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362B1 -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교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362B1
KR102309362B1 KR1020200016079A KR20200016079A KR102309362B1 KR 102309362 B1 KR102309362 B1 KR 102309362B1 KR 1020200016079 A KR1020200016079 A KR 1020200016079A KR 20200016079 A KR20200016079 A KR 20200016079A KR 102309362 B1 KR102309362 B1 KR 10230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operating table
rotation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750A (ko
Inventor
이윤형
Original Assignee
이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형 filed Critical 이윤형
Priority to KR102020001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3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09Physiotherapeutic tables, beds or platforms; Chiropractic or osteopathic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척추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는, 교정기구는 피시술자가 눕는 시술대(A)를 지지부재(C)를 이용하여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시술대(A)의 각 부분의 전후방향 기울기나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자세를 더욱 효과적으로 바꿈으로써, 피시술자의 척추측만을 더욱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교정기구{realign device}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척추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측만증은 후면으로 봤을 때, 척추가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측방향으로 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척추측만증을 치료할 때는 피시술자가 교정테이블에 올라가 누운 상태에서,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신체를 측방향으로 비틀거나 압력을 가하여 교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신체를 비틀거나 압력을 가할 경우, 힘이 매우 많이 들게 될 뿐 아니라, 피시술자가 고통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등록특허 10-0968840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성된 교정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교정기구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구비되며 피시술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대판과, 상기 상체지지판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구비된 하체지지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체지지판과 하체지지판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패널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체지지판은 전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단부를 상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피시술자가 상기 상체지지판과 하체지지판의 상면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하체지지판의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피시술자의 허리와 다리부분을 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정기구는 피시술자의 허리와 다리부분만을 교정할 수 있음으로, 척추에 이상이 발생된 척주측만증 환자에게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피시술자의 다리부분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만 가능함으로, 피시술자의 다양한 증상에 맞게, 피시술자의 신체를 다양한 형태로 움직여 교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으로 척추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교정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피시술자가 올라가 누울 수 있도록 된 시술대(A)와, 상기 시술대(A)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B)과, 상기 지지프레임(B)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시술대(A)에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부재(C)와, 상기 시술대(A)의 하측에 구비되어 시술대(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지지대(D)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D)는 상기 시술대(A)의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승시 시술대(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승강대(60)와, 상기 승강대(60)에 연결되어 승강대(6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80)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대(60)가 시술대(A)의 하측에 밀착되어 승강대(60)에 의해 시술대(A)가 지지된 상태에서 피시술자가 시술대(A)에 누운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80)을 제어하여 승강대(60)를 하강시키면, 시술대(A)가 상기 지지부재(C)에 의해 공중에 떠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대(60)는 승강판(61)과, 상기 승강판(61)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시술대(A)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회동판(62)과, 상기 회동판(62)에 연결되어 회동판(62)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판(62)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회동구동수단(6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D)는 상기 승강대(6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판(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수단(80)은 상기 지지판(70)과 지지대(D)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승강대(6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시술대(A)는 피시술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대(10)와, 상기 상체지지대(10)의 전방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대(20)와, 상기 상체지지대(10)의 후방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대(30)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지지대(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11)과, 상호 전후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축(11)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판(1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C)는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단이 각각의 회동판(12)의 양측에 연결되어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조절하여 각각의 회동판(12)이 서로 다른 각도로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체지지대(10)에는 전방에 구비된 회동판(12)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판(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회동부재(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머리지지대(20)는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전방회동축(21a)에 의해 상기 전방 회동부재(13)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2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C)는 하단이 상기 지지판(21)의 양측에 연결되어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머리지지대(20)의 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머리지지대(20)를 상기 전방회동축(21a)을 중심으로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머리지지대(20)는 지지판(2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간격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된 좌우측 지지블록(23,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체지지대(10)에는 후방에 구비된 회동판(12)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판(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방 회동부재(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지지대(30)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후방회동축(32)에 의해 상기 후방 회동부재(14)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C)는 하단이 상기 다리지지대(30)의 양측에 연결되어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다리지지대(30)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다리지지대(30)를 상기 후방회동축(32)을 중심으로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리지지대(30)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드바(34a)에 의해 상기 다리지지대(3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보조지지판(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판(62)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2b)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61)에서 상기 관통공(62b)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지지축(1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1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90)은 하단이 상기 승강판(61)에 고정된 고정부(91)와, 상기 고정부(91)의 상단에 승강은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힌지축(11a)에 결합된 승강부(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는, 교정기구는 피시술자가 눕는 시술대(A)를 지지부재(C)를 이용하여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시술대(A)의 각 부분의 전후방향 기울기나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자세를 더욱 효과적으로 바꿈으로써, 피시술자의 척추측만을 더욱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 상체지지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 머리지지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의 다리지지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운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피시술자가 올라가 누울 수 있도록 된 시술대(A)와, 상기 시술대(A)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B)과, 상기 지지프레임(B)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시술대(A)에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부재(C)와, 상기 시술대(A)의 하측에 구비되어 시술대(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지지대(D)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시술대(A)는 피시술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대(10)와, 상기 상체지지대(10)의 전방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대(20)와, 상기 상체지지대(10)의 후방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대(30)로 구성된다.
상기 상체지지대(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11)과, 상호 전후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축(11)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판(12)과, 전후방에 구비된 회동판(12)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경첩(13a,14a)에 의해 상기 회동판(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전후방 회동부재(13,14)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판(12)은 하단 중앙부가 상기 지지축(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4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회동판(12)이 피시술자의 어깨와 등, 허리 및 골반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판(12)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지지부재(C)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12a)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머리지지대(20)는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전방회동축(21a)에 의해 상기 전방 회동부재(13)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21)과, 지지판(2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22)과,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간격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된 좌우측 지지블록(23,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1)은 후단부에 경첩(21c)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전방지지바(21b)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회동축(21a)은 상기 전방지지바(21b)의 후측면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회동부재(13)의 전면 중앙부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지지부재(C)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21d)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지지블록(23,24)은 내부에 쿠션부재가 충진된 것으로, 인전면에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피시술자가 머리를 상기 좌우측 지지블록(23,24)의 사이에 올려놓으면, 머리 양측에 좌우측 지지블록(23,24)의 경사면이 밀착되어 피시술자의 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다리지지대(30)는 전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은 평면을 이루는 패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연장된 후방회동축(32)에 의해 상기 후방 회동부재(14)의 양측 후방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다리지지대(30)의 전단부에는 경첩(35a)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지지바(35)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회동축(32)은 상기 후방지지바(35)의 전면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회동부재(14)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지지대(30)의 후단부에는 보조지지판(34)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지지판(34)은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드바(34a)에 의해 상기 다리지지대(3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다리길이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판(34)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피시술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리지지대(30)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지지부재(C)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3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B)은 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되고 중간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파이프(41a)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상부프레임(41)과, 상기 상부프레임(41)의 각 모퉁이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바(4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C)는 하단은 상기 고정링(12a,21d,33)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파이프(41a)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지지와이어(51)와, 상기 지지와이어(51)의 중간부에 구비된 고정수단(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와이어(51)는 하단이 상기 고정링(12a,21d,33)에 고정되며 상단은 상기 지지파이프(41a)의 상측을 경유하는 지지부(51a)와, 상기 지지부(5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51b)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52)은 상기 지지부(51a)와 연장부(51b)에 결합되며 일측에 시술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레버(52a)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51a)와 연장부(51b)를 고정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조작레버(52a)를 누르면 지지부(51a)와 연장부(51b)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상기 조작레버(52a)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51b)의 하단을 하측으로 당기거나 상측으로 밀어서 연장부(51b)의 지지부(51a)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정링(12a,21d,33)이 상측으로 당겨지거나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52a)를 놓으면, 상기 고정수단(52)에 의해 상기 지지부(51a)와 연장부(51b)가 고정되어 고정링(12a,21d,33)이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판(12)의 상면 양측에 연결된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회동판(12)의 양단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체지지대(10)의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1)과 다리지지대(30)의 상면 양측에 연결된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각각 별도로 조절함으로써,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1)과 다리지지대(30)의 양단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1)의 전단부와 다리지지대(30)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대(D)는 상기 시술대(A)의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승시 시술대(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승강대(60)와, 상기 승강대(6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판(70)과, 상기 지지판(70)과 승강대(60)의 사이에 구비되며 승강대(60)에 연결되어 승강대(6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60)는 승강판(61)과, 상기 승강판(61)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시술대(A)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회동판(62)과, 상기 회동판(62)에 연결되어 회동판(62)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판(62)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회동구동수단(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61)은 링크기구(61a)에 의해 상기 지지판(70)의 상측에, 지지판(70)과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판(62)은 하측에 구비된 연장부(62a)가 상기 승강판(61)의 상면에 지지브라켓(61b)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6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이 상기 승강판(61)과 회동판(62)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판(62)의 전후단이 상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8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하단이 상기 지지판(70)과 승강판(61)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승강판(61)이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정기구이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60)가 상승되어 상기 시술대(A)의 하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피시술자가 상기 시술대(A)에 누운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80)을 제어하여 승강대(60)를 하강시키면, 상기 지지부재(C)에 의해 시술대(A)가 지지되어 공중에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시술자가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조절하여, 도 5 내지 도 7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체지지대(10)의 회동판(12)의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하고, 머리지지대(20)의 전후방향 기울기와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하고, 다리지지대(30)의 전후방향 기울기와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서, 피시술자의 자세와, 상체 각 부분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피시술자의 신체를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시술자의 교정이 완료된 후, 상기 승강대(60)를 상승시키면, 시술대(A)의 하측면이 승강대(60)에 의해 지지되어, 시술이 완료된 피시술자가 시술대(A)에서 내려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정기구는 피시술자가 눕는 시술대(A)를 지지부재(C)를 이용하여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시술대(A)의 각 부분의 전후방향 기울기나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자세를 더욱 효과적으로 바꿈으로써, 피시술자의 척추측만을 더욱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C)는 하단은 상기 고정링(12a,21d,33)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파이프(41a)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지지와이어(51)와, 상기 지지와이어(51)의 중간부에 구비된 고정수단(52)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재(C)는 상기 지지프레임(B)의 상부프레임(41)에 고정되고 하측으로 풀려나온 와이어가 상기 고정링(12a)에 고정된 전동식 또는 수동식 윈치를 비롯하여,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B)과 시술대(A)의 각 부분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판(12)과 지지판(21) 및 다리지지대(30)를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와이어(51)는 하단이 상기 회동판(12)과 지지판(21) 및 다리지지대(30)에 구비된 고정링(12a)에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와이어(51)는 상기 회동판(12)과 지지판(21) 및 다리지지대(3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동판(62)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2b)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2b)은 상기 회동판(62)의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61)에는 상기 관통공(62b)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지지축(1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1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9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90)은 하단이 상기 승강판(61)에 고정된 고정부(91)와, 상기 고정부(91)의 상단에 승강은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힌지축(11a)에 결합된 승강부(9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92)의 하단은 사각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91)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부(92)의 하단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형의 결합공(9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정기구는, 상기 승강대(60)가 하강되어 상기 시루대(A)가 상기 지지부재(C)에 의해 공중에 떠있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90)이 상기 지지축(11)을 포함한 시술대(A) 전체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시술대(A)에 누운 피시술자가 더욱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동판(62)은 하측에 구비된 연장부(62a)가 상기 승강판(61)의 상면에 지지브라켓(61b)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61)의 중간부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61c)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판(62)을 상기 연장부(61c)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머리지지대(20)의 좌우측 지지블록(23,24)은 조절나사(25)를 이용하여 측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에는 측방향에는 연장되며 중간부는 상기 좌우측 지지블록(23,24)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된 조절나사(25)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나사(25)는 상기 지지판(21)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브라켓(2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단에는 시술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25a)가 구비되어, 시술자가 상기 손잡이부(25a)를 손으로 잡고 조절나사(25)를 회전시키면, 상기 좌우측 지지블록(23,24)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좌우측 지지블록(23,24)의 측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A. 시술대 B. 지지프레임
C. 지지부재 D. 지지대

Claims (9)

  1. 상면에 피시술자가 올라가 누울 수 있도록 된 시술대(A)와,
    상기 시술대(A)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B)과,
    상기 지지프레임(B)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시술대(A)에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부재(C)와,
    상기 시술대(A)의 하측에 구비되어 시술대(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지지대(D)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D)는
    상기 시술대(A)의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승시 시술대(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승강대(60)와,
    상기 승강대(60)에 연결되어 승강대(6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80)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대(60)가 시술대(A)의 하측에 밀착되어 승강대(60)에 의해 시술대(A)가 지지된 상태에서 피시술자가 시술대(A)에 누운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80)을 제어하여 승강대(60)를 하강시키면, 시술대(A)가 상기 지지부재(C)에 의해 공중에 떠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60)는
    승강판(61)과,
    상기 승강판(61)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시술대(A)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회동판(62)과,
    상기 회동판(62)에 연결되어 회동판(62)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판(62)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회동구동수단(6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D)는 상기 승강대(6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판(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수단(80)은 상기 지지판(70)과 지지대(D)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승강대(6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시술대(A)는
    피시술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대(10)와,
    상기 상체지지대(10)의 전방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대(20)와,
    상기 상체지지대(10)의 후방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대(30)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지지대(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11)과,
    상호 전후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축(11)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판(1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C)는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단이 각각의 회동판(12)의 양측에 연결되어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조절하여 각각의 회동판(12)이 서로 다른 각도로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대(10)에는 전방에 구비된 회동판(12)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판(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회동부재(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머리지지대(20)는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전방회동축(21a)에 의해 상기 전방 회동부재(13)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2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C)는 하단이 상기 지지판(21)의 양측에 연결되어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머리지지대(20)의 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머리지지대(20)를 상기 전방회동축(21a)을 중심으로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대(10)에는 후방에 구비된 회동판(12)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판(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방 회동부재(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지지대(30)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후방회동축(32)에 의해 상기 후방 회동부재(14)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C)는 하단이 상기 다리지지대(30)의 양측에 연결되어 각각의 지지부재(C)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다리지지대(30)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다리지지대(30)를 상기 후방회동축(32)을 중심으로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대(20)는 지지판(2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간격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된 좌우측 지지블록(23,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대(30)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드바(34a)에 의해 상기 다리지지대(3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보조지지판(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62)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2b)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61)에서 상기 관통공(62b)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지지축(1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1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90)은
    하단이 상기 승강판(61)에 고정된 고정부(91)와,
    상기 고정부(91)의 상단에 승강은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힌지축(11a)에 결합된 승강부(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1)에는 측방향에는 연장되며 중간부는 상기 좌우측 지지블록(23,24)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된 조절나사(25)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구.
KR1020200016079A 2020-02-11 2020-02-11 교정기구 KR102309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79A KR102309362B1 (ko) 2020-02-11 2020-02-11 교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79A KR102309362B1 (ko) 2020-02-11 2020-02-11 교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50A KR20210101750A (ko) 2021-08-19
KR102309362B1 true KR102309362B1 (ko) 2021-10-07

Family

ID=7749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079A KR102309362B1 (ko) 2020-02-11 2020-02-11 교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3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029A (ja) 1999-11-05 2001-05-15 Takazono Sangyo Kk ベッドにおける体位変換装置
KR101615183B1 (ko) 2014-12-31 2016-04-25 주식회사 한메드 신체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KR101650106B1 (ko) 2015-10-02 2016-08-23 박호준 척추교정 테이블
KR101706586B1 (ko) 2014-12-04 2017-02-27 허강수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KR102058092B1 (ko) 2019-09-17 2019-12-20 이윤형 교정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181A (ja) * 1994-11-30 1996-06-11 Kowa Eng:Kk 看護用ベッド
KR100622433B1 (ko) * 2005-02-03 2006-09-13 이상용 운동용 베드의 승강조절장치
KR101110067B1 (ko) * 2009-08-14 2012-02-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시술용 인상기
KR200462021Y1 (ko) * 2010-07-19 2012-08-24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 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029A (ja) 1999-11-05 2001-05-15 Takazono Sangyo Kk ベッドにおける体位変換装置
KR101706586B1 (ko) 2014-12-04 2017-02-27 허강수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KR101615183B1 (ko) 2014-12-31 2016-04-25 주식회사 한메드 신체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KR101650106B1 (ko) 2015-10-02 2016-08-23 박호준 척추교정 테이블
KR102058092B1 (ko) 2019-09-17 2019-12-20 이윤형 교정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50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9362B2 (en) Surgical frame having translating lower beam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11052008B2 (en) Surgical frame and method for use thereof facilitating patient transfer
JP4298747B2 (ja) 頚椎牽引装置
RU2387435C2 (ru)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с установкой сиденья по вертикали
JP2020530326A (ja) 患者へのアクセスを容易にするための主梁を備える手術用フレーム
CN110573126A (zh) 脊椎矫正和牵引装置
CN104013486B (zh) 多段可调牵引床
KR101354760B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CN106510924A (zh) 一种可个性化调节曲度的分段式脊柱牵伸床
US9375599B1 (en) Assisted apparatus for lower back exercise
KR20110011151A (ko) 견인 치료장치
CN108742976B (zh) 腰椎颈椎牵引系统
KR102309362B1 (ko) 교정기구
CN206342582U (zh) 一种可个性化调节曲度的分段式脊柱牵伸床
CN208974362U (zh) 一种医疗康复护理用折叠式座椅
CN112206477A (zh) 一种下肢康复理疗设备
CN205054670U (zh) 一种多功能骨科床
CN106512132A (zh) 一种可任意调节的输液椅
CN109124846A (zh) 可个性化调节曲度的分段式脊柱牵伸床控制结构
CN205459112U (zh) 一种电动背部治疗支撑架
CN211067261U (zh) 一种四维整脊牵引床
CN209122565U (zh) 一种斜位牵引装置
CN105997324A (zh) 一种医疗牵引椅
KR101110067B1 (ko) 척추 시술용 인상기
KR100779511B1 (ko) 후두부 긴장 이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