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957B1 - 정형용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정형용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957B1
KR102204957B1 KR1020190070980A KR20190070980A KR102204957B1 KR 102204957 B1 KR102204957 B1 KR 102204957B1 KR 1020190070980 A KR1020190070980 A KR 1020190070980A KR 20190070980 A KR20190070980 A KR 20190070980A KR 102204957 B1 KR102204957 B1 KR 10220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pelvis
cervical spine
frame
lif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102A (ko
Inventor
문경록
Original Assignee
영일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일엠(주) filed Critical 영일엠(주)
Priority to KR102019007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9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09Physiotherapeutic tables, beds or platforms; Chiropractic or osteopathic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롭 작동시, 충격 및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정형용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용 교정장치는, 누운 환자의 경추 주위를 지지하는 경추부, 상기 경추부에 연결되어 요추 주위를 지지하는 요추부, 상기 요추부에 연결되어 골반 주위를 지지하는 골반부, 및 상기 경추부, 상기 요추부 및 상기 골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드롭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축,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승강하도록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승강축의 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축의 측면 고정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에서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캠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형용 교정장치 {ORTHOPEDIC CORR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형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뼈와 관절에 발생하는 이상변위를 굽힘, 비틂 및 신전(伸展) 상태에서 반복적인 드롭(drop) 운동으로 교정하는 정형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써, 종래의 자동 드롭 교정기는 본체에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하는 컴프레셔, 공급되는 공압을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전달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전달되는 공압으로 푸시로드를 구동하는 실린더, 푸시로드의 왕복운동으로 블록을 상승시키는 드롭 뭉치, 블록의 하면에 탄성 접촉되어 블록을 상승시켰을 때 푸시로드를 복귀시키도록 블록의 상승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밸브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리미트 스위치,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구동하는 조작발판을 포함한다.
종래의 자동 드롭 교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시술자가 교정 받는 사람의 시술 부위를 눌러주어 블록을 하강시키고(드롭 동작을 수행), 시술자가 조작 발판을 밟아주어 공압으로 피스톤의 푸시로드를 밀어주고, 푸시로드와 연결된 드롭 뭉치로 블록을 다시 올린다. 이와 같이 자동 드롭 교정기는 블록을 하강시키고 다시 올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환자의 허리를 상하로 움직이는 플렉션(Fraction) 치료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드롭 교정기는 컴퓨레셔를 사용하므로 컴프레셔에서 소음이 발생하고, 컴프레셔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블록을 상승시키기 위한 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왕복운동 시, 상하로 물리적인 힘이 전달되고, 전달되는 힘이 충격과 소음을 발생시키며, 충격이 환자 및 시술자에게 전달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드롭 교정기는 상하로 움직이는 플렉션(fraction) 작동만으로 관절의 신전운동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드롭 교정기는 플렉션 작동에 의한 신전운동으로 뼈와 관절을 충분히 이완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4752호(2016. 04. 2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롭 작동시, 충격 및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정형용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를 상하로 움직여주는 플렉션(fraction) 작동과 환자의 신체를 잡아 당겨주는 트렉션(traction) 작동을 통하여 뼈와 관절에 굽힘, 비틂 및 신전(伸展) 운동을 각각 또는 동시에 수행하는 정형용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용 교정장치는, 누운 환자의 경추 주위를 지지하는 경추부, 상기 경추부에 연결되어 요추 주위를 지지하는 요추부, 상기 요추부에 연결되어 골반 주위를 지지하는 골반부, 및 상기 경추부, 상기 요추부 및 상기 골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드롭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축,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승강하도록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승강축의 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축의 측면 고정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에서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모ㄹ21터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캠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승강축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지지부재를 측방으로 삽입시키는 드롭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드롭 블록은 상기 승강축이 관통되는 상하 관통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상하 관통구의 직경 방향 양측으로 각각 삽입되는 측방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측면 고정홈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방 관통구는 상기 측면 고정홈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를 내장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조절하여 지지하도록 조절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측방 관통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조절부재에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장착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조절축,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캠 부재로 작동되는 상기 승강축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캠 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의 외곽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의 구동 및 정지 신호를 보내는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용 교정장치는, 누운 환자의 경추 주위를 지지하는 경추부, 상기 경추부에 연결되어 요추 주위를 지지하는 요추부, 상기 요추부에 연결되어 골반 주위를 지지하는 골반부, 및 상기 경추부, 상기 요추부 및 상기 골반부 각각의 제1하부 플레이트, 요추 하부 플레이트 및 제2하부 플레이트 중 하나에 구비되어 드롭 작동하는 드롭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부는 환자의 경추로 연결되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1작동영역,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제1고정영역, 및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경추를 리프트 업 또는 다운시키는 리프트 작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경추부는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리프트 업 또는 다운된 경추를 좌우로 굽히는 제1레터럴 작동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터럴 작동 조립체는 폭 방향 중심에서 상기 제1작동영역의 제11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영역의 제12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1힌지, 상기 폭 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1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2힌지에 연결되는 제1레터럴 로드, 및 상기 제1레터럴 로드를 슬라이드 지지하고 상기 제12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작동 조립체는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1프레임에 설치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제11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리프트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추부는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리프트 업, 다운, 좌로 또는 우로 비튼 경추의 각도를 상향 또는 하향시키도록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11프레임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각도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반부는 환자의 골반으로 연결되는 하체를 지지하는 제2작동영역, 환자의 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고정영역, 및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골반을 좌우로 굽히는 제2레터럴 작동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터럴 작동 조립체는 폭 방향 중심에서 상기 제2고정영역의 제21프레임과 상기 제2작동영역의 제22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1힌지, 상기 폭 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21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2힌지에 연결되는 제2레터럴 로드, 및 상기 제2레터럴 로드를 슬라이드 지지하고 상기 제21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반부는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골반의 각도를 수평 또는 아래로 굽히도록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21프레임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각도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반부는 상기 제22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아, 및 상기 가이드 바아를 이동하여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하체를 잡아당기도록 상기 제22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신장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형용 교정장치는, 지지부재가 승강축의 측면 고정홈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제1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캠 부재가 승강축을 승강시키므로 승강축의 상단에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승강 작동하면서 환자의 신체에 대하여 드롭 작동한다. 즉 캠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축이 승강 작동하므로 충격이나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형용 교정장치는, 드롭 작동 조립체에 리프트 작동 조립체, 제1, 제2레터럴 작동 조립체, 제1, 제2각도 실린더, 및 가이드 바아와 신장 실린더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하므로 환자의 신체를 드롭 작동에 신체를 좌우로 움직여 주는 레터럴 작동, 신체를 상하로 움직여주는 플렉션(fraction) 작동, 및 신체를 잡아 당겨주는 트렉션(traction) 작동을 하나 이상 더 하므로 뼈와 관절에 굽힘, 비틂 및 신전(伸展) 운동을 각각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용 교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경추부(업 상태)와 요추부(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경추부와 요추부(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경추부 다운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경추부 업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경추부 업 우측 레터럴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경추부 업 좌측 레터럴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경추부 업 우측 레터럴 상향 각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경추부 업 우측 레터럴 하향 각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경추부 다운 우측 레터럴 하향 각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적용되는 요추부(부분)와 골반부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골반부의 좌측 레터럴 트렉션 상태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의 골반부의 좌측 레터럴 플렉션 상태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의 골반부의 좌측 레터럴 플렉션 트렉션 상태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골반부의 우측 레터럴 플렉션 트렉션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경추부, 요추부 및 골반부에서 구비되는 드롭 작동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 캠 부재와 승강축의 하강 작동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캠 부재, 디스크)의 측면도이다.
도24는 도 21 캠 부재와 승강축의 상승 작동 상태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디스크와 광센서의 작동 상태 정면도이다.
도 26은 드롭 블록에서 승강축을 지지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용 교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정형용 교정장치는 누운 환자를 지지하는 경추부(6), 요추부(7), 골반부(8) 및 드롭 작동 조립체(9)(도 21 내지 도 28 참조)를 포함한다.
경추부(6)는 누운 환자의 경추 주위를 지지하고, 요추부(7)는 경추부(6)에 연결되어 요추 주위를 지지하며, 골반부(8)는 요추부(7)에 연결되어 골반 주위를 지지한다. 골반부(8)는 신장에 따라 하체를 지지하도록 발을 지지하는 발부(미도시)를 더 연결할 수 있다.
드롭 작동 조립체(9)는 경추부(6), 요추부(7) 및 골반부(8)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된다. 즉 드롭 작동 조립체(9)는 경추부(6)의 제1하부 플레이트(11), 요추부(7)의 요추 하부 플레이트(13) 및 골반부(8)의 제2하부 플레이트(12)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11, 13, 12)에 구비되어 드롭 작동한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경추부(업 상태)와 요추부(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경추부와 요추부(부분)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경추부 다운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경추부 업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경추부(6)는 환자의 경추로 연결되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1작동영역(611),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제1고정영역(621), 및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경추를 리프트 업 또는 다운시키는 리프트 작동 조립체(631)를 포함한다.
또한, 경추부(6)는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리프트 업 또는 다운된 경추를 좌우로 굽히는(비트는) 제1레터럴 작동 조립체(641)를 더 포함한다. 즉 제1레터럴 작동 조립체(641)는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경추를 좌우로 움직여 주는 레터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좌우로 움직여 주는 레터럴 작동은 수동으로 진행된다.
제1레터럴 작동 조립체(641)는 제11, 제12힌지(H11, H12), 제1레터럴 로드(LR1), 및 제1슬라이드 블록(SB1)을 포함한다. 제11힌지(H11)는 폭 방향(y축 방향) 중심에서 제1작동영역(611)의 제11프레임(F11)과 제1고정영역(621)의 제12프레임(F12)을 레터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도 6은 도 1의 경추부 업 우측 레터럴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경추부 업 좌측 레터럴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레터럴 로드(LR1)는 폭 방향(y축 방향) 일측에서 제11프레임(F11)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2힌지(H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1프레임(F11)은 제11, 제12힌지(H11, H12)로 지지되면서 제12프레임(F12)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 작동되어 경추를 굽히게(비틀게) 된다.
제1슬라이드 블록(SB1)은 제1레터럴 로드(LR1)를 슬라이드 지지하고 제12프레임(F12)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1, 제12프레임(F11, F12)의 좌측 우측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한다. 제11프레임(F11)은 제11, 제12힌지(H11, H12) 및 제1레터럴 로드(LR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 및 선회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트 작동 조립체(631)는 기둥부재(632) 및 리프트 실린더(633)를 포함한다. 기둥부재(632)는 제1하부 플레이트(11)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제11프레임(F1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기둥부재(632)는 폭 방향(y축 방향)에서 쌍으로 배치되어 제1하부 플레이트(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리프트 실린더(633)는 제11프레임(F11)에 장착되고 제1하부 플레이트(11)에 연결되어, 신축 작동으로 제1하부 플레이트(11)에 연결되는 기둥부재(632)를 제11프레임(F11)의 지지를 받으면서 제11프레임(F11) 상에서 승강시킨다.
즉 리프트 실린더(633)는 경추부(6)에서 머리를 지지하는 제1작동영역(611)을 상체를 지지하는 제1고정영역(621)에 고정된 몸으로부터 경추를 리프트 업 또는 다운시킬 수 있다.
경추의 좌측 또는 우측 레터럴 작동과 경추의 리프트 업 또는 다운 작동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 경추는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입체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경추부 업 우측 레터럴 상향 각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경추부 업 우측 레터럴 하향 각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경추부 다운 우측 레터럴 하향 각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경추부(6)는 제1하부 플레이트(11)에 고정되어 제11프레임(F11)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각도 실린더(AC1)를 더 포함한다.
제1각도 실린더(AC1)는 신축 작동으로 제1하부 플레이트(11)의 상향 각도(θ1) 또는 하향 각도(θ2)를 조절한다. 제1각도 실린더(AC1)는 제1고정영역(621)에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리프트 업, 다운, 좌로 또는 우로 굽힌(비튼) 경추의 상, 하향 각도(θ1, θ2)를 설정한다.
경추의 상, 하향 각도(θ1, θ2)는 경추의 좌측 또는 우측 레터럴 작동과 경추의 리프트 업 또는 다운 작동과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 경추는 상,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입체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도 11은 도 1에 적용되는 요추부(부분)와 골반부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측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골반부의 좌측 레터럴 트렉션 상태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골반부(8)는 환자의 골반으로 연결되는 하체를 지지하는 제2작동영역(811), 환자의 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고정영역(821), 및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골반을 좌우로 굽히는(비트는) 제2레터럴 작동 조립체(831)를 포함한다.
제2레터럴 작동 조립체(831)는 제21, 제22힌지(H21, H22), 제2레터럴 로드(LR2), 및 제2슬라이드 블록(SB2)을 포함한다. 제21힌지(H21)는 폭 방향(y축 방향) 중심에서 제2작동영역(811)의 제22프레임(F22)과 제2고정영역(821)의 제21프레임(F21)을 연결한다.
제2레터럴 로드(LR2)는 폭 방향(y축 방향) 일측에서 제21프레임(F21)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2힌지(H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1프레임(F21)은 제21, 제22힌지(H21, H22)로 지지되면서 제22프레임(F22)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레터럴 작동되어 하체를 굽히게(비틀게) 된다.
제2슬라이드 블록(SB2)은 제2레터럴 로드(LR2)를 슬라이드 지지하고 제22프레임(F22)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1프레임(F21)에서 제22프레임(F22)이 좌측 우측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한다. 제22프레임(F22)은 제21, 제22힌지(H21, H22) 및 제2레터럴 로드(LR2)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 및 선회될 수 있다.
골반부(8)의 제2고정영역(821)에 구비되는 제22프레임(F22)과 경추부(6)의 제1고정영역(621)에 구비되는 제12프레임(F12)는 요추부(7)에서 일체로 형성 또는 연결된다. 편의상 요추부(7)에서는 제3프레임(F3)이라 칭한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의 골반부의 좌측 레터럴 플렉션 상태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골반부(8)는 제2하부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제22프레임(F22)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각도 실린더(AC2)를 더 포함한다.
제2각도 실린더(AC2)는 신축 작동으로 제2하부 플레이트(12)의 하향 각도(θ3)를 조절한다. 제2각도 실린더(AC2)는 제2고정영역(821)에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좌로 또는 우로 굽힌(비튼) 골반의 각도를 수평 또는 아래로 굽히는 플렉션 작동하도록 하향 각도(θ3)를 설정한다.
골반의 하향 각도(θ3)를 설정하는 플렉션 작동은 골반의 좌측 또는 우측 레터럴 작동과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레터럴 작동과 플렉션 작동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 골반은 수평 또는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입체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의 골반부의 좌측 레터럴 플렉션 트렉션 상태의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의 골반부의 우측 레터럴 플렉션 트렉션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골반부(8)는 가이드 블록(841), 가이드 바아(842), 및 신장 실린더(843)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블록(841)은 제22프레임(F22)에 구비되고, 가이드 바아(842)는 제2하부 플레이트(12)에 설치되고 가이드 블록(841)에 결합된다.
신장 실린더(843)는 가이드 바아(842)를 이동하여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하체를 잡아당기도록 제22프레임(F22)에 설치되고 제2하부 플레이트(12)에 연결된다. 신장 실린더(843)는 신축 작동으로 제22프레임(F22) 상에서 제2하부 플레이트(12)를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신체를 신장시키는 트렉션 작동한다. 트렉션 작동은 경추, 요추 및 골반의 각 관절 및 뼈마디 사이를 늘어나게 한다.
트렉션 작동은 골반의 수평 또는 하향 각도(θ3)를 설정하는 플렉션 작동, 골반의 좌측 또는 우측 레터럴 작동과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렉션 작동, 레터럴 작동과 플렉션 작동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 골반은 뼈 마디 사이에서 늘어나며, 수평 또는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입체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도 21은 도 1의 경추부, 요추부 및 골반부에서 구비되는 드롭 작동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 캠 부재와 승강축의 하강 작동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23은 도 21(캠 부재, 디스크)의 측면도이고, 도24는 도 21 캠 부재와 승강축의 상승 작동 상태 정면도이며, 도 25는 도 21의 디스크와 광센서의 작동 상태 정면도이다.
편의상, 요추부(7)의 제3프레임(F3)에 설치되는 드롭 작동 조립체(9)를 예로 설명한다. 도 1,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드롭 작동 조립체(9)는 승강축(21), 상부 플레이트(22), 지지부재(23)(도 27 참조) 및 캠 부재(24)를 포함한다.
승강축(21)는 (요추)하부 플레이트(13)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 작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부 플레이트(22)는 (요추)하부 플레이트(13) 상에서 승강하도록 승강축(21)의 상단에 설치된다.
지지부재(23)는 (요추)하부 플레이트(13) 상에서 승강축(21)의 측방에 구비되어 승강축(21)의 측면 고정홈(211)(도 27 참조)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캠 부재(24)는 (요추)하부 플레이트(13)의 하에서 승강축(21)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모터(M1)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승강축(21)을 승강시킨다.
승강축(21)은 캠 부재(24)와 닿는 부분에 베어링(212)를 구비하여 마찰을 최소화 하므로 캠 부재(24)의 회전 작동으로 승강축(21)의 승강을 원활하게 한다.
드롭 작동 조립체(9)는 디스크(91) 및 광센서(92)를 더 포함한다. 디스크(91)는 캠 부재(24)로 작동되는 승강축(21)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캠 부재(2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디스크(91)는 제1모터(M1)의 구동으로 캠 부재(24)와 일체로 회전한다.
광센서(92)는 디스크(91)의 외곽에 이격 배치되어 디스크(91)의 회전 위치를 감지한다. 광센서(92)는 제1모터(M1)의 구동 및 정지 신호를 보낸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센서(92)는 제어부의 입력 측에 연결되고 제1모터(M1)는 출력 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광센서(92)의 신호에 따라 제1모터(M1)를 구동 및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입력 측에 리미트 스위치(93)가 연결되어, 환자의 시술 부위를 눌러줄 때, 상부 플레이트(22)가 하강하는 드롭 동작을 감지한다. 리미트 스위치(93)는 (요추)하부 플레이트(13)와 상부 플레이트(22)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 플레이트(22)의 하강을 감지한다.
리미트 스위치(93)의 감지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제1모터(M1)를 구동하여 승강축(21) 및 상부 플레이트(22)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22)는 다음 드롭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시술자가 상부 플레이트(22) 상(쿠션 매트 생략)에 누운 환자의 시술 부위를 눌러줌으로써 상부 플레이트(22)가 하강하는 드롭 작동이 수행된다. 리미트 스위치(93)가 드롭 작동을 감지하여 제1모터(M1)를 구동하여 상부 플레이트(22)를 다시 상승시키는 칵킹 작동이 수행된다.
제1모터(M1)의 회전력을 캠 부재(24)에 전달하고, 캠 부재(24)의 전방에 구비되는 디스크(91)의 작동을 광센서(92)가 감지하여 제1모터(M1)이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26은 드롭 블록에서 승강축을 지지하는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8은 도 26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드롭 작동 조립체(9)는 승강축(2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키고 지지부재(23)를 측방으로 삽입시키는 드롭 블록(25)을 더 포함한다.
드롭 블록(25)은 상하 관통구(26)와 측방 관통구(27)를 구비한다. 상하 관통구(26)는 승강축(21)이 관통 설치되어 승강축(21)의 승강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측방 관통구(27)는 지지부재(23)가 상하 관통구(26)의 직경 방향 양측으로 각각 삽입되게 한다.
지지부재(23)는 승강축(21)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고정홈(211)에 각각 결합된다. 지지부재(23)가 180도 방향 양측에서 측면 고정홈(211)을 각각 지지하므로 승강축(21) 및 상부 플레이트(22)가 상승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측방 관통구(27)는 측면 고정홈(211)을 직접 지지하는 지지부재(23)를 내장하고, 지지부재(2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8)를 내장하며, 탄성부재(28)의 탄성을 조절하여 지지하도록 조절부재(30)와 나사 결합된다. 조절부재(30)는 측방 관통구(27)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드롭 작동 조립체(9)는 조절부재(30)에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기어(31), 피동기어(31)에 기어 결합되는 구동기어(32), 구동기어(32)를 장착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조절축(33), 및 (요추)하부 플레이트(13)에 장착되어 조절부재(30)와 조절축(3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블록(34)을 더 포함한다.
조절축(33)에는 노브(35)가 구비되어 시술자가 노브(35)를 조작함으로써 지지부재(23)로 승강축(21)의 측면 고정홈(211)을 지지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3)가 승강축(21)의 측면 고정홈(211)을 과도하게 지지하며 환자를 누를 때, (요추)상부 플레이트(22)의 하강이 어려워지고, 제1모터(M1)에 의하여 승강축(21)을 상승시킬 때, 과도한 동력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23)에 의한 승강축(21)의 측면 고정홈(211)의 지지 강도는 (요추)상부 플레이트(22)의 하강과 상승의 드롭 작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지지된다.
드롭 작동 조립체(9)는 회전하는 캠 부재(24)를 사용하여 승강축(21)을 승강시켜 드롭 작동(칵킹업(cocking up, 상승 복귀 작동) 포함)하므로 승강 시, 상부 플레이트(22)의 쿠션 매트(미도시)에 누워 있는 환자에게 타격으로 인한 충격 및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모터(M1)는 종래의 에어 컴프레셔에 비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며, 에어 컴프레셔의 설치 장소를 요구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환자의 신체를 상하로 움직여주는 플렉션(fraction) 작동과 신체를 일정 간격으로 잡아 당겨주는 트렉션(traction) 작동을 통하여 굽힘 운동 및 신전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이상 변위가 효과적으로 교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신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관절에 발생하는 이상 변위를 굽힘, 비틂 또는 신전 상태에서 반복적인 드롭 작동에 의하여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6: 경추부 7: 요추부
8: 골반부 9: 드롭 작동 조립체
11: 제1하부 플레이트 12: 제2하부 플레이트
13: (요추)하부 플레이트 21: 승강축
22: 상부 플레이트 23: 지지부재
24: 캠 부재 25: 드롭 블록
26: 상하 관통구 27: 측방 관통구
28: 탄성부재 30: 조절부재
31: 피동기어 32: 구동기어
33: 조절축 34: 지지 블록
35: 노브 91: 디스크
92: 광센서 93: 리미트 스위치
211: 측면 고정홈 212: 베어링
611: 제1작동영역 621: 제1고정영역
631: 리프트 작동 조립체 632: 기둥부재
633: 리프트 실린더 641: 제1레터럴 작동 조립체
811: 제2작동영역 821: 제2고정영역
831: 제2레터럴 작동 조립체 841: 가이드 블록
842: 가이드 바아 843: 신장 실린더
AC1: 제1각도 실린더 AC2: 제2각도 실린더
F11: 제11프레임 F12: 제12프레임
F21: 제21프레임 F22: 제22프레임
F3: 제3프레임 H11, H12: 제11, 제12힌지
H21, H22: 제21, 제22힌지 LR1: 제1레터럴 로드
LR2: 제2레터럴 로드 M1: 제1모터
SB1: 제1슬라이드 블록 SB2: 제2슬라이드 블록
θ1: 상향 각도 θ2, θ3: 하향 각도

Claims (14)

  1. 누운 환자의 경추 주위를 지지하는 경추부;
    상기 경추부에 연결되어 요추 주위를 지지하는 요추부;
    상기 요추부에 연결되어 골반 주위를 지지하는 골반부; 및
    상기 경추부, 상기 요추부 및 상기 골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드롭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축,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승강하도록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승강축의 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축의 측면 고정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에서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캠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캠 부재로 작동되는 상기 승강축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캠 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고 상기 캠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외곽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의 구동 및 정지 신호를 보내는 광센서,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 플레이트의 하강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센서는,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승강축이 최상점에 위치하여 드롭 작동할 때, 상기 디스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에 정지 신호를 보내고,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승강축이 최하점에 위치하여 상승 복귀 작동할 때, 상기 디스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에 구동 신호를 보내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감지 신호로 제1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게 되는, 정형용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승강축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지지부재를 측방으로 삽입시키는 드롭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드롭 블록은
    상기 승강축이 관통되는 상하 관통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상하 관통구의 직경 방향 양측으로 각각 삽입되는 측방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측면 고정홈에 각각 결합되는
    정형용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관통구는
    상기 측면 고정홈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를 내장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조절하여 지지하도록 조절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측방 관통구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형용 교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상기 조절부재에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장착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조절축,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블록
    을 더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5. 삭제
  6. 누운 환자의 경추 주위를 지지하는 경추부;
    상기 경추부에 연결되어 요추 주위를 지지하는 요추부;
    상기 요추부에 연결되어 골반 주위를 지지하는 골반부; 및
    상기 경추부, 상기 요추부 및 상기 골반부 각각의 제1하부 플레이트, 요추 하부 플레이트 및 제2하부 플레이트 중 하나에 구비되어 드롭 작동하는 드롭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부는
    환자의 경추로 연결되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1작동영역,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제1고정영역, 및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경추를 리프트 업 또는 다운시키는 리프트 작동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드롭 작동 조립체는
    캠 부재로 작동되는 승강축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캠 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1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고 상기 캠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외곽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의 구동 및 정지 신호를 보내는 광센서, 및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 상기 요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 중 하나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 플레이트의 하강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광센서는,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승강축이 최상점에 위치하여 드롭 작동할 때, 상기 디스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에 정지 신호를 보내고,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승강축이 최하점에 위치하여 상승 복귀 작동할 때, 상기 디스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에 구동 신호를 보내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감지 신호로 제1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게 되는, 정형용 교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부는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리프트 업 또는 다운된 경추를 좌우로 굽히는 제1레터럴 작동 조립체
    를 더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터럴 작동 조립체는
    폭 방향 중심에서 상기 제1작동영역의 제11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영역의 제12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1힌지,
    상기 폭 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1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2힌지에 연결되는 제1레터럴 로드, 및
    상기 제1레터럴 로드를 슬라이드 지지하고 상기 제12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슬라이드 블록
    을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작동 조립체는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1프레임에 설치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제11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리프트 실린더
    를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부는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리프트 업, 다운, 좌로 또는 우로 비튼 경추의 각도를 상향 또는 하향시키도록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11프레임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각도 실린더
    를 더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부는
    환자의 골반으로 연결되는 하체를 지지하는 제2작동영역,
    환자의 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고정영역, 및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골반을 좌우로 굽히는 제2레터럴 작동 조립체
    를 더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터럴 작동 조립체는
    폭 방향 중심에서 상기 제2고정영역의 제21프레임과 상기 제2작동영역의 제22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1힌지,
    상기 폭 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21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2힌지에 연결되는 제2레터럴 로드, 및
    상기 제2레터럴 로드를 슬라이드 지지하고 상기 제21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슬라이드 블록
    을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부는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골반의 각도를 수평 또는 아래로 굽히도록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21프레임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각도 실린더
    를 더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부는
    상기 제22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아, 및
    상기 가이드 바아를 이동하여 고정된 몸을 기준으로 하체를 잡아당기도록 상기 제22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신장 실린더
    를 더 포함하는 정형용 교정장치.
KR1020190070980A 2019-06-14 2019-06-14 정형용 교정장치 KR10220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80A KR102204957B1 (ko) 2019-06-14 2019-06-14 정형용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80A KR102204957B1 (ko) 2019-06-14 2019-06-14 정형용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02A KR20200143102A (ko) 2020-12-23
KR102204957B1 true KR102204957B1 (ko) 2021-01-19

Family

ID=7408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80A KR102204957B1 (ko) 2019-06-14 2019-06-14 정형용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9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9823A1 (en) 2011-09-22 2013-03-28 Yi-Chin KAO Chiropractic machine
KR101614752B1 (ko) * 2014-12-03 2016-04-22 김재익 정형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2141A (en) * 1986-09-25 1988-03-22 Steffensmeier Lloyd A Chiropractic table with swingable section
KR100464142B1 (ko) * 2001-08-17 2005-01-03 최병길 척추 교정기
KR20040067045A (ko) * 2003-01-21 2004-07-30 기 석 우 전신 물리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9823A1 (en) 2011-09-22 2013-03-28 Yi-Chin KAO Chiropractic machine
KR101614752B1 (ko) * 2014-12-03 2016-04-22 김재익 정형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02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9338B (zh) 床架和具有该床架的床,其中床架具有按摩装置
EP0559446B1 (en) An exercise machine
KR101899020B1 (ko) 굴곡형상 검지가 가능한 3d평행이동 안마모듈
KR102017535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102058092B1 (ko) 교정 운동기구
CN101938966A (zh) 运动辅助装置
CN110279554B (zh) 一种脊柱康复训练器
KR20110011151A (ko) 견인 치료장치
KR101774858B1 (ko) 척추 스트레칭 보조기구
KR102204957B1 (ko) 정형용 교정장치
US20090062856A1 (en) Integrated Lumbar Combined Variable Angular Distraction Structure
CN113018096B (zh) 一种刚柔耦合腰椎康复治疗器
KR200313149Y1 (ko) 지압 장치
KR20080082487A (ko) 압력조절기구를 갖는 마사지장치
KR20120002930U (ko) 앉은 자세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의자
KR102287611B1 (ko) 척추 검지 기능을 갖는 안마모듈
CN112354148B (zh) 一种用于骨盆前倾康复辅助装置
KR102309362B1 (ko) 교정기구
KR101213299B1 (ko) 척추 교정 장치
CN108464881B (zh) 脊柱多功能康复机器人
JP4057006B2 (ja) 床擦れ防止装置
KR200263428Y1 (ko) 온열치료기 겸용 척추 교정기
KR102638530B1 (ko)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JP4886216B2 (ja) 運動補助装置
KR20160106258A (ko) 텐션스트립이 구비된 척추 교정 휠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