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241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241B1
KR102204241B1 KR1020200089016A KR20200089016A KR102204241B1 KR 102204241 B1 KR102204241 B1 KR 102204241B1 KR 1020200089016 A KR1020200089016 A KR 1020200089016A KR 20200089016 A KR20200089016 A KR 20200089016A KR 102204241 B1 KR102204241 B1 KR 102204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ead
bristles
toothbrush body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김우현
Original Assignee
김동주
김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김우현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20008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241B1/ko
Priority to PCT/KR2021/007754 priority patent/WO20220148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5Brushes articulated with more than on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58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46B5/007Inse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 e.g. springs,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질하듯이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오므렸다 펴는 쉬운 동작만으로, 세정효과가 높은 치아의 상하 방향 칫솔질이 치아의 양면에서 동시에 가능하게 해주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칫솔은 제1 칫솔 바디와 제1 칫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칫솔모를 포함하는 제1 칫솔 유닛과, 제1 칫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칫솔 바디와 제1 칫솔모에 대향되도록 제2 칫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 2 칫솔모를 포함하는 제2 칫솔 유닛과, 제1 칫솔 바디 및 제2 칫솔 바디가 치아의 내,외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접촉될 때, 제1 칫솔모 및 제2 칫솔모가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치아의 내,외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칫솔질하도록 제1 칫솔 바디 및 제2 칫솔 바디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가위질 형태의 쉬운 손동작만으로 치아의 내,외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브러싱할 수 있는 칫솔에 대한 발명이다.
칫솔은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구강위생(口腔衛生)의 용구를 말하며, 치아표면, 치아 사이, 잇몸 등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 등을 제거하여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칫솔은 기본적으로 칫솔모 본체 및 칫솔모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칫솔모에 치약을 묻힌 상태에서 치아 표면이나 잇몸 등을 닦을 수 있다.
그런데 치아의 상하방향으로 칫솔질을 하여야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 또는 프라그를 제대로 제거할 수 있음에도, 종래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질을 하는 경우, 그러한 상하 방향 칫솔질이 손동작 상으로 쉽지 아니하여 어린이를 비롯하여 성인 다수가 여전히 상하 방향 대신 횡으로 칫솔질을 하고 있어 세정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다.
또한, 치아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칫솔질하고자 하는 경우, 치아의 외측면을 닦은 후 치아의 내측면을 닦거나, 치아의 내측면을 닦은 후 치아의 외측면을 닦아야 하므로, 칫솔질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특허문헌 :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941호(2013. 09. 03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위질하듯이 손을 반복적으로 오므렸다 펴는 쉬운 동작만으로 세정효과가 높은 치아의 상하 방향 칫솔질이 가능하게 해주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칫솔 바디와, 상기 제1 칫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칫솔모를 포함하는 제1 칫솔 유닛; 상기 제1 칫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칫솔 바디와, 상기 제1 칫솔모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2 칫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 2 칫솔모를 포함하는 제2 칫솔 유닛; 및 상기 제1 칫솔 바디 및 제2 칫솔 바디가 상기 치아의 내,외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접촉될 때, 상기 제1 칫솔모 및 상기 제2 칫솔모가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상기 치아의 내,외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칫솔질하도록 상기 제1 칫솔 바디 및 상기 제2 칫솔 바디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칫솔 바디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칫솔모가 장착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헤드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칫솔 바디에 시소 형태로 힌지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칫솔 바디는 제2 손잡이부; 상기 제2 칫솔모가 장착되는 제2 헤드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헤드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부에 시소 형태로 힌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칫솔 바디는 상기 제1 헤드부를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착탈시키기 위한 제1 착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착탈수단은 상기 제1 헤드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1 연결부의 결합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수 걸림부; 및 상기 제1 수 걸림부가 걸려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의 결합 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1 헤드부의 결합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칫솔 바디는 상기 제2 헤드부를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착탈시키기 위한 제2 착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착탈수단은 상기 제2 헤드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2 연결부의 결합 단부에 마련되는 제2 수 걸림부; 및 상기 제2 수 걸림부에 걸려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의 결합 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2 헤드부의 결합 단부에 마련되는 제2 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1 칫솔모가 구비되는 제1 헤드 장착대; 상기 제1 착탈수단이 제공되는 제1 헤드 연결대; 및 상기 제1 헤드 장착대가 비틀림 회전될 때, 상기 제1 헤드 장착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헤드 장착대와 상기 제1 헤드 연결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헤드부는 상기 제2 칫솔모가 구비되는 제2 헤드 장착대; 상기 제2 착탈수단이 제공되는 제2 헤드 연결대; 및 상기 제2 헤드 장착대가 비틀림 회전될 때, 상기 제2 헤드 장착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헤드 장착대와 상기 제2 헤드 연결대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칫솔모는 상기 치아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1 브러쉬부; 및 상기 제1 브러쉬부를 지지하는 제1 브러쉬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칫솔모는 상기 치아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2 브러쉬부; 및 상기 제2 브러쉬부를 지지하는 제2 브러쉬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칫솔 바디는 치아의 세정시 인접한 치아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칫솔모가 마련된 일단부가 치아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칫솔 바디는 치아의 세정시 인접한 치아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칫솔모가 마련된 일단부가 치아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칫솔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도록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헤드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칫솔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도록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칫솔을 파지한 상태에서, 가위질하듯이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오므렸다 펴는 쉬운 동작을 통해, 치아의 양면에서 동시에 세정효과가 높은 상하방향 칫솔질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 칫솔로 상하방향 칫솔질을 하기 어려워 횡으로 칫솔질을 하던 사람들에게 손쉽게 상하방향 칫솔질을 할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칫솔의 손잡이부를 가압할 때, 칫솔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부에서 바라본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칫솔의 손잡이부를 일층 가압할 때, 칫솔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부에서 바라본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칫솔의 헤드부와 연결부 간 결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가위질하듯이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오므렸다 펴는 쉬운 동작을 통해, 치아의 양면에서 칫솔모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치아(T)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더욱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칫솔(10)은 제1 칫솔 유닛(100), 제2 칫솔 유닛(200) 및 탄성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칫솔 유닛(100)은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제2 칫솔 유닛(200)과 시소(seesaw) 형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1 칫솔 유닛(100)은 통상의 가위 형태와 유사하게, 제2 칫솔 유닛(200)과 대칭되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칫솔 유닛(100)은 제1 칫솔 바디(110)와 제1 칫솔모(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칫솔 바디(110)는 제1 칫솔 유닛(100)의 전체적인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서 보듯이, 제1 칫솔 바디(1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1 칫솔 바디(110)의 일단부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칫솔의 높이방향(도1의 상하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칫솔 바디(110)의 일단부가 칫솔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므로, 치아 안쪽을 세정하기 위해 입안에 삽입되는 부분이 세정중인 치아 옆의 다른 치아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칫솔 바디(110)의 타단부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제1 칫솔 바디(11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1 칫솔 바디(110)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제2 칫솔 바디(210)와 "X"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칫솔 바디(110)와 제2 칫솔 바디(210)가 "X"자 형태로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제1 칫솔 바디(110)와 제2 칫솔 바디(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가위질하듯이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오므렸다 펴는 동작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칫솔 바디(110)의 일단부에는 제1 칫솔모(1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칫솔 바디(110)의 중간부는 회전축(400)을 매개로 제2 칫솔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칫솔 바디(110)의 타단부에는 제2 칫솔 바디(210)와 상호 탄성 지지되도록 탄성부재(3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1 칫솔 바디(110)는 손가락의 일측부가 파지 가능한 제1 손잡이부(111)와, 제1 칫솔모(120)가 장착되는 제1 헤드부(112)와, 제1 손잡이부(111) 및 제1 헤드부(1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13)와, 제1 손잡이부(111)에 마련되는 제1 고리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칫솔 바디(110)의 제1 손잡이부(111)는 칫솔질을 위해 손의 적어도 일부가 파지 가능한 부분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하고 용이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111)는 주로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칫솔 바디(110)는 사용자의 편안한 그립감을 위해, 고무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헤드부(112)는 제1 손잡이부(111) 및 제1 연결부(113)보다 연질인 재료, 예를 들어,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 실리콘 소재 또는 고무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헤드부(112)가 제1 손잡이부(111) 및 제1 연결부(113)보다 연질인 재료로 이루어지면, 제1 헤드부(112)에 구비된 제1 칫솔모(120)가 치아(T)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칫솔질 도중에 비틀려지더라도, 칫솔질이 끝난 후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기 용이하다.
그리고 제1 헤드부(112)는 제1 칫솔모(120)와 제1 연결부(11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헤드부(112)는 제1 연결부(113)의 단부에서 칫솔(10)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도 3 참고). 이때, 제1 헤드부(112)와 제1 연결부(113) 간의 연결 각도는, 사용자가 칫솔 손잡이를 오므릴 때 제1 칫솔모(120)가 치아(T)에 부딪히면서 그 힘으로 제1 헤드부(112)가 뒤틀림 회전을 하면서 제1 칫솔모(120)가 치아(T)의 상방향으로 미끄러져 올라가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각도로 설계될 수 있다(도 5 및 도7 참고). 본 실시예에서, 제1 헤드부(112)는 제1 연결부(113)의 단부에서 칫솔(10)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45도 이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에 접촉될 때,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의 브러쉬가 치아(T)의 내,외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접촉되면,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의 브러쉬가 치아(T)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를 통한 치아(T)의 칫솔질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113)는 제1 칫솔 바디(1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칫솔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는 제1 손잡이부(111) 및 제1 헤드부(11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는 제1 헤드부(112)의 하단부에 연결되므로, 제1 칫솔모(120)가 치아(T)를 푸시할 때, 제1 칫솔모(120)의 상단이 먼저 치아(T)에 닿은 상태에서 제1 칫솔모(120) 전체가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치아(T)의 상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기 용이하다. 제1 연결부(113)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제2 칫솔 바디(210)에 시소 형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리부(114)는 제1 손잡이부(111)에 원형의 고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고리부(114)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리부(114)에는 검지가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고리부(114)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오므렸다 펴는 동작을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 칫솔모(120)는 제1 칫솔 바디(110)의 단부, 다시 말해, 제1 칫솔 바디(110)의 제1 헤드부(112)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칫솔모(120)는 제1 브러쉬부(121) 및 제1 브러쉬 완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칫솔모(120)의 제1 브러쉬부(121)는 복수 개의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복수 개의 브러쉬는 치아(T)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칫솔모(120)의 제1 브러쉬부(121)가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브러쉬로 구성되면, 도 5 및 도 7에서 보듯이,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에 가압될 때,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는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치아(T)의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의 브러쉬들 중 나중에 치아(T)에 닿는 부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 경우 비틀림 회전 과정에서 그 부분 브러쉬들도 빠짐없이 치아(T)와 접촉하여 치아(T)의 내,외측면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제1 브러쉬 완충부(122)는 제1 칫솔 바디(110)의 제1 헤드부(112)와 제1 브러쉬부(121) 사이에 위치되어, 제1 브러쉬 완충부(122)는 제1 브러쉬부(12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브러쉬 완충부(122)에는 제1 브러쉬부(121)의 브러쉬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러쉬 완충부(122)는 연질 소재로 제작되어 제1 칫솔모(120)가 치아에 닿을 때 치아에 주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제2 칫솔 유닛(200)은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제1 칫솔 유닛(100)과 시소(seesaw) 형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2 칫솔 유닛(200)은 제2 칫솔 바디(210)와 제2 칫솔모(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칫솔 바디(210)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제1 칫솔 바디(110)와 대칭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서 보듯이, 제2 칫솔 바디(2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2 칫솔 바디(210)의 일단부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제2 칫솔 바디(210)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칫솔 바디(210)는 회전축(400)이 연결된 부위에서, 칫솔의 높이 방향으로 제1 칫솔 바디(11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칫솔 바디(210)의 타단부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제2 칫솔 바디(21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21 칫솔 바디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제1 칫솔 바디(110)와 "X"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칫솔 바디(210)의 일단부에는 제2 칫솔모(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칫솔 바디(210)의 중간부는 회전축(400)를 매개로 제1 칫솔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칫솔 바디(210)의 타단부에는 제1 칫솔 바디(110)와 상호 탄성 지지되도록 탄성부재(30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칫솔 바디(210)는 손가락의 타측부가 파지 가능한 제2 손잡이부(211)와, 제2 칫솔모(220)가 장착되는 제2 헤드부(212)와, 제2 손잡이부(211) 및 제2 헤드부(212)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213)와, 제2 손잡이부(211)에 마련되는 제2 고리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칫솔 바디(210)의 제2 손잡이부(211)는 칫솔질을 위해 손의 적어도 일부가 파지 가능한 부분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하고 용이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211)는 주로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칫솔 바디(210)는 사용자의 편안한 그립감을 위해, 고무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헤드부(212)는 제2 손잡이부(211) 및 제2 연결부(213)보다 연질인 재료, 예를 들어,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 실리콘 소재 또는 고무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헤드부(212)가 제2 손잡이부(211) 및 제2 연결부(213)보다 연질인 재료로 이루어지면, 제2 헤드부(212)에 구비된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칫솔질하는 도중에 비틀려지더라도, 칫솔질이 끝난 후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기 용이하다.
그리고 제2 헤드부(212)는 제2 칫솔모(220)와 제2 연결부(21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헤드부(212)는 제2 연결부(213)의 단부에서 제2 연결부(213)의 단부에서 칫솔(10)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도 3 참고). 이때, 제2 헤드부(212)와 제2 연결부(213) 간의 연결 각도는, 사용자가 칫솔 손잡이를 오므릴 때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에 부딪히면서 그 힘으로 제2 헤드부(212)가 뒤틀림 회전을 하면서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의 상방향으로 미끄러져 올라가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각도로 설계될 수 있다(도 5 및 도7 참고). 본 실시예에서, 제2 헤드부(212)는 제2 연결부(213)의 단부에서 칫솔(10)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45도 이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제2 연결부(213)는 제2 칫솔 바디(2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칫솔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13)는 제2 손잡이부(211) 및 제2 헤드부(21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3)는 제2 헤드부(212)의 하단부에 연결되므로, 제2 칫솔모(220)가 치아(T)를 푸시할 때, 제2 칫솔모(220)의 상단이 먼저 치아(T)에 닿은 상태에서 제2 칫솔모(220) 전체가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치아(T)의 상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기 용이하다. 제2 연결부(213)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제1 칫솔 바디(110)에 시소 형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리부(214)는 제2 손잡이부(211)에 원형의 고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고리부(114)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고리부(214)에는 엄지가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고리부(214)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오므렸다 펴는 동작을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 칫솔모(220)는 제2 칫솔 바디(210)의 단부, 다시 말해, 제2 칫솔 바디(210)의 제2 헤드부(212)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칫솔모(220)는 제2 브러쉬부(221) 및 제2 브러쉬 완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칫솔모(220)의 제2 브러쉬부(221)는 복수 개의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복수 개의 브러쉬는 치아(T)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칫솔모(220)의 제2 브러쉬부(221)가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브러쉬로 구성되면,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듯이,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에 푸시(가압)될 때,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는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치아(T)의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의 브러쉬들 중 나중에 치아(T)에 닿는 부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 경우 비틀림 회전 과정에서 그 부분 브러쉬들도 빠짐없이 치아(T)와 접촉하여 치아(T)의 내,외측면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제2 브러쉬 완충부(222)는 제2 칫솔 바디(210)의 제2 헤드부(212)와 제2 브러쉬부(221) 사이에 위치되어, 제2 브러쉬 완충부(222)는 제2 브러쉬부(221)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브러쉬 완충부(222)에는 제2 브러쉬부(221)의 브러쉬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제2 브러쉬 완충부(222)는 연질 소재로 제작되어 제2 칫솔모(220)가 치아에 닿을 때 치아에 주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제1 칫솔 바디(110) 및 제2 칫솔 바디(210)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300)는 제1 칫솔 바디(110) 및 제2 칫솔 바디(210) 사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 칫솔 바디(110) 및 제2 칫솔 바디(210)를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을 오므리면, 탄성부재(300)는 압축 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가 오므렸던 손가락을 펴면, 압축 상태의 탄성부재(30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은, 칫솔모의 교체를 위해, 칫솔모를 칫솔 바디에 착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칫솔모를 칫솔 바디에 착탈 가능하다는 점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한다.
제1 칫솔 바디(110)는 제1 손잡이부(111), 제1 헤드부(112), 제1 연결부(113), 제1 고리부(114) 및 제1 착탈수단(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13)는 제1 헤드부(11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들 제1 연결부(113)와 제1 헤드부(112) 간 결합 단부에는 제1 착탈수단(115)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착탈수단(115)은 제1 헤드부(112)를 제1 연결부(113)에서 착탈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착탈수단(115)은 제1 수 걸림부(115a) 및 제1 암 걸림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 걸림부(115a)는 제1 연결부(113)의 결합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 걸림부(115a)는 제1 연결부(113)의 결합 단부의 내경면에서 돌출되는 걸림 돌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암 걸림부(115b)는 제1 헤드부(112)의 결합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암 걸림부(115b)는 제1 수 걸림부(115a)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홈(groove)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홈 경로는 "L"자 형태로 제1 헤드부(112)의 결합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홈 경로에는 제1 연결부(113)와 제1 헤드부(112) 간 결합시, 제1 수 걸림부(115a)가 삽입 및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헤드부(112) 및 제1 연결부(113)의 결합 단부가 제1 수 걸림부(115a) 및 제1 암 걸림부(115b)를 통해 결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이들 제1 수 걸림부(115a) 및 제1 암 걸림부(115b) 이외에도, 제1 헤드부(112) 및 제1 연결부(113)의 결합 단부를 상호 착탈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착탈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칫솔 바디(210)는 제2 손잡이부(211), 제2 헤드부(212), 제2 연결부(213), 제2 고리부(214) 및 제2 착탈수단(2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213)는 제2 헤드부(21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들 제2 연결부(213)와 제2 헤드부(212) 간 결합 단부에는 제2 착탈수단(215)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착탈수단(215)는 제2 수 걸림부(215a) 및 제2 암 걸림부(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2 수 걸림부(215a) 및 제2 암 걸림부(215b) 구성은, 제1 착탈수단(115)의 제1 수 걸림부(115a) 및 제1 암 걸림부(115b)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은, 칫솔 바디의 헤드부에 복원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칫솔모의 원활한 비틀림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헤드부의 복원 부재를 통해 칫솔모의 원활한 비틀림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한다.
제1 칫솔 바디(110)의 제1 헤드부(112)는 제1 칫솔모(120)가 구비되는 제1 헤드 장착대(112a)와, 제1 착탈수단(115)이 제공되는 제1 헤드 연결대(112b)와, 제1 헤드 장착대(112a)와 제1 헤드 연결대(112b)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복원 부재(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원 부재(112c)는 제1 헤드 장착대(112a)가 비틀림 회전될 때, 제1 헤드 장착대(112a)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복원 부재(112c)는 제1 헤드 장착대(112a)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복원 부재(112c)는 제1 헤드 장착대(112a)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칫솔 바디(210)의 제2 헤드부(212)는 제2 칫솔모(220)가 구비되는 제2 헤드 장착대(212a)와, 제2 착탈수단(215)이 제공되는 제2 헤드 연결 대(212b)와, 제2 헤드 장착대(212a)와 제2 헤드 연결대(212b)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복원부재(2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원 부재(212c)는 제2 헤드 장착대(212a)가 비틀림 회전될 때, 제2 헤드 장착대(212a)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복원부재(212c)는 제2 헤드 장착대(212a)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복원부재(212c)는 제2 헤드 장착대(212a)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칫솔을 파지한 상태에서 가위질하듯이 손가락을 오므릴 때,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의 브러쉬가 치아(T)의 내,외측면에 부딪히면서 접촉 각도의 경사로 인해 제1 헤드 장착대(112a) 및 제2 헤드 장착대(212a)가 미끄러지듯이 비틀림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오므렸던 손을 펴게 되면, 제1 복원부재(112c) 및 제1 복원부재(112c)는 제1 헤드 장착대(112a) 및 제2 헤드 장착대(212a)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의 브러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복원부재(112c) 및 제2 복원부재(212c)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고무 소재 또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고무 소재 또는 나선형 스프링 이외에도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칫솔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칫솔의 제1 칫솔 바디(110)의 제1 손잡이부(111)와, 제2 칫솔 바디(210)의 제2 손잡이부(211)를 파지하면서, 손가락 중 검지를 제1 고리부(114)에 끼우고, 엄지를 제2 고리부(214)에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칫솔질하고자 하는 치아(T)의 양쪽에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를 위치시킨다.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되면, 가위질하듯이 손가락을 오므렸다 펴는 쉬운 동작을 반복하여 진행함으로써,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세정한다.
예컨대,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마주보게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오므리면, 탄성부재(300)가 압축되면서,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에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의 상단에 위치한 브러쉬가 치아(T)의 내,외측면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가압이 계속되면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의 내,외측면에 접촉하는 각도의 경사로 인해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치아(T)의 위쪽으로 미끄러져 올라가게 되고, 그와 같이 미끄러져 올라가는 과정에서 브러쉬들이 치아(T)의 내,외측을 동시에 세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오므렸던 손의 힘을 빼면, 압축 상태의 탄성부재(30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의 내,외측 표면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때 제1 복원부재(112c) 및 제2 복원부재(212c)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비틀림 회전 이전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이로써 치아(T)에 대한 칫솔질의 사이클이 1회 완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제1 칫솔 바디(110) 및 제2 칫솔 바디(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가위질하듯이 손을 오므렸다 펴는 쉬운 동작을 반복하여 진행하면, 제1 칫솔모(120) 및 제2 칫솔모(220)가 치아(T)의 내,외측면을 접촉하여 치아(T)의 위쪽으로 미끄러져 올라갔다가 되돌아오는 사이클이 반복되므로, 그 과정에서 치아(T)의 내,외측면이 깨끗하게 세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칫솔 유닛 110: 제1 칫솔 바디
111: 제1 손잡이부 112: 제1 헤드부
112a: 제1 헤드 장착대 112b: 제1 헤드 연결대
112c: 제1 복원부재 113: 제1 연결부
114: 제1 고리부 115: 제1 착탈수단
115a: 제1 수 걸림부 115b: 제1 암 걸림부
120: 제1 칫솔모 121: 제1 브러쉬부
122: 제1 브러쉬 완충부 200: 제2 칫솔 유닛
210: 제2 칫솔 바디 211: 제1 손잡이부
212: 제2 헤드부 212a: 제2 헤드 장착대
212b: 제2 헤드 연결대 212c: 제2 복원부재
213: 제2 연결부 214: 제2 고리부
215: 제1 착탈수단 215a: 제2 수 걸림부
215b: 제1 암 걸림부 220: 제2 칫솔모
221: 제1 브러쉬부 222: 제2 브러쉬 완충부
300: 탄성부재 400: 회전축

Claims (15)

  1. 제1 칫솔 바디와, 상기 제1 칫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칫솔모를 포함하는 제1 칫솔 유닛;
    상기 제1 칫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칫솔 바디와, 상기 제1 칫솔모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2 칫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 2 칫솔모를 포함하는 제2 칫솔 유닛; 및
    상기 제1 칫솔 바디 및 제2 칫솔 바디가 치아의 내,외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접촉할 때, 상기 제1 칫솔모 및 상기 제2 칫솔모가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상기 치아의 내,외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칫솔질하도록 상기 제1 칫솔 바디 및 상기 제2 칫솔 바디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칫솔 바디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칫솔모가 장착되는 제1 헤드부;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헤드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칫솔 바디에 시소 형태로 힌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헤드부를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착탈시키기 위한 제1 착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1 칫솔모가 구비되는 제1 헤드 장착대;
    상기 제1 착탈수단이 제공되는 제1 헤드 연결대; 및
    상기 제1 헤드 장착대가 비틀림 회전될 때, 상기 제1 헤드 장착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헤드 장착대와 상기 제1 헤드 연결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칫솔.
  2. 제1 칫솔 바디와, 상기 제1 칫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칫솔모를 포함하는 제1 칫솔 유닛;
    상기 제1 칫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칫솔 바디와, 상기 제1 칫솔모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2 칫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 2 칫솔모를 포함하는 제2 칫솔 유닛; 및
    상기 제1 칫솔 바디 및 제2 칫솔 바디가 치아의 내,외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접촉할 때, 상기 제1 칫솔모 및 상기 제2 칫솔모가 비틀림 회전을 하면서 상기 치아의 내,외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칫솔질하도록 상기 제1 칫솔 바디 및 상기 제2 칫솔 바디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칫솔 바디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칫솔모가 장착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헤드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칫솔 바디에 시소 형태로 힌지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칫솔 바디는
    제2 손잡이부;
    상기 제2 칫솔모가 장착되는 제2 헤드부;
    상기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헤드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부에 시소 형태로 힌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헤드부를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착탈시키기 위한 제2 착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드부는
    상기 제2 칫솔모가 구비되는 제2 헤드 장착대;
    상기 제2 착탈수단이 제공되는 제2 헤드 연결대; 및
    상기 제2 헤드 장착대가 비틀림 회전될 때, 상기 제2 헤드 장착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헤드 장착대와 상기 제2 헤드 연결대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칫솔.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수단은
    상기 제1 헤드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1 연결부의 결합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수 걸림부; 및
    상기 제1 수 걸림부가 걸려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의 결합 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1 헤드부의 결합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암 걸림부를 포함하는,
    칫솔.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탈수단은
    상기 제2 헤드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2 연결부의 결합 단부에 마련되는 제2 수 걸림부; 및
    상기 제2 수 걸림부에 걸려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의 결합 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2 헤드부의 결합 단부에 마련되는 제2 암 걸림부를 포함하는,
    칫솔.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칫솔모는
    상기 치아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1 브러쉬부; 및
    상기 제1 브러쉬부를 지지하는 제1 브러쉬 완충부를 포함하는,
    칫솔.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칫솔모는
    상기 치아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2 브러쉬부; 및
    상기 제2 브러쉬부를 지지하는 제2 브러쉬 완충부를 포함하는,
    칫솔.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칫솔 바디는
    치아의 세정시 인접한 치아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칫솔모가 마련된 일단부가 치아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칫솔.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칫솔 바디는
    치아의 세정시 인접한 치아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칫솔모가 마련된 일단부가 치아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칫솔.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칫솔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도록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칫솔.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칫솔의 높이방향에 대해서,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도록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칫솔.
KR1020200089016A 2020-07-17 2020-07-17 칫솔 KR10220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016A KR102204241B1 (ko) 2020-07-17 2020-07-17 칫솔
PCT/KR2021/007754 WO2022014886A1 (ko) 2020-07-17 2021-06-21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016A KR102204241B1 (ko) 2020-07-17 2020-07-17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241B1 true KR102204241B1 (ko) 2021-01-19

Family

ID=7423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016A KR102204241B1 (ko) 2020-07-17 2020-07-17 칫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4241B1 (ko)
WO (1) WO202201488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927A (ko) * 1991-12-18 1993-07-20 원본미기재 치솔 치솔
JPH0646525U (ja) * 1992-12-10 1994-06-28 貞彦 長江 歯ブラシ
JP2000125940A (ja) * 1998-10-23 2000-05-09 Michiya Sato 歯ブラシ
KR200468941Y1 (ko) 2013-03-08 2013-09-17 김리선 치아 광택용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9405B2 (ja) * 2002-03-27 2005-05-18 健次 田染 柄に生じるたわみを利用する双胴の柄、歯ブラシ、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管内清掃具、及びピンセット。
KR20170067573A (ko) * 2015-12-08 2017-06-16 이예나 칫솔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927A (ko) * 1991-12-18 1993-07-20 원본미기재 치솔 치솔
JPH0646525U (ja) * 1992-12-10 1994-06-28 貞彦 長江 歯ブラシ
JP2000125940A (ja) * 1998-10-23 2000-05-09 Michiya Sato 歯ブラシ
KR200468941Y1 (ko) 2013-03-08 2013-09-17 김리선 치아 광택용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886A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28B1 (ko) 칫솔
CN102651984B (zh) 具有设置在手柄内的本体的口腔护理器具
KR100983504B1 (ko) 상하방향의 동작패턴을 이용한 칫솔
CN101272712A (zh) 提供增强的清洁效果和舒适度的牙刷
CZ288851B6 (cs) Zubní kartáček
KR100637809B1 (ko) 혀 치솔
JP2000511790A (ja) 横歯ブラシ
JPH05502401A (ja) ブラシのない歯清浄器
KR101923642B1 (ko) 다면 진동 세정칫솔
KR102204241B1 (ko) 칫솔
KR20060086318A (ko) 다면 세정 칫솔
KR101069965B1 (ko) 회전 칫솔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CN210581518U (zh) 一种多功能运动牙刷
CN201055506Y (zh) 一种按摩牙刷
KR200472198Y1 (ko) 완충 칫솔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KR20190040428A (ko) 여러 개의 브러시 헤드가 있는 전동 칫솔
CN211354269U (zh) 一种刷毛可折叠式牙刷
US20120110767A1 (en) Apparatus for Polishing Teeth
BR112019021086B1 (pt)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tal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TWM483715U (zh) 保健牙刷
CN217185178U (zh) 一种带牙签功能的软胶齿间刷
CN217565221U (zh) 摆动自适应减震牙刷
CN210353682U (zh) 一种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