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463B1 -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463B1
KR102203463B1 KR1020190014859A KR20190014859A KR102203463B1 KR 102203463 B1 KR102203463 B1 KR 102203463B1 KR 1020190014859 A KR1020190014859 A KR 1020190014859A KR 20190014859 A KR20190014859 A KR 20190014859A KR 102203463 B1 KR102203463 B1 KR 10220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y
tilting
coupled
stan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456A (ko
Inventor
배진수
도창규
Original Assignee
(주)디알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젬 filed Critical (주)디알젬
Priority to KR102019001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4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탠드의 전면에 후단이 결합되며 스탠드의 전방으로 돌출된 전단에 버키 패널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버키 패널과 일체로 회전하는 틸팅 브라켓과, 틸팅 브라켓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타단이 힌지 결합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버키 패널을 회전 틸팅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Rotary tilting apparatus of bucky stand}
본 발명은 회전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X-ray)을 대상체에 조사하고, 그 투과된 엑스선의 에너지 강도 분포 차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말하며, 검출수단으로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다.
아날로그 방식은 엑스선을 받으면 빛을 발하는 증감지(형광판)와 은염 필름을 조합하여, 증감지에서 발생한 빛으로 은염 필름상에 잠상을 형성한 후, 이 은염 필름을 화학 처리하여 가시상을 얻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위해, 증감지와 은염 필름을 암 상태로 보관하고 촬영에 이용하는 필름 카세트가 있다.
디지털 방식은 엑스선에 감응하는 검출 매체로 2차원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기적 신호를 2차원 매트릭스를 통해 얻어서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로 구성한 후, 적절한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모니터 또는 프린터로 표시하는 방식을 말한다.
디지털 방식에 이용되는 엑스선 검출기(X-ray detector)는 영상판(Image Plate)을 이용한 CR(Computer Radiography), 신틸레이터(Scintillator)와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를 이용한 CCD 검출기,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한 평판 검출기(Flat Panel Detector) 등이 있다.
이러한 검출기 중에서 영상의 질이나 환자 피폭량의 감소, 검사 효율성 및 장착 수월성 등을 고려할 때, 평판 검출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엑스선 영상을 얻는 방식이 근래의 추세이며, 평판 검출기는 테이블 버키(Table bucky) 또는 스탠드 버키(Stand bucky) 안에 전자 카세트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대상자의 피검 부위에 따라, 버키(bucky)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엑스선 촬영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종래에는 모터 구동에 의해 버키를 틸팅 회전시키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모터의 구동력을 버키의 틸팅 회전축으로 전달하기 위해 복수 개의 기어가 치합하게 되는바, 백래쉬(backlash)의 발생에 따른 촬영 정밀도 저하와 기어의 마모에 따른 내구성 저하가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버키를 스탠드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틸팅시키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시 유격 감소와 각도 정밀도가 향상되는 회전 틸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자 등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예기치 못한 충격에 의한 틸팅 각도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드의 전면에 후단이 결합되며, 상기 스탠드의 전방으로 돌출된 전단에 버키 패널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버키 패널과 일체로 회전하는 틸팅 브라켓; 및 상기 틸팅 브라켓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타단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버키 패널을 회전 틸팅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틸팅 브라켓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측에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과 타이밍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틸팅 브라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틸팅 브라켓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틸팅 브라켓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에 탄성 재질의 완충재가 구비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스탠드의 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측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키 패널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수직블록과, 상기 제1 수직블록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측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댐핑부재의 타단이 측면에 결합되는 제2 수직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 브라켓은, 저면에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액츄에이터가 관통하도록 상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에 의하면, 버키의 회전 틸팅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구동모터 대신 액츄에이터를 적용함으로써, 기어의 백래쉬에 의한 촬영 정밀도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에 의하면, 예기치 못한 외력이 가해질 때 이를 댐퍼부재가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엑스선 촬영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스탠드(10, 도 6 참조)의 회전 틸팅 장치(이하, '회전 틸팅 장치')(100)는, 스탠드(11, 도 6 참조)의 전방에 설치되며 버키 패널(12, 도 6 참조)과 일체로 회전하는 틸팅 브라켓(300)과, 버키 패널(12)이 틸팅 회전하도록 틸팅 브라켓(300)을 틸팅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40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버키 스탠드(10)는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스탠드(11)와, 스탠드(11)의 전방에 설치되는 버키 패널(12)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탠드(11)와 버키 패널(12) 사이에 지지 프레임(200)이 결합된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200)은 후단이 스탠드(11)의 전면에 스탠드(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이 스탠드(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버키 패널(12)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200)은 스탠드(11)의 전면에 후단이 결합되고 전단이 스탠드(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210)과, 지지 브라켓(210)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220)와, 지지 플레이트(220)의 상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한 쌍씩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1,제2 수직블록(230,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브라켓(210)은,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천정부(211)와, 천정부(211)의 후단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 형성되며 스탠드(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후면부(212)와, 후면부(212)의 좌우 양단에서 천정부(21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213)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측벽부(213)는 하단이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지 브라켓(210)의 전단과 하단은 개방된다. 지지 브라켓(210)의 천정부(211)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방 타원형의 제1 관통홀(211a)이 관통 형성되며, 천정부(211)의 저면에는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한 쌍의 결합부(211b)가 하향 돌출 형성된다.
지지 브라켓(210)의 상측면에는 제1 관통홀(211a)과 연통하도록 제2 관통홀(221)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220)가 결합되며, 지지 플레이트(220)의 상측면 전단부에 폭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30)이 결합된다.
한편, 버키 패널(12)의 후면에는 버키 패널(12)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의 힌지 결합부(13)가 상호 대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힌지 결합부(13)의 내측에 회전축(14)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 회전축(14)은 힌지 결합부(1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회전축(14)이 힌지 결합부(13)에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14)과 힌지 결합부(13)는 일체로 회전한다. 즉, 회전축(14)의 회전시 버키 패널(12)이 힌지 결합부(13)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지지 프레임(200)의 전단부가 한 쌍의 힌지 결합부(13) 사이에 삽입되며, 한 쌍의 회전축(14)은 제1 수직블록(230)을 관통하여 제1 수직블록(230)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1 수직블록(230)에는 회전축(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지지 플레이트(220)의 상측면 후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한 쌍의 제2 수직블록(240)이 결합되며, 제1 수직블록(230)과 제2 수직블록(240) 사이의 공간부 상측에 커버 플레이트(250)가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250)는 전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제1 수직블록(230)의 후면 상단부에 결합되며, 커버 플레이트(250)의 후단부는 제2 수직블록(240)의 상단에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250)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방타원형의 관통공(251)이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00)의 전단부 내부에 틸팅 브라켓(300)이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30)을 각각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회전축(14) 사이에 틸팅 브라켓(300)이 설치된다.
틸팅 브라켓(300)은,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30) 사이에 지지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310)와, 한 쌍의 회전부재(3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20)와, 한 쌍의 회전부재(31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중간부재(330)를 포함한다. 또한, 틸팅 브라켓(300)의 회전시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700)를 가압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커버부재(320)의 일측이 회전부재(3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 쌍의 회전부재(310)의 외측면 상단부에 한 쌍의 회전축(14)이 각각 일체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회전부재(310)의 상하 방향 회전시 회전축(14)과 함께 버키 패널(12)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재(310)의 하단에는 볼록하게 라운드진 라운드부(311)가 형성되며, 라운드부(311)의 하단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부(312)가 돌출 형성된다.
틸팅 브라켓(300)은 액츄에이터(40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액츄에이터(400) 전단의 작동 로드(410)가 회전부재(3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데, 한 쌍의 라운드부(311) 사이로 작동 로드(410)가 삽입되고, 라운드부(311)와 작동 로드(410)를 관통하여 제1 힌지축(420)이 결합된다. 이때, 제1 힌지축(420)은 라운드부(311)에 결합되는 제2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단면도이다.
액츄에이터(400) 작동시, 제1 힌지축(420)에 힌지 결합된 액츄에이터(400)의 작동 로드(410)가 직선 운동하면서 제1 힌지축(420)을 밀거나 잡아당기게 되며, 틸팅 브라켓(300)이 회전축(14)과 함께 회전하여 버키 패널(12)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액츄에이터(400)의 작동 로드(410)가 신축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버키 패널(12)의 틸팅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액츄에이터(400)는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작동 로드(410)가 신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400)의 타단은 전술한 지지 브라켓(210) 천정부(211)의 제1 관통홀(211a)과 지지 플레이트(220)의 제2 관통홀(221)을 관통하여, 천정부(211) 저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211b) 사이로 연장되며, 한 쌍의 결합부(211b)를 관통하는 제2 힌지축(430)에 힌지 결합된다.
버키 패널(12)에 예기치 못한 외력이 작용하여 설정된 촬영각도를 벗어나거나 액츄에이터(400) 등 주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틸팅 브라켓(3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댐핑부재(500)가 설치된다.
댐핑부재(500)는 예컨대, 유압 또는 가스 실린더 형태의 완충 실린더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감쇄할 수 있다. 이때, 틸팅 브라켓(300)의 돌출부(312)에 제1 고정핀(520)이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댐핑부재(500)는 전단의 댐핑 로드(510)가 돌출부(3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핀(520)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아울러, 댐핑부재(500)의 후단은 제2 수직블록(240)의 내측 상단에 결합된 제2 고정핀(530)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400)의 일측에 회전축(14)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인코더(600)가 설치된다. 이때, 틸팅 브라켓(300) 외측의 회전축(14)에는 회전축(14)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풀리(610)가 구비되며, 지지 플레이트(220)의 상측면 일측에는 인코더 브라켓(620)에 의해 감속기어부(630)와 인코더(600)가 결합된다.
감속기어부(630)는 타이밍 벨트(640)에 의해 회전풀리(6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입력기어(631)와, 인코더(600)와 치합하는 출력기어(632), 및 입력기어(631)와 출력기어(632)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전달기어(633)를 포함하며, 인코더(600)에 의해 출력기어(632)의 회전각도를 검출함으로써 버키 패널(12)의 틸팅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틸팅 브라켓(300)과 버키 패널(12)의 회전각도 제한을 위해 틸팅 브라켓(300)의 외측에 리미트 스위치(700)가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 브라켓(300)을 사이에 두고 회전풀리(610)와 대향하는 제1 수직블록(230)의 상단에 스위치 브라켓(710)이 결합된다. 스위치 브라켓(710)은 일측이 제1 수직블록(230)의 상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 수직블록(23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711)와, 지지부(711)의 전후 양단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연장부(712)를 포함하며, 연장부(712)의 외측면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700)가 결합된다. 리미트 스위치(700)의 버튼은 틸팅 브라켓(300)의 회전부재(310)를 향해 돌출되며, 틸팅 브라켓(300)의 회전시 커버부재(320)의 일측이 리미트 스위치(700)의 버튼을 가압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버튼의 마모 또는 파손 방지를 위해, 버튼을 가압하는 커버부재(320) 일측의 전후 양단 코너에 접촉부(321)가 둥글게 라운드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미트 스위치(700)는 버키 패널(12)의 최대 회전각도(예커대, -20°~90°)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버키 패널(12)의 회전각도가 최대 회전각도에 이르러면, 틸팅 브라켓(300)이 리미트 스위치(700)를 작동시켜 액츄에이터(400)의 작동이 정지된다.
한편, 틸팅 브라켓(300)의 일측에는 틸팅 브라켓(3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340)가 형성된다.
일 예로서, 스토퍼부(340)는 회전부재(310) 후면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부(340)의 끝단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 재질의 완충재(341)가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30)의 상측면 후단부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바(bar) 형태의 걸림부재(232)가 결합되는데, 걸림부재(232)의 저면에는 한 쌍의 스토퍼부(340)와 대향하여 한 쌍의 걸림부(233)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걸림부(233)의 전면 하단에는 후방으로 낮게 경사진 경사면(234)이 형성된다.
스토퍼부(340)와 걸림부(233)는 버키 패널의 최대 하향 회전각도(예컨대, -20°)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틸팅 브라켓(300)의 회전(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회전)시 스토퍼부(340)가 걸림부(233) 전면의 경사면(234)에 닿아서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때 스토퍼부(340)와 걸림부(233)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버키 패널(12)의 최대 하향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버키 패널(12)의 최대 상향 회전각도는 버키 패널(12)이 후방으로 기울어져서 후면이 지지 프레임(200)의 상측면과 맞닿을 때까지 회전 가능한 각도(예컨대, 90 °)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브라켓(210)의 상측면 후단부에는 지지 플레이트(220)의 후방에 이격하여 결합 브라켓(260)이 수직하게 결합된다. 이 결합 브라켓(260)은 지지 브라켓(210)의 후면부(212)와 함께 스탠드(11)의 전면에 결합되어 지지 브라켓(2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수직블록(240)의 후방에는 한 쌍의 결합볼트(274)가 상향 돌출된 받침 브라켓(270)이 결합된다. 받침 브라켓(270)은 제2 수직블록(24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제1 체결부(271)와, 제1 체결부(271)의 하단에서 제2 수직블록(240)의 후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받침부(272)와, 받침부(272)의 양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지지 플레이트(220)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273)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받침부(272)에 서브 웨이트(미도시)를 안착시켜 지지 브라켓(210)에 가해지는 무게 평형을 맞출 수 있으며, 이때 받침부(272)에는 서브 웨이트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결합볼트(274)가 구비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0)의 신축에 의해 회전축(14)과 함께 힌지 결합부(13)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며,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힌지 결합부(13)가 형성된 버키 패널(12)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예컨대, 액츄에이터(400)의 작동에 의한 작동 로드(410)의 전진시, 작동 로드(410)가 제1 힌지축(420)을 밀어서 회전축(14)에 대하여 틸팅 브라켓(300)을 상향 회동(도면상 시계방향 회전)시키며, 이때 회전축(14)과 함께 버키 패널(12)이 상향 회동한다.
반대로, 액츄에이터(400)의 작동에 의한 작동 로드(410)의 후진시, 작동 로드(410)가 제1 힌지축(420)을 잡아당겨 회전축(14)에 대하여 틸팅 브라켓(300)을 하향 회동(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시키며, 이때 회전축(14)과 함께 버키 패널(12)이 하향 회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400)의 작동에 따른 작동 로드(410)의 신축에 의해 버키 패널(12)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버키 패널(12)의 회전각도는 인코더(600)에 의해 검출되며, 검출된 회전각도에 따라 액츄에이터(4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버키 패널(12)의 틸팅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버키 패널(12)에 가해지는 예기치 못한 외력에 의한 충격은 댐핑부재(500)에 의해 흡수되거나 완화되며, 버키 패널(12)의 회전각도는 리미트 스위치(70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 틸팅 장치(100)의 보호를 위해 틸팅 브라켓(300)에 스토퍼부(340)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회전 틸팅 장치 200 : 지지 프레임
210 : 지지 브라켓 220 : 지지 플레이트
230 : 제1 수직블록 240 : 제2 수직블록
250 : 커버 플레이트 260 : 결합 브라켓
270 : 받침 브라켓 300 : 틸팅 브라켓
310 : 회전부재 320 : 커버부재
340 : 스토퍼부 400 : 액츄에이터
410 : 작동 로드 500 : 댐핑부재
510 : 댐핑로드 600 : 인코더
610 : 회전풀리 640 : 타이밍 벨트
700 : 리미트 스위치

Claims (7)

  1. 스탠드의 전면에 후단이 결합되며, 상기 스탠드의 전방으로 돌출된 전단에 버키 패널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버키 패널과 일체로 회전하는 틸팅 브라켓;
    상기 틸팅 브라켓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타단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버키 패널을 회전 틸팅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틸팅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측에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댐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스탠드의 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측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키 패널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수직블록과, 상기 제1 수직블록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측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댐핑부재의 타단이 측면에 결합되는 제2 수직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과 타이밍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브라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틸팅 브라켓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브라켓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에 탄성 재질의 완충재가 구비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저면에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액츄에이터가 관통하도록 상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KR1020190014859A 2019-02-08 2019-02-08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KR102203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859A KR102203463B1 (ko) 2019-02-08 2019-02-08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859A KR102203463B1 (ko) 2019-02-08 2019-02-08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456A KR20200097456A (ko) 2020-08-19
KR102203463B1 true KR102203463B1 (ko) 2021-01-15

Family

ID=7226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859A KR102203463B1 (ko) 2019-02-08 2019-02-08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4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135B1 (ko) 2020-12-10 2023-03-13 주식회사 휴비츠 수평 및 수직 회전 구동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안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8804A1 (en) 2002-11-26 2004-05-27 Muthuvelan Varadharajulu Grouted tilting patient positioning table for vascular applications
US20090279671A1 (en) * 2008-05-09 2009-11-12 Jinglei Zhang X-ray detecting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US20140133627A1 (en) 2012-11-12 2014-05-15 Canon Kabushiki Kaisha Radiation generating device and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9398674B2 (en) 2013-01-21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98A (ko) * 2015-03-04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8804A1 (en) 2002-11-26 2004-05-27 Muthuvelan Varadharajulu Grouted tilting patient positioning table for vascular applications
US20090279671A1 (en) * 2008-05-09 2009-11-12 Jinglei Zhang X-ray detecting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US20140133627A1 (en) 2012-11-12 2014-05-15 Canon Kabushiki Kaisha Radiation generating device and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9398674B2 (en) 2013-01-21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456A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0784B2 (ja) 衝撃吸収性カバーを設けたx線検出器
EP2338417B1 (en)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assist apparatus for the same
JP4322515B2 (ja) 自動駆動システムを備えたトモシンセシスx線マンモグラム・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1033798A1 (ja) X線撮影装置、x線画像システム及びx線画像生成方法
US20070085015A1 (en) Lightweight and rugged digital x-ray detector
KR102203463B1 (ko) 버키 스탠드의 회전 틸팅 장치
JP2008129231A (ja) カセッテ型放射線画像検出器
JP2011045655A (ja) X線撮影装置
US8160207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JP2012176122A (ja)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検出システム
JPH0785740B2 (ja) 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組立体
CN101254108A (zh) 轻质坚固的数字x射线探测器
GB1583868A (en) Radiography
US4885761A (en) Gravity actuated X-ray scanner
JP2004166728A (ja) X線撮影装置
JP2013072810A (ja) 放射線画像検出装置
JP2001170038A (ja) ガントリの回転バランス調整装置
JP2009082275A (ja) 放射線画像記録読取装置
JP2002311149A (ja) X線画像撮影装置
JP2022071193A (ja) 可搬型放射線画像撮影装置収納機構
JP200500706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7111150A (ja) 平行リンク型テーブル及び断層像撮影装置
WO2005008227A1 (ja) 透過撮影装置
JP5339951B2 (ja) X線画像撮影装置
JP4360006B2 (ja) X線透視撮影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