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57B1 -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57B1
KR102203357B1 KR1020200036010A KR20200036010A KR102203357B1 KR 102203357 B1 KR102203357 B1 KR 102203357B1 KR 1020200036010 A KR1020200036010 A KR 1020200036010A KR 20200036010 A KR20200036010 A KR 20200036010A KR 102203357 B1 KR102203357 B1 KR 10220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eating cable
receptor
water permeabilit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남
Original Assignee
신동남
(주) 다해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남, (주) 다해산업개발 filed Critical 신동남
Priority to KR102020003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도로의 상면에 적설된 눈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녹일 수 있도록 구성된 스노우멜팅 시스템에 있어서, 적설된 눈이 녹은 뒤 도포 표면에 잔여하는 물 등의 수분을 도로의 하측으로 투과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Road construction structure of snow-melting system having water permeability, And the method construction by the road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도로의 상면에 적설된 눈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녹일 수 있도록 구성된 스노우멜팅 시스템에 있어서, 적설된 눈이 녹은 뒤 도포 표면에 잔여하는 물 등의 수분을 도로의 하측으로 투과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포장도로에 적설된 눈을 녹이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노우멜팅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노우멜팅 시스템은 발열케이블을 포장도로에 형성한 홈에 삽입하여 설치한 뒤, 발열케이블의 상측을 충진재로 충진시켜 마감하고, 상기 발열케이블은 일단에 센서와 컨트롤유닛에 연결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발열케이블은 MI type 및 매트 type이 있다.
한편, 상기 센서는 발열케이블처럼 도로에 홈을 형성하여 삽입시키는 구조일 수 있는데, 상기 센서에서 적설을 감지하여 컨트롤유닛에서 발열케이블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발열케이블이 발열되어 도로 상측에 적설된 눈을 녹이도록 한다.
이러한 컨트롤패널은 종래 제어반 등의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도로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하다.
즉, 발열케이블이 매설시키기 위해 충진된 충진재는 발열케이블의 열원을 도로 상측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열전도성이 우수해야 한다. 아울러, 충진재 주변부의 콘크리트 재질을 가지는 도로로의 연전도에도 연계되어야 하므로, 충진재 자체의 열전도율은 상당히 우수해야한다.
때문에, 스노우멜팅 시스템에서는 충진재로서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를 이용한다.
상기 블로운 아스팔트는, 석유 아스팔트를 주원료로 하여 220~250℃의 고온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에 의한 산화반응 및 중합, 축합 반응을 시켜 탄성력이 크게 된 아스팔트이다.
이러한 블로운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해 아스팔텐의 함유량이 많고, 페트로렌의 함유량이 적어 내열성이 우수하며 충격저항성이 강하고 감온성이 적다. 더불어 방수에도 탁월한 성능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블로운 아스팔트는 발열케이블의 열원을 쉽게 도로 표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블로운 아스팔트는 방수에 탁월하기 때문에 포장도로의 상면에 적설되었던 눈이 녹음으로 발생된 물기를 배출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포장도로는, 포장도로의 상면에 형성된 물(또는 수분)은 도로의 기울기 설계를 통해 도로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비록,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더라도, 포장도로의 상면에서 일정량을 흡수할 수 없다면 수분의 잔여는 지속될 수 밖에 없고, 특히 눈이 적설될 정도의 기온이라면 잔여된 수분이 얼어서 도로 상에 빙판길을 형성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포장도로는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도로 상의 수분을 지표면으로 일정량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스노우멜팅 시스템에 의해 가공된 도로면은 충진재인 블로운 아스팔트에 의해 수분의 흡수를 방해받게 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블로운 아스팔트가 형성된 도로면에는 빙판의 형성이 유도될 수 있고, 이는 보행자는 물론 운전자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스노우멜팅 기술에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924호에는 미끄럼방지제와 히팅코일을 이용한 도로의 결빙방지 시설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동절기 내리는 눈이 미끄럼방지 포장면에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여서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여 주기 위한 미끄럼방지제와 히팅코일을 이용한 도로의 결빙방지 시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적설된 눈을 녹여 없애는 것에 집중할 뿐, 눈이 녹음에 의해 발생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물기가 낮은 기온에서 다시 얼게되면, 눈을 녹였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빙판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빙판을 다시 녹일 수는 있더라도, 녹음과 얼음이 반복됨에 의해 강도가 높아지고 범위가 커지는 빙판을 형성하는 반복된 형태를 보일 뿐이다.
즉, 순간적으로 빙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문제의 해결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924호(2003.05.2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도로의 상면에 적설된 눈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녹일 수 있도록 구성된 스노우멜팅 시스템에 있어서, 적설된 눈이 녹은 뒤 도포 표면에 잔여하는 물 등의 수분을 도로의 하측으로 투과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는, 포장도로에 일정 구간 길이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 상기 홈의 바닥에 설치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케이블; 및 상기 홈의 내측 중 발열케이블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이루는 충진층;을 포함하되, 상기 충진층은 포장도로 표면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투수성이 향상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은, 포장도로의 상면에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 단계; 상기 홈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홈에 발열케이블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 단계; 및 상기 케이블 설치 단계를 통해 발열 케이블이 설치된 홈의 내측으로 충진재를 충진하여 충진층을 형성하는 홈 충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첫째, 종래의 스노우멜팅 시스템 기능이 가능하여 포장도로 상면에 적설된 눈을 녹일 수 있고,
둘째, 동시에 녹혀진 눈으로 인해 형성된 물기(수분)를 포장도로 내측으로 스며들게 하여 투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낮은 기온으로 인해 빙판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홈의 형상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실시예 1.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도로의 상면에 적설된 눈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녹일 수 있도록 구성된 스노우멜팅 시스템에 있어서, 적설된 눈이 녹은 뒤 도포 표면에 잔여하는 물 등의 수분을 도로의 하측으로 투과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포장도로에 적설된 눈을 녹이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노우멜팅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노우멜팅 시스템은 발열케이블을 포장도로에 형성한 홈에 삽입하여 설치한 뒤, 발열케이블의 상측을 충진재로 충진시켜 마감하고, 상기 발열케이블은 일단에 센서와 컨트롤유닛에 연결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발열케이블은 MI(Mineral Insulated) type 또는 매트 type에 한정되지 않고, 홈에 발열케이블을 설치한 뒤, 충진재를 충진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채용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발열케이블처럼 도로에 홈을 형성하여 삽입시키는 구조일 수 있는데, 상기 센서에서 적설을 감지하여 컨트롤유닛에서 발열케이블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발열케이블이 발열되어 도로 상측에 적설된 눈을 녹이도록 한다.
이러한 컨트롤패널은 종래 제어반 등의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도로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하다.
즉, 발열케이블이 매설시키기 위해 충진된 충진재는 발열케이블의 열원을 도로 상측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열전도성이 우수해야 한다. 아울러, 충진재 주변부의 콘크리트 재질을 가지는 도로로의 연전도에도 연계되어야 하므로, 충진재 자체의 열전도율은 상당히 우수해야한다.
때문에, 스노우멜팅 시스템에서는 충진재로서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를 이용한다.
상기 블로운 아스팔트는, 석유 아스팔트를 주원료로 하여 220~250℃의 고온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에 의한 산화반응 및 중합, 축합 반응을 시켜 탄성력이 크게 된 아스팔트이다.
이러한 블로운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해 아스팔텐의 함유량이 많고, 페트로렌의 함유량이 적어 내열성이 우수하며 충격저항성이 강하고 감온성이 적다. 더불어 방수에도 탁월한 성능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블로운 아스팔트는 발열케이블의 열원을 쉽게 도로 표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블로운 아스팔트는 방수에 탁월하기 때문에 포장도로의 상면에 적설되었던 눈이 녹음으로 발생된 물기를 배출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포장도로는, 포장도로의 상면에 형성된 물(또는 수분)은 도로의 기울기 설계를 통해 도로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비록,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더라도, 포장도로의 상면에서 일정량을 흡수할 수 없다면 수분의 잔여는 지속될 수 밖에 없고, 특히 눈이 적설될 정도의 기온이라면 잔여된 수분이 얼어서 도로 상에 빙판길을 형성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포장도로는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도로 상의 수분을 지표면으로 일정량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스노우멜팅 시스템에 의해 가공된 도로면은 충진재인 블로운 아스팔트에 의해 수분의 흡수를 방해받게 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블로운 아스팔트가 형성된 도로면에는 빙판의 형성이 유도될 수 있고, 이는 보행자는 물론 운전자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홈의 형상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는 도 1과 같이 도로 상에 소정의 길이와 방향을 가지는 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홈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발열케이블(도 2의 케이블)을 홈의 바닥면에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발열케이블이 설치된 홈의 내측으로 충진재를 충진하여 충진층을 형성한다.
즉, 이러한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은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가. 홈 형성 단계
홈 형성 단계는, 도로의 상면에 스노우멜팅 시스템을 적용할 홈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홈은 50~70mm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너비는 발열케이블(3~3.5mm)의 두께를 고려하여 12mm의 너비를 가지도록 하여 충진시 발열케이블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홈은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복수 개 형성되는데, 복수 개의 홈의 간격은 도로를 주행하는 일반적인 차량(승용차)의 양쪽 바퀴 접촉부를 기준으로 2개가 125mm ~ 150mm의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홈을 형성하는 커팅방법은 도로의 포장상태 등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채용하도록 한다.
나. 케이블 설치 단계
케이블 설치 단계는, 상기 홈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홈에 발열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케이블 설치 단계는, 발열케이블의 설치가 종료되면, 상기 발열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된 센서와, 상기 발열케이블 및 센서에 연결된 컨트롤유닛을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센서나 컨트롤유닛은 종래 사용되는 것을 채용한 것이므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선택된 기제품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온도감지센서 및 적설감지센서로 구성되며, 스노우멜팅된 포장도로의 온도를 감지하여 적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 홈 충진 단계
홈 충진 단계는, 상기 케이블 설치 단계를 통해 발열 케이블이 설치된 홈의 내측으로 충진재를 충진하여 충진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충진재는 아래에 기술된 것을 채용하며, 현장에서 경화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충진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진재는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20~22중량부만큼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투수 향상용 조성물이란 규사 및 황토로 이루어진 조성물이고, 상기 규사와 황토가 1 : 6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황토는 투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의 조성물이고, 규사는 황토가 혼합됨에 의해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보완하는 목적의 조성물이다. 특히 황토가 조성물로 포함됨에 의해, 충진층을 통해 투수되는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분의 투수에 의해 물이끼 등 이물질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규사와 황토만을 가지고 자체실험을 수행한 결과, 상기 규사가 황토 대비 비율이 1을 넘어가는 경우, 투수성의 저하가 우려된다. 또한, 규사 대비 황토의 비율이 6 미만인 경우 투수성이 저하되고, 6을 초과하게 되더라도 투수성이 향상되는 것보다 강도가 저하되는 비중이 더 크므로 의미가 없다. 이러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자 규사의 비율을 증진시킬 수는 있지만 이는 원가의 상승만 발생될 뿐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블로운아스팔트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투수성 및 열전도율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투수성과 열전도율의 평가는 종래 실험방법을 채용하였다. 아울러, 실험군은 아래의 조건에 맞춰 10(가로) x 10(세로) x 50(높이)의 규격을 가지는 블록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 : 블로운아스팔트
실험군 1 :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17중량부
실험군 2 :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18중량부
실험군 3 :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19중량부
실험군 4 :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20중량부
실험군 5 :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21중량부
실험군 6 :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22중량부
실험군 7 :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23중량부
실험군 8 :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24중량부
투수성 평가 결과
투수성 평가는, 상술된 실험군들을 시험기 테이블 상단에 고정한 후 수평을 맞춘 뒤, 250ml의 물을 각 실험군 위에 뿌리는 방식으로 도포하였다.
이후, 시험기에 진동발생기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물이 골고루 퍼지도록 하였고, 1시간 이후에 각 실험군의 하측에 구비된 용기에 수용된 물의 양을 판단하였다. 이때 진동은 60Hz로 30초동안 발생하였다.
실험군 1 2 3 4 5 6 7 8 비교예
양(ml) 87 107 124 150 167 171 185 199 7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투과된 물의 양이 7ml이 상당히 적었다. 이는 각 실험군으로 사용된 블록에 함유된 양을 포함하더라도, 방수에는 효율적일 수 있지만, 투수율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투수 향상용 조성물이 함유되면서 투수율은 상당히 증가했다. 다만, 실험군으로 사용된 블록에 물이 포함되어 있음을 감안하였을 때, 적어도 도포된 양의 1/2의 양을 넘어서지 못한다면 투수율이 저하된다고 판단하였다.
상기 투수 향상용 조성물의 비중이 증가할 수록 큰폭으로 투수율이 개선되었다. 다만, 250ml의 1/2의 양에 부합되지 않는 실험군 1 내지 실험군 3의 경우 투수율이 종래에 비해 개선되었다고 볼 수 없어서 제품화 적용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열전도율 평가 결과
상술된 실험결과, 제품화 적용에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되는 실험군 4 내지 실험군 8을 대상으로 열전도율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실험군 각각을 연전도 시험 봉에 삽입하고, 설치하여 온도센서를 각 측정 점에 설치한 뒤, 열전도 시험 봉에 100℃의 열을 발생시켜, 이후 1시간 뒤에 각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Figure 112020031082224-pat00001
평가 결과, [표 2]에서와 같이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투수 향상용 조성물이 23중량부를 넘어서는 실험군 7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투수 향상을 목적으로 포함된 황토와 규사가 블로운아스팔트의 열전도성을 저하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 향상용 조성물의 최대 임계값은,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 22중량부인 것이다.
따라서, 투수 향상용 조성물은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22중량부만큼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 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구조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는 제1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을 그대로 채용하되, 홈의 내측에 수용체를 삽입하고, 수용체 내부에 발열케이블과 충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홈은 수용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만큼의 너비와 깊이를 더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는,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U'자 또는 '└┘'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내측에 빈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용체는, 최상면의 단면형상이 '
Figure 112020031082224-pat00002
'의 형상과 같이 중심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오목한 영역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수용체는 내벽과 외벽을 포함하여 상술된 최상면이 내벽과 외벽을 연결하는 형태로서, 내벽과 외벽 사이는 중공인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내벽은 발열케이블과 충진층이 맞닿는 면이고, 외벽은 홈의 내벽이 맞닿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외벽의 일측으로도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통공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체는 도로 상면에 형성된 수분이 수용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수용체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외벽의 통공을 통해 종래 포장도로의 내측으로 스며들 수도 있고, 포장도로의 기공층에 의한 통풍작용으로 수용체의 중공으로 유입된 수분이 건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된 충진재를 구성하지 않고도 종래 블로운 아스팔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충진재를 준비하는 원가적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된 시공방법에서 홈 형성 단계 후, 케이블 설치 단계 이전에 상기 수용체를 설치하는, 수용체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7)

  1. 포장도로에 일정 구간 길이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되, 내측 방향의 내벽, 상기 홈 방향의 외벽 및 최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되고, 상기 최상면의 단면형상이 '
    Figure 112020122743038-pat00006
    '의 형상과 같이 중심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며, 오목한 영역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외벽의 일측으로도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수용체;
    상기 수용체 내측의 바닥에 설치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케이블; 및
    상기 수용체의 내측 중 발열케이블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이루는 충진층;을 포함하되,
    수용체 내부에는 발열케이블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1개의 충진층으로만 충진되고,
    상기 충진층은 블로운아스팔트; 및 규사와 황토가 혼합된 투수 향상용 조성물;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20~22중량부만큼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투수 향상용 조성물은 규사 1 : 황토 6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충진층의 열 전도율을 확보하여 발열케이블의 열 전달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투수성을 향상시켜 포장도로 표면에 수분이 잔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2. 포장도로의 상면에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 단계;
    상기 홈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홈에,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되, 내측 방향의 내벽, 상기 홈 방향의 외벽 및 최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되고, 상기 최상면의 단면형상이 '
    Figure 112020122743038-pat00007
    '의 형상과 같이 중심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며, 오목한 영역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외벽의 일측으로도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수용체를 설치하는 수용체 설치 단계;
    상기 수용체 설치 단계에서 설치된 수용체에 발열케이블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 단계; 및
    상기 케이블 설치 단계를 통해 발열 케이블이 설치된 수용체의 내측으로 충진재를 충진하여 충진층을 형성하는 홈 충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수용체 내부에는 발열케이블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1개의 충진층으로만 충진되고,
    상기 충진층은 블로운아스팔트; 및 규사와 황토가 혼합된 투수 향상용 조성물;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블로운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투수 향상용 조성물을 20~22중량부만큼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투수 향상용 조성물은 규사 1 : 황토 6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충진층의 열 전도율을 확보하여 발열케이블의 열 전달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투수성을 향상시켜 포장도로 표면에 수분이 잔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36010A 2020-03-25 2020-03-25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KR102203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10A KR102203357B1 (ko) 2020-03-25 2020-03-25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10A KR102203357B1 (ko) 2020-03-25 2020-03-25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357B1 true KR102203357B1 (ko) 2021-01-15

Family

ID=7412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010A KR102203357B1 (ko) 2020-03-25 2020-03-25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125B1 (ko) 2023-04-03 2023-11-07 김현일 도로 융설용 히팅 케이블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206A (ja) * 2000-05-30 2001-12-07 Obayashi Road Corp 排水用溝形暗渠及び排水ブロック
KR200313924Y1 (ko) 2003-02-13 2003-05-22 김동규 미끄럼방지제와 히팅코일을 이용한 도로의 결빙방지 시설
KR101881837B1 (ko) * 2018-01-08 2018-07-26 씨이에스 주식회사 상향식 열전달 구조의 탄소섬유 지중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결빙 방지도로 시공방법
KR20190023573A (ko) * 2017-08-29 2019-03-08 박경수 도로 결빙방지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206A (ja) * 2000-05-30 2001-12-07 Obayashi Road Corp 排水用溝形暗渠及び排水ブロック
KR200313924Y1 (ko) 2003-02-13 2003-05-22 김동규 미끄럼방지제와 히팅코일을 이용한 도로의 결빙방지 시설
KR20190023573A (ko) * 2017-08-29 2019-03-08 박경수 도로 결빙방지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KR101881837B1 (ko) * 2018-01-08 2018-07-26 씨이에스 주식회사 상향식 열전달 구조의 탄소섬유 지중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결빙 방지도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125B1 (ko) 2023-04-03 2023-11-07 김현일 도로 융설용 히팅 케이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3320B1 (en) Rubberized covering with integral heating system
KR100642062B1 (ko) 투수, 정화, 동상방지 기능을 갖는 탄성 포장재
KR102203357B1 (ko) 투수성을 가지는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도로 시공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KR101482163B1 (ko) 카보팔트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소성변형 방지 공법
US9775196B2 (en) Self-heating concrete using carbon nanofiber paper
KR20070055977A (ko) 도로 융설장치
KR20090100314A (ko) 포장 도로의 제설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
KR20190023573A (ko) 도로 결빙방지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KR100743473B1 (ko) 열발산층을 갖는 탄성 포장재
JP5347198B2 (ja) 誘導または走行用床レールラクナ備付による自動清掃一式装置
KR102231158B1 (ko) 탄소유도발열체를 이용한 도로 융설시스템
Pirozzolo et al. Evaluation of bituminous sub-ballast manufactured at low temperatures as an alternative for the construction of more sustainable railway structures
JP3778738B2 (ja) 透水性舗装構造
CN107524066A (zh) 一种防结冰沥青混凝土层及其施工方法
CN206204722U (zh) 一种抑制路面结冰的橡胶沥青路面结构
KR102356397B1 (ko) 스노우멜팅용 히팅케이블, 이를 이용한 스노우멜팅 시스템
CN212175378U (zh) 一种透水防滑路面结构
CN210140747U (zh) 一种抗凝冰的排水沥青路面结构
Rieksts et al. In situ thermal performance of lightweight aggregates expanded clay and foam glass in road structures
KR101986242B1 (ko) 도로의 적설 및 결빙에 대한 선대응이 가능한 고열효율 스마트 발열포장 도로구조 및 도로의 스마트 발열포장 시공방법
LT6799B (lt) Akvaplanavimą ir triukšmą mažinančios kelio dangos asfalto mišiniai ir taikymo technologinis procesas
KR20120009560A (ko) 결빙방지 오버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CN215441249U (zh) 一种有效防止积雪结冰的沥青路面结构
Sikich et al. Designing Pavements With Interlayers
Elseifi et al. Performance of geocomposite membrane as pavement moisture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