 꼴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여성이 남성보다 3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보다는 어른에 더 많이 발생하며 45세가 평균 나이이다. 반복되는 통증을 동반한 궤양이 발생하고 드물게 발생하며 초기 발생부터 진단까지 평균적으로 5년 정도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진단이 어려워 결국은 하얗고 동그란 모양으로 푹 꺼진 양상의 비가역적인 피부 위축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울혈반모양 혈관염의 증상으로는 하지가 가장 많이 침범되며 그 중 발목 주위, 발등 부위에 나타난다. 몇 가지 특징적인 피부 병변을 가진다.
울혈반모양 혈관염의 증상 중 하나인 피부 궤양의 치료를 위해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등의 보존적 치료가 이용 되며, 궤양의 호전이 없거나 재발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면역억제치료가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84175호에는 복령, 현삼, 숙지황, 목단피, 당귀, 인삼, 건강, 육계, 대추, 감초, 황기 등이 포함된 약용식물 유래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한약재, 보다 상세하게는 유백피, 화피, 측백엽, 대계, 속단, 맥문동, 석창포, 우슬, 적작약, 홍화, 당귀, 천궁, 애엽, 단삼, 계지, 보골지 및 육계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울혈반모양 혈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된 바 없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개특허 제2016-008417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한방재료준비단계와 한방약재분쇄단계와 한방약재교반단계와 약재혼합물형성단계와 약재혼합물가열단계와 포장단계를 거치면서,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활혈탕을 효과적으로 제조함으로써,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재발을 방지하며, 포장된 활혈탕들이 균일한 효능을 갖게 되는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방약재들로 이루어진 한방재료를 준비하는 한방재료준비단계와, 상기 한방약재들을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하는 한방약재분쇄단계와, 상기 한방약재분쇄단계에서 분쇄된 한방약재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교반시켜 혼합하는 한방약재교반단계와,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한방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시키는 약재혼합물형성단계와, 상기 약재혼합물을 가열용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약재혼합물가열단계와, 상기 약재혼합물을 가열하여 형성된 한방약액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방재료는 유백피, 화피, 측백엽, 대계, 속단, 맥문동, 석창포, 우슬, 적작약, 홍화, 당귀, 천궁, 애엽, 단삼, 계지, 보골지 및 육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방재료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백피 5중량% ~14중량%, 화피 5중량% ~14중량%, 측백엽 5중량% ~14중량%, 대계 5중량% ~14중량%, 속단 5중량% ~14중량%, 맥문동 5중량% ~14중량%, 석창포 5중량% ~14중량%, 우슬 5중량% ~14중량%, 적작약 5중량% ~14중량%, 홍화 5중량% ~14중량%, 당귀 5중량% ~14중량%, 천궁 5중량% ~14중량%, 애엽 5중량% ~14중량%, 단삼 5중량% ~14중량%, 계지 5중량% ~14중량%, 보골지 5중량% ~14중량% 및 육계 5중량% ~14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방약재부준비단계 이후에는 상기 한방약재들을 으깨도록 충돌형탄성마찰장치가 더 마련되고, 상기 충돌형탄성마찰장치는 내부에 충돌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충돌공간에 배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곡선의 안내날개들로 이루어진 안내가압부와, 상기 안내날개의 외면에 고정되는 가압탄성패널와, 상기 안내부를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충돌공간에 배치되는 충돌관과, 상기 충돌관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충돌공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완충코일스프링들과, 상기 충돌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완충관과, 상기 탄성완충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탄성마찰돌기들과, 상기 충돌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가압부에 의해 이동되는 마찰볼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방약재교반단계 이후에는 분쇄된 한방약재들에 포함되는 금속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금속이물질처리장치가 더 마련되고, 상기 금속이물질처리장치는 내부에 분리공간이 형성되고 양내측면에 안내경사면이 형성된 분리케이싱과, 상기 분리케이싱에 설치되며, 분리축이 상기 분리공간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분리축에 끼움되어 회전되며, 상기 한방약재들에 포함된 금속이물질이 부착되는 자성관과, 상기 자성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자성관과 함께 회전되고, 금속이물질이 부착되는 자성패널과, 상기 자성관과 상기 자성패널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분리탄성튜브와, 상기 분리공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들과, 상기 분리탄성튜브에 형성되는 탄성가압패널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은 한방재료준비단계와 한방약재분쇄단계와 한방약재교반단계와 약재혼합물형성단계와 약재혼합물가열단계와 포장단계를 거치면서,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활혈탕을 효과적으로 제조함으로써,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재발을 방지하며, 포장된 활혈탕들이 균일한 효능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있어, 충돌형탄성마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있어, 충돌형탄성마찰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있어, 금속이물질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혈탕을 복용한 50세 여성 환자의 활혈탕 복용 전·후의 치료 부위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혈탕을 복용한 49세 남성 환자의 활혈탕 복용 전·후의 치료 부위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활혈탕을 복용한 35세 여성 환자의 활혈탕 복용 전·후의 치료 부위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있어, 충돌형탄성마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있어, 충돌형탄성마찰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있어, 금속이물질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혈탕을 복용한 50세 여성 환자의 활혈탕 복용 전·후의 치료 부위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혈탕을 복용한 49세 남성 환자의 활혈탕 복용 전·후의 치료 부위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활혈탕을 복용한 35세 여성 환자의 활혈탕 복용 전·후의 치료 부위 사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활혈탕 제조방법라 명명함)는 망상청피반 혈관염(울혈반모양혈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도록 된 탕약인 활혈탕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활혈탕 제조방법은 한방재료준비단계(S1)와 한방약재분쇄단계(S2)와 한방약재교반단계(S3)와 약재혼합물형성단계(S4)와 약재혼합물가열단계(S5)와 포장단계(S6)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방재료준비단계(S1)는 한방약재들로 이루어진 한방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한방재료는 유백피(楡白皮), 화피(樺皮), 측백엽(側柏葉), 대계(大?), 속단(續斷), 맥문동(麥門冬), 석창포(石菖蒲), 우슬(牛膝), 적작약(赤芍藥), 홍화(紅花), 당귀(當歸), 천궁(川芎), 애엽(艾葉), 단삼(丹參), 계지(桂枝), 보골지(補骨脂) 및 육계(肉桂)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한 한방약재들은 약재로 사용되도록 건조된 것들이 사용된다.
상기 한방재료준비단계(S1)에서는 상기 한방약재에 달라붙은 흙이나 먼지를 에어나 브러쉬를 이용하여 탈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한방재료준비단계(S1) 이후에는 한방약재들의 이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하도록 수조에 담가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시키는 세척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방재료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백피 5중량% ~14중량%, 화피 5중량% ~14중량%, 측백엽 5중량% ~14중량%, 대계 5중량% ~14중량%, 속단 5중량% ~14중량%, 맥문동 5중량% ~14중량%, 석창포 5중량% ~14중량%, 우슬 5중량% ~14중량%, 적작약 5중량% ~14중량%, 홍화 5중량% ~14중량%, 당귀 5중량% ~14중량%, 천궁 5중량% ~14중량%, 애엽 5중량% ~14중량%, 단삼 5중량% ~14중량%, 계지 5중량% ~14중량%, 보골지 5중량% ~14중량% 및 육계 5중량% ~14중량%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시 각 약재의 효능이 저하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발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약액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탕약, 트로키제(troche), 캡슐, 구강정, 과립, 환, 분말, 현탁액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복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방약액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방약액에 포함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한방약액를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액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한방약재분쇄단계(S2)는 상기 한방약재들을 분쇄기에 투입한 후 일정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쇄기는 내부에 분쇄공간을 갖으며 한쌍의 분쇄스크류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분쇄기로써, 회전되는 상기 분쇄스크류 사이를 상기 한방약재들이 관통하면서 마찰에 의해 일정크기로 분쇄된다.
상기 한방약재교반단계(S3)는 상기 한방약재분쇄단계(S2)에서 분쇄된 한방약재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교반시켜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교반기는 내부에 교반공간을 갖으며 상기 교반공간에 회전되게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공간에 투입되는 한방약재들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어 상호 섞이게 된다.
상기 약재혼합물형성단계(S4)는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한방약재들로 이루어진 한방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한방재료와 상기 물의 혼합비율은 1 : 1 비율인 한방재료 50중량%와 물 50중량%로 혼합시키게 된다.
상기 한방재료와 상기 물은 가열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게 되며, 별도의 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후술될 가열용기에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한방재료와 상기 물을 혼합시 도구를 이용하여 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재혼합물가열단계(S5)는 상기 약재혼합물을 가열용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약재혼합물이 충진된 가열용기는 120~150도의 온도에서 20~30분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온도범위 및 가열시간범위를 벗어날 시 각 약재의 효능이 저하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발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포장단계(S6)는 상기 약재혼합물을 가열하여 형성된 망상청피반 혈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도록 된 활혈탕인 한방약액을 포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한방약액을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비닐로 밀봉하여 포장하게 되며, 음용용 캡슐의 내부에 충진시켜 캡슐을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1> 치료사례
입증된 망상청피반 혈관염 환자 3명을 선정하여 상술된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활혈탕 투여에 의한 증상의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환자들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두 망상청피반 혈관염으로 진단을 받았으며, 양약의 병용 없이 1팩당 100㎖ 용량의 활형탕을 하루 3번, 식후 30분에 섭취하였다.
외래환자
사례 1 사례 2 사례 3
성별/ 나이 여/50 남/49 여/35
진단명 망상청피반
(울혈반모양혈관염)
망상청피반
(울혈반모양혈관염)
망상청피반
(울혈반모양혈관염)
주요증상 하지 피부색 변화,
하지 피부 울혈반
피부 궤양,
발목 통증
하지, 체간 피부색 변화
하지 피부 울혈반
하지저림, 감각둔화
하지 근육통
상, 하지 피부색 변화
피부 궤양
하지 저림, 하지 부종
하지 관절통
발병일 2012,7 2010,6 2015.5
서양의학적치료유무, 기간 유/ 3년 유/ 3년 유/2년
현재 양약 복용 여부/ 종류 유/
항생제, 소염진통제
치료시작일 2017,7 2018,6 2017,9
치료 종료일 2017,12 2018,12 2018,1
치료기간 6개월 7개월 5개월
복용량 30팩(100㎖/팩) 30팩(100㎖/팩) 30팩(100㎖/팩)
(사례 1)
사례 1 환자는 하지 피부색 변화, 하지 피부 울혈반 피부 궤양 및 발목 통증과 같은 증상이 있었으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혈탕 복용 3주 후 모든 증상이 80% 가량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두 달 동안 복용한 후 증상이 거의 사라졌다.
(사례 2)
사례 2 환자는 하지, 체간 피부색 변화, 하지 피부 울혈반 하지저림, 감각둔화 및 하지 근육통과 같은 증상이 있었으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혈탕 복용 3주 후 모든 증상이 70% 가량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두 달 동안 복용한 후 증상이 거의 사라졌다.
(사례 3)
사례 3 환자는 상, 하지 피부색 변화, 피부 궤양하지 저림, 하지 부종 및 하지 관절통과 같은 증상이 있었으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혈탕 복용 3주 후 모든 증상이 70% 가량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두 달 동안 복용한 후 증상이 거의 사라졌다.
이때, 상기 한방재료준비단계(S1) 이후에는 충동형탄성마찰장치(100)로 상기 한방약재들을 으깨도록 충돌형탄성마찰단계(S1-1)가 더 마련실시된다.
상기 충돌형탄성마찰장치(100)는 내부에 충돌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110)와, 상기 하우징본체(110)에 나사체결되게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충돌공간에 배치되는 회전모터(120)와, 상기 회전축에 나사 또는 용접체결되어 회전되는 곡선의 안내날개(131)들로 이루어진 안내가압부(130)와, 상기 안내날개(131)의 외면에 부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가압탄성패널(140)와, 상기 안내부를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충돌공간에 배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충돌관(150)과, 상기 충돌관(150)의 외면에 일단이 용접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충돌공간의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는 완충코일스프링(160)들과, 상기 충돌관(15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완충관(170)과, 상기 탄성완충관(17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마찰돌기(180)들과, 상기 충돌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가압부(130)에 의해 이동되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금속재로 형성된 마찰볼(190)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모터(120)의 구동에 의해회전되는 상기 안내날개(131)들에 의해 상기 마찰볼(190)들이 이동되면서 한방약재들과 충돌됨과 아울러 마찰볼(190)들 사이에 개지된 한방약재와, 마찰볼(190)과 충돌관(150) 사이에 개재된 한방약재가 충돌에 의해 으깨게 됨으로써, 으깨지 않고 한방약재를 분쇄기에 투입시 건조된 형태의 한방약재에 의해 교반기에 부하가 걸리거나 한방약재의 분쇄율이 떨어지고 균일한 분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분쇄효율을 높이게 되고 균일한 분쇄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110)에는 상부에 상기 충돌공간에 한방약재를 투입하도록 개폐도어를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날개(131)들이 회전되면서 상기 마찰볼(190)을 상기 충돌관(150)으로 이동시켜 충돌되면 상기 완충코일스프링(160)과 상기 탄성완충관(170)의 탄성에 의해 마찰볼(190)을 상기 안내날개(131) 및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과정에서 마찰볼(190)이 한방약재들과 충돌하여 으깨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날개(131)에 가압탄성패널(140)이 부착되어 반발되어 이동되는 마찰볼(190)과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마찰돌기(180)들에 마찰볼(190)이 충돌한 후 불규칙하게 이동하여 재차 으깨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날개(131)에는 외면에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안내날개(131)를 통해 한방약재들에 전달되어, 한방약재를 으깨는 효율 및 교반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날개(131)의 외면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가압핀들의 일단을 용접 또는 융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회전되는 안내날개(131)에 의해 상기 가압핀이 상기 한방약재를 가압하여 으깨는 효율을 높이고, 상기 가압핀의 끝단에 원뿔형상의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한방약재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으깨는 효율과 분쇄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방약재교반단계(S3) 이후에는 금속이물질처리장치(200)로 분쇄된 한방약재들에 포함되는 분말 또는 알갱이 형태의 금속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금속이물질처리단계(S3-1)이 더 실시된다.
상기 금속이물질처리장치(200)는 내부에 분리공간이 형성되고 양내측면에 상기 안방약재들을 안내하도록 안내경사면이 형성된 분리케이싱(210)과, 상기 분리케이싱(21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분리축이 상기 분리공간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의 분리축에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분리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한방약재들에 포함된 금속이물질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성관(230)과, 상기 자성관(230)의 외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자성관(230)과 함께 회전되고, 금속 이물질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성패널(240)과, 상기 자성관(230)과 상기 자성패널(240)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분리탄성튜브(250)와, 상기 분리공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260)들과, 상기 분리탄성튜브(250)에 형성되는 탄성가압패널(27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성패널(240)은 상기 자성관(23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접착되어 고정되어, 상기 자성관(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방약재의 금속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수거하게 되고 한방약재를 재차 교반하게 된다.
상기 분리탄성튜브(250)는 비닐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관(230)과 상기 자성패널(240)을 감싸면서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한방약재를 교반하여 금속이물질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 후 상기 자성관(230)을 상기 분리축에서 분리한 후 외부에서 상기 분리탄성튜브(250)를 벗겨 금속이물질을 상기 분리탄성튜브(250)와 함께 상기 자성관(230)과 상기 자성패널(24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이후 재차 다른 분리탄성튜브(250)를 상기 자성관(230)과 상기 자성패널(240)에 부착한 후 상기 자성관(230)을 상기 분리축에 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패널(270)에 상기 한방약재가 걸림되어 교반효율과 금속이물질의 수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회전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휘어진 상기 탄성가압패널(270)의 탄성에 의해 한방약재를 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가압패널(270)은 상기 분리탄성튜브(250)와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케이싱(210)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의 와류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산되는 한방약재가 상기 와류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비산하여 소용돌이 형태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분리케이싱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금속이물질의 수거효율을 재차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케이싱(210)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분리탄성관들의 일단을 융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분리탄성관의 타단에 자성봉의 일단을 억지끼움시켜 탄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비산되는 한방약재에 포함되는 금속이물질이 노출되는 상기 자성봉의 타단에 부착되고, 금속이물질을 탈거시키기 위해 자성봉을 분리탄성관에서 분리한 후 외부에서 자성봉에 부착된 금속이물질을 분리한 다음 재차 분리탄성관에 자성봉을 끼워 고정하여, 금속이물질의 분리효율을 높이고 금속이물질의 처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1 : 한방재료준비단계
S1-1 : 충돌형탄성마찰단계
S2 : 한방약재분쇄단계
S3 : 한방약재교반단계
S3-1 : 금속이물질처리단계
S4 : 약재혼합물형성단계
S5 : 약재혼합물가열단계
S6 : 포장단계
100 : 충돌형탄성마찰장치
110 : 하우징본체
120 : 회전모터
130 : 안내가압부
131 : 안내날개
140 : 가압탄성패널
150 : 충돌관
160 : 완충코일스프링
170 : 탄성완충관
180 : 탄성마찰돌기
190 : 마찰볼
200 : 금속이물질처리장치
210 : 분리케이싱
220 : 구동모터
230 : 자성관
240 : 자성패널
250 : 분리탄성튜브
260 : 에어분사노즐
270 : 탄성가압패널

Claims (5)

  1. 한방약재들로 이루어진 한방재료를 준비하는 한방재료준비단계;
    상기 한방약재들을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하는 한방약재분쇄단계;
    상기 한방약재분쇄단계에서 분쇄된 한방약재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교반시켜 혼합하는 한방약재교반단계;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한방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시키는 약재혼합물형성단계;
    상기 약재혼합물을 가열용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약재혼합물가열단계; 및
    상기 약재혼합물을 가열하여 형성된 한방약액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진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방재료는 유백피, 화피, 측백엽, 대계, 속단, 맥문동, 석창포, 우슬, 적작약, 홍화, 당귀, 천궁, 애엽, 단삼, 계지, 보골지 및 육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재료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백피 5중량% ~14중량%, 화피 5중량% ~14중량%, 측백엽 5중량% ~14중량%, 대계 5중량% ~14중량%, 속단 5중량% ~14중량%, 맥문동 5중량% ~14중량%, 석창포 5중량% ~14중량%, 우슬 5중량% ~14중량%, 적작약 5중량% ~14중량%, 홍화 5중량% ~14중량%, 당귀 5중량% ~14중량%, 천궁 5중량% ~14중량%, 애엽 5중량% ~14중량%, 단삼 5중량% ~14중량%, 계지 5중량% ~14중량%, 보골지 5중량% ~14중량% 및 육계 5중량% ~14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약재부준비단계 이후에는 상기 한방약재들을 으깨도록 충돌형탄성마찰장치가 더 마련되고,
    상기 충돌형탄성마찰장치는 내부에 충돌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충돌공간에 배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곡선의 안내날개들로 이루어진 안내가압부와,
    상기 안내날개의 외면에 고정되는 가압탄성패널와,
    상기 안내부를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충돌공간에 배치되는 충돌관과,
    상기 충돌관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충돌공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완충코일스프링들과,
    상기 충돌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완충관과,
    상기 탄성완충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탄성마찰돌기들과,
    상기 충돌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가압부에 의해 이동되는 마찰볼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약재교반단계 이후에는 분쇄된 한방약재들에 포함되는 금속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금속이물질처리장치가 더 마련되고,
    상기 금속이물질처리장치는 내부에 분리공간이 형성되고 양내측면에 안내경사면이 형성된 분리케이싱과,
    상기 분리케이싱에 설치되며, 분리축이 상기 분리공간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분리축에 끼움되어 회전되며, 상기 한방약재들에 포함된 금속이물질이 부착되는 자성관과,
    상기 자성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자성관과 함께 회전되고, 금속이물질이 부착되는 자성패널과,
    상기 자성관과 상기 자성패널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분리탄성튜브와,
    상기 분리공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들과,
    상기 분리탄성튜브에 형성되는 탄성가압패널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KR1020190129450A 2019-10-17 2019-10-17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KR10220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450A KR102205033B1 (ko) 2019-10-17 2019-10-17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450A KR102205033B1 (ko) 2019-10-17 2019-10-17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033B1 true KR102205033B1 (ko) 2021-01-19

Family

ID=7423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450A KR102205033B1 (ko) 2019-10-17 2019-10-17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0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89B1 (ko) * 2011-01-31 2011-09-02 민재성 비강 및 부비동 질환 치료용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4175A (ko) 2015-01-05 2016-07-13 권영아 식물유래 루테리온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 용도
KR101819490B1 (ko) * 2017-08-25 2018-01-17 유승선 해청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피반성 혈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3009B1 (ko) * 2017-09-07 2018-08-02 박진호 한약재를 주원료로 하는 환 제조방법
KR101984615B1 (ko) * 2019-03-28 2019-09-03 차경식 분쇄장치를 이용한 조미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89B1 (ko) * 2011-01-31 2011-09-02 민재성 비강 및 부비동 질환 치료용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4175A (ko) 2015-01-05 2016-07-13 권영아 식물유래 루테리온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 용도
KR101819490B1 (ko) * 2017-08-25 2018-01-17 유승선 해청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피반성 혈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3009B1 (ko) * 2017-09-07 2018-08-02 박진호 한약재를 주원료로 하는 환 제조방법
KR101984615B1 (ko) * 2019-03-28 2019-09-03 차경식 분쇄장치를 이용한 조미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2578B1 (en) Plant-based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ES2928369T3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extractos de hierbas
KR20020022342A (ko)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스트레스제 조성물
CN1965836B (zh) 口服固体制剂及其制备方法
US20040009240A1 (en) Herbal formulation
KR102205033B1 (ko) 망상청피반 혈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활혈탕 제조방법
CN102106965B (zh) 一种治疗软组织急性损伤的组合物及其应用
JPH04243832A (ja) 自己免疫疾患治療剤
KR101565159B1 (ko) 노화 및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Brendler et al. Devil’s Claw (Harpagophytum procumbens DC) an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by the natural standard research collaboration
CA2494744A1 (en) Use of fermented wheat germ extract as anti-inflammatory agent
CN102327329A (zh) 一种含有大黄的组合物及其用途
JP2958198B2 (ja) 鎮痛用医薬組成物
CN103446387B (zh) 一种治疗甲亢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0355449C (zh) 一种治疗胃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8888C (zh) 一种治疗皮肤病的药物
CN1058166C (zh) 治疗白细胞减少和辐射损伤的药
CN110624021A (zh) 一种用于治疗痔疮的口服药物及制备方法
CN116350686B (zh) 一种治疗口腔溃疡的药食同源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488749A (zh) 马钱子粉制剂的制备方法
CN110522862A (zh) 一种中药组合物的新用途及其制备方法
CN1055835C (zh) 一种连黄松丸、胶囊及其制备方法
CN106729409A (zh) 一种用于儿童腹股沟疝护理的中药组合物
KR20000066374A (ko) 환약(丸藥) 제조방법
CN111358849A (zh) 治疗萎缩性胃炎的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