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070B1 -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070B1
KR102204070B1 KR1020190014117A KR20190014117A KR102204070B1 KR 102204070 B1 KR102204070 B1 KR 102204070B1 KR 1020190014117 A KR1020190014117 A KR 1020190014117A KR 20190014117 A KR20190014117 A KR 20190014117A KR 102204070 B1 KR102204070 B1 KR 10220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participant
digital object
digital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896A (ko
Inventor
박민수
김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레딧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레딧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레딧체인
Priority to PCT/KR2019/0015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56488A1/ko
Publication of KR2019009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크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블록체인 네크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은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가 디지털 객체(씨앗)를 생성하는 단계;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디지털 객체를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면, 상기 양도된 디지털 객체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되거나, 유효객체(열매)로 전환된 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디지털 객체의 양도 및 전환에 관한 정보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원장(ledger)에 기록되고, 그 디지털 객체는 다른 참여자에게 양도되지 않은 채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FOR BLOCK-CHAIN NETWORK PARTICIPANTS}
본 발명은 블록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용(Credit) 또는 신뢰(Trust)의 의미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믿음의 정도로서 사람과의 관계를 이어주는 바탕이 된다. 공동체 사회는 신뢰를 기반으로 하여 물물교환 및 외상거래를 하고 있으며, 신용(Credit)와 신뢰(Trust)는 같은 의미로 해석된다.
1차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경제활동이 증가하였고, 신용의 측정이 필요하였으며, 다소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신용도를 수치화 하였다. 이렇게 수치화된 신용도를 이용하여 모든 경제행위에 신용을 활용하고 신용평가의 데이터화 및 체계화를 구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신용평가회사는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신용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금융소외자의 인구는 후진국일수록 많다. 또한 신용정보의 집중화 및 관리 독점에 따른 폐해로 개인정보 유출로 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비용으로 전가된다. 신용평가 기관은 신용정보 사용료로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정보관리 관련 정책 수립 및 개선에 따른 간접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신용등급 정보 관리 소홀에 따른 금융거래 불이익으로 개인은 이자 비용이 증가하고,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며, 기업은 대외 신인도 하락으로 자금조달이 어렵게 된다.
자격증이나 학력, 시간, 구매 등은 개인의 통제하에 이루어지며 개인에게 소유권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신용정보에 대한 소유권은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신용정보는 한계가 있다. 즉, 과거 기준으로 현재와 미래의 가치가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신용정보의 소유권을 개인에게 귀속시키고, 신용정보를 자산화 함으로써 개인 소득을 증대시키고,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신용정보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정보를 담은 하나의 블록이 이전의 블록과 다음의 블록을 고유 값으로 상호 참조하도록 하여 체인처럼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P2P네트워크에 참여한 피어들(peers) 또는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기 위한 참여자들이 P2P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모든 블록을 저장함으로써 누구나 거래 내역의 조회가 가능하고 특유의 작업 증명 방식으로 작업을 증명한 자에게 자체적으로 발행한 재화를 보상하는 절차와 대차 형태의 잔액 가감 절차를 사용하는 전문 형식의 성격을 띄고 있는 기술이다.
현재 널리 알려진 블록체인은 암호화폐(crypto currency)를 사용하고 있는데, 종래의 암호화 화폐에서는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대표적으로 채굴(mining)이라는 방식을 이용했다. 채굴이라는 기술적 방식은 참여자 간의 가상 화폐 송금 시 송금의 정합성을 확인 하는 작업과, 새롭게 생성될 블록체인의 해시 값을 찾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러한 방식은 채굴기라는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한다. 채굴을 하면 그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채굴에 대한 개인이나 기업 국가 간 불균형 불평등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2P AirDrop 방식을 적용하여 코인 분배의 불평등과 불균형을 해소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를 확대하기 위해 블록체인 참여자를 보상할 수 있고 개인의 신뢰지수를 산출에 이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은,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가 디지털 객체(씨앗)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면, 상기 양도된 디지털 객체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되거나, 유효객체(열매)로 전환된 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객체의 양도 및 전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원장(ledger)에 기록되고, 상기 디지털 객체는 다른 참여자에게 양도되지 않은 채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은 일정 기간 이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들의 양도인과 양수인이 동일한 경우, 상기 디지털 객체들이 양도되는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또는 양도되는 횟수가 빈번해질수록 상기 디지털 객체의 상기 가치객체 또는 유효객체로의 전환 비율이 작아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는 매일 무상으로 일정 개수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객체는 하루에 미리 정해진 개수(N) 생성되고, 상기 가치객체는 상기 디지털객체의 개수보다 작은 수(M) 만큼 할당되고, 상기 디지털객체의 총수(N)와 상기 가치객체의 총수(M)의 비율에 의해 가치객체로 전환되는 유효객체 수가 결정되고, 상기 유효객체와 가치객체는 일대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와 누적 디지털객체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할 때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 또는 양수한 디지털 객체 누적수는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도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에 따라 정량적으로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방법은,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받은 디지털 객체들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양도한 이력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한 로그인 기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블록체인 활동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활동 내역이 없는 블록체인 참여자가 보유하고 있는 유효객체 또는 가치객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은, 디지털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제공 받으며, 상기 제공받은 디지털 객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하는 제1 블록체인 참여자; 상기 제1블록체인 참여자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하는 제2 블록체인 참여자; 상기 제2블록체인 참여자가 양수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모듈; 및 상기 디지털 객체의 양도 및 전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체인 원장(ledge)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객체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직접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지 않은 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기간 이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들의 양도인과 양수인이 동일한 경우, 상기 디지털 객체들이 양도되는 간격이 짧을수록 또는 양도되는 횟수가 빈번해 질수록 상기 디지털 객체의 상기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의 전환 비율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객체는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매일, 무상으로 일정 개수가 블록체인 참여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에 의해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면, 상기 양도된 디지털 객체를 유효객체(열매)로 전환하고, 상기 유효객체(열매)는 적립 가능하며, 상기 적립된 유효객체를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한다.
상기 디지털 객체는 하루에 일정 개수(N) 생성되고, 상기 가치객체는 미리 정해진 개수(M)로 할당되고, 상기 디지털 객체의 총(N)수와 상기 가치객체의 총수(M)의 비율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가 가치객체로 전환되는 유효객체 수가 결정되고, 상기 유효객체와 가치객체는 일대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시스템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와 누적 디지털객체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뢰도 산출모듈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할 때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와 누적 디지털 객체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도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에 따라 정량적으로 다르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공적(public)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사적(private)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받은 디지털 객체들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양도한 이력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한 로그인 기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블록체인 활동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블록체인 활동 내역이 없는 블록체인 참여자가 보유하고 있는 유효객체 또는 가치객체를 회수하는 블록체인 참여자 관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재된 발명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에 의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블록체인 참여자를 보상함으로써 블록체인 시스템 참여자를 확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의 신뢰지수(신용)을 계량화함으로써 신용의 가치측정이 가능하고, 개인의 신용정보의 소유권을 개인에게 귀속하게 하며, 신용을 개인 스스로 생성 및 관리하고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생활 밀착형 블록체인을 제공할 수 있고, 발명이 적용되는SNS 등 개인이 속한 네트워크에서 본인의 활동 결과에 따라 신뢰 수준이 변화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뢰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지수를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용정보를 자산화하고 거래하여 개인소득이 증대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신용 체인(My Credit Chain : MCC)을 통해 제공되는 토큰(코인)을 통해 자유로운 P2P 신용거래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체인으로 신용정보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다른 블록체인에서 신용정보의 활용이 가능한 Open API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용체인 토큰으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신용정보 거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을 통해 암호화 화폐 또는 포인트, 지역 화폐 등에서 화폐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화폐의 인플레이션을 지속적으로 일으켜 원활한 화폐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생태계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새로운 신용을 창출하는 P2P 네트워크의 일 예를 개념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유연한 연계와 확장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이 적용되는 블록체인 시스템(MCC)의 구성(Architecture)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용체인(MCC)의 구성(Architecture)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MCC)에서의 데이터 제공 프로세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P2P Airdrop 의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시간에 따른 Volume 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빅데이터 신용평가를 통해 평가 Score를 산정하고, 이를 금융기관 전략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비재무적 데이터를 이용한 신용평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110), 제1 블록체인 참여자(120), 제2 블록체인 참여자(130),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모듈(140), 블록체인 원장(block chain ledge, 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신뢰도 산출모듈(160) 및 블록체인 참여자 관리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블록체인 참여자(120) 및 제2 블록체인 참여자(130)를 포함한 블록체인 참여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블록체인 활동을 하는 단말, 휴대통신기기, 컴퓨터 등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110)는 디지털 객체(씨앗)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05)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이하, 블록체인 참여자라 한다)에게 제공한다.
제1 블록체인 참여자(120)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110)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제공 받으며, 상기 제공받은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05)를 통해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한다. 제2 블록체인 참여자(130)는 제1블록체인 참여자(120)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05)를 통해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다. 본 발명에서 양도 및 양수는 무상, 유상 둘 다를 포함한다.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모듈(140)은 제2블록체인 참여자(130)가 양수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또는 코인)로 전환한다.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140)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에 의해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면, 상기 양도된 디지털 객체를 유효객체(열매)로 전환하고, 상기 유효객체(열매)는 적립 가능하며, 상기 적립된 유효객체를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할 수 있다.
블록체인 원장(block chain ledge, 150)은 상기 디지털 객체의 양도, 양수 및 전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디지털 객체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직접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지 않은 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소멸된다.
신뢰도 산출모듈(160)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의 상기 디지털 객체 양수 빈도수와 누적 디지털객체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들로부터 디지털 객체를 자주 양수하거나 양수한 디지털객체의 개수가 많을수록 신뢰지수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신뢰도 산출모듈(160)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할 때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와 누적 디지털 객체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도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에 따라 정량적으로 다르게 산출할 수 있다. 신뢰지수가 높은 블록체인 참여자로부터 양수한 디지털 객체가 신뢰지수가 낮은 블록체인 참여자로부터 양수한 블록체인 개수를 다르게 평가하겠다는 개념이다. 즉, 신뢰지수가 높은 블록체인 참여자로부터 양수한 디지털 객체가 10개이면, 신뢰도 산출모듈(160)은 디지털 객체 개수를 15개로 인정하고, 신뢰지수가 낮은 블록체인 참여자로부터 양수한 디지털 객체가 10개이면, 신뢰도 산출모듈(160)은 디지털 객체 개수를 10개 또는 8개로 인정하는 것이다.
블록체인 참여자 관리모듈(170)은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받은 디지털 객체들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양도한 이력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한 로그인 기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블록체인 활동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블록체인 활동 내역이 없는 블록체인 참여자가 보유하고 있는 유효객체(열매) 또는 가치객체(토큰)를 회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기간 이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들의 양도인과 양수인이 동일한 경우, 상기 디지털 객체들이 양도되는 간격이 짧을수록 또는 양도되는 횟수가 빈번해 질수록 상기 디지털 객체의 상기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의 전환 비율이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정 개인 간의 의도적으로 빈번하게 디지털객체의 양수 양도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객체는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매일, 무상으로 일정 개수가 블록체인 참여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객체는 하루에 일정 개수(N) 생성되고, 상기 가치객체는 미리 정해진 개수(M)로 할당되고, 상기 디지털 객체의 총(N)수와 상기 가치객체의 총수(M)의 비율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가 가치객체로 전환되는 유효객체 수가 결정되고, 상기 유효객체와 가치객체는 일대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공적(public)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사적(private)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110)가 디지털 객체(씨앗)를 생성한다.(S210단계)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11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105)를 통해 상기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제공한다.(S220단계)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110)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는 매일, 무상으로 일정 개수가 블록체인 참여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면, 상기 양도된 디지털 객체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직접 전환되거나, 유효객체(열매)로 전환된 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된다.(S230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지털 객체의 상기 가치객체 또는 유효객체로의 전환 비율은 일정 기간 이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들의 양도인과 양수인이 동일한 경우 상기 디지털 객체들이 양도되는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또는 양도되는 횟수가 빈번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디지털객체는 하루에 미리 정해진 개수(N) 생성되고, 상기 가치객체는 상기 디지털객체의 개수보다 작은 수(M, M<N) 만큼 할당되고, 상기 디지털객체의 총수(N)와 상기 가치객체의 총수(M)의 비율에 의해 가치객체로 전환되는 유효객체 수가 결정되고, 상기 유효객체와 가치객체는 일대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객체의 양도 및 전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원장(ledger)에 기록된다.(S240단계) 상기 디지털 객체는 다른 참여자에게 양도되지 않은 채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와 양수한 디지털객체 누적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단계(S250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할 때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 또는 상기 양수한 디지털 객체 누적 개수는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도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에 따라 정량적으로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은 활동내역 없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유효객체 또는 가치객체를 회수하는 단계(S260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참여자 관리모듈(170)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받은 디지털 객체들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예를 들어 1개월 단위로 해서 1개월 동안 양도한 이력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한 로그인 기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블록체인 활동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블록체인 활동 내역이 없는 블록체인 참여자가 보유하고 있는 유효객체 또는 가치객체를 회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생태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을 통해 개인의 신용정보가 계량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 신용정보의 소유권을 개인에게 귀속되게 한다. 이를 위해 개인에게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개인이 직접 신용정보를 생성하여 분산 장부에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용을 개인 스스로 생성 및 관리하고 강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분산장부와 정보는 PKI 기반으로 자신만 접근(access)할 수 있게 하며, 정보 제공시에는 개인의 승인 후에 제공되게 하며, 승인된 이용 기관만 정보 접근 권한을 가지며 기간이 만료되면 사용할 수 없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 활동 결과에 따라 신뢰 수준이 변화되게 하기 위해, 개인의 활동에 의해 본인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신뢰지수를 본인이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인류의 역사를 자산화의 역사로 볼 때, 식량, 무기, 토지, 주식, 지적재산, 파생상품, 암호화폐가 자산화가 되어 왔다. 본 발명은 개인신용정보를 자산화의 객체가 되게 함으로써, 개인 신용정보를 판매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개인소득이 증대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신용을 창출할 수 있게 하는 P2P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즉, P2P Airdrop 관계분석, 오프라인 기반 빅데이터 분석(주소록, IoT, 위치정보 등), Trust Couple, Trust Union 네트워크 구조, 보유자산(신용체인 토큰) 담보 활용을 통해 새로운 신용을 창출하는 P2P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새로운 신용을 창출하는 P2P 네트워크의 일 예를 개념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에 해당하는 각 개인을 나타내는 원의 크기는 해당 개인의 신용의 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스스로 진화(Self Evolving)하고 스스로 확장(Self Expansion)하는 블록체인을 제공한다. 즉, 개인 네트워크 확장, 3rd party 참여구조, 노드 운영 및 정보의 생산과 소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개인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P2P Airdrop 기능을 활용하여 주소록이나 SNS의 친구를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확장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3rd party 참여 구조는 신용평가 모델러, 빅데이터 분석가, 마케팅 전문가 등 부가가치 창출 가능한 3rd party의 참여가 가능하다. 또한 노드 운영을 위해서는 누구가 slPFS-node에 참여하여 거래의 안전성과 성능개선에 기여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받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정보의 생산과 소비를 위해서는 정보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정보의 범위를 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가 생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신용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 할 수 있다. 소득정보, 자산정보, CB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신용평가 정보뿐만 아니라 공공정보, 금융거래내역, 소비 지출 규모, 보험금 납입내역, 소셜데이터 및 통신사 내역 등을 포함하는 외부 빅데이터 정보에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되는 신뢰지용체인 생성정보(준거집단, 협력관계, 신뢰지수 등)을 포함시켜 실시간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신용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유연한 연계와 확장성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유연한 연계와 확장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이 적용되는 블록체인 시스템(MCC)의 구성(Architecture)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MCC)은 Core Layer(610), Service Layer(620), API Layer(630) 및 Application Layer(640)로 구성될 수 있다. Core Layer(610)는 이더륨 플랫폼과 고객의 신용 정보를 안전하게 분산 저장하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Service Layer(620)는 플랫폼의 핵심 논리를 가진 MCC Smart Contract, IPFS address 및 접근 제어, 스코어링(Scoring)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API Layer(630)는 Application 연계를 위한 API와 3rd party Interface를 위한 API Layer이다. Application Layer(640)는 가입자와 3rd parties, 노드 참여자 등을 위한 인증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Mobile App와 WEB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별로 Unique한 계정을 관리할 수 있게 하며, 참여자의 정확한 KYC(know your customer)를 통해 개인별로 유일한 계정을 발급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한 데이터 저장을 제공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디바이스의 보안 영역에 보관되거나 분산 데이터베이스(IPFS)에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타임 아웃을 설정함으로써 수집된 정보를 제공할 때 정보의 제공기간을 설정하여 정보제공 기간을 검증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MCC)에서의 데이터 제공 프로세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요청자(710)가 MCC의 서비스 인터페이스(720)를 통해 정보를 요청하면 MCC의 서비스 인터페이스(720)는 서비스 제공자(730)에게 정보요청을 전달한다. 서비스 제공자(730)는 다양한 기관을 통해 정보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IPFS(740)를 통해 정보를 참조하여 MCC의 서비스 인터페이스(720)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수집한 정보는 IPFS(7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요청자(710)는 서비스를 받는 대가로 MCC의 Token Contract(750)를 통해 토큰을 지급하면 MCC의 Token Contract(750)는 서비스 제공자(730)에게 서비스를 제공한 대가로 토큰을 지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MCC 참여자들은 다양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자 중 개인은 신용정보의 소유권(Ownership)을 확보할 수 있고, P2P Airdrop 및 신용정보 판매에 의한 자산이 증대될 수 있고, 자유로운 P2P 금융거래를 할 수 있고, 네트워크 내 신규 신용(Credit)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참여자 중 정보이용자는 요구에 맞는 정확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상품개발, 자체평가 모형 고도화 및 마케팅 전략에 반영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리스크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중 3rd Parties 정보 제공자는 개인, 빅데이터 분석가, 신용정보 기관의 쉬운 참여를 제공하고, 제공된 신용정보의 다양한 분석 및 가공을 할 수 있으며 분석정보를 재판매하여 수익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2P 금융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다. Loan이 필요한 개인은 자신의 신용 평가 점수를 확인하고 적합한 기관에 신용정보를 제공하여 Loan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참여기관은 요청 받은 기관(은행, 대부업체, 네트워크 내 조합)은 내부 검토 후 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MCC내 P2P 금융 플랫폼으로 확장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은 실시예로서, 매일 무상으로 선물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속한 노드(참여자)들에게 제공하며, 선물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디지털객체(씨앗)와 보상 개념을 이용하는 P2P AirDrop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노드)에게는 매일 일정한 개수의 씨앗을 제공하고, 24시간 내에 다른 사람에게 씨앗을 선물하면 씨앗은 유효객체(열매)로 전환된다. 동일한 사람에게 씨앗을 선물할 때에는 직전에 선물했던 기간이 짧을수록 작은 비율로 유효객체(열매)로 전환되어 가치객체(토큰)로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열매는 일대일(1:1) 비율로 가치객체(토큰)로 전환되고 매일 일정한 수의 토큰을 각자 받은 씨앗 비율 만큼씩 열매를 배분한다. 상기 씨앗은 자신이 가지고 있으면 아무런 가치가 없지만 남에게 선물하면 가상화폐 또는 포인트로 변하고, 유효기간이 있어 유효기간이 지나면 소멸되고, 씨앗은 매일 지급하고 매일 선물할 수 있고 매일 적립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의 Life Cycle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2P AirDrop(810)을 통해 씨앗(디지털객체)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내에 있는 다른 사람에게 씨앗을 선물하면(820) 씨앗은 열매(유효객체)를 맺어 토큰(가치객체)으로 되고(830) 토큰을 송금(840)하고 토큰을 정보 요청 댓가로 사용(850)하고 CSS 레포트 제공비용으로 지불(860)하기도 한다. 또한 거래소를 통해 토큰을 환전(870)하기도 하며, 활동이 없는 사용자는 토큰을 회수(880)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P2P Airdrop을 설명하기로 한다. 찰스 아이젠스타인이 제안한 선물 경제(Gift Economy)에서는 씨앗을 받은 사람끼리 공평하게 분배하는 구조이다. 또한 Airdrop으로 인센티브 마케팅의 선순환 구조를 갖는다.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을 유도한다. 매일 3개의 씨앗이 개인당 자동으로 생성되어 주어진다. 씨앗은 당일 선물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소멸된다. 씨앗을 타인에게 선물할 경우 열매가 되어 토큰으로 변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P2P Airdrop 의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P2P AirDrop은 매일 무상으로 선물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속한 노드(블록체인 참여자)들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P2P AirDrop은 씨앗과 보상을 개념을 이용한다. 본 서비스에 참여한 개인에게는 매일 특정 숫자의 씨앗이 생성된다. 상기 씨앗은 자신이 가지고 있으면 아무런 가치가 없지만 남에게 선물하면 가상화폐 또는 포인트로 변한다. 상기 씨앗은 유효기간이 있어 예를 들어 당일 만들어진 씨앗은 당일 선물 되지 않으면 소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P2P Airdrop 정책(Policy)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씨앗은 매일 지급하고 매일 선물할 수 있고 매일 적립 가능하다. 매일 GMT(00:00)에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모두에게 3개의 씨앗을 지급한다. 24시간 내에 다른 사람에게 씨앗을 선물하면 씨앗은 토큰으로 전환이 되고 씨앗을 받은 당일 선물하지 않으면 소멸한다. 단, 동일한 사람에게 10일 이내에 씨앗을 선물할 때에는 1/(10-d)의 비율만큼만 열매로 전환되어 토큰이 된다. 여기서 d는 day로서 날짜수이다. 전환된 열매는 일대일(1:1) 비율로 토큰으로 전환될 수 있고 사용자 필요시 토큰 전환이 된다. 매일 10,000개의 토큰을 각자 받은 씨앗 비율 만큼씩 열매로 배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P2P Airdrop Policy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씨앗을 보내는 사람을 S, 씨앗을 받는 사람을 R, RiSj 로부터 직전에 받은 날로부터의 간격을 d(RiSj) 라 할 때, 전체 선물한 씨앗의 수 seed(T)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9012451726-pat00001
그리고 전체 받은 열매 개수 fruit(T) 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9012451726-pat00002
Ri 가 받은 열매 개수 fruit(Ri) 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9012451726-pat00003
하루에 Airdrop 하는 토큰의 총 개수를 token(T)라 할 때, Ri가 받아야 하는 토큰의 개수 token(Ri) 는 수학식 4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9012451726-pat00004
본 발명에 의한 신용체인(MCC)에서의 토큰은 자기 안정화 토큰(Self Stabilization Token)으로서, Token Volume Structure은 매일 P2P Airdrop과 장기간 미사용자의 토큰 회수 및 소멸 정책이 동시에 작동되며, 회수 토큰의 숫자와 상관없이 매일 10,000개를 Airdrop 한다. 그리고 Self Stabilization System은 참여자 규모 및 미사용자 비율에 따라 일정한 Volume으로 수렴하는 구조이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볼륨 N값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구조로서 탈중앙화(Decetralization) 이후에도 안정적인 운영 메카니즘을 보장한다. 이를 통해 기존 암호화폐(Crypto Currency)의 높은 변동성(Fluctuation)을 극복하고 서비스 지역의 확대와 참여 인구 증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9는 시간에 따른 Volume 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인플레이션(Inflation)과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P2P Airdrop를 적용한 결과 볼쯔만 분포 현상이 나타나고 물리적인 공간 중심으로 클러스터링을 형성하고 클러스터링으로 소속감 및 상호 인정이 이루어지며 클러스터 내의 노드간 깊은 신뢰감을 유지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허브를 발견할 수 있었다. 클러스터 내 신뢰를 주도하는 코어 노드가 존재하고 클러스터 간을 연결하는 브릿지 노드도 존재하고 현실 빅 마우스(Big Mouse)와 다른 신뢰의 네트워크 허브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단독으로 존재하는 Isolated Node가 존재함을 볼 수 있었다. Isolated Node는 클러스터 내에서 소외되는 이른바 '외로운 늑대'가 존재하고 Isolated Node의 조직 이탈율이 3배 이상이며, 전체 신뢰도 향상을 위한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람의 네트워크 관계 속에서 centrality, density, degree, lsolation 등을 분석함으로써 미래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링 및 계량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은 빅데이터 신용평가를 통해 평가 Score를 산정하고, 이를 금융기관 전략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비재무적 데이터를 이용한 신용평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5 : 블록체인 네트워크 110 :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
120 : 제1블록체인 참여자 130 : 제2블록체인 참여자
140 :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 150 : 블록체인 원장
160 : 신뢰도 산출 모듈 170 : 블록체인 참여자 관리모듈
180 : 제n블록체인 참여자

Claims (16)

  1.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가 디지털 객체(씨앗)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면, 상기 양도된 디지털 객체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직접 전환되거나, 유효객체(열매)로 전환된 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객체의 양도 및 전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원장(ledger)에 기록되고,
    상기 디지털 객체는 다른 참여자에게 양도되지 않은 채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일정 기간 이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의 양도인과 양수인이 동일한 경우, 상기 디지털 객체가 양도되는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또는 양도되는 횟수가 빈번해질수록 상기 디지털 객체의 상기 가치객체 또는 유효객체로의 전환 비율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는
    매일, 무상으로 일정 개수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들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객체는 하루에 미리 정해진 개수(N) 생성되고, 상기 가치객체는 상기 디지털객체의 개수보다 작은 수(M) 만큼 할당되고, 상기 디지털객체의 총수(N)와 상기 가치객체의 총수(M)의 비율에 의해 가치객체로 전환되는 유효객체 수가 결정되고, 상기 유효객체와 가치객체는 일대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와 양수한 디지털객체 누적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할 때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 또는 상기 양수한 디지털 객체 누적 개수는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도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에 따라 정량적으로 다르게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받은 디지털 객체들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양도한 이력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한 로그인 기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블록체인 활동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활동 내역이 없는 블록체인 참여자가 보유하고 있는 유효객체 또는 가치객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방법.
  8. 디지털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를 제공 받으며, 상기 제공받은 디지털 객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하는 제1 블록체인 참여자;
    상기 제1블록체인 참여자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하는 제2 블록체인 참여자;
    상기 제2블록체인 참여자가 양수한 디지털 객체를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모듈; 및
    상기 디지털 객체의 양도 및 전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체인 원장(ledge)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객체는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직접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지 않은 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간 이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의 양도인과 양수인이 동일한 경우, 상기 디지털 객체가 양도되는 간격이 짧을수록 또는 양도되는 횟수가 빈번해 질수록 상기 디지털 객체의 상기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의 전환 비율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객체는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매일, 무상으로 일정 개수가 블록체인 참여자들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제공받은 블록체인 참여자에 의해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가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에게 양도되면, 상기 양도된 디지털 객체를 유효객체(열매)로 전환하고, 상기 유효객체(열매)는 적립 가능하며, 상기 적립된 유효객체를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가치객체(토큰, 코인)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객체는 하루에 일정 개수(N) 생성되고, 상기 가치객체는 미리 정해진 개수(M)로 할당되고, 상기 디지털 객체의 총(N)수와 상기 가치객체의 총수(M)의 비율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가 가치객체로 전환되는 유효객체 수가 결정되고, 상기 유효객체와 가치객체는 일대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와 누적 디지털객체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 산출모듈은
    상기 블록체인 참여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할 때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수한 빈도수와 누적 디지털 객체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지털 객체를 양도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신뢰지수에 따라 정량적으로 다르게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공적(public)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사적(private)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16. 제8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받은 디지털 객체들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양도한 이력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한 로그인 기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참여자의 블록체인 활동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블록체인 활동 내역이 없는 블록체인 참여자가 보유하고 있는 유효객체 또는 가치객체를 회수하는 블록체인 참여자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 시스템.
KR1020190014117A 2018-02-07 2019-02-01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 KR10220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1546 WO2019156488A1 (ko) 2018-02-07 2019-02-07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17 2018-02-07
KR20180015317 2018-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96A KR20190095896A (ko) 2019-08-16
KR102204070B1 true KR102204070B1 (ko) 2021-01-20

Family

ID=6780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117A KR102204070B1 (ko) 2018-02-07 2019-02-01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255B1 (ko) * 2019-09-24 2021-08-04 윤여표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KR102397404B1 (ko) 2019-12-10 2022-05-13 손종희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영수증 관리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09779B1 (ko) * 2020-02-04 2021-10-06 에스케이 주식회사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탈중앙화 거래소 환경에서의 토큰 지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102818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70851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케이사인 공동체 참여를 위한 블록 체인 토큰 생태계 구축 방법
US11989703B2 (en) * 2021-08-02 2024-05-2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of blockchain disbursements
WO2023243996A1 (ko) * 2022-06-14 2023-12-21 두나무 주식회사 대체 불가능 토큰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12424A1 (en) 2014-07-11 2016-01-14 Ribbit.me! USA Inc. Distributed ledger protocol to incentivize transactional and non-transactional commer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10B1 (ko) * 2006-09-18 2008-04-22 서용수 통합 쿠폰을 이용한 통합 포인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12424A1 (en) 2014-07-11 2016-01-14 Ribbit.me! USA Inc. Distributed ledger protocol to incentivize transactional and non-transactional comme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96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070B1 (ko)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77515A1 (en) Decentralized safeguard against fraud
Pisa et al. Blockchain and economic development: Hype vs. reality
US20200042989A1 (en) Asset-backed tokens
CA3081076C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103203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imely loan repayment by controlling online accounts, notifying social contacts, using loan repayment coaches, or employing social graphs
US201300068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teralizing loans
US7680681B2 (en) Shared insurance industry system for non-disruptive enhancement and substitution of insurance transaction processing
JP2019522275A (ja) 電子抵当権仲介及び監視
KR20180060044A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p2p 중개 보안 시스템
CN110264221A (zh) 一种针对服务商行业的全链路安全业务联合解决方案
CN112862303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众包质量评估的系统及方法
KR20180060005A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p2p 중개 보안 시스템
US20100325057A1 (en) Leveraging social capital on a website
Zhang et al. Moving mainstream: Benchmarking the European alternative finance market
US20230008975A1 (en) Shift identification
Parra-Moyano What managers need to know about data exchanges
CN111465953A (zh) 基于交易分类账的账户间社会关系导出装置及方法和利用其的社交媒体服务提供装置及方法
CN108335188A (zh) 贷款费率生成方法、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Kaur et al. StudentCoin Price Prediction and Relation to Blockchain Education
Lwanga et al. A pathway to financial inclusion: mobile money and individual Savings in Uganda
Prieger Local banking markets and barriers to entrepreneurship in minority and other areas
Shankar Potential of Blockchain Based Tokenized Securities for Green Real Estate Bonds
TWI796855B (zh) 用於分潤的方法、計算設備及系統
Lwanga Mayanja et al. A pathway to financial inclusion: mobile money and individual Savings in Ugan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