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255B1 -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255B1
KR102285255B1 KR1020190117558A KR20190117558A KR102285255B1 KR 102285255 B1 KR102285255 B1 KR 102285255B1 KR 1020190117558 A KR1020190117558 A KR 1020190117558A KR 20190117558 A KR20190117558 A KR 20190117558A KR 102285255 B1 KR102285255 B1 KR 102285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block
block chai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580A (ko
Inventor
윤여표
Original Assignee
윤여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표 filed Critical 윤여표
Priority to KR102019011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2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시 주변의 IOT 장치와 같은 장치들 또는 장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센싱값을 수집하고 이를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된 정보의 적극적인 수집을 통한 사용성을 높이도록 한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DATA UTILIZATION SYSTEM USING VEHICLE AND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주행 시 주변의 IOT 장치와 같은 장치들 또는 장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센싱값을 수집하고 이를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된 정보의 적극적인 수집을 통한 사용성을 높이도록 한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정보가 가공형태에 따라 무한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때문에, 가급적 다양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개인에게 있어서도 정보의 취득 및 이용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고유 식별이 가능한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원격제어 또는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기능이 인간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IOT(Internet Of Thigs)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IOT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고,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며, 주변의 환경 또는 대상을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이 점에서 정보를 생산하는 주체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IOT는 이러한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IOT 장치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에 의해서만 장치에서 발생한 센싱값을 전달받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정보들은 불법적인 판매 및 조작의 대상이 되어 개인 또는 집단의 이익을 위해 고의적으로 가공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때문에, 정보의 수집 및 전달 과정에서 보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상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17-0065885(출원일 2017.05.29.) "자율 주행 차량에서 자율 주행 중 광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주행 시 주변의 IOT 장치와 같은 장치들 또는 장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센싱값을 수집하고 이를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된 정보의 적극적인 수집을 통한 사용성을 높이도록 한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집된 정보의 전달 및 보관 시 악의적인 조작, 불법 수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보의 수집 및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은 정보를 가지는 대상장치;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차량; 및 설정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차량에 저장되는 블록을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은 차량 주행 시 주변의 IOT 장치와 같은 장치들 또는 장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센싱값을 수집하고 이를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된 정보의 적극적인 수집을 통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은 수집된 정보의 전달 및 보관 시 악의적인 조작, 불법 수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보의 수집 및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정보가 수집 및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은 통신장치(50) 또는 IOT 장치(40)와 통신 가능한 차량(10), 차량(10)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차량"은 도로를 이동하는 객체 중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장치(50) 또는 IOT 장치(40)와 같은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해 대상장치의 확인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달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일례로, 도로를 주행하는 승용차, 화물차, 버스와 같은 차량들이 포함되며, 오토바이시클과 같은 2륜 또는 3륜의 차량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도 모빌리티 예를 들어, 전동/엔진 스케이트보드, 자전거, 전동휠체어와 같이 도로와 같은 주행 가능한 지역을 이동하는 모든 기구적 장치이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차량(10)은 대상장치(40, 50)과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정보를 서버(20)와 통신 가능한 시점에 서버(2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차량(10)은 수집정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하고, 서버(20)와 통신 가능 시점에 블록을 서버(20)에 전달한다.
차량(10)은 주행에 따라 대상장치(40, 50)를 탐색 또는 대상장치(40, 50)의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탐색을 위한 신호는 대상장치(40, 50)가 자신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찾기 위해 통신영역 내에 방사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파일럿 신호, 페이징 신호 또는 비컨 신호일 수 있다. 이 탐색을 위한 신호는 차량(10)으로부터 불특정 다수의 대상장치(40, 50)를 향해 방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어느 한 쪽에서 방사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신호에 의해 차량(10)이 대상장치(40, 50)를 탐색하면, 탐색된 대상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한다. 정보는 탐색된 대상장치의 고유 식별값과 부가적으로 대상장치(40, 50)에서 수집 또는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대상장치(40, 50)로부터 차량이 수신하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대상장치의 고유 식별값을 의미하며, 이러한 고유 식별값은 맥아이디, IP 주소와 같이 대상장치(40, 50)를 다른 대상장치와 구분할 수 있는 값이다. 또한, 이러한 대상장치(40, 50)가 센서장치와 같이 특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 다른 장치에서 수집된 정보를 취합하여 관리 또는 전달하는 장치인 경우 정보에는 고유 식별값 외에 대상장치(40, 50)가 생산 또는 보유한 데이터일 수 있다.
특히, 정보는 통신채널을 형성하지 않고, 방사되는 탐색신호에 포함된 정보만을 수집할 수도 있다. 일례로, 이동통신 기지국과 같이 파일럿 신호를 주기적으로 통신 가능거리에 방사하는 장치가 대상장치인 경우 파일럿 신호에 포함된 기지국 ID, 주파수 세기, 주파수의 대역폭과 같은 정보만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대상장치(40, 50)가 블루투스와 같이 탐색신호에 정보가 담기지 않는 장치인 경우 연결(또는 페어링)된 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10)은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대상장치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신호만 수신하거나, 통신채널 형성 후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차량(10)은 정보가 획득되면 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한다. 이를 위해 차량(10)은 대상장치(40, 5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미리 정해진 분류에 따라 블록으로 생성하고,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10)이 서버(20)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블록들을 서버(2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통신 가능한 상태는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채널의 형성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무선 통신채널의 경우 서버(20)와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채널은 서버(20)와 차량(10)을 상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나, 국내 여건상 데이터 송신에 따른 비용과 속도로 인해 무선랜을 이용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다만, 무선랜이 더 효율적인 것일 뿐 제시된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는 차량(10)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차량(10)으로부터 블록형태로 제공되는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서버(20)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또는 차량이 미리 정해진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서버(20)는 차량(10)으로부터 전달되는 블록을 미리 생성된 원블록체인(Original)의 블록에 연결시키는 한편, 각 블록의 내용을 추출하여, 분류하거나 가공하여 새로운 블록체인인 파생 블록체인을 형성한다. 이 파생블록체인은 원블록체인의 블록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 가능한 형태로 분류 또는 가공한 것이다. 또한, 서버(20)는 원 블록체인에 파생블록체인의 생성, 변경 및 추가된 내용을 기록하게 되며, 이를 각기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특히, 파생블록체인에는 파생블록체인의 블록에 기재된 데이터의 근원인 원 블록체인의 정보 또는 링크가 저장된다.
서버(20)는 파생블록체인을 클라이언트(30)의 요청에 따라 전달한다. 이를 위해, 서버(20)는 파생블록체인에 포함된 정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30)를 파생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시킬 수 있다. 특히, 하나의 파생블록체인에 대해 복수의 클라이언트(30)를 노드로 참여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파생블록체인의 노드 참여를 선택적으로 허가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30)는 서버(20)에서 보유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가공 및 재생산하여 이용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이 클라이언트(30)는 이러한 정보의 처리 및 가공을 수행하는 개인의 단말, 단체의 단말, 업체의 단말 또는 시스템, 국가기관이나 연구소의 시스템일 수 있는 것으로 차량(10)과 서버(2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소기의 목적에 따라 이용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IOT 장치(40)는 고유의 IP주소가 부여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IOT 장치(40)는 고유의 IP 주소 외에 식별값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OT 장치(40)는 다른 장치와 연결을 위한 탐색신호를 통신 가능 거리로 정의되는 영역 내에 방사한다. 그리고 IOT 장치(40)는 이 탐색신호에 응답한 차량(10)과의 통신을 통해 수집된 정보와 고유 식별값을 차량(10)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IOT 장치(40)는 센서 노드일 수도 있으나, 제어신호에 의해 일련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이 구동에 대한 로그 또는 결과값을 산출하여 보유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IOT 장치(4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능력이 없는 장치를 대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IOT 장치(40)의 구체적인 예는 일일이 열거하지 않기로 한다.
통신장치(50)는 IOT 장치(40) 외의 통신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일례로, IP 어드레스를 가지지 못하는 RFID 태그 또는 RFID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장치, 무선랜에 의해 연결 가능한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포함된다. 이 통신장치(50) 또한 전술한 IOT 장치(40)와 마찬가지로 영역 내에 통신 가능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신호를 방사할 수 있으며, 이 탐색신호에 응답하는 차량(10)과 통신을 통해 고유식별값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 통신장치(50)는 정보를 보유하지 않는 장치일 수도 있고, 탐색신호에 고유 식별값을 포함시켜 방사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탐색신호를 수신한 차량(10)이 탐색신호의 고유 식별값만 수집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10)과 대상장치(40, 50) 또는 차량(10)과 서버(2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여기서, 서버(20)와의 통신을 위해 통신부(110)는 무선랜,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데이터 링크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통신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대상장치(40, 50)로부터의 탐색신호를 수신하거나, 대상장치(40, 50)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호출처리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호출처리부(111)는 탐색신호의 확인, 탐색신호의 송출을 위한 것으로 대상장치(40, 50)와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주파수, 각각의 프로토콜에 따라 탐색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호출처리부(111)는 대상장치(40, 50)와 통신 가능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제어부(120)와 함께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통신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른 신호와 프로토콜을 동시에 처리하도록 병렬처리가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호출처리부(111)에 의해 대상장치가 확인되면 이를 통해 대상장치(40, 50)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1 내지 제n 통신부(113, 115)를 지정하여 대상장치(40, 5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호출처리부(111)는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제1 내지 제n 통신부(113, 115)가 담당 주파수 대역 및 프로토콜에 대해 호출처리부(111)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프로토콜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기 위해 제어부(120) 또는 해당 통신부(113, 115) 프로토콜 선택 처리 능력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또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또는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부(113, 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에 의해 탐색 및 연결된 대상장치(40, 5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통신제어부(121), 데이터 수집부(123) 및 블록생성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제어부(121)는 호출처리부(111)와 함께 통신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장치(40, 50)를 확인하고, 이 대상장치(40, 50)와 통신가능한 통신부(113, 115)를 선택하여 대상장치(40, 50)로부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통신제어부(121)는 획득한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부(123)에 전달한다.
데이터 수집부(123)는 통신제어부(121)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에서 고유식별값과 정보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블록 생성부(125)에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23)는 대상장치(40, 50)로부터 전달되지 않더라도 기입이 되어야 하는 부가정보를 추출된 정보에 부가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수신 시간, 위치정보와 같은 사항을 정보에 부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부가되는 정보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블록생성부(125)는 데이터 수집부(123)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한다. 이 블록생성부(125)에서 생성된 블록은 원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블록으로써 생성된다. 그리고, 블록생성부(125)는 생성된 블록을 저장부(130)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대상장치(40, 50)로부터의 정보 획득이 이루어질수록 블록생성부(125)에 의해 생성되는 블록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때문에 블록생성부(125)는 원 블록체인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생성된 블록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서브블록체인을 형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블록체인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저장부(130)에는 생성완료 시간 순으로 저장되고, 생성시간을 블록에 기재하거나 저장과정에서 생성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블록생성부(125)에 의해 생성된 블록이 저장된다.
이하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10)에서 생성된 블록이 서버(20)로 전달되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는 서버 통신부(210), 블록수신부(220), 블록처리부(230), 블록 갱신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차량(10)이 미리 지정된 장소에 위치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이 된 경우와 같이 미리 지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서버 통신부(210)는 차량(10)과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서버 통신부(210)는 차량(10)에 마련된 통신부(110) 중 서버(20)와의 통신을 위해 마련된 통신부(1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일례로 서버 통신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랜 통신장치이거나 이동통신 데이터 링크를 이용하여 차량(10)과 연결될 수 있다.
블록 수신부(220)는 서버 통신부(210)에 의해 연결된 차량(10)으로부터 블록을 전달받아 블록 처리부(230)에 전달한다. 이때, 블록 수신부(220)는 차량(10)이 저장된 블록을 낱개의 단위로 전달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시간정보를 통해 정렬하고, 정렬된 블록을 블록처리부(230)에 전달한다. 여기서, 차량(10)이 블록을 서브 블록체인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 서브 블록체인의 연결여부만을 확인하여 블록처리부(230)에 전달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블록 처리부(230)는 블록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블록의 트랜잭션 즉, 블록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리하거나, 블록을 복사 또는 재배치하여 파생블록을 생성한다. 이때, 블록 처리부(230)는 블록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블록 즉, 차량(10)에서 전달된 블록은 가공 처리 하지 않은 상태의 블록체인인 원 블록체인으로 생성한다.
이와 같은 원 블록체인의 생성과 함께 블록처리부(230)는 파생블록으로 구성되는 파생블록을 연결하여 파생블록체인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블록처리부(230)는 블록의 내용에 따라 블록을 복사 또는 재배치하여 파생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블록처리부(230)는 블록의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트랜잭션에 포함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 또는 처리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정보를 재생산하고, 재생산된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파생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블록 갱신부(240)는 블록 처리부(230)에 의한 블록 처리과정의 내용 즉, 파생블록의 생성과정에 사용된 기준 또는 처리방법과, 기준 또는 처리방법에 의해 형성된 파생블록의 내용 또는 구조를 원 블록체인에 기록하게 된다. 이때, 블록 갱신부(240)는 파생블록의 내용이 원 블록체인의 어느 블록에 기재된 내용을 이용한 것인지와 같은 연결정보를 파생블록체인의 파생블록에 기록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250)는 블록 갱신부(240)에 의해 갱신 내용이 적용된 원 블록체인의 블록들과 파생블록체인의 블록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250)는 원 블록체인의 저장을 위한 원 블록 저장부(251)와 파생블록의 저장을 위한 파생블록 저장부(2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정보가 수집 및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10)이 주행에 따라 다양한 IOT 장치(40)와 같은 대상장치(40, 50)를 접하게 되며, 이러한 대상장치(40, 50)들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양자 간에 통신이 수행되고 이를 통해 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대상장치(40, 50)로부터 차량(10)에 전달되어 수집된다.
이러한 정보에는 차량(10)이 통과한 장소를 통과한 차량의 수, 마지막 차량이 통과한 시각, 차량의 종류와 같이 차량(10)의 운행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정보인 주행정보와, 가로등의 점등, 차량(10) 통과 지점에 위치하는 상점 또는 업체의 명칭과 종류와 같은 정보, 심지어 가로등의 수와 점등시점, 습도, 온도, 오염물질의 농도와 같은 주행 관련 정보도 존재한다. 나아가 상점 또는 업체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차량(10)의 정차 또는 주행에 따른 이동시 대상장치(40, 50)와 차량(10)의 연결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고, 차량(10)이 주행 중에 수신하는 탐색신호를 통해서도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은 수집된 정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산하여 최초 수집된 정보의 외부 조작 가능성을 낮추게 되며, 이를 통해 보안성을 유지한 채로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서버(10)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시점에 서버(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버(20)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된 최초의 블록은 원 블록체인으로 유지하여 저장하고, 이를 통해 파생블록체인을 생성하게 된다. 파생블록체인은 원 블록체인의 블록들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가공, 정리, 분류, 필터링하여 재생산되는 정보이다. 일례로 블록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 중 차량(10)이 통과한 위치를 통과한 차량의 정보를 취합한 파생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차량(10)이 통과한 경로 상에 온도 변화,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파생블록체인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원블록체인의 노드는 차량(10)과 서버(20)에 의해서만 구성되는 폐쇄 블록체인 또는 허가에 의해서만 노드 참여가 가능한 허가형 블록체인일 수 있다.
파생 블록체인은 서버(20) 단독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 후 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30)의 등장시 개방 또는 클라이언트(30)와 폐쇄된 형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서버(20)는 이러한 재생성된 정보를 가지는 파생 블록체인을 복수의 차량(10)으로부터 전달된 원 블록체인에 의해 생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차량(10)이 반복적으로 전달하는 원 블록체인에 의해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파생블록체인의 각 블록에 저장된 정보는 단순히 특정 시점의 감지된 값으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시간과 장소의 변화를 반영한 정보값으로 정리되어 저장된다.
때문에, 정보를 처리하여 통계, 분석자료를 산출하는 업체 즉, 클라이언트(30)는 이러한 정보의 이용을 위해 서버(20)에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특히, 정보의 질과 양이 충족되기 때문에 파생블록체인의 대가에 따른 보상을 요구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30)는 실물화폐 또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도 정보 수집에 따른 보상을 차량(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보의 보안성, 신뢰성은 유지하면서도 대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는 서버(20)의 정보 재생성 과정에서 배제 또는 필터링 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보안성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원 블록체인을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원 블록체인의 블록을 복하여 파생블록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수집된 원 상태의 정보를 필요할 때마다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러한 정보는 블록체인을 통해 계속 누적되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데이터의 양과 크기가 증가하며, 이러한 정보는 빅데이터로써의 큰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차량 20: 서버
30: 클라이언트 40: IOT 장치
50: 통신장치 111: 호출처리부
110: 통신부 113: 제1통신부
115: 제n통신부 120: 제어부
121: 통신제어부 123: 데이터 수집부
125: 블록 생성부 130: 저장부
210: 서버 통신부 220: 블록수신부
230: 블록처리부 240: 블록갱신부
240: 저장부

Claims (9)

  1. 정보를 가지는 대상장치;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차량; 및
    설정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차량에 저장되는 블록을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된 최초의 블록은 원 블록체인으로 유지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 블록체인의 블록들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처리하거나, 상기 정보를 복사하여 재생산된 정보인 파생블록을 생성하고, 생성한 파생블록으로 파생블록체인을 생성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파생블록체인을 서버 단독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 후 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등장 시 개방 또는 클라이언트와 폐쇄된 형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파생블록체인을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2. 제 1 항에서,
    상기 대상장치는 IOT 장치 또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3. 제 1 항에서,
    상기 차량은
    상기 블록을 다수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와의 연결시 복수의 상기 블록을 모두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4. 제 3 항에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고유식별 정보 또는 상기 대상장치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5. 제 3 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블록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6. 제 5 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상기 차량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재생산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파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상기 재생산된 정보를 공급받고 상기 재생산된 정보의 대가로 상기 서버에 암호화폐를 전달하는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KR1020190117558A 2019-09-24 2019-09-24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KR102285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558A KR102285255B1 (ko) 2019-09-24 2019-09-24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558A KR102285255B1 (ko) 2019-09-24 2019-09-24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580A KR20210035580A (ko) 2021-04-01
KR102285255B1 true KR102285255B1 (ko) 2021-08-04

Family

ID=7544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558A KR102285255B1 (ko) 2019-09-24 2019-09-24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2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885A (ko) 2015-12-04 2017-06-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WO2018125989A2 (en) * 2016-12-30 2018-07-05 Intel Corporation The internet of things
KR102204070B1 (ko) * 2018-02-07 2021-01-20 주식회사 마이크레딧체인 블록체인 참여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
KR102135256B1 (ko) * 2019-08-08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차량의 사용자 인증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104010A (ko) * 2019-08-15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 제어방법
KR102164187B1 (ko) * 2019-08-20 202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군집주행 차량 제어 방법 및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군집주행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580A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428B2 (en) Internet-of-things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McNamara et al. Media sharing based on colocation prediction in urban transport
CN102113352B (zh) 移动通信节点之间的内容发现和传送的方法
US20150245167A1 (en) Proximity-related device determinations
US20190287318A1 (en) Vehicle data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data management method
US11900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control
KR101998818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표시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상기 컨텐츠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CN108924759B (zh) 识别移动发生器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060773B (zh) 对象定位系统、方法及装置
CN107070531A (zh) 经由uav促进与车辆的通信
JP60902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接続提供装置
CN104852953B (zh) 基于具有存储及识别功能的无线路由器的增强现实方法
CN103559274B (zh) 车况信息查询方法和装置
JP2002223466A (ja) 情報交換システム
US20140315494A1 (en) Proxy communication system in ban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85255B1 (ko) 블록체인 및 차량을 이용한 정보 활용 시스템
JP2017004177A (ja) センサ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218508B2 (ja) 無線データ送受信装置
US118808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argeted content to users
KR102116251B1 (ko) 상점 광고 서비스를 위한 이동 단말, 광고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2384949B1 (ko) 노드 간 보안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El Ali et al. A light architecture for opportunistic vehicle-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s
JP2005159695A (ja) 車両用無線データ送受信装置
US20200359168A1 (en) Electronic cigarette, method, and device for social interaction based on electronic cigarette
KR100924829B1 (ko) 노선 안내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