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98Y1 - 완충 칫솔 - Google Patents

완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98Y1
KR200472198Y1 KR2020130007671U KR20130007671U KR200472198Y1 KR 200472198 Y1 KR200472198 Y1 KR 200472198Y1 KR 2020130007671 U KR2020130007671 U KR 2020130007671U KR 20130007671 U KR20130007671 U KR 20130007671U KR 200472198 Y1 KR200472198 Y1 KR 200472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andle
bristles
head portion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식
Original Assignee
나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식 filed Critical 나성식
Priority to KR2020130007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1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means, e.g. with air buffers, air v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46B5/007Inse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 e.g. springs,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 칫솔에 관한 것으로,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동일체로 연장되어 파지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고, 상기 헤드부의 꺾임을 상기 칫솔모의 길이방향으로 허용하면서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완충연결부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헤드부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헤드부가 완충연결부에 의해 꺾이면서 완충되므로 치아나 잇몸 또는 치경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헤드부에 드레인이 구성됨에 따라 헤드부에 잔여하는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드레인을 통해 통풍되므로 칫솔모들의 건조시간이 단축되어 칫솔모에 박테리아나 세균의 증식되지 않으며,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들이 드레인에 의해 밀도가 감소됨에 따라 탄성변형공간이 확장되므로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 칫솔{SHOCK ABSORBING TOOTHBRUSH}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완충함으로써 치아나 잇몸 또는 치경부의 손상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완충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칫솔은 칫솔모가 고정된 헤드와 손잡이가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헤드와 손잡이가 동일한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일반적인 칫솔은 헤드와 손잡이가 동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손잡이를 통해 가해지는 힘이 그대로 헤드 및 칫솔모에 가해지게 된다.
즉, 일반적인 칫솔은 손잡이를 통해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과도한 힘이 헤드를 통해 구강에 전달되어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며, 치아와 잇몸의 경계인 치경부의 마모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칫솔은 헤드가 손잡이와 일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치아의 전면을 닦을 경우에는 팔이나 손목의 각도를 크게 들고 칫솔질을 해야하므로 불편함은 물론, 치아의 안쪽까지 닦아내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치아는 헤드부의 칫솔모를 상하로 운동시켜서 표면을 쓸어내는 형태로 양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칫솔의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일자형의 칫솔은 헤드부를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팔의 회전각도가 커지게 되어 피로도가 증가됨에 따라 헤드의 정확한 상하운동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결국에는 올바른 양치방식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칫솔의 헤드는 양치 후 건조가 되지 않거나 건조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칫솔모에 잔여하는 수분과 음식물 잔사에 의해 박테리아가 증식하여 개인위생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4574호에 제안된 트위스트 칫솔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칫솔모가 이식된 칫솔헤드부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파지가능하게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칫솔헤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칫솔목부를 구비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부에는 상기 칫솔모가 이식되는 칫솔모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비틀림 접촉면을 갖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칫솔모판이 부착되며, 상기 칫솔모판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비틀어져 트위스트 비틀림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칫솔헤드부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팔의 운동 각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칫솔은 칫솔헤드부와 손잡이부가 동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칫솔헤드부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완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칫솔은 칫솔헤드부가 꽈배기 형태로 비틀어져 제작됨에 따라 제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선행기술의 칫솔은 칫솔모를 건조시킬 수 있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칫솔모에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증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57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헤드부를 통해 치아나 잇몸 또는 치경부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완충시킬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팔의 운동각도를 크게 하지 않고도 헤드부의 칫솔모들을 치궁이나 치열에 부합시켜 양치할 수 있으며, 특히 헤드부나 칫솔모에 잔여하는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그리고, 헤드부를 상하운동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동일체로 연장되어 파지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고, 상기 헤드부의 꺾임을 상기 칫솔모의 길이방향으로 허용하면서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완충연결부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동일체로 연결하면서 연결부위에 가요성을 제공하는 플랙시블 바; 및 상기 플랙시블 바에 내장된 상태로 양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제각기 지지되고, 상기 플랙시블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플랙시블 바의 꺾임을 일방향으로만 허용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완충연결부와 동일상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완충연결부와 인접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중심축으로 만곡되면서 상기 칫솔모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만곡상태로 연결하는 만곡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만곡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5~10°의 각도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헤드부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에 잔여하는 수분을 배출하면서 상기 헤드부를 통풍시켜서 상기 칫솔모를 건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드레인은, 상기 헤드부에 관통형성되면서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하향경사로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가 결합된 전면의 수분을 상기 헤드부의 배면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손가락들을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면에 돌출형성되어 엄지손가락이 지지되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기를 제공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손잡이부의 배면에 홈형태로 연속형성되어 나머지 손가락들이 안착상태로 지지되는 지지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완충 칫솔에 의하면,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완충연결부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헤드부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헤드부가 완충연결부에 의해 꺾이면서 완충되므로 치아나 잇몸 또는 치경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가 만곡연결부에 의해 좌측이나 우측으로 만곡상태를 이루면서 손잡이부와 연결됨에 따라 팔의 운동각도를 감소시켜서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며, 헤드부가 용이하게 치열과 수평을 이룸은 물론, 헤드부의 곡률이 치궁의 곡률과 부합되어 정확한 칫솔질이 가능하므로 치간의 이물질 및 프라그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헤드부에 드레인이 구성됨에 따라 헤드부에 잔여하는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드레인을 통해 통풍되므로 칫솔모들의 건조시간이 단축되어 칫솔모에 박테리아나 세균의 증식되지 않는다.
더욱이,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들이 드레인에 의해 밀도가 감소됨에 따라 칫솔모들의 탄성변형공간이 확장되므로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를 구성하는 지지돌기를 통해 손잡이가 원활하게 회전되므로 헤드부의 상하운동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 칫솔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완충 칫솔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완충연결부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완충 칫솔에 의한 양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완충 칫솔에 의한 양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완충 칫솔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 손잡이부(200) 및 완충연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00)는 칫솔모(110)가 식모되어 칫솔모(110)와 동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헤드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통상적인 칫솔의 헤드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는 칫솔모(110)들의 묶음들이 제각기 식모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칫솔모(110)들이 식모된 미도시된 식모판이 매립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손잡이(200)는 후술되는 완충연결부(500)를 통해 헤드부(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손잡이(200)는 헤드부(1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헤드부(100)와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200)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와 같은 통상의 논슬립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완충연결부(500)는 전술한 헤드부(100)와 손잡이부(200)를 연결하면서 헤드부(100)의 꺾임을 허용하여 손잡이부(200)를 통해 헤드부(100)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완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완충연결부(50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바(510) 및 판스프링(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랙시블 바(5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 및 손잡이부(200)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헤드부(100)와 손잡이부(200)를 동일체로 연결하며, 연결부위에 가요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플랙시블 바(510)는 예컨대 고무재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플랙시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판스프링(5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바(510)에 내장된 상태로 양단부가 헤드부(100)와 손잡이부(200)에 제각기 지지됨에 따라 플랙시블 바(510)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설정된 폭을 가지므로 플랙시블 바(510)의 꺾임을 칫솔모(110)의 길이방향으로 허용한다.
즉, 헤드부(1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를 통해 과도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연결부(500)에 의해 꺾임에 따라 치아나 잇몸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치아나 잇몸 또는 치경부는 헤드부(11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연결부(500)는 판스프링(520)의 두께 변경을 통해 헤드부(100)가 꺾이는 힘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 40N의 힘에서 꺾이도록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어린이용의 경우 완충연결부(500)는 약 20N의 힘에서 꺾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른용의 경우에는 약 35N의 힘에서 꺾이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완충 칫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연결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곡연결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연결부(500)와 인접상태로 만곡 형성되거나 완충연결부(50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만곡형성되어 손잡이부(200)와 헤드부(100)를 만곡상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만곡연결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를 중심축으로 만곡되면서 칫솔모(110)에 직교하는 방향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만곡된다.
여기서, 만곡연결부(300)는 좌측 및 우측으로 만곡된 상태로 각각 제작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만곡연결부(300)의 만곡 각도(θ)는 손잡이부(200)의 중심축에 대하여 5~10°의 범위에서 다양한 각도로 제각기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치아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100)는 만곡연결부(300)에 의해 손잡이부(200)와 만곡상태로 연결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를 수평상태로 들지 않고도 치열과 수평을 이룰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궁의 곡률에 부합되는 형태로 치아를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완충 칫솔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레인(400)은 헤드부(100)의 칫솔모(110)들을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에 구멍형태로 관통형성되어 헤드부(100)에 잔여하는 수분을 배출하는 동시에 칫솔모(110)들을 통풍시켜서 건조시킨다.
이러한 드레인(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구성되어 헤드부(10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드레인(400)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0)의 전면에서 헤드부(110)의 배면을 향해 하향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레인(400)은 경사상태로 관통형성됨에 따라 칫솔을 세워서 수납할 경우 헤드부(100)에 잔여하는 수분을 헤드부(100)의 배면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키며, 칫솔을 눕혀 수납할 경우에도 헤드부(100)의 수분을 배출시킨다.
또한, 드레인(400)은 헤드부(100)의 배면으로 에어를 통풍시킴으로써 칫솔모(110)들을 건조시킨다.
이러한 드레인(400)은 칫솔모(110)들의 밀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칫솔모(110)들의 탄성변형공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칫솔모(110)들은 치아에 밀착되어 눕혀진 상태로 탄성변형된 후, 원상태로 리턴되면서 치아를 세정하게 되는데, 높은 밀도로 식모될 경우에는 원활하게 눕혀지지 못하게 되어 세정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칫솔모(110)들은 드레인(400)에 의해 밀도가 감소됨에 따라 탄성변형공간이 확장되어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착부(600)는 손잡이부(200)에 손가락들을 안착시켜 손잡이부(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헤드부(100)의 상하운동을 도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안착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가 지지되는 지지돌기(610)와 나머지 손가락들이 안착상태로 지지되는 지지홈(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200)는 지지홈(620)을 통해 지지된 상태로 파지되며, 지지돌기(610)가 엄지손가락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헤드부(100)를 상하운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완충 칫솔은, 칫솔모(110)가 식모된 헤드부(100)와 손잡이부(200)가 완충연결부(50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헤드부(10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헤드부(100)가 완충연결부에 의해 꺾이면서 완충되므로 치아나 잇몸 또는 치경부의 손상이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가 만곡연결부(300)에 의해 좌측이나 우측으로 만곡상태를 이루면서 손잡이부(200)와 연결됨에 따라 팔의 운동각도를 감소시켜서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며, 헤드부(100)가 용이하게 치열과 수평을 이룸은 물론, 헤드부(100)의 곡률이 치궁의 곡률과 부합되어 정확한 칫솔질이 가능하므로 치간의 이물질 및 프라그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헤드부(100)에 드레인(500)이 구성됨에 따라 헤드부(100)에 잔여하는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드레인(400)을 통해 통풍되므로 칫솔모(110)들의 건조시간이 단축되어 칫솔모(110)에 박테리아나 세균의 증식되지 않는다.
그리고, 안착부(600)를 구성하는 지지돌기(610)를 통해 손잡이(200)가 원활하게 회전되므로 헤드부(100)의 상하운동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헤드부 110 : 칫솔모
200 : 손잡이부 300 : 만곡연결부
400 : 드레인 500 : 완충연결부
510 : 플랙시블 바 520 : 판스프링
600 : 안착부 610 : 지지돌기
620 : 지지홈

Claims (7)

  1.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동일체로 연장되어 파지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고, 상기 헤드부의 꺾임을 상기 칫솔모의 길이방향으로 허용하면서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칫솔모의 밀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칫솔모의 탄성변형공간을 확장시키는 단수의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하향경사로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가 결합된 전면의 수분을 상기 헤드부의 배면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헤드부를 통풍시켜서 상기 칫솔모를 건조시키며,
    상기 완충연결부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동일체로 연결하며 가요성을 제공하는 플랙시블 바; 및
    상기 플랙시블 바에 내장된 상태로 양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각각 지지되고, 일정범위의 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플랙시블 바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플랙시블 바의 꺾임을 칫솔모의 길이방향으로 허용하며, 두께 변경을 통해 상기 헤드부가 꺽이는 힘을 설정할 수 있는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연결부와 동일체를 이루며 형성되거나 상기 완충연결부와 인접상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중심축으로 5~10°의 만곡 각도로 상기 칫솔모와 직교하는 방향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만곡상태로 연결하는 만곡연결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손가락들을 안착시켜 손잡이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헤드부의 상하운동을 도모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면에 돌출형성되어 엄지손가락이 지지되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지지돌기; 및
    상기 손잡이부의 배면에 홈형태로 연속형성되어 나머지 손가락들이 안착상태로 지지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30007671U 2013-09-12 2013-09-12 완충 칫솔 KR200472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71U KR200472198Y1 (ko) 2013-09-12 2013-09-12 완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71U KR200472198Y1 (ko) 2013-09-12 2013-09-12 완충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198Y1 true KR200472198Y1 (ko) 2014-04-09

Family

ID=5148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71U KR200472198Y1 (ko) 2013-09-12 2013-09-12 완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99A (ko) 2018-08-30 2020-03-10 하상완 잇몸 마사지 및 프라그 제거 효율이 향상된 칫솔
KR20200047060A (ko) * 2018-10-26 2020-05-07 나성식 멀티 세정형 치간칫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197A (ja) 2003-10-06 2005-04-28 Yutaka Ogiwara 穴付き歯ブラシ
KR200462204Y1 (ko) 2012-05-30 2012-08-30 이희돈 탄성 칫솔
KR101253594B1 (ko) 2012-12-12 2013-04-11 이희돈 칫솔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197A (ja) 2003-10-06 2005-04-28 Yutaka Ogiwara 穴付き歯ブラシ
KR200462204Y1 (ko) 2012-05-30 2012-08-30 이희돈 탄성 칫솔
KR101253594B1 (ko) 2012-12-12 2013-04-11 이희돈 칫솔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99A (ko) 2018-08-30 2020-03-10 하상완 잇몸 마사지 및 프라그 제거 효율이 향상된 칫솔
KR20200047060A (ko) * 2018-10-26 2020-05-07 나성식 멀티 세정형 치간칫솔
KR102203708B1 (ko) * 2018-10-26 2021-01-15 나성식 멀티 세정형 치간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102B (zh) 具有倾斜刷毛的牙刷
JP2008006282A5 (ko)
US2429740A (en) Toothbrush
KR20150090208A (ko) 교정용 칫솔
US20130333134A1 (en) Toothbrush Head and Ergonomic Toothbrush Handle
CN101969880B (zh) 具有双重旋转刷洗系统的牙刷
KR200472198Y1 (ko) 완충 칫솔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US8539632B2 (en) Toothbrush
US7363823B2 (en) Twin-headed toothbrush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WO2021012070A1 (zh) 牙刷握把改良
CN206413962U (zh) 巴氏刷牙法训练牙刷
KR20200025299A (ko) 잇몸 마사지 및 프라그 제거 효율이 향상된 칫솔
BR112019021086A2 (pt)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tal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JP7349324B2 (ja) 液状歯磨き剤塗布ブラシ
CN202233752U (zh) 一种新型牙刷
KR20160003092U (ko) 절곡된 각도를 갖는 칫솔
KR100592088B1 (ko) 칫솔헤드
KR200321486Y1 (ko) 칫솔
BR112019021096A2 (pt)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tal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WO2000076370A1 (en) Twin-headed toothbrush
KR200422439Y1 (ko) 칫솔
US20050005380A1 (en) Expandable elastic toothbrush
KR20110062584A (ko) 유연한 칫솔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