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530B1 -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 Google Patents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530B1
KR102638530B1 KR1020210174306A KR20210174306A KR102638530B1 KR 102638530 B1 KR102638530 B1 KR 102638530B1 KR 1020210174306 A KR1020210174306 A KR 1020210174306A KR 20210174306 A KR20210174306 A KR 20210174306A KR 102638530 B1 KR102638530 B1 KR 10263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holder
rod
plat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036A (ko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원 filed Critical 정재원
Priority to KR102021017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5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는, 시술환자의 몸통과 다리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의 몸통거치 본체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일측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안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안면거치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양측에 길이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팔거치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타측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발목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발목거치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평면상 좌우대칭 및 상하대칭 형태로 다수 구획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획별로 독립적으로 높이 변경과 경사 변경 가능한 구조의 교정작동부; 및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케이블에 의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운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안면거치부, 팔거치부, 발목거치부 및 교정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드 구조의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눕혀진 시술환자의 신체의 특정 부분을 들어올리고 기울여 천골후두골기법을 시술환자에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고, 길이 변경 구조를 이용하여 체형이 서로 다른 여러 시술 환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될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Pelvic And Spine Misalignment Correction Bed Having Sacral-Occipital Technique Customized Applic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골후두골기법(SOT, Sacro-Occipital Technique)을 시술환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할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반교정 또는 척추교정을 위한 테이블은 신체의 골격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드롭 테이블(drop table) 또는 카이로 프랙틱 (chiropractic table) 테이블이라고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골반교정 테이블과 척추교정 테이블은 비수술 물리치료법의 한 기법인 도수 치료를 교정 대상자가 누워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척추교정 테이블에 누워 있는 교정 대상자의 관절을 시술자가 손으로 직접 자극하여 신경기능을 회복시키고 통증치료 및 자세 교정 등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장치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골반교정 테이블과 척추교정 테이블은, 머리 허리 골반부 등 여러 부위별로 상하운동을 하는 독립된 교정 블록으로 교정 베드를 구성하여 교정 블록을 하부 지지체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상승하게 한 후 시술자의 가압에 의해 상승 높이만큼 낙하시켜 교정을 수행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골반교정 테이블과 척추교정 테이블은, 교정 대상자를 교정 베드에 눕힌 후 교정 부위의 교정 블록을 상승시킨 후 시술자가 교정 대상자의 시술 부위를 눌러 교정 블록을 낙하시키는 드롭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롭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시술부위의 상대적 상승, 드롭 운동에 의해 뼈 요소의 결집, 근육과 인대의 이완 촉진 등의 효과를 통해 탄력과 뼈 요소 상호 간의 접촉부위의 미끄럼에 의해 정상적인 결합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정 테이블의 예시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415104호의 "도수 치료용 테이블"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도수 치료용 테이블은 베이스 프레임과 등시트부, 다리시트부, 머리시트부, 팔시트부, 발시트부로 구성되는 교정 베드로 구성되어 교정 대상자가 교정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등시트부, 다리시트부, 머리시트부, 팔시트부, 발시트부를 적정하게 위치시켜 시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수 치료용 테이블은 교정 대상자가 머리보다 발의 높이가 높게 위치되도록 교정 베드를 기울이는 구조가 없어 치료에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다른 교정 테이블은, 교정 대상자에 대한 교정치료 중 교정 대상자의 발부분이 머리보다 높게 교정 베드가 기울어지게 되면 교정 대상자의 각 관절에 작용하는 하중이 지면을 향하게 되어 각 관절이 이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선행기술에 따른 도수 치료용 테이블은 교정 대상자의 머리부분이 지면을 향하고 발부분이 천장을 향하도록 기울이는 작동을 기대할 수 없어 테이블이 기울어지는 작동에 따른 교정 대상자의 각 관절이 이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 다른 교정 테이블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교정 대상자의 머리부분이 지면을 향하고 발부분이 천장을 향하도록 기울이기 위한 구조를 적용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다른 교정 테이블의 경우, 천골후두골기법(SOT, Sacro-Occipital Technique)을 적용할 수 없는 구조로서, 더욱 효과적인 골반 교정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50106호 (등록일자: 2016년08월16일)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골후두골기법을 시술환자에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고, 체형이 서로 다른 여러 시술 환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될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는, 시술환자의 몸통과 다리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의 몸통거치 본체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일측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안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안면거치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양측에 길이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팔거치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타측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발목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발목거치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평면상 좌우대칭 및 상하대칭 형태로 다수 구획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획별로 독립적으로 높이 변경과 경사 변경 가능한 구조의 교정작동부; 및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케이블에 의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운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안면거치부, 팔거치부, 발목거치부 및 교정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정작동부는, 시술환자의 골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태 및 상하대칭형태로 네 부분으로 구획되며, 상부좌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좌측 장골(ilium)부분 및 좌측 몸통을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의 제1교정판; 상부우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우측 장골(ilium)부분 및 우측 몸통을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의 제2교정판; 하부좌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좌측 치골(pubic bone)부분 및 좌측 다리 일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의 제3교정판; 하부우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우측 치골(pubic bone)부분 및 좌측 다리 일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의 제4교정판; 및 상기 각각의 교정판의 하부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장착되고, 교정판의 일측 높이와 타측 높이를 독립적으로 변경하는 높이변경로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변경로드는, 상기 각각의 교정판의 하부면 일측에 제1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 또는 구동력에 의해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의 제1로드; 및 상기 각각의 교정판의 하부면 타측에 제2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 또는 구동력에 의해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의 제2로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는, 상기 안면거치부와 발목거치부 방향을 잇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한 가상의 직선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로드에 결속되는 제1힌지구조는, 교정판의 하부면 일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1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로드는 제1힌지축의 연장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상기 제2로드에 결속되는 제2힌지구조는, 교정판의 하부면 타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2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로드는 제2힌지축의 연장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로드 및 제2로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정작동부는,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제1교정판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교정판에 장착된 제1로드와 제2로드를 제1교정판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1회전구동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제2교정판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교정판에 장착된 제1로드와 제2로드를 제2교정판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제3교정판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3교정판에 장착된 제1로드와 제2로드를 제3교정판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3회전구동부; 및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제4교정판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4교정판에 장착된 제1로드와 제2로드를 제4교정판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4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몸통거치 본체부, 양면거치부, 팔거치부, 발목거치부, 교정작동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베드 구조의 몸통거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눕혀진 시술환자의 신체의 특정 부분을 들어올리고 기울여 천골후두골기법을 시술환자에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고, 길이 변경 구조를 이용하여 체형이 서로 다른 여러 시술 환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될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교정판, 제2교정판, 제3교정판, 제4교정판 및 높이변경로드를 포함하는 교정작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시술환자의 골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태 및 상하대칭형태로 네 부분으로 구획하여 천골후두골기법을 실시할 수 있고, 높이변경로드를 이용하여 정확한 각도와 높이로 시술환자의 신체 일부를 교정할 수 있어, 체형 교정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시술환자의 교정 치료 만족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회전구동부, 제2회전구동부, 제3회전구동부 및 제4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교정작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시술환자의 골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태 및 상하대칭형태로 네 부분으로 구획하여 시술환자의 골반을 비틀어 교정하는 교정을 수행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천골후두골기법을 적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체형 교정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어, 시술환자의 교정 치료 만족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골반 교정 베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의 몸통거치 본체부와 교정작동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정작동부의 교정판 일부의 경사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교정작동부의 교정판 일부의 경사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의 교정작동부가 작동하여 교정판의 경사각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의 교정작동부가 작동하여 교정판의 높이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교정판의 경사각을 서로 달리하여 다양한 교정판 조합구조를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부가 각 교정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교정판과 회전구동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교정판 조합구조를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골반 및 척추의 부정렬 상태를 의사가 정확히 진단하고, 다양한 각도로 설정이 가능한 교정 구조물(천골 후두골 교정 블럭)을 엎드린 상태에서 중력을 이용하여 자세를 일정시간동안 유지시켜 교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시술자의 순간적이고 강제적인 힘으로 낙하시켜 환부에 충격을 줄 수도 있고 가압의 정도를 잘못 설정하게 되면 오히려 통증을 유발 시키거나 최악의 경우 골절을 발생시키는 부작용을 초래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부정렬 상태의 환부 가동범위를 순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위험 부담이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교정될 수 있는 맞춤 각도를 설정하고 환자 본인의 체중을 이용하여 중력의 힘으로 서서히 교정을 하는 구성으로서, 순간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아닌 체형 및 체중이 서로 다른 여러 시술 환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될 수 있는 척추 및 골반 부정렬 교정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상태가 점점 호전되어 가면 설정 각도를 서서히 감소시켜 정상적인 체형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어, 정확한 수치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시술자의 경험으로만 치료를 하게 되어 매번 변화하는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여 가압하는 정도를 변화시키기 힘들었으며 치료사가 바뀌면 치료 방법도 달라 질 수 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치료법을 전달하기가 힘들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체중을 이용하기 때문에 가압의 정도가 일정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자세만 유지시키면 되기 때문에 치료 시 환자가 느끼는 고통 및 부담감이 전혀 없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몸통거치 본체부(110), 양면거치부, 팔거치부(130), 발목거치부(140), 교정작동부(150) 및 제어부(160)를 구비함으로써, 베드 구조의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눕혀진 시술환자의 신체의 특정 부분을 들어올리고 기울여 천골후두골기법을 시술환자에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고, 길이 변경 구조를 이용하여 체형이 서로 다른 여러 시술 환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될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의 몸통거치 본체부와 교정작동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교정작동부의 교정판 일부의 경사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교정작동부의 교정판 일부의 경사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100)의 몸통거치 본체부(110)는, 시술환자의 몸통과 다리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면거치부(120)는,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일측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시술환자의 안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발목거치부(140)는,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타측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시술환자의 발목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작동부(150)는,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평면상 좌우대칭 및 상하대칭 형태로 다수 구획되며,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획별로 독립적으로 높이 변경과 경사 변경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케이블에 의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운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안면거치부(120), 팔거치부(130), 발목거치부(140) 및 교정작동부(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작동부(150)는, 시술환자의 골반(도 3 참조)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태 및 상하대칭형태로 네 부분으로 구획되는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환자의 양쪽 어깨와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좌측어깨교정판(150a)과 우측어깨교정판(150b)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작동부(150)는 특정 구조의 제1교정판(151), 제2교정판(152), 제3교정판(153), 제4교정판(154), 좌측어깨교정판(150a), 우측어깨교정판(150b) 및 높이변경로드(15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교정작동부(150)의 제1교정판(15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환자의 골반을 기준으로 상부좌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좌측 장골(ilium)부분 및 좌측 몸통을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이다. 제2교정판(152)은, 시술환자의 골반을 기준으로 상부우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우측 장골(ilium)부분 및 우측 몸통을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이다. 제3교정판(153)은, 시술환자의 골반을 기준으로 하부좌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좌측 치골(pubic bone)부분 및 좌측 다리 일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이다. 또한, 제4교정판(154)은, 시술환자의 골반을 기준으로 하부우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우측 치골(pubic bone)부분 및 좌측 다리 일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이다. 마직막으로, 좌측어깨교정판(150a)은 제1교정판(151)과 동일한 구조이며, 우측어깨교정판(150b)는 제2교정판(152)과 동일한 구조이다. 좌측어깨교정판(150a)은 시술환자의 좌측어깨를 들어올리거나 경사지게 들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하고, 우측어깨교정판(150b)은 시술환자의 우측어깨를 들어올리거나 경사지게 들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작동부(150)의 높이변경로드(155)는, 각각의 교정판(151, 152, 153, 154, 150a, 150b)의 하부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교정판의 일측 높이와 타측 높이를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변경로드(155)는, 특정 구조의 제1로드(155a), 제2로드(155b), 제1힌지구조(155c) 및 제2힌지구조(155e)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1로드(155a)는, 각각의 교정판의 하부면 일측에 제1힌지구조(155c)에 의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 또는 구동력에 의해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이다. 제2로드(155b)는, 각각의 교정판의 하부면 타측에 제2힌지구조(155e)에 의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 또는 구동력에 의해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이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는, 안면거치부(120)와 발목거치부(140) 방향을 잇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한 가상의 직선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드(155a)에 결속되는 제1힌지구조(155c)는, 교정판의 하부면 일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1힌지축(155d)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제2로드(155b)에 결속되는 제2힌지구조(155e)는, 교정판의 하부면 타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2힌지축(155f)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 제1로드(155a)는 제1힌지축(155d)의 연장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될 수 있고, 제2로드(155b)는 제2힌지축(155f)의 연장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제1로드(155a) 및 제2로드(155b)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의 교정작동부가 작동하여 교정판의 경사각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의 교정작동부가 작동하여 교정판의 높이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교정판의 경사각을 서로 달리하여 다양한 교정판 조합구조를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교정판(151), 제2교정판(152), 제3교정판(153), 제4교정판(154) 및 높이변경로드(155)를 포함하는 교정작동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시술환자의 골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태 및 상하대칭형태로 네 부분으로 구획하여 천골후두골기법을 실시할 수 있고, 높이변경로드(155)를 이용하여 정확한 각도와 높이로 시술환자의 신체 일부를 교정할 수 있어, 체형 교정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시술환자의 교정 치료 만족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부가 각 교정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교정판과 회전구동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교정판 조합구조를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작동부(150)는, 특정 구조의 회전시키는 제1회전구동부(156a), 제2회전구동부(156b), 제3회전구동부(156c) 및 제4회전구동부(156d)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회전구동부(156a)는,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정판(151)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구동부(156a)는, 제1교정판(151)에 장착된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를 제1교정판(151)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구동부(156b)는,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교정판(152)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구동부(156b)는, 제2교정판(152)에 장착된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를 제2교정판(152)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회전구동부(156c)는,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교정판(153)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3회전구동부(156c)는, 제3교정판(153)에 장착된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를 제3교정판(153)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4회전구동부(156d)는,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제4교정판(154)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4회전구동부(156d)는, 제4교정판(154)에 장착된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를 제4교정판(154)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회전구동부(156a), 제2회전구동부(156b), 제3회전구동부(156c) 및 제4회전구동부(156d)를 포함하는 교정작동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시술환자의 골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태 및 상하대칭형태로 네 부분으로 구획하여 시술환자의 골반을 비틀어 교정하는 교정을 수행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천골후두골기법을 적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체형 교정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어, 시술환자의 교정 치료 만족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110: 몸통거치 본체부
120: 안면거치부
130: 팔거치부
140: 발목거치부
150: 교정작동부
150a: 좌측어께교정판
150b: 우측어깨교정판
151: 제1교정판
152: 제2교정판
153: 제3교정판
154: 제4교정판
155: 높이변경로드
155a: 제1로드
155b: 제2로드
155c: 제1힌지구조
155d: 제1힌지축
155e: 제2힌지구조
155f: 제2힌지축
156a: 제1회전구동부
156b: 제2회전구동부
156c: 제3회전구동부
156d: 제4회전구동부
160: 제어부

Claims (5)

  1. 시술환자의 몸통과 다리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의 몸통거치 본체부(110);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일측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안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안면거치부(120);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양측에 길이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팔거치부(130);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타측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시술환자의 발목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발목거치부(140);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평면상 좌우대칭 및 상하대칭 형태로 다수 구획되며,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획별로 독립적으로 높이 변경과 경사 변경 가능한 구조의 교정작동부(150); 및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케이블에 의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운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안면거치부(120), 팔거치부(130), 발목거치부(140) 및 교정작동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작동부(150)는,
    시술환자의 골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태 및 상하대칭형태로 네 부분으로 구획되며,
    상부좌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좌측 장골(ilium)부분 및 좌측 몸통을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의 제1교정판(151);
    상부우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우측 장골(ilium)부분 및 우측 몸통을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의 제2교정판(152);
    하부좌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좌측 치골(pubic bone)부분 및 좌측 다리 일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의 제3교정판(153);
    하부우측에 배치되고, 시술환자의 우측 치골(pubic bone)부분 및 좌측 다리 일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구조의 제4교정판(154); 및
    상기 각각의 교정판의 하부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장착되고, 교정판의 일측 높이와 타측 높이를 독립적으로 변경하는 높이변경로드(15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변경로드(155)는,
    상기 각각의 교정판의 하부면 일측에 제1힌지구조(155c)에 의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 또는 구동력에 의해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의 제1로드(155a); 및
    상기 각각의 교정판의 하부면 타측에 제2힌지구조(155e)에 의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 또는 구동력에 의해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의 제2로드(155b);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는,
    상기 안면거치부(120)와 발목거치부(140) 방향을 잇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한 가상의 직선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155a)에 결속되는 제1힌지구조(155c)는, 교정판의 하부면 일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1힌지축(155d)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로드(155a)는 제1힌지축(155d)의 연장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상기 제2로드(155b)에 결속되는 제2힌지구조(155e)는, 교정판의 하부면 타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2힌지축(155f)을 포함하고,
    상기 제2로드(155b)는 제2힌지축(155f)의 연장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작동부(150)는,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제1교정판(151)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교정판(151)에 장착된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를 제1교정판(151)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1회전구동부(156a);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제2교정판(152)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교정판(152)에 장착된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를 제2교정판(152)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156b);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제3교정판(153)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3교정판(153)에 장착된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를 제3교정판(153)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3회전구동부(156c); 및
    상기 몸통거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제4교정판(154)의 면적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4교정판(154)에 장착된 제1로드(155a)와 제2로드(155b)를 제4교정판(154)과 함께 평면상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4회전구동부(156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KR1020210174306A 2021-12-08 2021-12-08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KR10263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306A KR102638530B1 (ko) 2021-12-08 2021-12-08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306A KR102638530B1 (ko) 2021-12-08 2021-12-08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036A KR20230086036A (ko) 2023-06-15
KR102638530B1 true KR102638530B1 (ko) 2024-02-19

Family

ID=8676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306A KR102638530B1 (ko) 2021-12-08 2021-12-08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5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286Y1 (ko) 2017-02-16 2019-05-29 아주포커스 주식회사 경추 및 척추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827U (ko) * 1998-11-27 2000-06-26 정영석 척추교정용 이동식 테이블
KR101102892B1 (ko) * 2009-12-10 2012-01-10 한완석 척추 및 골격 고정기
KR101650106B1 (ko) 2015-10-02 2016-08-23 박호준 척추교정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286Y1 (ko) 2017-02-16 2019-05-29 아주포커스 주식회사 경추 및 척추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036A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99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апии двига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и
US11246788B2 (en) Spine regularity rotation motion device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LU101692B1 (en) Orthopedic posture supporting and adjusting device and method
KR101354760B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JP2013528430A (ja) 座席装置
CN105434091B (zh) 一种脊柱减压设备
US20080167684A1 (en) Treatment table with calf/foot assembly and method of use
WO2007027573A2 (en) Lumbar lordosis brace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102638530B1 (ko) 천골후두골기법 맞춤 적용 구조를 포함하는 골반 및 척추 교정 베드
KR20130080848A (ko) 앉음용 가구 유닛
US20210338513A1 (en) Spine regularity rotation motion device
KR20190048682A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ES2781792B2 (es) Camilla articulada
KR101397392B1 (ko) 척추 교정장치
CN209316459U (zh) 一种中医康复用腰椎康复仪
KR101249581B1 (ko)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KR101397393B1 (ko) 체인형 리프팅 수단을 이용한 척추 교정장치
CN212261636U (zh) 一种摇摆牵引床
JP6344813B2 (ja) 揺動運動機
KR101631938B1 (ko) 회전 토크 및 수직하중 감압력 측정이 가능한 재활운동치료용 의자
CN218305239U (zh) 腰椎背式正骨牵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