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155B1 -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155B1
KR102204155B1 KR1020190028912A KR20190028912A KR102204155B1 KR 102204155 B1 KR102204155 B1 KR 102204155B1 KR 1020190028912 A KR1020190028912 A KR 1020190028912A KR 20190028912 A KR20190028912 A KR 20190028912A KR 102204155 B1 KR102204155 B1 KR 10220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formulation
oil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622A (ko
Inventor
장선행
한상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155B1/ko
Priority to US17/427,888 priority patent/US20220117862A1/en
Priority to CN201980090206.9A priority patent/CN113347955B/zh
Priority to PCT/KR2019/007516 priority patent/WO2020184784A1/ko
Publication of KR2020010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캡슐을 포함하는 제1 제형; 및 색이 있는 유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제형;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외막은 아카시아 검과; 젤라틴 및 아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 검류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내부에는 유성 에몰리언트를 포함하고, 제2 제형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Capsule coloration cosmetic composition of changing capsule color}
본 발명은 사용시 2가지 제형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캡슐의 색상이 변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료 제품에 있어 심미적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색상이 포함된 캡슐을 사용하여 외관을 차별화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형에 적용시 색상이 변화하는 캡슐 조성물을 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현재까지 캡슐의 내부에 착색제를 포함하여, 캡슐을 파괴하고 나서야 비로서 색상이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한편, 피부 과학의 발달에 따라 점차 피부의 미백, 노화 방지, 여드름 완화 등 피부에 대한 효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화장품의 개념을 의약품과의 연장선상으로 확장시킨 기능성 화장품(Cosmeceuticals)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기능성 성분들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수분, 빛, 열, 산소 등에 의해 변질되기 쉬운 물질이 많기 때문에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변질되지 않고 본래의 활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안정화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서 기능성 성분들의 장기 안정성을 높이면서도, 심미적 효과를 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KR 10-034766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색상의 변화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슐을 포함하는 제1 제형; 및 색이 있는 유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제형;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외막은 아카시아 검과; 젤라틴 및 아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 검류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내부에는 유성 에몰리언트를 포함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제형 및 상기 제2 제형은 1:0.01~1:0.3의 중량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은 상기 제1 제형 전체 조성의 0.01~50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제형에는 물이 40~90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혼합 검류는 상기 캡슐 전체 조성의 1~10중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혼합 검류 중 아카시아 검과 다른 검류는 1:0.01~1:1 중량비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성 에몰리언트는 상기 캡슐 전체 조성의 10~90중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 조성에서 물은 상기 캡슐 전체 조성의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제형은 폴리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슐과 상기 폴리올이 1:1~1:3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용성 성분이 상기 제2 제형 전체 조성의 0.001~5.0중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제형에는 물이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자가 사용 직전에 캡슐을 포함하는 제1 제형과 유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제형을 혼합시 유용성 성분이 캡슐 내로 흡수되어 색상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유용성 성분이 캡슐로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조, 판매되어 소비자에게 도달될 때까지의 유통과정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하기 직전까지도, 물이 포함되어 있는 제1 제형과 분리되어, 물이 포함되지 않은 제2 제형에 포함되어 유통되므로, 유용성 성분의 장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1 제형 및 제2 제형의 혼합으로 유용성 성분이 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제1 제형에 혼합되어도, 제1 제형 내 포함된 캡슐 내로 유용성 성분이 흡수되어, 캡슐에 의해 2차적으로 다시 보호될 수 있어, 추가적인 장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용성 성분의 장기 안정성, 신뢰성뿐만 아니라 사용시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모습에 의해 사용자는 심미적 영향을 받으므로, 소비 욕구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용성 성분으로서 기능을 갖는 유용성 색소를 포함시키거나, 특정 기능과 함께 색소를 첨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을 색상만으로도 나타낼 수 있어, 노인들처럼 노안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기능성 화장료를 구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투명 캡슐을 포함하는 제1 제형 및 제2 제형을 혼합하여 캡슐 안으로 유용성 성분이 흡수되어 캡슐이 색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색이 있는 캡슐을 포함하는 제1 제형 및 제2 제형을 혼합하여, 색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색이 있는 유용성 성분이 캡슐 내로 흡수되어 색이 변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실험예 1에 따라서 물의 함량 변화에 따른 유용성 성분의 변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은 실험예 2에 따라서 캡슐 외막의 조성에 따른 유용성 성분의 흡수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실험예 3에 따라 캡슐 외막 및 캡슐 내부의 유성 에몰리언트 내로 유용성 성분의 유입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캡슐을 포함하는 제1 제형; 및 색이 있는 유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제형;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외막은 아카시아 검과; 젤라틴 및 아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 검류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내부는 유성 에몰리언트를 포함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캡슐의 내부는 물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캡슐'은 아카시아 검을 기반으로 하여 젤라틴, 아가, 젤란검, 셀룰로오스검, 아라비아고무나무검, 콜라겐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 외막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유성 에몰리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혼합 검류는 아카시아검 및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검 및 아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카시아검을 제외한 다른 검류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유용성 성분의 흡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은 투명 제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은 색소를 포함하여 색이 있는 캡슐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색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바람직하게 천연색소, 또는 유용성 색소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제형 및 상기 제2 제형은 1:0.01~1:0.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02~1:0.2,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5~1:0.1의 중량비로 포함된다. 상기 제2 제형의 함량이 1: 0.01 중량비보다 낮으면, 유용성 성분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고 색상의 변화가 눈에 띄지 않으며, 1:0.3 중량비보다 초과하면 장기 안정성이 떨어지며 1제의 변색이 가속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은 상기 제1 제형 전체 조성의 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8중량%로 포함된다. 캡슐이 0.01중량% 보다 적게 포함되면, 캡슐 컬러레이션 효과 및 유용성 성분의 장기 안정성 효과가 낮아질 수 있으며, 50중량% 보다 초과하여 포함되면, 오일감 증가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혼합 검류는 상기 캡슐 전체 조성의 1~10중량%, 바람직하게 2~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3~5중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혼합 검류의 함량이 1중량%보다 적게 포함되면 캡슐 형상이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10중량%보다 초과하여 포함되면 캡슐깨짐성 저하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카시아 검은 상기 캡슐 전체 조성의 0.1~7.0중량%, 바람직하게 1.0~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2~4중량%이다. 상기 아카시아 검의 함량이 0.1중량%보다 적게 포함되면, 캡슐이 형성되지 않고, 7.0중량%보다 초과하여 포함되면, 캡슐의 깨짐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
상기 혼합 검류 중 아카시아 검과 다른 검류는 1:0.01~1: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 1:0.02~1:0.7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 1:0.05~1:0.5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상기 아카시아 검류가 1:0.01의 중량비보다 적게 포함되면 유효성분의 흡수가 감소되고, 1:1의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깨짐성이 좋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성 에몰리언트는 상기 캡슐 전체 조성의 10~90중량%, 바람직하게 50~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80중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유성 에몰리언트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용성 성분의 흡수가 낮아질 수도 있고, 90중량%를 초과하면 캡슐의 형상 유지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 조성에서 물은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를 초과하여 물이 캡슐에 포함되는 경우 물에 의해 기능성에 영향을 받는 유용성 성분의 장기 안정성이 낮아질 수도 있다. 다만, 물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유용성 성분의 경우 물의 함량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제형에서 상기 캡슐과 상기 폴리올이 1:1~1:3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상기 폴리올이 캡슐에 대해 1:1의 중량비보다 적게 포함되면 제형의 투명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1:3의 중량비보다 많이 포함되면, 사용감이 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용성 성분이 상기 제2 제형 전체 조성의 0.001~5.0중량%, 바람직하게 0.001~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01~0.2중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제형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제형에서 물이 포함될 경우, 물과 접촉하여, 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는 유용성 성분의 장기 안정성이 떨어지며, 유용성 성분의 캡슐 내부로의 유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성 에몰리언트는 에틸헥시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옥타노에이트, 옥타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카보네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리퀴드파라핀, 바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렌,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렌. 디메치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은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습제는 아미노산,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글리세린, 글라이세롤폴리머, 히알루론산, 이노시톨, 락티톨, 말티톨, 말토오스, 만니톨, 천연보습인자, 폴리글리세릴 소르비톨, 메틸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1,2-헥산디올, 1,3-프로판디올, 솔비톨, 콜라겐, 및 아가(agar)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1,2-헥산디올, 1,3-프로판디올 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제형 및 상기 제2 제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폴리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말티톨,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1,3-프로판디올,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메틸프로판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제형은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점증제는 잔탐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카르보머(carbomer),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잔탄검, 카르보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또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제형은 및 상기 제2 제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중화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화제는 산성 또는 알카리성 물질로서, 상기 산성 물질은 시트르산(citric acid), 인산(phosphoric aicid)이고, 상기 알카리성의 물질은 수산화 나트륨(sodium hydroxide), 수산화 암모늄(ammonium hydroxide),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L-아르기닌(L-arginine),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트로메타민[Tromethamine 또는 (1,3-propanediol, 2-amino-2-(hydroxymethy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트리에탄올 아민, 아르기닌, 트로메타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색이 있는 유용성 성분은 유용성 색소, 항염증제, 노화방지제, 자외선 방어제, 수렴제, 항산화제, 발모제, 육모제, 보습제, 비타민류, 아미노산, 창상 치유 촉진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며, 본연의 색이 있거나, 색을 띄도록 가공된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아이줄렌은 파랑색, 이데베논(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코엔자임 Q10(유비퀴논)은 노랑-주황색, 아스타잔틴, 시코닌, 알칸닌은 붉은색, 비사보롤은 흰색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 색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공에 의해 변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용성 성분은 천연물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및 구아이아줄렌으로부터 선택된 항염증제;
비타민 A, D, 및 E로부터 선택된 비타민류;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아스타잔틴, 알칸닌, 및 시코닌로부터 선택된 항산화제;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창상 치료제; 및
유비퀴논 및 이데베논으로부터 선택된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용성 색소는 식물의 꽃, 잎, 열매 또는 뿌리에서 추출한 천연 색소 상기 유용성 천연 색소를 추출하는 식물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한련초, 인도멀구술나무 추출물(Neem Extract), 드럼스틱씨 오일, 강황, 참산호말, 아이비고드열매, 알로에베라, 로소니아 이너미스, 툴라시, 바질, 울금 및 가지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용성 적색 색소로는 인도멀구술나무잎 추출물, 드럼스틱씨 오일, 한련초 추출물이 있고, 유용성 노란색 색소로는 강황 추출물, 인도멀구술나무꽃 추출물, 인도멀구술나무잎 추출물, 인도멀구술나무껍질 추출물, 참산호말 추출물, 홀리바실잎 추출물, 드럼스틱씨 오일이 있으며, 유용성 청색 색소로는 인도멀구술나무잎 추출물, 인도멀구술나무꽃 추출물, 아이비고드열매 추출물, 가지 추출물, 알로에베라꽃 추출물, 호호바씨오일, 홀리바실잎 추출물, 강황 추출물, 참산호말 추출물 등이 있다.
상기 한련초(Eclipta Prostrata)는 지혈, 양혈, 진정, 향균 작용, 모발성장촉진작용 및 모발을 검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상기 인도멀구술나무 추출물(Neem, Awadirachta indiac/Melica Awadirachta)은 여드름 치료 효능이 있어 기초제품 및 샴푸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드럼스틱나무씨(Moringa pterygosperma seed)는 드럼스틱나무의 씨았으로, 모팅가 나무로 더 많이 불리어지며, 콩과 식물로서 나뭇잎과 열매는 물론 나무 전체를 식용으로 하는 열대성 나무로서 다량의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 등 90가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강황(Curcuma longa Linne)은 생강과 다년생 초본으로서, 강황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인 커큐민(curcumin)은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효능이 우수하다.
상기 참산호말(Corallina Officinalis)는 홍조류 산호말과의 해조류로서 피부진정 효과가 뛰어난 칼라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다.
상기 아이비고드 열매(Coccinia Indica)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조절하는 생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알로에베라(Aloe Vera, Barbados aloe)는 그 잎에 함유된 젤 형태의 수액은 화상과 관절염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호호바씨오일(Joioba Oil)은 호호바(Simmondsia chinensis 또는 Simmondsia califormica Nattall)의 종자에서 얻은 고급불포화알코올과 불포화지방산의 왁스에스테르이며, 피지분비를 조절하고 모공의 노폐물을 녹여주어 피지 조절에 효과가 있다.
상기 로소니아 이너미스(학명: Lawsonia inermis)는 모발의 회복과 두피 건강에 도움을 주고 트리트먼트 효과가 있어 헤어 제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붉은 계열의 헤나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툴라시(Thulasi, 학명: Ocimum sanctum)는 아유르베다 허브로써 종교적 목적이나 항균제 등의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바질(basil, 학명: Ocimum Basilicum)로 머리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어 관상용, 식용 또는 향료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울금(학명: Curcuma Longa)은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어 약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노란색 색소로 견, 면 염색이나 식품의 착색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가지(학명: Solanum Melongena)는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쌍떡잎 식물이며 주로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천연 색소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씻어서 건조한 후 잘게 부순 식물을 용매에 넣어 추출 및 여과하고 얻어진 추출액에서 색소 성분을 분리한 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천연 색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제형은 가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용화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마자(castor) (리시너스 커뮤니스(Ricinus communis)) 오일, 세레신, 세테아레스-5(ceteareth-5), 세테아레스-12, 세테아레스-2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cetearyl octanoate), 세테스-20(ceteth-20), 세테스-24, 세틸 아세테이트, 세틸 옥타노에이트, 세틸 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옥타도데세스-16(octyldodeceth-16), 글리세릴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glyceryl hydroxystearate),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 폴리글리세릴-10 리놀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 myristate), 글리세릴 올리에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SE, PEG-7 수소화된 피마자 오일, PEG-40 수소화된 피마자 오일, PEG-60 수소화된 피마자 오일, PEG-20 메틸 글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PEG-40 소르비탄 페롤리에이트, PEG-2 스테아레이트, PEG-8 스테아레이트, PEG-20 스테아레이트, PEG-32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소르베이트85, 포타슘 미리스테이트, 포타슘 팔미테이트, 및 C12-C13 파레스-12(C12-13pareth-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1 제형에 함유되는 용매는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으나, 정제수, 폴리올류 또는 휘발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glycol), 1,3-프로판디올(1,3-propandiol) 또는 에탄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이다.
제2 제형에 함유되는 용매는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으나, 폴리올류가 주로 사용되며, DPG(dipropylene glycol)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glycol) 또는 1,3-프로판디올(1,3-propandiol)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glycol) 또는 1,3-프로판디올(1,3-propandiol)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3-프로판디올(1,3-propandiol)이다.
상기 용매는 제1 제형의 경우 제1 제형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9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제2 제형의 경우 제2 제형의 조성물 총 중량 60~95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자극완화제,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등과 같이 제품의 보존 안정성 및 상품성 향상을 위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여러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극완화제는 카바카바, 알로에베라젤, 마치현추출물, 자몽추출물, 라벤더추출물, 윌로우허브 추출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은 용해조에 정제수, 아카시아검과, 아카시아검 외 다른 검류, 방부제를 계량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70~90℃에서 가온한다. 여기에 미세유체기술을 적용하여 30~50℃로 냉각상태에서 유성 에몰리언트을 내포하는 캡슐을 만든다. 캡슐을 정제수, 폴리올, 방부제, 검류 등으로 구성 된 버퍼용액을 채워 최종적으로 보관이 용이한 캡슐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 점증제, 중화제, 기타 첨가제 및 적량의 용매를 계량하고 분산시킨 후, 미리 제조된 캡슐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제1 제형을 제조한다. 또한, 유용성 성분, 폴리올, 가용화제 및 기타 첨가제와 용매를 계량하고 분산하여 제2 제형을 제조한다. 이렇게 각각 제조된 투명한 캡슐을 포함하는 제1 제형과 색상을 갖는 유용한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제형은 별도의 케이스 또는 제2 제형을 분리하여 충진 가능한 용기에 담아 유통시킨다.
상기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구입한 사용자는 사용전에 제1 제형에 제2 제형을 첨가하여, 제1 제형의 캡슐이 제2 제형의 색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 제형의 기능성 성분들이 캡슐 내부로 흡수됨에 따라, 기능성 성분이 캡슐 내부에 내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에 대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에 의하면, 투명 캡슐을 포함한 제1 제형과 유용성 성분인 구아이아줄렌(파랑)을 포함하는 제2 제형을 혼합한 경우 혼합한 후 3시간 후 서서히 유용성 성분이 캡슐에 침투하기 시작하여, 캡슐 내로 완전히 침투하여 캡슐이 파랑색으로 변화하고, 캡슐을 포함하는 제형은 투명 상태로 보여진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 사진으로부터 사용자는 제1 제형의 캡슐 내로 유용성 성분이 완전히 흡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더불어 색상 변화에 따른 미적 외관의 변화로 구매욕구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물과 만나면 활성이 저하되는 유용성 성분이 사용 전까지 다량의 물과 접촉이 배제되고, 사용을 위해 혼합 후에도 캡슐 내 오일 내로 용해되어 보관되므로, 장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에 의하면, 노란색 유용성 색소를 포함하여 노란색을 띠는 노란색 캡슐이 포함된 제1 제형과 파랑색을 띠는 유용성 성분인 구아이아줄렌을 포함하는 제2 제형을 혼합하여 완전히 침투된 후, 노란색 캡슐 내에 파란색 유용성 성분이 포함된 캡슐 컬러레이션된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다.
도 3에 의하면, 각각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유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을 사진이다. 이와 같이 색상만으로도 각 에센스의 성분들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각 화장료의 피부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주고, 화장료의 라벨을 자세히 들어다 보지 않아도 손쉽게 화장료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유용성 성분이 사용자가 제1 제형과 제2 제형을 혼합하기 전까지는 물에 민감한 유용성 성분이 물과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어, 장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유용성 성분의 장기 안정성 실험
유용성 성분이 물에 의해 구조가 변형되어 활성이 변화되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용성 성분과 물을 단계적으로 포함시켜 그 변색 정도를 관찰하였다. 유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제형을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제조한 후, 유용성 성분의 장기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실험 조건 및 결과는 표 1 및 도 4[(a) 참조 실시예 1, (b) 참조 비교예 1, (c) 참조 비교예 2, (d) 참조 비교예 3, (e) 참조 비교예 4]에 나타내었다. 다만 하기 참조 실시예 1, 참조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은 유용성 성분에 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하기 제형이 본 발명의 제2 제형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유용성 성분의 경우, 물의 함량이 증량될 수도 있다.
(단위: 중량%)
성분(제2제) 참조
실시예1
참조
비교예1
참조
비교예2
참조
비교예3
참조
비교예4
정제수 - 5 20 40 80
유용성
성분
구아이아줄렌 0.05 0.05 0.05 0.05 0.05
폴리올 (a)글리세린,
(b) 1,3-프로판디올
(a):(b)의 중량비는 1:1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가용화제 (c)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d)PEG-40 수소화된 피마자 오일
(c):(d)의 중량비 1:1
1.0 1.0 1.0 1.0 1.0
총 함량 100 100 100 100 100
유용성
성분의
변성
가혹 안정도
(40 ℃, 4 주)
-
미세 변색 미세 변색, 탈색 변색,
탈색
변색, 탈색
일광 안정도
(4 주)
- 미세 변색 미세 변색, 탈색 변색,
탈색
변색, 탈색
형광 안정도
(4 주)
- 미세 변색 미세 변색, 탈색 변색,
탈색
변색, 탈색
유용성
성분
함량(%)
가혹 안정도
(40 ℃, 8 주)
97±0.91 75±0.8 50±0.72 20±0.91 15±0.81
일광 안정도
(8 주)
95±0.91 70±0.71 48±0.62 18±0.84 13±0.75
형광 안정도
(8 주)
71±0.81 45±0.71 19±0.82 12±0.94
상기 표 1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용성 성분은 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안정성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캡슐 외막 조성에 따른 유용성 성분의 흡수 평가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캡슐을 제조한 후 하기와 같이 제1 제형을 제조하고, 유용성 성분으로서, 파랑색의 구아이아줄렌을 포함하는 제2 제형을 제조하여, 제1 제형과 제2 제형을 혼합하였다. 상온에서 6시간 경과 후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표 2,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하기 제1 제형 및 제2 제형의 중량%는 제1 제형 및 제2 제형의 총 함량을 100중량%로 기준한 것이다.
캡슐의 제조
상기 캡슐은 표 2의 조성으로 계량하여, 용해조에 정제수, 아카시아검과, 아카시아검 외 다른 검류, 방부제를 계량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80℃에서 1시간 가온한 후, 미세유체기술을 적용하여 40℃로 냉각상태에서 유성 에몰리언트을 내포하는 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을 정제수, 폴리올, 방부제, 검류 등으로 구성된 버퍼용액을 채워 최종적으로 보관이 용이한 캡슐을 제조한다.
제1 제형의 제조
상기 제조된 캡슐 5중량%, 중화제로서 트로메타민 0.1중량%, 점증제로서 카르보머 0.2중량%, 폴리올로서 글리세린 10중량% 및 74.7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제1형을 제조하였다.
제2 제형의 제조
구아이아줄렌 0.01중량%, PEG-40 하이드로제네티드 피마자 오일 0.5중량%, 글리세린 9.49중량% 를 혼합하여, 제2 제형을 제조하였다.
캡슐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제1 제형과 제2 제형을 1: 0.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혼합한 후, 제2 제형의 유용성 성분이 제1 제형의 캡슐 내로 혼입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 및 도 5 및 6으로 각각 확인하였다.
(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카시아세네갈검 3 3 3 - -
젤라틴 2 - - 2 -
아라비아고무나무검 - - - - 3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 - - - -
셀룰로오스검 - - - 3 -
아가 - 2 - - 2
젤란검 - - 2 - 0.3
디메치콘:스쿠알렌= 1:1의 중량비 82.0 82.0 82.0 82.0 82.0
글리세린 2.0 2.0 2.0 2.0 2.0
캡슐 투과 정도 확인
(6시간 경과 후)
캡슐 내로
유용성 성분
이동
캡슐 내로
유용성 성분
이동
이동하지
않음
이동하지
않음
이동하지
않음
표 2,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아카시아 검을 포함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제형의 경우 동일 시간에서 유용성 성분의 침투가 용이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 아카시아검과 젤라틴, 아카시아검과 아가를 함께 포함하는 실시예1과 2의 경우 캡슐 내부로 유용성 성분이 완전하게 흡수되나, 아카시아검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이나, 젤라틴이나 아가를 포함하지만 아카시아검이 없는 비교예 2와 3의 경우 제조된 캡슐의 경우 유용성 성분이 캡슐 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캡슐 외부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서만, 색상의 변화, 유용성 성분의 캡슐 내로의 유입을 달성할 수 있어, 심미감과 더불어 유용성 성분의 장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험예 3: 캡슐 내부의 유성 에몰리언트로 유용성 성분의 유입 확인
캡슐의 변색이 캡슐 외막의 변색이 아니라 캡슐 내부의 유성 에몰리언트로 유입되어 변색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은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3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4 비교예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카시아 세네갈 검 3 3 3 3
젤라틴 2 - 2 -
아가 - 2 - 2
디메치콘:스쿠알렌= 1:1의 중량비 82 82 - -
보습제 3 3 3 3
결과 (2주 경과) 캡슐 내로
유용성 성분의 이동 확인
캡슐 내로
유용성 성분의 이동 확인
캡슐 내로
이동되지 않음
캡슐 내로
이동되지 않음
상기 표 3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캡슐 내 오일이 존재하지 않는 비교예 4 및 5의 경우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유용성 성분이 캡슐의 외막에 존재하지 않고 캡슐 외막을 투과하여 유성 에몰리언트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을 위해 제1 제형과 제2 제형을 혼합한 후에도, 유성층에서 보관되어 장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험예 4: 혼합 검류 함량 변화에 따른 캡슐의 제조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 전체의 95% 이상이 온전한 형상을 유지한 경우를 양호라 하고, 80~95%가 온전한 형상을 유지한 경우를 보통이라고 하고, 80% 이하로 온전한 상태를 유지한 경우를 일부 변형이라고 하였다.
(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카시아 세네갈검: 젤라틴 =
1: 0.5 중량비의 혼합 검류
3 7 1 10
디메치콘:스쿠알렌=
1:1의 중량비
82.0 82.0 82.0 82.0
글리세린 2.0 2.0 2.0 2.0
캡슐 상태 양호 양호 캡슐 두께
얇게 형성
캡슐 두께
두껍게 형성
캡슐 형태 유지성
(6개월 후)
양호 양호 일부변형 일부변형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카시아 검을 포함하는 혼합 검류로 캡슐을 제조한 경우, 캡슐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범위로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장기 보관시 캡슐의 일부가 그 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한 범위로 캡슐을 조성하는 것이 장기 안정성에 보다 바람직하다.
실험예 5: 아카시아 검의 함량에 따른 캡슐의 장기 형상 유지성 평가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캡슐을 제조하고, 캡슐의 형상 장기 유지성을 평가하였다. 혼합 검류의 함량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평가 방법은 실험예 4와 동일하다.
(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아카시아세네갈검 5 0.5 6 2
캡슐 형태 유지성
(6개월 후)
양호 보통 보통 양호
상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서 아카시아 검을 포함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경우, 캡슐의 형상이 장기간 유지되는 것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따라서 장기 안정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범위로 아카시아 검이 포함하도록 캡슐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6: 캡슐레이션 여부에 따른 유용성 성분 역가유지력 평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캡슐레이션이 유용성 성분의 역가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PLC를 이용하여 구아이아줄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4의 조성으로 캡슐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빛과 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25 ℃에서 보관되었으며, 3일차와 1달차에 HPLC (Promience 20 set, Dongil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하기 표6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아이아줄렌 함량 분석 결과(단위: 중량%)
실시예3 비교예4
3일 0.00093 0.00088
1달 0.00090 0.00075
상기 표 6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용성 효능성분인 구아이아줄렌의 캡슐레이션이 이루어진 실시예3의 경우 캡슐레이션이 되지 않은 비교예 4에 비해 역가 유지력이 20% 가량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12)

  1. 캡슐을 포함하는 제1 제형; 및
    색이 있는 유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제형;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외막은 아카시아 세네갈 검과; 젤라틴 및 아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 검류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내부에는 유성 에몰리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형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형 및 상기 제2 제형은 1:0.01~1:0.3의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제1 제형 전체 조성의 0.0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검류는 상기 캡슐 전체 조성의 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검류 중 아카시아 검과 다른 검류는 1:0.01~1:1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에몰리언트는 상기 캡슐 전체 조성의 10~9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형은 폴리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슐과 상기 폴리올이 1:1~1: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성분이 상기 제2 제형 전체 조성의 0.00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있는 유용성 성분은 본연의 색이 있거나, 색을 띄도록 가공된 유용성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내부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세트이고,
    상기 제1 제형 및 상기 제2 제형이 별도로 포장 및 유통되어,
    사용시 사용자가
    제1 제형에 제2 제형을 첨가하여 제2 제형의 유용성 성분이 제1 제형의 캡슐의 내부 유성 에몰리언트에 흡수되어 색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세트.
KR1020190028912A 2019-03-13 2019-03-13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220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12A KR102204155B1 (ko) 2019-03-13 2019-03-13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US17/427,888 US20220117862A1 (en) 2019-03-13 2019-06-21 Coloration cosmetic composition with variable-color capsules
CN201980090206.9A CN113347955B (zh) 2019-03-13 2019-06-21 具有可变颜色胶囊的着色化妆品组合物
PCT/KR2019/007516 WO2020184784A1 (ko) 2019-03-13 2019-06-21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12A KR102204155B1 (ko) 2019-03-13 2019-03-13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22A KR20200109622A (ko) 2020-09-23
KR102204155B1 true KR102204155B1 (ko) 2021-01-18

Family

ID=7242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912A KR102204155B1 (ko) 2019-03-13 2019-03-13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17862A1 (ko)
KR (1) KR102204155B1 (ko)
CN (1) CN113347955B (ko)
WO (1) WO20201847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583B1 (ko) * 2009-09-02 2010-08-27 (주)바이오제닉스 화장품용 색조캡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제
KR20130060663A (ko) * 2011-11-30 2013-06-10 코웨이 주식회사 물리적 혼합을 통해 순간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층 분리형 화장료 조성물
CN104168873B (zh) * 2012-01-17 2017-09-12 欧莱雅 变色组合物
WO2013107000A1 (en) * 2012-01-17 2013-07-25 L'oreal Colour changing composition
KR101557369B1 (ko) * 2013-10-11 2015-10-08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0070A (ko) * 2014-10-01 2016-04-12 한국콜마주식회사 기능성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CN105326649B (zh) * 2015-11-30 2018-03-09 重庆小丸科贸有限公司 一种变色胶囊
KR102130298B1 (ko) * 2018-09-11 2020-07-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47955A (zh) 2021-09-03
KR20200109622A (ko) 2020-09-23
US20220117862A1 (en) 2022-04-21
CN113347955B (zh) 2024-02-09
WO2020184784A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6482A1 (zh) 护肤化妆品组合物
EP1324747B1 (d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pflanzenextrakten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EP1640042B1 (de) Kosmetisches Aufhellungs- und Reinigungsmittel für die Haut enthaltend Extrakte aus Lotus, Kiwi, Orchideen und Süssholz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9468597B1 (en) Stabilized L-ascorbic acid skin serum
Sudhir et al. Nigella sativa seed, a novel beauty care ingredient: A review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JP2011032195A (ja) 老化防止化粧料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EP0306853B1 (de) Kosmetisches Präparat mit germiziden Eigenschaften
EP2100593B1 (de) Mischungen mit Collagensynthese steigernder Wirkung
EP1371350B1 (de) Kosmetisches Gelprodukt auf Basis von Ölen und Gelierungsmitteln
JP4757445B2 (ja) 皮膚を白くする化粧料
JPH09227353A (ja) 美白化粧料組成物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JP2003104865A (ja) 皮膚外用剤
KR102204155B1 (ko)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JP4035481B2 (ja) 皮膚外用剤
KR20140000882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09115216A1 (de) Verwendung eines bestandteils oder extraktes aus der baobab-pflanze bei hauterkrankungen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46522B1 (ko) 천연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260792A (zh) 包含天然复合物的用于预防或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