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505B1 -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505B1
KR102204505B1 KR1020200056464A KR20200056464A KR102204505B1 KR 102204505 B1 KR102204505 B1 KR 102204505B1 KR 1020200056464 A KR1020200056464 A KR 1020200056464A KR 20200056464 A KR20200056464 A KR 20200056464A KR 102204505 B1 KR102204505 B1 KR 10220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power control
output voltage
integrated audio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콤
Priority to KR102020005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 대의 오디오 앰프의 전원을 제어하여 PA 및 SR용 앰프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부; 선택된 앰프 용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생성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상기 전원 제어값에 따라 상이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AUDIO AMPLIF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한대의 오디오 앰프의 전원을 제어하여 PA 및 SR용 앰프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는 거의 대부분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A급, B급 및 AB급 등이 있다.
이와 같은 A급, B급, AB급의 증폭기는 선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출력을 구현하는 경우 막대한 전력 손실이 발생된다.
즉, 현재의 음향 증폭기에서 음성 에너지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에너지 이외는 모두 열로 변환되어 버리기 때문에 증폭기의 온도가 증가되는 요인이 되며, 이를 강제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방대한 방열판이 요구된다.
이로 인하여 아날로그 전력 증폭기는 그 부피가 커지게 되고, 그 출력 효율 또한 낮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디지털 변조기를 통해 변조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키는 D급 증폭기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지 않고, 오디오 신호를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alation:PWM)신호로 변경하여 스위칭한다. 따라서 D급 오디오 앰프는 고효율, 적은 발열, 저잡음 등의 이점이 있다.
이러한, 스위칭 전력 증폭기인 D급 증폭기는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고, 가격 역시 저렴하여,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력 신호로 변환하는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예로는, 가정용 하이파이(Hi-fi) 앰프, 극장용 다채널 앰프, HDTV, DVD 플레이어, 이동 통신 단말기용 초소형 앰프 및 컴퓨터 내장용 앰프 등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앰프는 사용환경에 따라 PA 또는 SR용 앰프로 나누어진다.
PA용 앰프는 일반대중에게 정보전달을 위해 깨끗한 음질을 필요로 하는 전관방송에 사용되고, SR용 앰프는 높은 효율과 파워가 필요한 전문 음향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PA용 앰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A용 앰프는 증폭기(AMP;11), LPF(12), 전원부(13) 및 스피커부(14)를 갖는다.
PA용 앰프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바로 증폭기 (11)에 입력한다. PA용 앰프의 전원부(13)는 100V 또는 70V의 전압을 공급한다. 증폭기(11)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LPF(12)를 거쳐 스피커부(14)에 전달한다.
PA용 앰프는 비교적 높은 전압(100V 또는 70V의 전압)으로 신호를 보내므로 손실을 최소화하여 많은 수의 스피커, 많은 선로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SR용 앰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SP내장형 앰프라고도 하는 SR용 앰프는 신호처리부(21), 증폭기(22), LPF(23), 전원부(24) 및 스피커부(25)를 갖는다.
SR용 앰프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신호처리부(21)의 코덱과 DSP를 거쳐 증폭기(22)에 출력된다. 이후, 증폭기(22)는 전원부(24)로부터 설계되어진 AMP용량에 맞는 전원을 입력받고, LPF(23)를 거쳐 스피커부(25)로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코덱은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의 기능을 함께 갖춘 구성이고,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서, 디지털 신호를 기계장치가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를 말한다.
이와 같이 사용환경에 따라, 오디오 앰프는 사용용도(PA 또는 SR)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의 앰프를 필요로 하므로, 2가지 용도를 모두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2 종류의 앰프를 모두 구비하여 각각 운용하여야 하므로 공간적 비용적 부담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한대의 오디오 앰프의 전원을 제어하여 PA 및 SR용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부; 선택된 앰프 용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생성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상기 전원 제어값에 따라 상이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부는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1 스위치부에서 PA 앰프가 선택되면 PA 앰프의 출력전압을 선택하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전원 제어값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는 전압원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전압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랜지스터는 SR 앰프 또는 PA 앰프의 선택에 대응하여 온 오프되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랜지스터는 PA 앰프의 출력전압의 선택에 대응하여 온 오프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SR 앰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에 대하여 600W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PA 앰프의 100V 또는 70V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에 대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은, 스위치부가 사용자로부터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전원공급부가 생성된 전원 제어값에 따라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는, 제1 스위치부가 사용자로부터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부에서 PA 앰프가 선택되면 제2 스위치부가 PA 앰프의 출력전압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원 제어값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된 전압원과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된 저항값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SR 앰프 또는 PA 앰프의 선택에 대응하여 제1 트랜지스터를 온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PA 앰프의 제1 출력전압과 제2 출력전압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응하여 제2 트랜지스터를 온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SR 앰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에 대한 출력 전압은 미리 설정된 AMP용량이고, 상기 PA 앰프의 제1 출력전압은 100V이며, 상기 제2 출력전압은 70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 대의 오디오 앰프를 통해 위급상황시 정확한 안내방송을 해야하는 PA용 앰프와 깨끗한 음질과 높은 효율의 안정적인 SR용 앰프를 상황에 맞게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장비를 사용하여 2가지 기능을 함으로써 효율적인 장비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하다.
제조사의 입장에서도, 개발비의 중복투자 방지, 생산비용 및 재고 부담이 작아지므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PA용 앰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SR용 앰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의 제어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의 회로도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형 오디오 앰프 시스템은 전원 제어 장치(100), 신호원(200), 신호처리부(210), 전력증폭기(220), LPF(230) 및 스피커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원(200)은 D 급 디지털 앰프용 신호원으로서, PWM 신호 발생회로이다. 신호원(200)은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 폭을 조절시켜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제어 장치(100)는 스위치부(110), 마이크로콘트롤러(120) 및 전원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10)는 리모콘이나 판넬에 부착되어 사용자로부터 PA 또는 SR 앰프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부(110)는 예를 들어, 토글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푸쉬 스위치 등의 스위치일 수 있다.
스위치부(110)는 PA 또는 SR을 선택받기 위한 제1 스위치부와, PA를 선택한 경우 출력전압을 선택받기 위한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적 입력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켜 마이크로콘트롤러(120)에게 전달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120)는 스위치부(110)에 의해 선택된 PA 또는 SR 에 대한 입력 신호 정보를 해당 전원 제어값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콘트롤러(120)는 스위치부(110)의 제1 스위치부에 의해 SR 앰프가 선택된 경우, SR 앰프에 대응하는 제1 전원 제어값을 생성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120)는 스위치부(110)의 제1 스위치부에 의해 PA 앰프가 선택되고, 제2 스위치부에 의해 PA 앰프의 출력 전압 100V가 선택된 경우, 제2 전원 제어값을 생성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120)는 스위치부(110)의 제1 스위치부에 의해 PA 앰프가 선택되고, 제2 스위치부에 의해 PA 앰프의 출력 전압 70V가 선택된 경우, 제3 전원 제어값을 생성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120)는 해당 전원 제어값을 전원공급부(130)에(도6 트랜지스터 베이스 온 또는 오프 값) 전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30)는 설정된 전원 제어값에 따라 출력 전압을 변경하여 신호증폭기(220)에 전달한다. 신호증폭기(220)는 전달된 출력 전압을 증폭시킨다. 예를 들면, SR 이 선택된 경우 설계되어진 AMP용량에 맞는 값, PA 가 선택된 경우 100V 또는 70V가 선택될 수 있다.
LPF(230)는 증폭된 신호를 수신받고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스피커부(240)에 전달하고, 스피커부(240)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LPF(230)는 인덕터(도시 생략) 및 캐패시터(도시 생략)로 구성되며, 수신받은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신호처리부(210)는 ADUDIO INPUT을 통해 들어온 SIGNAL이 CODEC을 거쳐 디지털화 되어 DSP에서 조정을 하고, 다시금 CODEC을 통하여 ANALOG(아나로그)신호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신호는 신호증폭기(220)로 전달되어, PA 또는 SR로 선택되어진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용량에 맞는 신호로 증폭되어 출력된다.
신호처리부(210)는 마이크로콘트롤러(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SR이라고 판단한 경우 오디오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210)는 마이크로콘트롤러(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PA 라고 판단한 경우, 오디오 신호를 PCM 처리 없이 바로, 전력 증폭기(220)에 전달한다.
또한 신호처리부(210)는 버퍼(buffer)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의 트래킹 타임을 조절하여 음질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220)는 전원공급부(130)로부터 전원을 수신받아 신호처리부(210)를 통해 수신받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킨다.
LPF부(230)는 전력 증폭기(220)에 의해 전력 증폭된 PWM 신호를 로우 패스필터링 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원래의 오디오 신호로 복구한다.
스피커부(240)는 LPF부(230)에서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재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의 제어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의 회로도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는 스위치 모드 전원공급 장치(Switch Mode Power Supply: 이하 SMPS라 약칭함)로서, 전원 제어 장치는 연결된 MCU로부터 수신받은 값에 따라 기기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SMPS는 앰프입력 전 출력 전압을 피드백하여 MCU 설정값에 따라 출력 전압 조정을 위한 PWM을 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10)는 연결된 MCU로부터 수신받은 전원 제어값에 따라 원하는 출력값(PB_OUT)을 생성한다.
제어부(510)는 기준전압(2.5V)과 피드백 전압(+Vcc)을 입력받고, 기준전압(2.5V)과 피드백 전압(+Vcc)을 비교하여 원하는 출력값(PB_OUT)을 생성한다. 제어부(510)는 원하는 출력값(PB_OUT)을 생성하기 위하여 저항비(resistor ratio)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폭기는 트랜지스터 Q3 및 Q9를 포함한다. 증폭기는 트랜지스터 Q3 및 Q9의 게이트는 MCU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 Q3 및 Q9의 각각의 컬렉터(COLLECTOR)는 전압(+Vcc)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3 및 Q9의 각각의 컬렉터와 전압(+Vcc)의 입력부 사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저항이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3 및 Q9의 각각의 에미터는 서로 연결된다.
증폭기는 트랜지스터 Q3 및 Q9를 온/오프하여 연결된 저항, R46, R48, R49, R50의 합성 저항값의 비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증폭기의 연결된 합성 저항값의 비율 제어에 따라 제어부(510)의 출력값(PB_OUT)이 변경된다.
즉, 제어부(510)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Q3 및 Q9)를 온 오프하여 합성 저항값의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출력값(PB_OUT)을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PWM(520)는 제어부(510)의 출력값(PB_OUT)에 따라 입력 신호의 PWM을 조정하여 길이가 다른 구형파를 만들어 낸다.
증폭기(530)는 PWM(520)로부터 생성된 구형파의 길이에 따라 전압을 증폭하여 선택된 PA 또는 SR 앰프에 따라 상이한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정류기(540)는 증폭기(530)에서 증폭된 PWM 신호를 정류하여 앰프(560)에 전달한다.
피드백부(550)는 앰프(560)에 입력되기 전 출력전압(Vcc)을 제어부(510)로 피드백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 스위치부가 사용자로부터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 제1 스위치부가 사용자로부터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제1 스위치부에서 PA 앰프가 선택되면 제2 스위치부가 PA 앰프의 출력전압을 선택받는다.
단계 S12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스위치부에서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생성한다.
단계 S130에서, 전원공급부가 생성된 전원 제어값에 따라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원 제어값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된 전압원과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된 저항값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기 SR 앰프 또는 PA 앰프의 선택에 대응하여 제1 트랜지스터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상기 PA 앰프의 제1 출력전압과 제2 출력전압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응하여 제2 트랜지스터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는 한 대의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통해 PA용 앰프와 SR용 앰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장비 운영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원 제어 장치
110 : 스위치부
120 : 마이크로콘트롤러
130 : 전원공급부
200 : 신호원
210 : 신호처리부
220 : 증폭기
230 : LPF
240 : 스피커부

Claims (12)

  1.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부;
    선택된 앰프 용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생성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생성된 전원 제어값에 따라 상이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부에서 PA 앰프가 선택되면 PA 앰프의 제1 출력전압과 제2 출력전압 중 어느 하나의 출력전압을 선택하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전원 제어값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는 전압원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전압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이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EMIITER)는 서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SR 앰프 또는 PA 앰프의 선택에 대응하여 온 오프되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PA 앰프의 출력전압의 선택에 대응하여 온 오프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SR 앰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에 대하여 600W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PA 앰프의 100V 또는 70V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에 대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7.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으로서,
    스위치부가 사용자로부터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전원공급부가 생성된 전원 제어값에 따라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는,
    제1 스위치부가 사용자로부터 SR 앰프 또는 PA 앰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부에서 PA 앰프가 선택되면 제2 스위치부가 PA 앰프의 출력전압을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원 제어값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된 전압원과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된 저항값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SR 앰프 또는 PA 앰프의 선택에 대응하여 제1 트랜지스터를 온 오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를 포함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SR 앰프 또는 PA 앰프를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PA 앰프의 제1 출력전압과 제2 출력전압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응하여 제2 트랜지스터를 온 오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를 포함하는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R 앰프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에 대한 출력 전압은 미리 설정된 AMP 용량이고,
    상기 PA 앰프의 제1 출력전압은 100V이며, 상기 제2 출력전압은 70V인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
KR1020200056464A 2020-05-12 2020-05-12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0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64A KR102204505B1 (ko) 2020-05-12 2020-05-12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64A KR102204505B1 (ko) 2020-05-12 2020-05-12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505B1 true KR102204505B1 (ko) 2021-01-20

Family

ID=7430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464A KR102204505B1 (ko) 2020-05-12 2020-05-12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5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07B1 (ko) * 2022-02-09 2022-07-20 아트에이브이(주) 전력손실 저감장치가 구비된 출력전압 가변형 방송시스템
KR102434525B1 (ko) * 2022-02-09 2022-08-19 아트에이브이(주) 외부부하에 맞게 출력전압 가변이 가능한 출력전압 조절장치가 구비된 방송시스템
KR102551805B1 (ko) * 2022-12-20 2023-07-06 아트에이브이(주) 출력모드에 따라 출력전압이 가변되는 음향장치 호환형 방송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534B1 (ko) * 2010-12-14 2011-11-04 강형권 병렬 연결형 하이 임피던스 pa 앰프
KR101476788B1 (ko) * 2013-06-28 2014-12-29 테크온팜 주식회사 고출력 스피커 시스템이 내장된 일체형 멀티미디어 장치
US20190356986A1 (en) * 2018-05-17 2019-11-21 Benjamin K. Wiersum Loudspeaker Impedance Matching Device for Non-Permanent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534B1 (ko) * 2010-12-14 2011-11-04 강형권 병렬 연결형 하이 임피던스 pa 앰프
KR101476788B1 (ko) * 2013-06-28 2014-12-29 테크온팜 주식회사 고출력 스피커 시스템이 내장된 일체형 멀티미디어 장치
US20190356986A1 (en) * 2018-05-17 2019-11-21 Benjamin K. Wiersum Loudspeaker Impedance Matching Device for Non-Permanent Applic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07B1 (ko) * 2022-02-09 2022-07-20 아트에이브이(주) 전력손실 저감장치가 구비된 출력전압 가변형 방송시스템
KR102434525B1 (ko) * 2022-02-09 2022-08-19 아트에이브이(주) 외부부하에 맞게 출력전압 가변이 가능한 출력전압 조절장치가 구비된 방송시스템
KR102551805B1 (ko) * 2022-12-20 2023-07-06 아트에이브이(주) 출력모드에 따라 출력전압이 가변되는 음향장치 호환형 방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505B1 (ko) 통합형 오디오 앰프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5342599B2 (ja) デジタルd級オーディオ増幅器
CN111512544B (zh) 可配置模态放大器系统
CN107276549B (zh) 音频放大器系统
JP5192481B2 (ja) スイッチング増幅器にバイアスを供給する高効率コンバータ
US101288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switching in audio amplifiers
Putzeys Digital audio's final frontier
US9130512B2 (en) Audio amplifier and method for recognition an audio amplifier
KR20070027235A (ko) D급 앰프에서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213083A1 (en) Wireless Transmission Of Audio Data Encoded by Pulse Width Modulation
JP4139220B2 (ja) モード間で切替え可能な電源回路装置
US9225294B2 (en) Amplifier with improved noise reduction
US7492218B2 (en) Digital amplifier apparatus and method of resetting a digital amplifier apparatus
JP4281962B2 (ja) 共通制御装置を有するデュアル・モード・パワー増幅器
US10938363B2 (en) Audio circuit
GB2360410A (en) An amplifier in which the input signal is delayed to allow time for the power supply to adjust to a level which minimises power loss
US6803798B1 (en) Output control apparatus of pulse width modulator
JPH07142949A (ja) デジタル制御回路、利得制御回路、及び信号受信機の増幅段の利得を制御する方法
US1041895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lass-D amplifier
KR20040001734A (ko) 출력 파형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d급 전력 증폭기
US20220385256A1 (en) Electronic circuit for amplifiers and sound devices for the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channels
US7161519B2 (en) PWM modulation circuit and class D amplifier using such PWM modulation circuit
JP2004186820A (ja) 1ビット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ク再生装置
CN111130471A (zh) 小型音频功率放大器
US2924662A (en) Broadcasting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