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928B1 - 리튬-이온 배터리를 위한 활성 리튬 저장소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배터리를 위한 활성 리튬 저장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928B1
KR102204928B1 KR1020157035547A KR20157035547A KR102204928B1 KR 102204928 B1 KR102204928 B1 KR 102204928B1 KR 1020157035547 A KR1020157035547 A KR 1020157035547A KR 20157035547 A KR20157035547 A KR 20157035547A KR 102204928 B1 KR102204928 B1 KR 10220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additive
donating
hydri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550A (ko
Inventor
울리히 바이텔만
우테 엠멜
슈테판 쉐러
크리스토프 하르트니히
Original Assignee
알베마를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베마를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알베마를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1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01M4/5815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2010/4292Aspects relating to capacity ratio of electrodes/electrolyte or anode/cath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가역적 초기 손실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전극 물질 및 리튬 배터리의 또는 이를 위한 일반적인 리튬 공급원으로서 활성 리튬 저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활성 리튬 저장소로서 사용되는 물질은 0.5 내지 2 V vs. Li/Li+의 전기화학 전위를 지니는 분말형 리튬-주개 물질이고, 상기 분말형 리튬-주개 전지는 리튬 하이드라이드, 리튬 아미드, 리튬 이미드 및 테트라리튬 암모늄 하이드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리튬-이온 배터리를 위한 활성 리튬 저장소{ACTIVE LITHIUM RESERVOIR FOR LITHIUM-ION BATTERIES}
본 발명은 비가역적 초기 손실을 줄이기 위한 그리고 전극 물질 및 리튬 배터리의 또는 이들을 위한 일반적인 리튬 공급원으로서 활성 리튬 저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방전된 상태에서 제작된다. 이는 둘 모두의 전극이 공기 및 물에 안정적이라는 이점을 지닌다. 전기화학적 활성 리튬은 캐소드 물질(cathod material)(이들은 거의 리튬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리튬 코발트 옥사이드, LiCoO2임)의 형태로만 도입된다. 애노드 물질(오늘날 상업적 배터리에서, 이는 그라파이트이지만; 장래 버젼이 또한, 예를 들어, 규소 또는 주석-기반인 합금 물질을 사용할 수 있음)이 리튬-비함유인 경우, 모든 리튬은 캐소드 물질로부터 얻어진다. 실제 배터리 시스템에서, 이러한 리튬의 일부는 비가역적 과정에 의해, 특히, 첫 번째 충전/방전 사이클 동안 손실된다. 더욱이, 애노드로서 리튬-비함유 그라파이트를 지니는 전형적인 리튬-이온 배터리 설계의 단점은 모든 리튬이 리튬화된 캐소드 물질에 의해 도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리튬-비함유의 잠재적인 캐소드 물질(예, MnO2)은 이러한 이유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라파이트의 경우에, 특히 산소-함유 표면 기는 초기 충전 동안에 비가역적으로 리튬과 반응하여 안정한 염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리튬은 후속적인 전기화학적(비가역적) 충전/방전 공정 때문에 손실된다. 합금 애노드,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주석 애노드 물질의 경우가 유사하다. 산화성 오염물은 하기에 따라 리튬을 소비한다:
MO2 + 4 Li → M + 2Li2O (1)
(M = Sn, Si 등)
Li2O 형태로 결합된 리튬은 전기화학적으로 더 이상 활성이지 않다. < 약 1.5 V의 전위를 지니는 애노드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리튬의 추가 부분이 음극 상의 부동태화 층(passivation layer)(소위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ic interface), SEI)의 형성 때문에 비가역적으로 소비된다. 그라파이트의 경우에, 양성 물질에 의해(따라서, 캐소드 물질에 의해) 도입되는 리튬의 약 7 내지 20%가 이러한 방식으로 손실된다. 이러한 손실은 전형적으로 주석 또는 실리콘 애노드의 경우에 더욱 더 높다. 하기 식 (2)에 따르면, 탈리튬화된 "잔여(left-over)" 전이 금속 산화물(예, CoO2)은 활성 리튬의 손실 때문에 갈바니 전지(galvanic cell)의 전기화학적 용량(electrochemical capacity)에 기여할 수 없다:
2n LiCoO2 + MOn → n Li2O + M + 2n CoO2 (2)
(M = Si, Sn 등; n = 1 또는 2)
첫 번째 충전/방전 사이클의 이러한 비가역적 손실을 최소화시키거나 완전히 보상하려는 목표를 지니는 다수 연구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는 추가 리튬이 금속 형태, 예를 들어, 안정화된 금속 전력(stabilized metal power: SLMP)으로서 배터리 전지에 도입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예: US2008283155A1; B. Meyer, F. Cassel, M. Yakovleva, Y. Gao, G. Au, Proc. Power Sourc . Conf . 43rd 2008: 105-108]. 그러나, 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이 실행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닌다. 최신 기술에 따르면, 부동태화된 리튬은 주요 공기 성분인 산소 및 질소와 반응한다. 이러한 반응의 속도는 비-안정화된 리튬에 비해 현저히 느리지만; 공기에 더 오래 노출되는 경우, 건조한 실내 조건 하에서도 표면의 변화 및 금속 함량의 감소가 예상될 것이다. 더욱 더 큰 단점은 전극의 제조에 흔히 사용되는 용매 N-메틸-2-피롤리딘(NMP)와 Li 금속 분말의 매우 격렬한 반응이다. 안정화되거나 코팅된 리튬 분말을 제공하는 것은 안전한 취급에 대하여 상당한 진보를 이루었지만; 최신 기술에 따른 안정화된 리튬 분말의 안정성은 흔히 실제 조건하에서 NMP-기반 현탁 공정의 경우에 부동태화된 리튬 분말의 위험성 없는 사용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미 실온에서 비코팅되거나 불충분하게 코팅된 금속 분말이 짧은 유도 기간 후에 격렬하게 NMP와 반응하는 동안(폭주 반응), 코팅된 리튬 분말의 경우에 이러한 공정은 증가된 온도(예, 80 또는 100℃)에서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US2008/0283155호에는 실시예 1로부터 인산으로 코팅된 리튬 분말이 30℃의 온도에서 혼합된 직후에 격렬하게 반응하지만(폭주 반응), 왁스로 추가 코팅된 분말이 NMP에서 30℃의 온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계속해서 안정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공보 WO2012/052265호에 따라 코팅된 리튬 분말은 NMP에서 최대 약 80℃까지 동력학적으로 안정하지만; 이들은 이러한 역치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일부 폭주 반응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발열적으로 분해된다.
리튬 금속 및 NMP가 반응하는 경우, 큰 에너지량이 방출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으며, 반응 혼합물은 증기 및 기체가 방출되는 때에 격렬하게 분해된다. 전극 현탁물electrode suspension을 생산하는 경우에, 철저한 혼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혼합 공정은 보호용 부동태화 층을 손상시키고, 시작되는 분해 반응의 온도(Tonset)를 저하시킬 수 있다.
공보 WO2011/157958A1호에는 첫 번째 충전 공정의 비가역적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희생적 염의 사용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러한 희생적 염은 Li+, Na+, K+ 또는 오늄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 E+이고, 음이온 레독스(활성)는 아자이드, 케토카복실레이트 또는 하이드라자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희생적 염은 음극의 활성 물질보다 높은 전위를 지닌다. 희생적 염의 산화환원 전위는 2.0 내지 4.6 V이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희생적 염이 일부 독성이고 폭발성이라는 점인데(리튬 아자이드), 이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시중에서 이용가능하지 않거나(하이드라자이드 및 케토카복실레이트), 너무 높은(> 4 V (Li2C3O5, Li2C4O6), 일부 단지 > 4.5 V인(리튬 옥살레이트), 따라서, 전형적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압 범위 외에서인 산화 전위에서만 분해된다[M. Armand et al., Electrochem . Commun . 12 (2010): 1344-7].
공보 DE102010044109A1호에는 실질적으로 전이 금속-비함유의 산소-함유 전환 애노드를 포함하는 갈바니 원소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전환 애노드는 충전된 상태에서 리튬 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튬 화합물의 음이온인 하이드라이드 이온은 제한된 정도까지만 내산화성이다: 약 0.71 V vs Li/Li+의 대전 전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하이드라이드 이온은 원소 수소로 산화된다. 산소-함유 전환 음이온을 포함한 전기화학 전지의 기능에 필요한 수소의 방출 및 리튬 하이드라이드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서(즉, 식 2 LiOH + 4 Li → 2 Li2O + 2 LiH에 따른 가역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애노드는 약 0.71 V vs Li/Li+의 전위 초과로 충전되지 않는 것이 본질적으로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주개 첨가제에 의해 리튬 배터리의 첫 번째 충전 사이클 동안 비가역적 리튬 손실을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리튬-주개 첨가제를 사용하고,
● 모든 전형적인 캐소드 물질, 즉, 2.5 내지 6 V vs Li/Li+의 범위의 전기화학 전위를 지니는 캐소드 물질에 사용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은 산화 전위를 지니는 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게다가, 리튬-주개 첨가제는 극성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 예컨대, N-메틸-2-피롤리돈에서 가능한 안정해야 한다. 즉, 최대 약 50℃의 온도에서 안정해야 하고, 이러한 온도를 초과하는 때에 폭주 유형의 반응을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리튬 화합물 형태의 리튬-주개 물질이 활성 리튬 저장소로서 사용되고, 이의 음이온이 기체 생성물의 형성하에 0.5 내지 2 V vs. Li/Li+의 전기화학 전위에서 분해됨으로써 달성된다. 혼합되거나 순수한 형태의 수소-함유 리튬 화합물이 특히 적합하고, 이러한 화합물은 리튬 하이드라이드, 리튬 아미드, 리튬 이미드 및 테트라-리튬 암모늄 하이드라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리튬 및 기체 부산물의 방출하에 적절한 전위를 적용한 후 전기화학 전지에서 이의 표준 산화 전위를 초과하는 때에 분해된다:
LixNyHz --> x Li+ + x e- + y/2 N2 + z/2 H2 (3)
여기서, x = 1, 2 또는 4이고; y = 0 또는 1이고; z = 1 또는 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함유 화합물은 또한 기체이기도 한 암모니아(NH3) 형태로 수소의 일부를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리튬 저장소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리튬-주개 첨가제를 함유하는 전극의 극성은 일반 식 (3)에 따라 리튬의 방출하에서 첨가제의 분해를 초래하기에 전기화학 전지의 형성 공정(이는 첫 번째 충전/방전 사이클임) 동안 충분히 높은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필요한 극성은 적어도 리튬-주개 첨가제의 표준 산화 전위(이러한 의미에서 분해 전위)와 같다. 하기 표는 본 발명에 따른 순수한 화합물의 표준 산화 전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122889606-pct00001
식 (3)에 따라 분해를 위해 실제 적용에서 소비된 분해 전압은 특정 제한치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분해 전압은 온도와 전기 결합의 함수이다. 즉, 이는 리튬 입자의 전기적 접촉의 품질이다. 특이적인 개개의 경우에서, 따라서 상기 언급된 표준 산화 전위를 초과하는 전위가 리튬을 방출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다른 것들 중에서, 당업자는 수반되는 기체 형성에 의한 리튬 방출을 인식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적절한 전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주개 첨가제는 상이한 방식으로 비양성자성 전해질에 의해 전기화학 전지로 도입될 수 있다. 첫 번째 가능성은, 고체 전극 물질(애노드 또는 캐소드 물질)을 용매의 부재하에서 첨가제 및 추가의 성분, 예를 들어, 전도도향상 첨가제(conductivity additive)(예컨대, 그라파이트 및 카본 블랙)뿐만 아니라 결합제(binder)(예, PTFE 분말)와 혼합한 후, 이러한 혼합물을 기계적 절차(프레싱(pressing), 캘린더링(calendaring))에 의해 집전체 호일(current collector foil)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탁(즉, 분산제-결합) 공정이 또한 가능하다. 적절한 분산제, 전형적으로 유기 비양성자성 용매를 선택하는 것은, 다른 것들 중에서, 사용되는 결합제에 좌우된다.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이 결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불활성 기체, 즉, 저-반응성 탄화수소(불포화와 포화 둘 모두의 화합물, 예컨대, 톨루엔, 자일렌, 헥산 또는 데칸)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언급된 불화계 결합제는 비극성 용매, 예컨대, 탄화수소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극성 용매,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돈(NMP) 또는 아세톤이 사용될 수 있다. 놀랍게도, 예를 들어, 리튬 하이드라이드는 리튬 금속 또는 리튬 니트레이트가 반응하는 것보다 NMP와 덜 격렬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서 건조된 NMP(164ppm의 물 함량 및 코팅된 리튬 금속 분말(WO2012/052265호에 따라 생산됨) 및 분상 리튬 염으로 제조된 혼합물을 GC 가스병에 분배하고, 이후 스테이지에서 가열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하기와 같이 관찰되었다:
Figure 112015122889606-pct00002
리튬 니트레이트는 실온에서 이미 NMP와 반응하지만; 이는 가스 형성 또는 주목할 만한 압력 형성 없이 폐쇄된 시스템에서 관찰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Li-화합물, 즉, 리튬 아미드, 리튬 이미드 및 테트라-리튬 암모늄 하이드라이드와의 혼합물은 상당히 더 안정하다. 실온에서 가시적인 변화가 수시간의 기간에 걸쳐서 발생하지 않고, 특히 가스 형성도 이루어지지 않지만, 50℃ 초과의 저장 온도에서 혼합물의 황색화가 관찰될 수 있다. 그러나, 혼합물은 실온(RT)으로 냉각된 후에도 액체로 유지된다. 놀랍게도, 리튬 하이드라이드-함유 현탁물이 가장 안정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100℃의 온도에서도 가시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으며, 혼합물은 RT로 냉각된 후에도 액체로 유지된다. 120℃의 온도에서, 혼합물은 누르스름한(yellowish) 색이 되고, 용매는 중합되는 것으로 보이며; RT로 냉각된 후, 누르스름한 고분자-유사 고체 물질이 나타난다. 가스의 형성은 분해 공정에 동반되지 않는다. 즉, 폐쇄된 용기에서 압력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코팅된 리튬은 약 100℃ 초과의 온도에서 그리고 특히 증기 및 영구 가스의 형성하에서 매우 격렬하게 반응한다. 폐쇄된 컨테이너(container)에서, 각각의 갑작스러운 압력 형성이 예상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리튬-주개 첨가제의 경우에 가스가 형성되지 않으며, 단지 약한 반응 열의 방출하에서 용매의 중합에 의해 분해가 발생한다.
분해 열을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에 의해 측정하였다. 업체 Systag(Switzerland)에 의한 장치(Radex 시스템)를 사용하였다. 약 2g의 NMP 및 100mg의 본 발명에 따른 리튬-주개 첨가제를 보호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샘플 용기에 칭량하였다. 이러한 샘플을 45K/h의 가열율로 180℃의 종결 온도로 가열하였다. 발열성 분해가 시작되는 온도는 Tonset으로 언급된다.
Figure 112015122889606-pct00003
리튬 하이드라이드는 NMP와 접촉하는 때에 다음과 같이 취급하기 가장 안전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분해 공정은 매우 고온에서 시작되고, 최소의 발열성이며, 가스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NMP에서 전극을 제조하는 경우에 리튬 하이드라이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덜 반응성인 용매, 예컨대, 탄화수소 또는 에테르를 사용하여 현탁물을 생산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리튬-주개 첨가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리튬-주개 첨가제(들)는 분말로서 사용된다. 분말화된 입자는 500㎛의 최대 직경, 바람직하게는 200㎛의 최대 직경을 지닌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간 입도 분포(D50)는 1 내지 10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주개 첨가제는 또한 리튬 배터리를 위한 전기화학적 활성 애노드 물질,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합금, 삽입물 또는 전환 물질의 리튬화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리튬화 공정은 전기화학적 전지 외(반응계 외(ex situ)),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기화학적 전지 내(반응계 내(in situ))의 물질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화학 전지 외의 리튬화에서, 사용되는 리튬-주개 첨가제보다 높은 표준 산화 전위를 지니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은 상기 리튬-주개 첨가제와 접촉된다. 이러한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주위 온도 또는 따뜻한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불활성 기체(아르곤, 질소) 또는 건조 공기(최대 이슬점 -30℃)하에 수행된다.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서, 균질화 또는 밀링 조건하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전극 물질(들)과 리튬-주개 첨가제로 제조된 혼합물은 용매 제제 현탁물에서 또는 고체 물질 혼합물의 형태로 수행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밀링 조건하에서 전극 물질과 리튬-주개 첨가제로 제조된 혼합물이 접촉된다. 최신 기술에 따르면, 로드(rod), 진동, 충격 또는 볼 밀이 이러한 공정에 적합하다. 그라인딩 공정은 비양자성 용매, 예를 들어, NMP, 에테르 또는 탄화수소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용매-보조된 그라인딩에서, 탄화수소(약 50 내지 300℃의 비점을 지니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또한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혼합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의 기계적 작동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입자들간의 전환은 초음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초음파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비양자성 액체 현탁제의 사용하에서의 현탁으로 수행된다.
그러한 순수한 화학적 전환에 대한 예로서, 리튬 하이드라이드와 전이 금속 산화물의 반응은 하기와 같이 표현된다:
LiH + 2 MnO2 → LiMn2O4 + ½ H2 (4)
다른 버젼의 방법, 즉, 전기 화학 전지에서(반응계 내) 리튬의 방출 및 리튬화는 첫 번째 충전 공정에서 또는 첫 번째 충전/방전 사이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 상, 전극 물질과 본 발명에 따른 리튬-주개 첨가제로 제조된 혼합물은 임의로 추가의 보조제(예컨대, 결합제 및/또는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첨가제)의 사용과 함께 집전체 호일에 적용된다(주조법(casting method), 스핀 코팅(spin coating), 에어-브러시(air-brush) 방법 등). 이러한 공정이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경우(예, 따라서, 현탁 주조법으로서 NMP 또는 탄화수소), 이러한 용매는 먼저 후속 단계에서 제거된다. 그 후에, 건조된 예비-전극이 추가로 기계적으로 처리되고(예, 캘린더링), 이후 최신 기술에 따라 배터리 전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리튬-주개 첨가제로부터 리튬을 방출하는 것은 단지 사용되는 첨가제의 안정성 범위 초과로 충전 전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대부분 수행된다. 이러한 전위(소위 분해 전압)는, 리튬 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0.71 V vs. Li/Li+이다. 이러한 소위 형성 공정은 가스의 형성을 동반하기 때문에, 첫 번째 또는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사이클 동안 압력 보상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첫 번째 사이클은 밀봉되지 않은 셀 하우징을 지니며 수행된다. 전기화학 전지는 기체 부산물의 완전한 발달 및 제거 후에만 밀봉된다. 사용되는 리튬-주개 첨가제에 좌우하여, 기체 부산물로서 수소, 암모니아 및/또는 질소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리튬 하이드라이드의 산화 분해는 하기 식에 따라 ≥ 약 0.71 V vs. Li/Li+의 전위에서 수행된다:
LiH → Li+ + e- + ½ H2 (5)
리튬-주개 첨가제의 가장 우수한 가능한 전기적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서, 액체 또는 겔-형 전해질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는 2 V vs. Li/Li+하의 전위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모든 알려져 있는 캐소드 물질, 특히 ≥ 2 V, 바람직하게는 ≥ 2,5 V vs. Li/Li+의 산화환원 전위를 지니는 그러한 물질은 양극(캐소드)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물질들이, 그 중에서도, 캐소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원소 황, 금속 황화물(metal sulfide)(예, TiS2, M0S2), 금속 산화물(metal oxide)(예, MnO2, 바나듐 산화물), 리튬 금속 산화물(lithium metal oxide)(예, LiCoO2, LiMn2O4, LiMnO1 . 5,Ni0 .5, Li(Mn, Co, Ni)O2 등) 및 리튬 금속 인산염(lithium matal phosphate)(LiFePO4, LiMnPO4, LiCoPO4 등). 음극(애노드)의 경우, 다른 것들 중에서, 탄소-기반 물질(그라파이트, 그래핀, 점결탄(coking coal) 등), 합금가능한 물질(예, Si, Sn, Al 또는 Co-기반) 또는 전이 금속 질산염(transition metal nitrate)이 사용될 수 있다.
소비될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의 양은 경우에 따라 달라지고; 이는 주로 사용되는 활성 전극 물질과 사용되는 전해질의 함수이다. 사용되는 전해질에 좌우하여, 여러 양의 리튬이 SEI의 형성을 위해 필요하다. 리튬-주개 첨가제의 최대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음극(애노드) 상에서 보호층의 형성(SEI 형성)에 대하여 비가역적으로 사용되는 리튬의 양에 더하여 삽입(interclation)(즉, 고려되는 전극 물질로의 리튬의 가역적 저장), 합금화 또는 다른 흡수(예, 표면 기와의 비가역적 반응)에 의한 전극 물질의 최대 리튬 흡수 용량만큼 높다.

Claims (15)

  1. 리튬 배터리를 위한 활성 리튬 저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리튬 하이드라이드, 리튬 아미드, 리튬 이미드 및 테트라-리튬 암모늄 하이드라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소-함유 리튬-주개 첨가제가 사용되고, 리튬-주개 첨가제가 0.5 내지 2 V vs. Li/Li+의 분해 전위를 가지며, Li+와 e-의 방출 및 기체 부산물의 형성하에 분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튬-주개 첨가제가 하나 이상의 전극 물질과 혼합되고, 이러한 전극 물질들 중 하나의 동시 리튬화하에서 Li+와 e-의 방출이 전기화학 전지 내에서(반응계 내에서(in situ))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튬-주개 첨가제가 리튬을 흡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지니는 혼합물로서 전극의 형태로 전기화학 전지에 도입되고, 그 안에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리튬-주개 첨가제가 리튬을 흡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 및 하나의 결합제(binder)를 지니는 혼합물로서 집전체 호일(current collector foil)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충전/방전 사이클이 개방형 전지 하우징을 지니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겔-유사 전해질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원소 황, 금속 황화물(metal sulfide), 금속 산화물(metal oxide), 리튬 금속 산화물(lithium metal oxide) 및 리튬 금속 인산염(lithium metal phosphat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캐소드 물질(cathode material)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탄소-기반 물질, 리튬과 합금가능한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질산염(transition metal nitrate)이 음극(애노드)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튬-주개 첨가제보다 높은 표준 산화 전위를 지니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이 아르곤 및 질소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 가스 또는 -30℃의 최대 이슬점을 갖는 건조 공기하에 2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0.5 내지 2 V vs. Li/Li+인 표준 산화 전위를 지니는 리튬-주개 첨가제와 접촉되어 반응계 외에서(ex situ) 리튬화됨(즉, 전기화학 전지 외에서 리튬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전극 물질 및 리튬-주개 첨가제가 밀링 조건하에서 또는 액체 분산제의 부재하에서 건조 형태로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리튬 하이드라이드, 리튬 아미드, 리튬 이미드 및 테트라-리튬 암모늄 하이드라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소-함유 리튬 화합물이 리튬-주개 첨가제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튬-주개 첨가제의 최대량이 음극(애노드) 상에서 보호층의 형성에 대하여 비가역적으로 사용되는 리튬의 양에 더하여 삽입(intercalation), 합금화 또는 다른 흡수에 의한 전극 물질의 최대 리튬 흡수 용량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튬-주개 첨가제가 500㎛의 최대 직경을 지니는 분말-함유 입자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튬-주개 첨가제의 중간 입도 분포(D50)가 1 내지 100㎛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튬-주개 첨가제가 1 내지 100㎛ 범위의 중간 입도 분포(D50)를 지니는 리튬 하이드라이드 분말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7035547A 2013-05-16 2014-05-14 리튬-이온 배터리를 위한 활성 리튬 저장소 KR10220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9140.0 2013-05-16
DE102013209140 2013-05-16
PCT/EP2014/059841 WO2014184241A1 (de) 2013-05-16 2014-05-14 Aktives lithiumreservoir für lithiumionenbatteri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550A KR20160010550A (ko) 2016-01-27
KR102204928B1 true KR102204928B1 (ko) 2021-01-18

Family

ID=5073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547A KR102204928B1 (ko) 2013-05-16 2014-05-14 리튬-이온 배터리를 위한 활성 리튬 저장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31818B2 (ko)
EP (1) EP2997621B1 (ko)
JP (1) JP6403760B2 (ko)
KR (1) KR102204928B1 (ko)
CN (2) CN105379002A (ko)
DE (1) DE102014209081A1 (ko)
ES (1) ES2718917T3 (ko)
PT (1) PT2997621T (ko)
TW (1) TWI668898B (ko)
WO (1) WO2014184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5657B1 (en) * 2014-11-04 2020-02-26 Savannah River Nuclear Solutions, LLC Recovery of tritium from molten lithium blanket
CN106992282A (zh) * 2017-03-24 2017-07-28 江苏乐能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复合负极极片及其锂离子电池
KR102268082B1 (ko) 2017-06-27 2021-06-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325096B2 (en) * 2018-07-24 2022-05-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icrowave synthesis of lithium thiophosphate composite materials
CN112607706B (zh) * 2020-12-04 2023-08-01 中核建中核燃料元件有限公司 一种降低高活性氢化锂粉末活性的方法
CN116706279A (zh) * 2022-09-14 2023-09-05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芯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153A (ja) 2010-04-05 2011-11-04 Shin Etsu Chem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034A (en) * 1976-03-11 1977-02-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Method of preparing an electrochemical cell in uncharged state
US5952537A (en) 1998-03-13 1999-09-14 Wiley Organics, Inc. Preparation of cycloalkylacetylene compounds using dialkylaminomagnesium halide or bis(dialkylamino)magnesium
WO2002047185A2 (en) * 2000-12-06 2002-06-13 Huggins Robert A Improved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JP4133116B2 (ja) * 2002-08-22 2008-08-13 株式会社三徳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その製造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7646171B2 (en) * 2004-01-06 2010-01-12 Sion Power Corporation Methods of charging lithium sulfur cells
DE102004016766A1 (de) * 2004-04-01 2005-10-20 Degussa Nanoskalige Siliziumpartikel in negativen Elektrodenmaterialien für Lithium-Ionen-Batterien
US8021496B2 (en) 2007-05-16 2011-09-20 Fmc Corporation Stabilized lithium metal powder for Li-ion application, composition and process
US8329327B2 (en) 2009-05-08 2012-12-11 Robert Bosch Gmbh Li-ion battery with variable volume reservoir
US9166227B2 (en) 2009-10-07 2015-10-20 Chemetall Gmbh Aluminum-based hydride anodes and galvanic elements containing aluminum-based hydride anodes
WO2011051290A1 (de) * 2009-10-27 2011-05-05 Chemetall Gmbh Stickstoffhaltige hydridanoden und galvanische elemente enthaltend stickstoffhaltige hydridanoden
DE102010044109A1 (de) 2009-11-20 2011-05-26 Chemetall Gmbh Galvanische Elemente enthaltend sauerstoffhaltige Konversionsanoden
FR2961634B1 (fr) 2010-06-17 2013-02-15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pour l'elaboration d'une batterie au lithium ou au sodium
DE112011103269A5 (de) 2010-09-28 2013-09-12 Chemetall Gmbh Stabilisiertes, reines Lithiummetallpulv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153A (ja) 2010-04-05 2011-11-04 Shin Etsu Chem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33920A (zh) 2020-11-13
CN111933920B (zh) 2023-09-29
DE102014209081A1 (de) 2014-11-20
JP2016518016A (ja) 2016-06-20
KR20160010550A (ko) 2016-01-27
PT2997621T (pt) 2019-05-03
CN105379002A (zh) 2016-03-02
JP6403760B2 (ja) 2018-10-10
TWI668898B (zh) 2019-08-11
TW201517349A (zh) 2015-05-01
US20160111717A1 (en) 2016-04-21
EP2997621A1 (de) 2016-03-23
ES2718917T3 (es) 2019-07-05
US10431818B2 (en) 2019-10-01
WO2014184241A1 (de) 2014-11-20
EP2997621B1 (de)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113B2 (ja) 安定化された(部分)リチオ化グラファイト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電池のための使用
Chen et al. Chen et al.
CN106663775B (zh) 具有提高的容量的原电池和(部分)锂化的锂电池组阳极和制造合成石墨嵌入化合物的方法
KR102204928B1 (ko) 리튬-이온 배터리를 위한 활성 리튬 저장소
JP6124906B2 (ja) 炭素含有硫化リチウムからなるシェルを有するリチウム金属生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JP5504614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負極材料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20150280227A1 (en) Predoping method for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s
Chen et al. Practical evaluation of prelithiation strategies for next‐generation lithium‐ion batteries
WO2014136180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
TWI707823B (zh) 穩定化(部分)鋰化的石墨材料,其製造方法及用於鋰電池的應用
Mouyane et al. Evolu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tin/silicate) for Li-ion batteries studied by 119 Sn Mössbauer spectroscopy
CN118235266A (zh) 锂硫电池
KR20210049095A (ko) 음이온-산화 환원-활성 복합 캐소드를 갖는 고에너지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JP2021535570A (ja) イオン性液体電解質および電極圧力を有する再充電可能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