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14B1 -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치료 방법, 살균 시스템 및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치료 방법, 살균 시스템 및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14B1
KR102203314B1 KR1020187019978A KR20187019978A KR102203314B1 KR 102203314 B1 KR102203314 B1 KR 102203314B1 KR 1020187019978 A KR1020187019978 A KR 1020187019978A KR 20187019978 A KR20187019978 A KR 20187019978A KR 102203314 B1 KR102203314 B1 KR 102203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hotodynamic therapy
light
imag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505A (ko
Inventor
코우지 오가사와라
준지 니시가키
요시노부 오사키
Original Assignee
코우지 오가사와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우지 오가사와라 filed Critical 코우지 오가사와라
Publication of KR2018008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phenothiazine, chlorpromazine, piroxi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고, pH가 7.6~9.5인,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과,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고, pH가 7.6~9.5인,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치료 방법, 살균 시스템 및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본 발명은,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치료 방법, 살균 시스템 및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과,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선역학 요법은, 피부, 점막 등의 감염증의 병변부에 존재하는 병원(病原) 미생물에 광증감제(광감수성 물질)를 투입시키고, 그 광증감제에 대응한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광증감제로부터 활성 산소를 발생시켜, 병원 미생물을 살균함으로써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메틸렌 블루는 메트헤모글로빈 혈증 치료약, 색소 내시경 검사용 콘트라스트법에 있어서의 색소제, 염색법에 있어서의 염색제, 어병약(魚病藥) 등으로서 임상 현장, 일상 생활에서 실용화되고 있으며, 인체에 안전한 색소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메틸렌 블루가 광의 흡수에 의하여 발생하는 일중항 산소에 의하여 세포사를 유도하는 것을 이용하여 치과 영역에 있어서의 항균제로서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메틸렌 블루 단독으로는 항균력이 약하고, 또한 연고로 대량 도포가 필요하기 때문에, 적용이 구내 감염증에 한정된다. 한편, 비특허문헌 1에는, 메틸렌 블루의 소수성 유도체가,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 구균)나 VRSA(반코마이신 내성 황색 포도 구균)에 대하여, 메틸렌 블루보다 강한 살상 효과를 나타낸 것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전한 메틸렌 블루를 유도체화하면 생체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고,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임상 시험이 필요해진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공보 제1993/021992호
비특허문헌 1: Wainwright M. 등, J. Antimicrob. Chemotherapy, 44: 823 (1999)
그러나, 메틸렌 블루의 항균력 강화를 위한 다른 검토, 특히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pH를 특정 범위 내로 함으로써 광증감 효과를 강화하는 검토는,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지 않다. 특히 파일로리균 제균에 대한 응용은 지금까지 보고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증감 효과가 강하고, 안전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과, 광증감 효과가 강하고, 안전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고, pH가 7.6~9.5인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광증감 효과가 강하고, 안전한 것을 지득(知得)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게재하는 [1] 내지 [22]를 제공한다.
[1]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고, pH가 7.6~9.5인,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2] 상기 pH가 8.3~9.2인, 상기 [1]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3] 탄산 수소 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4] 상기 메틸렌 블루의 농도가 0.0007~4.0w/v%이며,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007~0.50w/v%인, 상기 [3]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5]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15~0.40w/v%인,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6]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병변부에 존재하는 파일로리균에 접촉시키고, 상기 파일로리균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는 광선역학 요법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7] 경내시경적으로,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병변부에 도포하고,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
[8] 광선 투사량이 1~200J/cm2인, 상기 [7]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
[9]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고, pH가 7.6~9.5인,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0] 상기 pH가 8.3~9.2인, 상기 [9]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1] 탄산 수소 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2] 상기 메틸렌 블루의 농도가 0.0007~4.0w/v%이며,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007~0.50w/v%인, 상기 [11]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3]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변부에 존재하는 병원 미생물에 접촉시키고, 상기 병원 미생물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는 광선역학 요법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4] 상기 병원 미생물이,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메티실린 내성 스테피로코커스·오우러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에셰리키아·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13]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5] 상기 피부 점막 감염증이, 칸디다병,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 구균 감염증, 녹농균 감염증 및 대장균 감염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9]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6] 상기 [9]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상기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변부에 도포하고,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
[17] 경내시경적으로, 상기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백색광 또는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
[18] 광선 투사량이 1~200J/cm2인, 상기 [16] 또는 [17]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
[19] 촬상 수단과, 광조사 수단과, 조성물 분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촬상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광조사 수단의 광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조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분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 상기 광조사 수단,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구비하는,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으로서,
(a)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수단의 피관찰 영역을 상기 광조사 수단이 조명하도록 작동하고,
(b)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점막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부에 송신하며,
(c)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색의 차를 강조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정상부와 병변부를 식별하여, 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d)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작동하며,
(e)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고,
(f)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광조사 수단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작동하며, 및
(g) 상기 광조사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20] 촬상 수단과, 광조사 수단과, 조성물 분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촬상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광조사 수단의 광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조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분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 상기 광조사 수단,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구비하는,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a) 상기 촬상 수단의 피관찰 영역을 상기 광조사 수단이 조명하도록,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공정,
(b) 상기 촬상 수단이,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점막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부에 송신하는 공정,
(c) 상기 연산·제어부가,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색의 차를 강조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정상부와 병변부를 식별하여, 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공정,
(d)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공정,
(e)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이,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공정,
(f) 상기 광조사 수단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공정, 및
(g) 상기 광조사 수단이,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21] 촬상 수단과, 광조사 수단과, 조성물 분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촬상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광조사 수단의 광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조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분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 상기 광조사 수단,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구비하는,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으로서,
(a)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수단의 피관찰 영역을 상기 광조사 수단이 조명하도록 작동하고,
(b)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피부 또는 점막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부에 송신하며,
(c)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피부 또는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색의 차를 강조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정상부와 병변부를 식별하여, 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d)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작동하며,
(e)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9]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고,
(f)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광조사 수단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작동하며, 및
(g) 상기 광조사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22] 촬상 수단과, 광조사 수단과, 조성물 분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촬상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광조사 수단의 광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조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분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 상기 광조사 수단,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구비하는,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a) 상기 촬상 수단의 피관찰 영역을 상기 광조사 수단이 조명하도록,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공정,
(b) 상기 촬상 수단이,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피부 또는 점막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부에 송신하는 공정,
(c) 상기 연산·제어부가,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피부 또는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색의 차를 강조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정상부와 병변부를 식별하여, 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공정,
(d)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공정,
(e)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이,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9]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공정,
(f) 상기 광조사 수단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공정, 및
(g) 상기 광조사 수단이,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광증감 효과가 강하고, 안전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과, 광증감 효과가 강하고, 안전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살균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살균 시스템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내시경의 선단 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내시경의 선단 캡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내시경의 가요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내시경의 가요관부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점은, 이미 안전성이 확립된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는, 특정 pH 범위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인 점에 있다. 특정 pH 범위로 조정하는 경우에도, 이미 안전성이 확립된 pH 조정제를 이용함으로써, 저독성이며 매우 안전성이 높은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범위를 "~"를 이용하여 나타낸 경우, 그 범위에는 "~"의 양측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A~B"가 나타내는 범위에는, "A" 및 "B"가 포함된다.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개요>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고, pH가 7.6~9.5이다.
《파일로리균 감염증》
파일로리균 감염증은 파일로리균에 의한 점막의 감염증이며, 특히 파일로리균에 의한 위 점막의 감염증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일로리균은 산성 조건하에서 기능하는 유레아제를 갖는 헬리코박터(Helicobacter)속 세균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헬리코박터·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무스텔라(Helicobacter mustelae) 및 헬리코박터·펠리스(Helicobacter feli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헬리코박터·파일로리이다.
《메틸렌 블루》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틸렌 블루(3,7-비스(다이메틸아미노)페노싸이아지늄 클로라이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무수물이어도 되고, 수화물이어도 된다. 수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수화물, 삼수화물, 및 사수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메틸렌 블루는, 의약품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것이어도 되고, 시약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시약으로서는 고순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JIS K 8897:2012에 규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메틸렌 블루를 에탄올 등의 용매에 용해하여, 농도 5.0w/v% 정도의 용액으로 한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w/v%"는 중량/체적퍼센트 농도이며, 용액 100mL 중에 포함되는 용질의 중량(g)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다. 용질의 중량을 W(g), 용액의 체적을 V(mL)로 하면,
w/v%=W(g)/V(mL)×100
으로 나타난다.
메틸렌 블루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은, 소화관의 색소 내시경 검사 시의 염색에 이용되는 것, 약제성의 메트헤모글로빈 혈증의 치료 시에 정맥 주사 또는 경구 투여되는 것, 아이포스파마이드 뇌증의 치료 시에 정맥 주사에 의하여 이용되는 것 등에서, 확립되어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저독성이며, 메틸렌 블루의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다.
(메틸렌 블루의 농도)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파일로리균에 접촉시킬 때의 메틸렌 블루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07~4.0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3.0w/v%, 더 바람직하게는 0.003~2.0w/v%,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05~1.0w/v%,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07~0.80w/v%이다. 이 범위 내이면, 파일로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여기에서, 농도의 가장 끝자리는 그것보다 한 자릿수 아래를 반올림한 것이다. 예를 들면, "0.001"은 0.00095 이상 0.0015 미만을, "4.0"은 3.95 이상 4.05 미만을, 각각 포함한다.
《pH》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pH는, 7.6~9.5이고, 바람직하게는 8.3~9.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9.0이다.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파일로리균에 접촉시킬 때의 pH가 이 범위 내이면, 파일로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다.
여기에서, pH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를 반올림한 것이며, 예를 들면 "7.6"은 7.55 이상 7.65 미만을, "9.5"는 9.45 이상 9.55 미만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있어서, pH는, JIS Z 8802:2011 "pH 측정 방법"에 규정되는 유리 전극을 이용한 pH계로 측정한, 25℃에 있어서의 pH값이다.
《pH 조정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pH를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pH 조정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대한 독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시트르산, 글루콘산, 석신산, 락트산, 탄산 수소 나트륨("중조(重曹)"라고도 함),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인산 이수소 칼륨, 인산 수소 이칼륨, 인산 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 수소 이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pH 조정제 중에서는, 탄산 수소 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로서 탄산 수소 나트륨을 이용하면,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예를 들면, pH 조정제로서 탄산 수소 나트륨을 이용한 경우와, 인산 이수소 칼륨(KH2PO4) 및 인산 수소 이나트륨(Na2HPO4)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동일한 pH이더라도, 탄산 수소 나트륨을 이용한 편이 보다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탄산 수소 나트륨이 다른 pH 조정제보다 항균 활성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지만, 탄산 수소 나트륨의 특이적인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pH 조정제의 첨가량)
pH 조정제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pH가 상술한 pH 범위 내가 되도록 첨가하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pH 조정제로서 탄산 수소 나트륨(중조)을 이용하는 경우, 그 농도는, 한 마디로 말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0.007~0.80w/v%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70w/v%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5~0.65w/v%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0~0.60w/v%,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5~0.40w/v%이다. 이 범위 내이면, 파일로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제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첨가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제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첨가제를 더 포함해도 된다. 제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상기 이외의 pH 조정제, 완충제, 습윤제·가용화제, 항균성 보존제, 킬레이트제, 착화제, 항산화제, 감미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유동화제·고화 방지제, 및 현탁화제·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다.
<용도>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병변부에 존재하는 파일로리균에 접촉시키고, 상기 파일로리균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는 광선역학 요법에 있어서 사용된다.
<적용 대상>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인간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인간 이외의 동물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예를 들면 원숭이, 고양이, 돼지, 및 개 등을 포함하는 인간 이외의 포유 동물을 한정하지 않고 들 수 있다. 또,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포유 동물 외에, 예를 들면 조류, 파충류, 양서류, 또는 어류 등의 포유류 이외의 척추 동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양, 염소, 당나귀, 및 낙타 등으로 예시되는 가축 등, 및 개, 고양이, 여우, 너구리, 원숭이, 당나귀, 및 말 등으로 예시되는 펫 등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 형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국소적 투여, 특히 바람직하게는, 위 점막의 병변부에 내시경을 통하여 직접 분무에 의한 투여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렌 블루와, 목적에 따라 pH 조정제를 순수 또는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켜 선단부에 튜브를 갖는 시린지에 충전하여, 내시경의 겸자구(鉗子口)에 튜브를 삽입하고, 시린지를 눌러 약제를 위벽 등에 분무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메틸렌 블루를 물에 용해하여, 원하는 농도의 메틸렌 블루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메틸렌 블루 용액의 pH가 7.6~9.5의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는,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pH를 7.6~9.5의 범위 내로 조정한다.
또, 메틸렌 블루를 물 또는 에탄올에 용해하여 농도 1.0~5.0w/v% 정도의 스톡 용액을 조제하고, 이 스톡 용액을 물로 희석시켜 원하는 농도의 메틸렌 블루 용액을 제조해도 된다. 메틸렌 블루의 스톡 용액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이와 같은 스톡 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렌 블루 원액(기시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에탄올 용액, 농도 5.0w/v%)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물로서는, 생리 식염수(염화 나트륨 농도 0.9w/v%), 멸균 정제수(정제수를 멸균한 것), 또는 증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
<개요>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은, 경내시경적으로, 상술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병변부에 도포하고,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도포》
"경내시경적으로"란 "내시경을 이용하여"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파일로리균은 위 점막에 감염되는 세균이기 때문에, 경내시경적으로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병변부에, 보다 확실히 도포할 수 있고, 비병변부에는 가능한 한 도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병변부 및 비병변부의 감별은, 병변부에 발적(發赤) 경향이 있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으로는, 영상 처리에 의하여 병변부 및 비병변부의 감별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위 점막에 대한 부하가 매우 작다는 이점이 있다.
《조사》
조사하는 광은,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이다.
광원은, 백색광, 또는 상기 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은, 코히런트 광원이어도 되고, 인코히런트 광원이어도 된다. 코히런트 광원으로서는, 레이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들 수 있고, 파장 660nm의 AlGaInP(Aluminum Gallium Indium Phosphide; 알루미늄갈륨인듐 인) 양자 우물 구조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비화 알루미늄갈륨 레이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인코히런트 광원으로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백열등, 형광등, 제논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백색광은, 통상 관찰에 이용되는 백색광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백색광은, 파장 445nm의 청색 레이저광과, 그 청색 레이저광에 의하여 형광체로부터 여기 발광하는 형광을 합파(合波)한 백색광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형광체는, 청색 레이저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녹색~황색에 여기 발광하는 복수 종의 형광체(예를 들면, YAG(이트륨·알루미늄·가닛)계 형광체, BAM(바륨·알루미늄 산화물)(BaMgAl10O17: Eu2 +) 등의 형광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선 투사량)
광선 투사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200J/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J/m2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100J/m2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30J/m2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15J/m2이다. 이 범위 내이면, 보다 안전하고 높은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광조사 시간)
광조사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광선 투사량이 되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30~6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300초, 더 바람직하게는 60~300초,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240초이다.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비교적 낮은 광선 투사량이더라도, 충분한 항균 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 관찰의 이용되는 1400룩스의 백색 광원에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적용 대상>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치료 방법은, 인간에 적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인간 이외의 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예를 들면 원숭이, 고양이, 돼지, 및 개 등을 포함하는 인간 이외의 포유 동물을 한정하지 않고 들 수 있다. 또,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포유 동물 외에, 예를 들면 조류, 파충류, 양서류, 또는 어류 등의 포유류 이외의 척추 동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양, 염소, 당나귀, 및 낙타 등으로 예시되는 가축 등, 및 개, 고양이, 여우, 너구리, 원숭이, 당나귀, 및 말 등으로 예시되는 펫 등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본 발명은,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및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작동 방법(이하, 간단하게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공한다.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이하,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살균 시스템(100)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균 시스템(100)은, 연산·제어부(101)와, 촬상 수단(102)과,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과, 광조사 수단(104)과,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과, 조성물 분사 수단(106)과,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과, 전송로(108~113)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수단(102)은, 피관찰 영역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102a),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행하는 신호 처리부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촬상 수단(102)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촬상 수단(102)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08)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촬상 소자는 컬러의 이미지 센서이며, 촬영 대상의 반사상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촬상 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이미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은, 촬상 수단(102)의 촬상 방향을 변경하는 구동 기구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09)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광조사 수단(104)은, 조명광 및/또는 여기광을 출사하는 조명 광학계(104a), 조명 광학계(104a)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광조사 수단(104)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광조사 수단(104)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10)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또, 광조사 수단(104)은, 조명 광학계(104a) 및 광원부를 동일한 케이스에 내장한 일체형이어도 되고, 조명 광학계(104a)와 광원부를 별개의 케이스에 내장한 분리형이어도 된다.
광조사 수단(104)이 발사하는 조명광 및/또는 여기광은,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관찰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광으로서는, 통상, 백색광, 주백색광, 주광색광, 전구색광 등을 이용한다. 이들 중에서는, 피관찰 영역의 자연스러운 색조가 얻어지는 점에서, 백색광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피관찰 영역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을, 이상 영역에 발생하고 있는 염증 반응 등에 의한 정상 영역과의 색의 차이에 근거하여 구별하기 위하여, 색의 차가 강조되는 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대한 여기광으로서는, 메틸렌 블루를 효율적으로 여기시키는 점에서,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은, 광조사 수단(104)의 조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 기구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11)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조성물 분사 수단(106)은,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분사부(106a),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저장된 송액 탱크(도시하지 않음),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송액 펌프(도시하지 않음)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조성물 분사 수단(106)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조성물 분사 수단(106)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12)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또, 조성물 분사 수단(106)은, 분사부(106a), 송액 탱크 및 송액 펌프를 동일한 케이스에 내장한 일체형이어도 되고, 송액 탱크만을 외부에 배치해도 되며, 송액 탱크 및 송액 펌프를 외부에 배치하고, 또한 송액 탱크 및 송액 펌프를 별체로 해도 된다.
또, 분사부(106a)의 개구는, 단순한 구멍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스프레이 형상으로 분사 가능한 노즐이어도 된다.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은,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의 분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 기구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13)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전송로(108~113)는, 유선이어도 되고, 무선이어도 된다. 유선인 경우는 메탈 케이블, 광 케이블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촬상 수단(102), 광조사 수단(104) 및 조성물 분사 수단(106)이 일체로서 움직이는 경우에는,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 및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은 일체화하여, 하나의 방향 제어 수단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이하,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위치의 특정》
(a) 촬상 수단(102)의 피관찰 영역을 광조사 수단(104)이 조명하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 및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을 작동시킨다.
(b) 촬상 수단(102)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피부 또는 점막(200)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연산·제어부(101)에 송신한다.
(c) 연산·제어부(101)가, 촬상 수단(102)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색의 차를 강조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정상부(201)와 병변부(202)를 식별하여, 병변부(202)의 위치를 특정한다.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분사》
(d) 조성물 분사 수단(106)의 분사 방향을 병변부(202)에 맞추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을 작동시킨다.
(e) 조성물 분사 수단(106)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한다.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대한 광조사》
(f) 광조사 수단(104)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202)에 맞추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을 작동시킨다.
(g) 광조사 수단(104)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한다.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병변부 이외에 광조사되는 리스크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대한 광조사는, 상기 (f) 및 (g) 대신에, 이하의 (f1)~(g1)과 같이 해도 된다.
(f1) 촬상 수단(102)의 피관찰 영역을 광조사 수단(104)이 조명하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 및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을 작동시킨다.
(f2) 촬상 수단(102)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피부 또는 점막(200)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연산·제어부(101)에 송신한다.
(f3) 연산·제어부(101)가, 촬상 수단(102)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식별 및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부착의 유무의 식별을 행할 수 있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병변부(202)와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부착부(203)가 중첩되는 영역의 위치를 특정한다.
(f4) 광조사 수단(104)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202)와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부착부(203)가 중첩되는 영역에 맞추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을 작동시킨다.
(g1) 광조사 수단(104)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한다.
<전자 내시경을 이용한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본 발명의 파일로리균 살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에 대하여, 전자 내시경 시스템을 이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살균 시스템(10)은, 내시경(11), 연산·제어 장치(12), 광원 장치(13), 송기·송수 장치(14), 송액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송기·송수 장치(14)는, 광원 장치(13)에 내장되어, 공기, 세정수 등의 유체의 송출압을 발생시키는 주지의 송기 펌프(14a)와, 광원 장치(13)의 외부에 마련되어,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 탱크(14b)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 현미경 시스템(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5485081호, 일본 특허공보 5503467호 등)과의 차이점은,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도 2에 나타내는, 연산·제어 장치(12)가 점막의 정상부와 이상부(병변부)를 구별하여, 이상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영상 처리부를 갖는 점, 송액 장치(15)가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내시경(11)으로 송액할 수 있고, 내시경(11)의 선단부(16a)에 마련된 WJ 출구(24)(도 3a, 도 3b 참조)로부터 점막의 병변부를 향하여 토출할 수 있는 점, 및 내시경(11)의 선단부(16a)에 마련된 조명창(22a, 22b)(도 3a, 도 3b 참조)으로부터 점막의 병변부 또는 그 중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영역을 향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는 점에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내시경(11)은, 피검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6)와, 삽입부(16)의 기단(후단) 부분에 연달아 마련된 조작부(17)와, 연산·제어 장치(12) 및 광원 장치(13)에 접속되는 유니버설 코드(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삽입부(16)는, 그 선단에 마련되어, 피검체 내 촬영용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선단부(16a)와, 선단부(16a)의 기단에 연달아 마련되어 선단부(16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만곡 가능한 만곡부(16b)와, 만곡부(16b)의 기단에 연달아 마련된 가요성을 갖는 가요관부(16c)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내는, 선단부(16a)의 선단에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선단 캡(2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선단 캡(20)에는, 관찰창(21), 조명창(22a, 22b), 겸자의 선단이 돌출되는 겸자 출구(23)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선단 캡(20)에는, 피검체 내의 관찰하고 있는 부분(이하 "피관찰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향하여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세정수, 및 약액 등의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워터 제트 출구(이하 "WJ 출구"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24), 관찰창(21)을 향하여 공기나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25)이 마련되어 있다. 관찰창(21)은, 촬상 소자의 전방에 형성되어, 촬상 소자에 입사하는 촬영광을 통과시킨다. 조명창(22a, 22b)은, 관찰창(21)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2개 배치되어 있으며, 피검체 내의 피관찰부에 광원 장치(13)로부터의 조명광을 조사한다.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겸자 출구(23)는, 도 2에 나타내는, 조작부(17)에 마련된 겸자 입구(26)에 연통하고 있다. 이 겸자 입구(26)에는, 주사 바늘이나 고주파 메스 등이 선단에 배치된 각종 처치구(겸자)가 삽입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조작부(17)에는, 만곡부(16b)를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상하 만곡용 앵글 노브(28)와, 만곡부(16b)를 좌우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좌우 만곡용 앵글 노브(29)와, 관찰창(21)에 공기나 세정수를 보내기 위한 송기·송수 버튼(30)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송기를 행하도록, 송기·송수 버튼(30)이 조작되면, 송기 펌프(14a)로부터 송기된 공기가 내시경(11)으로 보내진다. 송수를 행하도록, 송기·송수 버튼(30)이 조작되면, 송기 펌프(14a)로부터 송기된 공기가 세정수 탱크(14b)로 보내지고, 이 공기압에 의하여, 세정수 탱크(14b)로부터 세정수가 송수되어, 내시경(11)으로 보내진다.
또한, 통상, 살균 시스템(10)을 작동시킬 때에는, 상하 만곡용 앵글 노브(28), 좌우 만곡용 앵글 노브(29) 및 송기·송수 버튼(30)을 조작할 필요는 없다.
만곡부(16b)를 만곡시키려면, 연산·제어 장치(12)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조작부(17)가 수신하고, 내시경(11)에 내장되어 있는 만곡부 상하 만곡 기구 및/또는 만곡부 좌우 만곡 기구를 구동하여, 만곡부(16b)를 상하/좌우로 만곡시킨다.
송기를 행하게 하려면, 연산·제어 장치(12)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송기 펌프(14a)가 수신하여, 송기 펌프(14a)가 내시경(11)으로 송기하도록 작동하고, 송기 펌프(14a)로부터 송기된 공기가 내시경(11)으로 보내진다. 송수를 행하게 하려면, 연산·제어 장치(12)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송기 펌프(14a)가 수신하여, 송기 펌프(14a)가 세정수 탱크(14b)로 송기하도록 작동하고, 송기 펌프(14a)로부터 송기된 공기가 세정수 탱크(14b)로 보내지며, 이 공기압에 의하여, 세정수 탱크(14b)로부터 세정수가 송수되어, 내시경(11)으로 보내진다.
또한, 조작부(17)에는, 그 외에, 모드 전환 스위치(27)와, 줌 조작부(31)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27)는, 통상 관찰 모드와, 특수 관찰 모드의 2종류의 모드 간의 전환 조작에 이용된다. 통상 관찰 모드는, 피관찰 영역의 조명에 백색광을 이용하는 모드이다. 특수 관찰 모드는, 피관찰 영역의 조명에 청색을 띤 광을 이용하는 모드이며, 점막의 색의 변화나 혈관의 투견(透見)을 강조하여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병변부)을 분별하기 쉽게 하는 모드이다. 줌 조작부(31)는, 내시경(11) 내의 주밍 기구를 구동시켜, 관찰 화상을 확대 축소시키는 줌 조작에 이용된다. 또한, 통상 관찰 모드에서는, 백색광 대신에, 주백색광, 주광색광, 전구색광 등을 이용해도 되고, 특수 관찰 모드에서는, 특수광 대신에, 백색광을 이용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유니버설 코드(18)의 일단에는, 커넥터(32)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32)는 복합 타입의 커넥터이며, 연산·제어 장치(12), 광원 장치(13) 및 송액 장치(1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연산·제어 장치(12)는,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촬상 소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각종 영상 처리를 실시하여, 내시경 화상을 생성한다. 연산·제어 장치(12)에서 생성된 내시경 화상은, 연산·제어 장치(12)에 케이블 접속된 모니터(33)에 표시된다. 연산·제어 장치(12)는, 광원 장치(13)와 통신 케이블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광원 장치(13)와의 사이에 각종의 제어 정보를 통신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송액 장치(15)는,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피검체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 혹은 세정액, 또는 약액이 저장된 송액 탱크(35)와, 모터나 제어 회로를 갖는 송액 장치 본체(36)와, 이 송액 장치 본체(36)의 전면에 배치되어, 송액 탱크(35)에 저장된 세정액을 송출하기 위한 송액 펌프(37)를 구비한다. 또, 송액 장치(15)는, 송액 펌프(37)와 커넥터(32)를 접속하는 송액관(39)과, 송액 탱크(35)와 송액 펌프를 연결하는 연결관(40)을 구비한다. 송액 장치(15)는, 송액 펌프(37)를 작동시켜 송액 조작하기 위한 풋 스위치(38)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풋 스위치(38) 대신에, 수동 조작 가능한 스위치나 리모콘 등을 이용해도 된다. 송액 장치(15)는, 통상, 연산·제어 장치(1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한다.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관부(16c)의 내부에는, 라이트 가이드(41a, 41b), 겸자 튜브(42), 송기·송수 튜브(43), 다심(多芯) 케이블(44), 워터 제트 튜브(이하, 간단하게 "WJ 튜브"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45)가 배치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41a, 41b)는, 일단이 선단 캡(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광원 장치(13)에 접속되어 있다. 조명창(22a, 22b)의 배후에는 조명용 렌즈(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조명 광학계(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41a, 41b)는, 그 출사단이 조명창(22a, 22b)의 배후에 배치된 조명용 렌즈에 면하고, 광원 장치(13)로부터의 광을 조명창(22a, 22b)까지 도광(導光)한다.
겸자 튜브(42)는, 일단이 선단 캡(20)에 고정되어 겸자 출구(23)에 접속되고, 타단이 만곡부(16b), 가요관부(16c), 조작부(17) 등의 내부를 통과하여 겸자 입구(26)에 접속되며, 겸자 출구(23)와 겸자 입구(26)를 연통한다.
송기·송수 튜브(43)는, 일단이 분사 노즐(25)에 접속되고, 타단이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송기·송수 장치(14)에 접속되어 있다. 송기·송수 튜브(43)는, 송기·송수 장치(14)로부터 공급된 공기나 세정수를 분사 노즐(25)로 보낸다. 분사 노즐(25)은, 송기·송수 장치(14)로부터 공급된 공기나 세정수를 관찰창(21)을 향하여 분사하여, 관찰창(21)에 부착된 오염물을 불식시킨다.
다심 케이블(44)은, 연산·제어 장치(12)와 촬상 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다심 케이블(44)은, 복수의 신호 케이블(44a)을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신호 케이블(44a)은, 전기 실드층으로서 기능하는 외피(44b)로 피복되어 있다.
가요관부(16c)는, 내측부터 순서대로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내부를 보호하는 플렉스라고 불리는 나관(螺管)(51)과, 이 나관(51) 위에 피복되어 나관(51)의 신장을 방지하는 블레이드라고 불리는 네트(52)와, 이 네트(52) 상에 피복된 유연성이 있는 고무(53)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곡부(16b)의 외층도, 고무(53)로 구성되어 있다.
WJ 튜브(45)는, 만곡부(16b) 및 가요관부(16c)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질인 고무제의 WJ 연질 튜브(도시하지 않음)와, 선단부(16a)의 내부를 통과하는 경질인 금속제의 WJ 경질 튜브(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이지고, 송액 장치(15)에 의하여 송액된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세정액 또는 약액을 WJ 출구(24)로 보낸다. WJ 연질 튜브는, 일단이 조작부(17)의 내부를 통과하고, 유니버설 코드(18), 커넥터(32) 및 송액관(39)을 통하여 송액 장치(15)에 접속되어 있다. WJ 연질 튜브의 타단은, WJ 경질 튜브에 접속되어 있다.
WJ 경질 튜브(도시하지 않음)는, 촬영 광축 방향으로 뻗고, 그 선단부가 촬영 광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선단부(16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 광축 방향으로 뻗는 제1 WJ로(路)(도시하지 않음)와, 일단이 WJ 출구(24)에 연통하고, 타단이 촬영 광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제1 WJ로에 연통하는 제2 WJ로(47b)를 갖는다. 제1 WJ로는, WJ 연질 튜브(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WJ로를, 촬영 광축에 직교하는 직교면 상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직교면 상이면, 절곡하거나, 곡선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선단부(16a)는, 금속제이며 원기둥 형상의 선단부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이 선단부 본체를 덮는 금속제의 선단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WJ 경질 튜브(도시하지 않음)는, 선단부가 선단부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선단부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또, 라이트 가이드(41a, 41b), 겸자 튜브(42), 송기·송수 튜브(43)도, 각각의 선단부가 선단부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선단부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선단 파이프는, 외주면이 고무(53)에 의하여 피복되고, 선단부에는 선단 캡(20)이 장착되어 있다.
관찰창(21)의 안쪽에는, 촬상 렌즈(도시하지 않음) 및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 광학계는, 선단부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이미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광학계는, 관찰창(21)으로부터 입사한 관찰부의 상광(像光)을 촬상 렌즈에 입사시키고, 촬상 렌즈는, 촬상 소자의 촬상면에 결상(結像)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살균 시스템(1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산·제어 장치(12) 및 광원 장치(13)의 전원을 온으로 하여, 내시경(11)의 삽입부(16)를 피검체 내에 삽입한다.
광원 장치(13)로부터의 광이, 라이트 가이드(41a, 41b), 조명 광학계(도시하지 않음), 조명창(22a, 22b)을 통과하여, 피검체 내의 피관찰부에 조사된다. 이 광은 백색광이어도 되지만,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병변부)의 색의 차를 강조하기 위하여, 청색을 띤 광을 이용해도 된다.
삽입부(16)의 선단부(16a)에 내장된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가, 피검체 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영상 신호는,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연산·제어 장치(12)에 입력된다. 연산·제어 장치(12)는,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병변부)의 색의 차를 강조하는 영상 처리를 행하며, 색의 차에 근거하여,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한다.
또, 연산·제어 장치(12)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각종 영상 처리를 실시하여, 피검체 내의 화상을 생성하고, 이 피검체 내의 화상을 모니터(33)에 표시할 수 있다.
피검체 내를 관찰할 때, 연산·제어 장치(12)는, 만곡부(16b)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시키도록 조작부(17)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는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조작부(17)에 입력되고, 조작부(17)가 내시경(11)에 내장된 만곡부 상하 방향 만곡 기구 및 만곡부 좌우 만곡 기구를 작동시켜, 선단부(16a)의 방향을 변경하며, 피검체 내의 점막의 이상 장소를 관찰한다.
또한, 조작부(17)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만곡부 상하 방향 만곡 기구 및 만곡부 좌우 만곡 기구를 작동시키는 대신에, 연산·제어 장치(12)가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지시를 부여하고, 조작부(17)의 상하 만곡용 앵글 노브(28) 및/또는 좌우 만곡용 앵글 노브(29)를 조작시켜, 만곡부(16b)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시켜도 된다.
연산·제어 장치(12)가 피검체의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한 경우에는, 연산·제어 장치(12)는, 조작부(17)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만곡부(16b)를 만곡시켜, WJ 출구(24)의 분사 방향을 그 이상 영역(병변부)에 맞춘다. 그리고, 송액 장치(1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송액 펌프(37)를 작동시켜, 송액 탱크(35)에 저장된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연결관(40), 송액 펌프(37), 송액관(39), 커넥터(32)를 통하여 WJ 튜브로 보내진다. 이 WJ 튜브로 보내진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WJ 연질 튜브, WJ 경질 튜브를 통과하여 WJ 출구(24)로부터 분사되고,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부착된다.
이어서, 연산·제어 장치(12)는, 광원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광원 장치(13)로부터의 광이, 라이트 가이드(41a, 41b), 조명 광학계(도시하지 않음), 조명창(22a, 22b)을 통과하여, 피검체의 점막의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영역을 향하여 조사된다. 조사되는 광은,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이다.
광조사 전에,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 중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된 부분의 위치를 특정해도 된다.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 중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된 부분 이외에 광조사되는 리스크가 감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광원 장치(13)가 작동하여, 조명창(22a, 22b)으로부터 백색광 또는 청색을 띤 광을 발사하고, 피검체 내의 피관찰부에 조사된다.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연산·제어 장치(12)에 입력되고, 연산·제어 장치(12)는, 피검체의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 중,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된 부분의 위치를 특정한다.
이어서, 연산·제어 장치(12)는, 광원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광원 장치(13)로부터의 광이, 조명창(22a, 22b)을 통과하여, 피검체의 점막의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영역을 향하여 조사된다. 조사되는 광은,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이다.
이 광에 의하여,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틸렌 블루가 여기되어,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의 살균이 행해진다.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개요>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고, pH가 7.6~9.5이다.
《피부 점막 감염증》
피부 점막 감염증은 병원 미생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의 감염증이다. 피부 및 점막은 모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강 점막, 식도 점막, 위 점막, 장 점막, 콧구멍, 입술, 귀, 생식기, 또는 항문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원 미생물로서는,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 구균)를 포함하는 황색 포도 구균(스테피로코커스·오우러스(Staphylococcus aureus)), 렌사 구균(Streptococcus sp.),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 sp.) 등의 그람 양성 세균, 녹농균(슈도모나스·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에셰리키아·콜리(Escherichia coli)), 트레포네마(Treponema sp.) 등의 그람 음성 세균 등을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포함하는 칸디다(Candida sp.), 크립토코커스·네오포르만스(Cryptococcus neoformans)를 포함하는 크립토코커스(Cryptococcus sp.), 말라세지아·파키더마티스(Malassezia pachydermatis)를 포함하는 말라세지아(Malassezia sp.) 등의 병원성 진균, 선충, 조충 등의 기생충, 아칸트아메바 등의 아메바,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의 엔벌로프를 갖는 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병원 미생물로서는,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에셰리키아·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다.
《메틸렌 블루》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틸렌 블루(3,7-비스(다이메틸아미노)페노싸이아지늄 클로라이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무수물이어도 되고, 수화물이어도 된다. 수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수화물, 삼수화물, 및 사수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메틸렌 블루는, 의약품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것이어도 되고, 시약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시약으로서는 고순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JIS K 8897:2012에 규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메틸렌 블루를 에탄올 등의 용매에 용해하여, 농도 5.0w/v% 정도의 용액으로 한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w/v%"는 중량/체적 퍼센트 농도이며, 용액 100mL 중에 포함되는 용질의 중량(g)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다. 용질의 중량을 W(g), 용액의 체적을 V(mL)로 하면,
w/v%=W(g)/V(mL)×100
으로 나타난다.
메틸렌 블루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은, 소화관의 색소 내시경 검사 시의 염색에 이용되는 것, 약제성의 메트헤모글로빈 혈증의 치료 시에 정맥 주사 또는 경구 투여되는 것, 아이포스파마이드 뇌증의 치료 시에 정맥 주사에 의하여 이용되는 것 등으로부터, 확립되어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저독성이며, 메틸렌 블루의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다.
(메틸렌 블루의 농도)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병원 미생물에 접촉시킬 때의 메틸렌 블루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07~4.0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3.0w/v%, 더 바람직하게는 0.003~2.0w/v%,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05~1.0w/v%,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07~0.80w/v%이다. 이 범위 내이면, 병원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여기에서, 농도의 가장 끝자리는 그것보다 한 자릿수 아래를 반올림한 것이다. 예를 들면, "0.001"은 0.00095 이상 0.0015 미만을, "4.0"은 3.95 이상 4.05 미만을, 각각 포함한다.
《pH》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병원 미생물에 접촉시킬 때의 조성물의 pH는, 7.6~9.5이고, 바람직하게는 8.3~9.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9.0이다.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원 미생물에 접촉시킬 때의 pH가 이 범위 내이면, 병원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다.
여기에서, pH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를 반올림한 것이다. 예를 들면, "7.6"은 7.55 이상 7.65 미만을, "9.5"는 9.45 이상 9.55 미만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있어서, pH는, JIS Z 8802:2011 "pH 측정 방법"에 규정되는 유리 전극을 이용한 pH계로 측정한, 25℃에 있어서의 pH값이다.
《pH 조정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pH를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pH 조정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대한 독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시트르산, 글루콘산, 석신산, 락트산, 탄산 수소 나트륨("중조"라고도 함),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인산 이수소 칼륨, 인산 수소 이칼륨, 인산 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 수소 이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pH 조정제 중에서는, 탄산 수소 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로서 탄산 수소 나트륨을 이용하면,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예를 들면, pH 조정제로서 탄산 수소 나트륨을 이용한 경우와 인산 이수소 칼륨(KH2PO4) 및 인산 수소 이나트륨(Na2HPO4)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동일한 pH이더라도, 탄산 수소 나트륨을 이용한 편이 보다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탄산 수소 나트륨이 다른 pH 조정제보다 항균 활성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지만, 탄산 수소 나트륨의 특이적인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pH 조정제의 첨가량)
pH 조정제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pH가 상술한 pH 범위 내가 되도록 첨가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pH 조정제로서 탄산 수소 나트륨(중조)을 이용하는 경우, 그 농도는, 한 마디로 말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0.007~0.80w/v%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70w/v%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5~0.55w/v%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7~0.50w/v%,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0~0.40w/v%이다. 이 범위 내이면,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원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제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첨가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제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첨가제를 더 포함해도 된다. 제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상기 이외의 pH 조정제, 완충제, 습윤제·가용화제, 항균성 보존제, 킬레이트제, 착화제, 항산화제, 감미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유동화제·고화 방지제, 및 현탁화제·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첨가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리포솜, 나노 입자, 콜로이드 현탁액, 마이셀, 마이크로 에멀션, 베시클(vesicle) 및 나노스페어를 더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또, 추가적인 성분,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딜리버리 비이클이나 부형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그것은, 용매, 예를 들면 알코올(예를 들면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롤 또는 n-뷰탄올),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물, 생리 식염수, 가용화제, pH 조정제, 젤화제, 증점제, 완충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형》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사용 전에 재구성할 수 있는 건조 조성물이어도 되고, 미리 멸균 밀봉된 프리필드의 형태여도 된다. 또, 메틸렌 블루와 목적에 따라 pH 조정제를 순수 또는 생리 식염수에 무균적으로 용해시켜, 선단부에 튜브를 갖는 시린지에 무균적으로 충전한 것이어도 된다.
<용도>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변부에 존재하는 병원 미생물에 접촉시키고, 상기 병원 미생물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는 광선역학 요법에 있어서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항세균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사용예는, 피부 및 손상 감염, 예를 들면 화상을 위한 항미생물 및 항진균 치료로서의 사용; 기생충 감염, 위 감염, 말라리아, 한센병을 위한 사용; 박테리아 및 진균 포자 불활성화를 위한 사용; 프리온 및 바이러스 감염, 예를 들면 HIV의 치료를 위한 사용; 귀, 코 및 인후두 감염, 결핵을 위한 사용; 성감염증(STD), 포진을 위한 사용; 예를 들면 모발, 손톱 및 표피의 칸디다 국부 감염, 예를 들면 족백선·체부 백선 및 외음부 칸디다증의 치료를 위한 사용; 및 감염 예방약, 예를 들면 외과 창상(創傷)의 살균, 식피(植皮) 살균, 간(幹)세포 살균, 이식편대숙주 거절 반응 질환을 위한 사용; 피부 질환, 예를 들면 건선, 여드름, 백반(白斑) 및 습진 및 다른 피부 상태, 예를 들면 다모증 및 햇볕에 그을림에 의한 손상, 다른 양성(良性) 상태, 예를 들면 자궁 내막증 및 월경 과다를 위한 사용; 구강 내 세균증, 예를 들면 치육농양, 치주병, 치육염, 및 플라크 바이오필름의 제거, 불활성화 또는 사멸을 위하여 사용된다.
<투여 형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정맥 내 투여, 경구 투여, 경피 투여, 경점막 투여, 근육 내 투여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국소적 투여이다. 국소적 투여로서는, 예를 들면 상부 소화관 또는 하부 소화관의 병소부에 내시경을 통하여 직접 분무에 의하여 투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렌 블루와, 목적에 따라 pH 조정제를 순수 또는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키고 선단부에 튜브를 갖는 시린지에 충전하여, 내시경의 겸자구에 튜브를 삽입하고, 시린지를 눌러 약제를 위벽 등에 분무할 수 있다.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조성물은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예를 들면 스프레이, 로션, 서스펜션, 에멀션, 젤, 연고, 고약, 스틱, 소프, 액체 에어로졸, 분말 에어로졸, 드롭 또는 페이스트를 통하여 딜리버리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메틸렌 블루를 물에 용해하여, 원하는 농도의 메틸렌 블루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메틸렌 블루 용액의 pH가 7.6~9.5의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는,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pH를 7.6~9.5의 범위 내로 조정한다.
또, 메틸렌 블루를 물 또는 에탄올에 용해하여 농도 1.0~5.0w/v% 정도의 스톡 용액을 조제하고, 이 스톡 용액을 물로 희석시켜 원하는 농도의 메틸렌 블루 용액을 제조해도 된다. 메틸렌 블루의 스톡 용액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이와 같은 스톡 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렌 블루 원액(기시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에탄올 용액, 농도 5.0w/v%)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물로서는, 생리 식염수(염화 나트륨 농도 0.9w/v%), 멸균 정제수(정제수를 멸균한 것), 증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과 1 또는 2 이상의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캐리어를, 적절한 온도 및 적절한 pH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적용 대상>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인간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인간 이외의 동물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예를 들면 원숭이, 고양이, 돼지, 개 등을 포함하는 인간 이외의 포유 동물을 한정하지 않고 들 수 있다. 또,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포유 동물 외에, 예를 들면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의 포유류 이외의 척추 동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양, 염소, 당나귀, 낙타 등으로 예시되는 가축 등, 개, 고양이, 여우, 너구리, 원숭이, 당나귀, 말 등으로 예시되는 펫 등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
<개요>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은, 상술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변부에 도포하고,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도포 및/또는 광조사는, 경내시경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경내시경적으로"란 "내시경을 이용하여"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식도, 십이지장, 소장, 대장, 인두, 기관지 등의 점막에 감염되는 병원 미생물에 대해서는, 경내시경적으로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변부에, 보다 확실히 도포할 수 있고, 비병변부에는 가능한 한 도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병변부 및 비병변부의 감별은, 병변부에 발적 경향이 있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으로는, 영상 처리에 의하여 병변부 및 비병변부의 감별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점막에 대한 부하가 매우 작다는 이점이 있다.
《조사》
조사하는 광은,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이다.
광원은, 백색광, 또는 상기 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은, 코히런트 광원이어도 되고, 인코히런트 광원이어도 된다. 코히런트 광원으로서는, 레이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들 수 있고, 파장 660nm의 AlGaInP(Aluminum Gallium Indium Phosphide; 알루미늄갈륨인듐 인) 양자 우물 구조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비화 알루미늄갈륨 레이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인코히런트 광원으로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백열등, 형광등, 제논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백색광은, 통상 관찰에 이용되는 백색광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백색광은, 파장 445nm의 청색 레이저광과, 그 청색 레이저광에 의하여 형광체로부터 여기 발광하는 형광을 합파한 백색광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형광체는, 청색 레이저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녹색~황색에 여기 발광하는 복수 종의 형광체(예를 들면, YAG(이트륨·알루미늄·가닛)계 형광체, BAM(바륨·알루미늄 산화물)(BaMgAl10O17: Eu2 +) 등의 형광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선 투사량)
광선 투사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200J/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J/m2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100J/m2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30J/m2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15J/m2이다. 이 범위 내이면, 보다 안전하고 높은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광조사 시간)
광조사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광선 투사량이 되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30~6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300초, 더 바람직하게는 60~300초,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240초이다.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비교적 낮은 광선 투사량이더라도, 충분한 항균 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 관찰의 이용되는 1400룩스의 백색 광원에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적용 대상>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의 치료 방법은, 인간에 적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인간 이외의 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예를 들면 원숭이, 고양이, 돼지, 개 등을 포함하는 인간 이외의 포유 동물을 한정하지 않고 들 수 있다. 또,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포유 동물 외에, 예를 들면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의 포유류 이외의 척추 동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양, 염소, 당나귀, 낙타 등으로 예시되는 가축 등, 개, 고양이, 여우, 너구리, 원숭이, 당나귀, 말 등으로 예시되는 펫 등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및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본 발명은,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본 발명의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및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하, 간단하게 "본 발명의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공한다.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이하,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살균 시스템(100)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균 시스템(100)은, 연산·제어부(101)와, 촬상 수단(102)과,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과, 광조사 수단(104)과,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과, 조성물 분사 수단(106)과,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과, 전송로(108~113)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수단(102)은, 피관찰 영역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102a),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행하는 신호 처리부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촬상 수단(102)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촬상 수단(102)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08)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촬상 소자는 컬러의 이미지 센서이며, 촬영 대상의 반사상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촬상 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이미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은, 촬상 수단(102)의 촬상 방향을 변경하는 구동 기구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09)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광조사 수단(104)은, 조명광 및/또는 여기광을 출사하는 조명 광학계(104a), 조명 광학계(104a)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광조사 수단(104)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광조사 수단(104)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10)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또, 광조사 수단(104)은, 조명 광학계(104a) 및 광원부를 동일한 케이스에 내장한 일체형이어도 되고, 조명 광학계(104a)와 광원부를 별개의 케이스에 내장한 분리형이어도 된다.
광조사 수단(104)이 발사하는 조명광 및/또는 여기광은,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관찰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광으로서는, 통상, 백색광, 주백색광, 주광색광, 전구색광 등을 이용한다. 이들 중에서는, 피관찰 영역의 자연스러운 색조가 얻어지는 점에서, 백색광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피관찰 영역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을, 이상 영역에 발생하고 있는 염증 반응 등에 의한 정상 영역과의 색의 차이에 근거하여 구별하기 위하여, 색의 차가 강조되는 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대한 여기광으로서는, 메틸렌 블루를 효율적으로 여기시키는 점에서,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은, 광조사 수단(104)의 조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 기구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11)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조성물 분사 수단(106)은,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분사부(106a),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저장된 송액 탱크(도시하지 않음),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송액 펌프(도시하지 않음)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조성물 분사 수단(106)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조성물 분사 수단(106)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12)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또, 조성물 분사 수단(106)은, 분사부(106a), 송액 탱크 및 송액 펌프를 동일한 케이스에 내장한 일체형이어도 되고, 송액 탱크만을 외부에 배치해도 되며, 송액 탱크 및 송액 펌프를 외부에 배치하고, 또한 송액 탱크 및 송액 펌프를 별체로 해도 된다.
또, 분사부(106a)의 개구는, 단순한 구멍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스프레이 형상으로 분사 가능한 노즐이어도 된다.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은,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의 분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 기구 및 연산·제어부(101)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은,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과 연산·제어부(101)의 사이에서는, 전송로(113)를 통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전송로(108~113)는, 유선이어도 되고, 무선이어도 된다. 유선인 경우는 메탈 케이블, 광케이블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촬상 수단(102), 광조사 수단(104) 및 조성물 분사 수단(106)이 일체로서 움직이는 경우에는,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 및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은 일체화하여, 하나의 방향 제어 수단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이하,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위치의 특정》
(a) 촬상 수단(102)의 피관찰 영역을 광조사 수단(104)이 조명하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 및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을 작동시킨다.
(b) 촬상 수단(102)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피부 또는 점막(200)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연산·제어부(101)에 송신한다.
(c) 연산·제어부(101)가, 촬상 수단(102)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색의 차를 강조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정상부(201)와 병변부(202)를 식별하여, 병변부(202)의 위치를 특정한다.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분사》
(d) 조성물 분사 수단(106)의 분사 방향을 병변부(202)에 맞추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분사 방향 제어 수단(107)을 작동시킨다.
(e) 조성물 분사 수단(106)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한다.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대한 광조사》
(f) 광조사 수단(104)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202)에 맞추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을 작동시킨다.
(g) 광조사 수단(104)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한다.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병변부 이외에 광조사되는 리스크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대한 광조사는, 상기 (f) 및 (g) 대신에, 이하의 (f1)~(g1)과 같이 해도 된다.
(f1) 촬상 수단(102)의 피관찰 영역을 광조사 수단(104)이 조명하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촬상 방향 제어 수단(103) 및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을 작동시킨다.
(f2) 촬상 수단(102)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피부 또는 점막(200)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연산·제어부(101)에 송신한다.
(f3) 연산·제어부(101)가, 촬상 수단(102)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식별 및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부착의 유무의 식별을 실시할 수 있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병변부(202)와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부착부(203)가 중첩되는 영역의 위치를 특정한다.
(f4) 광조사 수단(104)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202)와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부착부(203)가 중첩되는 영역에 맞추도록,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조사 방향 제어 수단(105)을 작동시킨다.
(g1) 광조사 수단(104)이, 연산·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한다.
<전자 내시경을 이용한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본 발명의 피부 점막 살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에 대하여, 전자 내시경 시스템을 이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살균 시스템(10)은, 내시경(11), 연산·제어 장치(12), 광원 장치(13), 송기·송수 장치(14), 송액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송기·송수 장치(14)는, 광원 장치(13)에 내장되어, 공기, 세정수 등의 유체의 송출압을 발생시키는 주지의 송기 펌프(14a)와, 광원 장치(13)의 외부에 마련되어,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 탱크(14b)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 현미경 시스템(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5485081호, 일본 특허공보 5503467호 등)과의 차이점은,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도 2에 나타내는, 연산·제어 장치(12)가 점막의 정상부와 이상부(병변부)를 구별하여, 이상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영상 처리부를 갖는 점, 송액 장치(15)가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내시경(11)에 송액할 수 있고, 내시경(11)의 선단부(16a)에 마련된 WJ 출구(24)(도 3a, 도 3b 참조)로부터 점막의 병변부를 향하여 토출할 수 있는 점, 및 내시경(11)의 선단부(16a)에 마련된 조명창(22a, 22b)(도 3a, 도 3b 참조)으로부터 점막의 병변부 또는 그 중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영역을 향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는 점에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내시경(11)은, 피검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6)와, 삽입부(16)의 기단(후단) 부분에 연달아 마련된 조작부(17)와, 연산·제어 장치(12) 및 광원 장치(13)에 접속되는 유니버설 코드(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삽입부(16)는, 그 선단에 마련되어, 피검체 내 촬영용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선단부(16a)와, 선단부(16a)의 기단에 연달아 마련되어 선단부(16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만곡 가능한 만곡부(16b)와, 만곡부(16b)의 기단에 연달아 마련된 가요성을 갖는 가요관부(16c)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내는, 선단부(16a)의 선단에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선단 캡(2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선단 캡(20)에는, 관찰창(21), 조명창(22a, 22b), 겸자의 선단이 돌출되는 겸자 출구(23)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선단 캡(20)에는, 피검체 내의 관찰하고 있는 부분(이하 "피관찰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향하여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세정수, 및 약액 등의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워터 제트 출구(이하 "WJ 출구"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24), 관찰창(21)을 향하여 공기나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25)이 마련되어 있다. 관찰창(21)은, 촬상 소자의 전방에 형성되어, 촬상 소자에 입사하는 촬영광을 통과시킨다. 조명창(22a, 22b)은, 관찰창(21)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2개 배치되어 있으며, 피검체 내의 피관찰부에 광원 장치(13)로부터의 조명광을 조사한다.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겸자 출구(23)는, 도 2에 나타내는, 조작부(17)에 마련된 겸자 입구(26)에 연통하고 있다. 이 겸자 입구(26)에는, 주사 바늘이나 고주파 메스 등이 선단에 배치된 각종 처치구(겸자)가 삽입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조작부(17)에는, 만곡부(16b)를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상하 만곡용 앵글 노브(28)와, 만곡부(16b)를 좌우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좌우 만곡용 앵글 노브(29)와, 관찰창(21)에 공기나 세정수를 보내기 위한 송기·송수 버튼(30)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송기를 행하도록, 송기·송수 버튼(30)이 조작되면, 송기 펌프(14a)로부터 송기된 공기가 내시경(11)으로 보내진다. 송수를 행하도록, 송기·송수 버튼(30)이 조작되면, 송기 펌프(14a)로부터 송기된 공기가 세정수 탱크(14b)로 보내지고, 이 공기압에 의하여, 세정수 탱크(14b)로부터 세정수가 송수되어, 내시경(11)으로 보내진다.
또한, 통상, 살균 시스템(10)을 작동시킬 때에는, 상하 만곡용 앵글 노브(28), 좌우 만곡용 앵글 노브(29) 및 송기·송수 버튼(30)을 조작할 필요는 없다.
만곡부(16b)를 만곡시키려면, 연산·제어 장치(12)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조작부(17)가 수신하고, 내시경(11)에 내장되어 있는 만곡부 상하 만곡 기구 및/또는 만곡부 좌우 만곡 기구를 구동하여, 만곡부(16b)를 상하/좌우로 만곡시킨다.
송기를 행하게 하려면, 연산·제어 장치(12)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송기 펌프(14a)가 수신하여, 송기 펌프(14a)가 내시경(11)으로 송기하도록 작동하고, 송기 펌프(14a)로부터 송기된 공기가 내시경(11)으로 보내진다. 송수를 행하게 하려면, 연산·제어 장치(12)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송기 펌프(14a)가 수신하여, 송기 펌프(14a)가 세정수 탱크(14b)로 송기하도록 작동하고, 송기 펌프(14a)로부터 송기된 공기가 세정수 탱크(14b)로 보내지며, 이 공기압에 의하여, 세정수 탱크(14b)로부터 세정수가 송수되어, 내시경(11)으로 보내진다.
또한, 조작부(17)에는, 그 외에, 모드 전환 스위치(27)와, 줌 조작부(31)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27)는, 통상 관찰 모드와, 특수 관찰 모드의 2종류의 모드 간의 전환 조작에 이용된다. 통상 관찰 모드는, 피관찰 영역의 조명에 백색광을 이용하는 모드이다. 특수 관찰 모드는, 피관찰 영역의 조명에 청색을 띤 광을 이용하는 모드이며, 점막의 색의 변화나 혈관의 투견을 강조하여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병변부)을 분별하기 쉽게 하는 모드이다. 줌 조작부(31)는, 내시경(11) 내의 주밍 기구를 구동시켜, 관찰 화상을 확대 축소시키는 줌 조작에 이용된다. 또한, 통상 관찰 모드에서는, 백색광 대신에, 주백색광, 주광색광, 전구색광 등을 이용해도 되고, 특수 관찰 모드에서는, 특수광 대신에, 백색광을 이용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유니버설 코드(18)의 일단에는, 커넥터(32)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32)는 복합 타입의 커넥터이며, 연산·제어 장치(12), 광원 장치(13) 및 송액 장치(1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연산·제어 장치(12)는,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촬상 소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각종 영상 처리를 실시하여, 내시경 화상을 생성한다. 연산·제어 장치(12)에서 생성된 내시경 화상은, 연산·제어 장치(12)에 케이블 접속된 모니터(33)에 표시된다. 연산·제어 장치(12)는, 광원 장치(13)와 통신 케이블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광원 장치(13)와의 사이에 각종의 제어 정보를 통신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송액 장치(15)는,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피검체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 혹은 세정액, 또는 약액이 저장된 송액 탱크(35)와, 모터나 제어 회로를 갖는 송액 장치 본체(36)와, 이 송액 장치 본체(36)의 전면에 배치되어, 송액 탱크(35)에 저장된 세정액을 송출하기 위한 송액 펌프(37)를 구비한다. 또, 송액 장치(15)는, 송액 펌프(37)와 커넥터(32)를 접속하는 송액관(39)과, 송액 탱크(35)와 송액 펌프를 연결하는 연결관(40)을 구비한다. 송액 장치(15)는, 송액 펌프(37)를 작동시켜 송액 조작하기 위한 풋 스위치(38)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풋 스위치(38) 대신에, 수동 조작 가능한 스위치나 리모콘 등을 이용해도 된다. 송액 장치(15)는, 통상, 연산·제어 장치(1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한다.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관부(16c)의 내부에는, 라이트 가이드(41a, 41b), 겸자 튜브(42), 송기·송수 튜브(43), 다심 케이블(44), 워터 제트 튜브(이하, 간단하게 "WJ 튜브"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45)가 배치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41a, 41b)는, 일단이 선단 캡(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광원 장치(13)에 접속되어 있다. 조명창(22a, 22b)의 배후에는 조명용 렌즈(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조명 광학계(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41a, 41b)는, 그 출사단이 조명창(22a, 22b)의 배후에 배치된 조명용 렌즈에 면하고, 광원 장치(13)로부터의 광을 조명창(22a, 22b)까지 도광한다.
겸자 튜브(42)는, 일단이 선단 캡(20)에 고정되어 겸자 출구(23)에 접속되고, 타단이 만곡부(16b), 가요관부(16c), 조작부(17) 등의 내부를 통과하여 겸자 입구(26)에 접속되며, 겸자 출구(23)와 겸자 입구(26)를 연통한다.
송기·송수 튜브(43)는, 일단이 분사 노즐(25)에 접속되고, 타단이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송기·송수 장치(14)에 접속되어 있다. 송기·송수 튜브(43)는, 송기·송수 장치(14)로부터 공급된 공기나 세정수를 분사 노즐(25)로 보낸다. 분사 노즐(25)은, 송기·송수 장치(14)로부터 공급된 공기나 세정수를 관찰창(21)을 향하여 분사하고, 관찰창(21)에 부착된 오염물을 불식시킨다.
다심 케이블(44)은, 연산·제어 장치(12)와 촬상 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다심 케이블(44)은, 복수의 신호 케이블(44a)을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신호 케이블(44a)은, 전기 실드층으로서 기능하는 외피(44b)로 피복되어 있다.
가요관부(16c)는, 내측부터 순서대로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내부를 보호하는 플렉스라고 불리는 나관(51)과, 이 나관(51) 위에 피복되어 나관(51)의 신장을 방지하는 블레이드라고 불리는 네트(52)와, 이 네트(52) 상에 피복된 유연성이 있는 고무(53)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곡부(16b)의 외층도, 고무(53)로 구성되어 있다.
WJ 튜브(45)는, 만곡부(16b) 및 가요관부(16c)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질인 고무제의 WJ 연질 튜브(도시하지 않음)와, 선단부(16a)의 내부를 통과하는 경질인 금속제의 WJ 경질 튜브(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고, 송액 장치(15)에 의하여 송액된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세정액 또는 약액을 WJ 출구(24)로 보낸다. WJ 연질 튜브는, 일단이 조작부(17)의 내부를 통과하고, 유니버설 코드(18), 커넥터(32) 및 송액관(39)을 통하여 송액 장치(15)에 접속되어 있다. WJ 연질 튜브의 타단은, WJ 경질 튜브에 접속되어 있다.
WJ 경질 튜브(도시하지 않음)는, 촬영 광축 방향으로 뻗고, 그 선단부가 촬영 광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선단부(16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 광축 방향으로 뻗는 제1 WJ로(도시하지 않음)와, 일단이 WJ 출구(24)에 연통하고, 타단이 촬영 광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제1 WJ로에 연통하는 제2 WJ로(47b)를 갖는다. 제1 WJ로는, WJ 연질 튜브(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WJ로를, 촬영 광축에 직교하는 직교면 상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직교면 상이면, 절곡하거나, 곡선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선단부(16a)는, 금속제이며 원기둥 형상의 선단부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이 선단부 본체를 덮는 금속제의 선단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WJ 경질 튜브(도시하지 않음)는, 선단부가 선단부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선단부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또, 라이트 가이드(41a, 41b), 겸자 튜브(42), 송기·송수 튜브(43)도, 각각의 선단부가 선단부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선단부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선단 파이프는, 외주면이 고무(53)에 의하여 피복되고, 선단부에는 선단 캡(20)이 장착되어 있다.
관찰창(21)의 안쪽에는, 촬상 렌즈(도시하지 않음) 및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 광학계는, 선단부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이미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광학계는, 관찰창(21)으로부터 입사한 관찰부의 상광을 촬상 렌즈에 입사시키고, 촬상 렌즈는, 촬상 소자의 촬상면에 결상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살균 시스템(1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산·제어 장치(12) 및 광원 장치(13)의 전원을 온으로 하여, 내시경(11)의 삽입부(16)를 피검체 내에 삽입한다.
광원 장치(13)로부터의 광이, 라이트 가이드(41a, 41b), 조명 광학계(도시하지 않음), 조명창(22a, 22b)을 통과하여, 피검체 내의 피관찰부에 조사된다. 이 광은 백색광이어도 되지만,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병변부)의 색의 차를 강조하기 위하여, 청색을 띤 광을 이용해도 된다.
삽입부(16)의 선단부(16a)에 내장된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가, 피검체 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영상 신호는,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연산·제어 장치(12)에 입력된다. 연산·제어 장치(12)는,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병변부)의 색의 차를 강조하는 영상 처리를 행하며, 색의 차에 근거하여,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한다.
또, 연산·제어 장치(12)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각종 영상 처리를 실시하여, 피검체 내의 화상을 생성하고, 이 피검체 내의 화상을 모니터(33)에 표시할 수 있다.
피검체 내를 관찰할 때, 연산·제어 장치(12)는, 만곡부(16b)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시키도록 조작부(17)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는 유니버설 코드(18) 및 커넥터(32)를 통하여 조작부(17)에 입력되고, 조작부(17)가 내시경(11)에 내장된 만곡부 상하 방향 만곡 기구 및 만곡부 좌우 만곡 기구를 작동시켜, 선단부(16a)의 방향을 변경하며, 피검체 내의 점막의 이상 장소를 관찰한다.
또한, 조작부(17)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만곡부 상하 방향 만곡 기구 및 만곡부 좌우 만곡 기구를 작동시키는 대신에, 연산·제어 장치(12)가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지시를 부여하고, 조작부(17)의 상하 만곡용 앵글 노브(28) 및/또는 좌우 만곡용 앵글 노브(29)를 조작시켜, 만곡부(16b)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시켜도 된다.
연산·제어 장치(12)가 피검체의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한 경우에는, 연산·제어 장치(12)는, 조작부(17)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만곡부(16b)를 만곡시켜, WJ 출구(24)의 분사 방향을 그 이상 영역(병변부)에 맞춘다. 그리고, 송액 장치(1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송액 펌프(37)를 작동시켜, 송액 탱크(35)에 저장된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연결관(40), 송액 펌프(37), 송액관(39), 커넥터(32)를 통하여 WJ 튜브로 보내진다. 이 WJ 튜브로 보내진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WJ 연질 튜브, WJ 경질 튜브를 통과하여 WJ 출구(24)로부터 분사되고,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부착된다.
이어서, 연산·제어 장치(12)는, 광원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광원 장치(13)로부터의 광이, 라이트 가이드(41a, 41b), 조명 광학계(도시하지 않음), 조명창(22a, 22b)을 통과하여, 피검체의 점막의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영역을 향하여 조사된다. 조사되는 광은,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이다.
광조사 전에,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 중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된 부분의 위치를 특정해도 된다.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 중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된 부분 이외에 광조사되는 리스크가 감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광원 장치(13)가 작동하여, 조명창(22a, 22b)으로부터 백색광 또는 청색을 띤 광을 발사하고, 피검체 내의 피관찰부에 조사된다.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연산·제어 장치(12)에 입력되고, 연산·제어 장치(12)는, 피검체의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 중,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된 부분의 위치를 특정한다.
이어서, 연산·제어 장치(12)는, 광원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광원 장치(13)로부터의 광이, 조명창(22a, 22b)을 통과하여, 피검체의 점막의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영역을 향하여 조사된다. 조사되는 광은,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이다.
이 광에 의하여, 본 발명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틸렌 블루가 여기되어, 점막의 이상 영역(병변부)의 살균이 행해진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파일로리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1) 파일로리균의 입수
헬리코박터·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JCM 12093주를, 독립 행정 법인 이화학 연구소 바이오 리소스 센터로부터 구입했다(JCM: Jap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s).
(2)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조제
(2. 1) 메틸렌 블루 용액의 조제
메틸렌 블루(기시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삼수화물, 특급) 5.0g을 칭량하고, 100mL용 메스 플라스크에 전체량 옮기고, 생리 식염수(오쓰카 생식주, 오쓰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9.0w/v% 염화 나트륨 수용액)로 100mL로 메스 업하여, 메틸렌 블루 농도가 5.0w/v%인 메틸렌 블루 수용액을 100mL 조제했다. 조제한 5.0w/v% 메틸렌 블루 수용액을 0.20mL, 1.0mL, 2.0mL, 4.0mL, 10.0mL, 20.0mL 칭량하여, 각각 100mL용 메스 플라스크에 전체량 옮겨, 생리 식염수(상술)로 100mL로 필업하여,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1w/v%, 0.05w/v%, 0.10w/v%, 0.20w/v%, 0.50w/v%, 1.0w/v%인 메틸렌 블루 수용액을 100mL씩 조제했다.
(2. 2)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의 조제
탄산 수소 나트륨(와코 준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순도 99.5% 이상, JIS 시약 특급)을 멸균 정제수(멸균 정제수 "요시다", 요시다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용해하여, 농도 2.0w/v%, 3.0w/v%, 4.0w/v%, 5.0w/v%, 6.0w/v%, 6.5w/v%인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2. 3) 파일로리균 현탁액(균액)의 조제
파일로리균 JCM 12093주를, 아피 헬리코 배양 동정 키트(시스멕스·비오메리으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균종을 동정·확인한 배양주를 사용했다.
배양한 파일로리균을, 멸균 생리 식염수에 현탁하여, 균수를 2.0×108개/mL로 조정했다.
(2. 4) 시료의 조제
메틸렌 블루 용액 10.0mL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 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하여, 표 1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나타내는 메틸렌 블루 농도,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 및 pH의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를 조제했다.
또, 생리 식염수 1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한 블랭크용 시료를 조제했다.
(3) 항균 활성 시험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 130mL를, 헬리코박터 한천 배지(닛스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첨가하여, 콘라디봉(bacteria spreader)으로 배지에 균등 도포한 후, 5분간 어두운 곳에 방치했다.
5분간 방치한 후, LED광(파장 660nm)을 광선 투사량이 0J/m2, 5J/m2, 10J/m2, 또는 15J/m2가 되도록 광조사했다. 여기에서, 광선 투사량이 0J/m2란, 광조사를 행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그 후, 인큐베이터 내에서, 37℃에 있어서, 4일간 배양했다.
블랭크용 시료에는 광조사를 행하지 않았다. 광조사를 행하지 않은 블랭크용 시료를 블랭크로서 이용했다.
4일간 배양한 후, 각 배지의 생존 콜로니수를 계측하고, 블랭크와 비교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 항균 활성을 평가했다.
(항균 활성 평가의 기준)
(-): 효과 없음 블랭크에 비하여 생존 콜로니수의 감소율이 20% 미만임
(+): 효과 있음 블랭크에 비하여 생존 콜로니수의 감소율이 20% 이상 40% 미만임
(2+): 효과 있음 블랭크에 비하여 생존 콜로니수의 감소율이 40% 이상 60% 미만임
(3+): 효과 있음 블랭크에 비하여 생존 콜로니수의 감소율이 60% 이상 80% 미만임
(4+): 효과 있음 블랭크에 비하여 생존 콜로니수의 감소율이 80% 이상임
(5+): 효과 있음 생존 콜로니수가 0임
표 1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메틸렌 블루 농도[w/v%],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w/v%] 및 pH를, "항균 활성 시험"의 란에 항균 활성의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8068788190-pct00001
(파일로리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의 결과)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내이며, 또한 광조사를 행한 예가 실시예이다.
실시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 이상이고,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놀랍게도,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08w/v%로 저농도이더라도, 광선 투사량 5~15J/m2의 범위에서,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2+) 이상으로 우수했다.
광조사를 행하지 않은 예(광선 투사량=0J/m2)가 비교예이다. 광선 투사량 5~15J/m2에서 (2+) 이상의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얻어진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08w/v%인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에서도, 항균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칸디다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1) 칸디다의 입수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균주 분양 기관으로부터 구입했다.
(2)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조제
(2. 1) 메틸렌 블루 용액의 조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1w/v%, 0.05w/v%, 0.10w/v%, 0.20w/v%, 0.50w/v%, 1.0w/v%인 메틸렌 블루 용액을 조제했다.
(2. 2)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의 조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농도 1.0w/v%, 2.0w/v%, 3.0w/v%, 4.0w/v%, 5.0w/v%, 6.0w/v%의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2. 3) 칸디다 현탁액(균액)의 조제
칸디다·알비칸스를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물을 멸균 생리 식염수에 현탁하고, 균수를 조정하여, 균액을 조제했다.
(2. 4) 시료의 조제
메틸렌 블루 용액 10.0mL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 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하여, 표 2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나타내는 메틸렌 블루 농도,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 및 pH의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를 조제했다.
또, 생리 식염수 1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한 블랭크용 시료를 조제했다.
(3) 항균 활성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항균 활성 시험을 행했다.
표 2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메틸렌 블루 농도[w/v%],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w/v%] 및 pH를, "항균 활성 시험"의 란에 항균 활성의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8068788190-pct00002
(칸디다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의 결과)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내이며, 또한 광조사를 행한 예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실시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 이상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놀랍게도,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08w/v%로 저농도이더라도, 광선 투사량 5~15J/m2의 범위에서, 항균 활성의 평가가 (2+) 이상으로 우수했다.
실시예 이외의 예, 즉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외, 및/또는, 광선 투사량이 0J/m2, 즉 광조사를 행하지 않은 예는 본 발명의 비교예이다.
비교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녹농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1) 녹농균의 입수
슈도모나스·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를 균주 분양 기관으로부터 구입했다.
(2)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조제
(2. 1) 메틸렌 블루 용액의 조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1w/v%, 0.05w/v%, 0.10w/v%, 0.20w/v%, 0.50w/v%, 1.0w/v%인 메틸렌 블루 용액을 조제했다.
(2. 2)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의 조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농도 1.0w/v%, 2.0w/v%, 3.0w/v%, 4.0w/v%, 5.0w/v%, 6.0w/v%의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2. 3) 녹농균 현탁액(균액)의 조제
슈도모나스·에루지노사를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물을 멸균 생리 식염수에 현탁하고, 균수를 조정하여, 균액을 조제했다.
(2. 4) 시료의 조제
메틸렌 블루 용액 10.0mL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 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하여, 표 3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나타내는 메틸렌 블루 농도,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 및 pH의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를 조제했다.
또, 생리 식염수 1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한 블랭크용 시료를 조제했다.
(3) 항균 활성 시험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항균 활성 시험을 행했다.
표 3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메틸렌 블루 농도[w/v%],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w/v%] 및 pH를, "항균 활성 시험"의 란에 항균 활성의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8068788190-pct00003
(녹농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의 결과)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내이며, 또한 광조사를 행한 예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실시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 이상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놀랍게도,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08w/v%로 저농도이더라도, 광선 투사량 5~15J/m2의 범위에서, 항균 활성의 평가가 (2+) 이상으로 우수했다.
실시예 이외의 예, 즉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외, 및/또는, 광선 투사량이 0J/m2, 즉 광조사를 행하지 않은 예는 본 발명의 비교예이다.
비교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4]
<MRSA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1) MRSA의 입수
스테피로코커스·오우러스(Staphylococcus aureus)의 메티실린 내성주(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를 균주 분양 기관으로부터 구입했다.
(2)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조제
(2. 1) 메틸렌 블루 용액의 조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1w/v%, 0.05w/v%, 0.10w/v%, 0.20w/v%, 0.50w/v%, 1.0w/v%인 메틸렌 블루 용액을 조제했다.
(2. 2)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의 조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농도 1.0w/v%, 2.0w/v%, 3.0w/v%, 4.0w/v%, 5.0w/v%, 6.0w/v%의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2. 3) MRSA 현탁액(균액)의 조제
MRSA를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물을 멸균 생리 식염수에 현탁하고, 균수 조정하여, 균액을 조제했다.
(2. 4) 시료의 조제
메틸렌 블루 용액 10.0mL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 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하여, 표 4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나타내는 메틸렌 블루 농도,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 및 pH의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를 조제했다.
또, 생리 식염수 1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한 블랭크용 시료를 조제했다.
(3) 항균 활성 시험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항균 활성 시험을 행했다.
표 4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메틸렌 블루 농도[w/v%],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w/v%] 및 pH를, "항균 활성 시험"의 란에 항균 활성의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8068788190-pct00004
(MRSA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의 결과)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내이며, 또한 광조사를 실시한 예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실시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 이상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놀랍게도,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08w/v%로 저농도이더라도, 광선 투사량 5~15J/m2의 범위에서, 항균 활성의 평가가 (2+) 이상으로 우수했다.
실시예 이외의 예, 즉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외, 및/또는, 광선 투사량이 0J/m2, 즉 광조사를 행하지 않은 예는 본 발명의 비교예이다.
비교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5]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1) 대장균의 입수
에셰리키아·콜리(Escherichia coli)를 균주 분양 기관으로부터 구입했다.
(2)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조제
(2. 1) 메틸렌 블루 용액의 조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1w/v%, 0.05w/v%, 0.10w/v%, 0.20w/v%, 0.50w/v%, 1.0w/v%인 메틸렌 블루 용액을 조제했다.
(2. 2)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의 조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농도 1.0w/v%, 2.0w/v%, 3.0w/v%, 4.0w/v%, 5.0w/v%, 6.0w/v%의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2. 3) 대장균 현탁액(균액)의 조제
에셰리키아·콜리를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물을 멸균 생리 식염수에 현탁하고, 균수를 조정하여, 균액을 조제했다.
(2. 4) 시료의 조제
메틸렌 블루 용액 10.0mL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 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하여, 표 5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나타내는 메틸렌 블루 농도,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 및 pH의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를 조제했다.
또, 생리 식염수 11.0mL와, 균액 2.0mL를 혼합한 블랭크용 시료를 조제했다.
(3) 항균 활성 시험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항균 활성 시험을 행했다.
표 5의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의 란에,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메틸렌 블루 농도[w/v%], 탄산 수소 나트륨 농도[w/v%] 및 pH를, "항균 활성 시험"의 란에 항균 활성의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표 5]
Figure 112018068788190-pct00005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의 결과)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내이며, 또한 광조사를 실시한 예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실시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 이상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놀랍게도, 메틸렌 블루 농도가 0.008w/v%로 저농도이더라도, 광선 투사량 5~15J/m2의 범위에서, 항균 활성의 평가가 (+) 이상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또, 광선 투사량이 많아질수록 항균 활성도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이외의 예, 즉 항균 활성 시험용 시료의 pH가 7.6~9.5의 범위 외, 및/또는, 광선 투사량이 0J/m2, 즉 광조사를 행하지 않은 예는 본 발명의 비교예이다.
비교예는, 항균 활성 시험의 평가 결과가 모두 (-)이며, 항균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10 살균 시스템
11 내시경
12 연산·제어 장치
13 광원 장치
14 송기·송수 장치
14a 송기 펌프
14b 세정수 탱크
15 송액 장치
16 삽입부
16a 선단부
16b 만곡부
16c 가요관부
17 조작부
18 유니버설 코드
20 선단 캡
21 관찰창
22a 조명창
22b 조명창
23 겸자 출구
24 워터 제트 출구(WJ 출구)
25 분사 노즐
26 겸자 입구
27 모드 전환 스위치
28 상하 만곡용 앵글 노브
29 좌우 만곡용 앵글 노브
30 송기·송수 버튼
31 줌 조작부
32 커넥터
33 모니터
35 송액 탱크
36 송액 장치 본체
37 송액 펌프
38 풋 스위치
39 송액관
40 연결관
41a, 41b 라이트 가이드
42 겸자 튜브
43 송기·송수 튜브
44 다심 케이블
44a 신호 케이블
44b 외피
45 워터 제트 튜브(WJ 튜브)
47b 제2 WJ로
51 나관
52 네트
53 고무
100 살균 시스템
101 연산·제어부
102 촬상 수단
102a 촬상 광학계
103 촬상 방향 제어 수단
104 광조사 수단
104a 조명 광학계
105 조사 방향 제어 수단
106 조성물 분사 수단
106a 분사부
107 분사 방향 제어 수단
108, 109, 110, 111, 112, 113 전송로
200 피부 또는 점막
201 정상부
202 병변부
203 부착부

Claims (23)

  1. 메틸렌 블루 및 탄산 수소 나트륨을 포함하고, pH가 7.6~9.5인,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H가 8.3~9.2인,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 블루의 농도가 0.0007~4.0w/v%이며,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007~0.50w/v%인,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 블루의 농도가 0.0007~4.0w/v%이며,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007~0.50w/v%인,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15~0.40w/v%인,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15~0.40w/v%인,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9.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일로리균 감염증의 병변부에 존재하는 파일로리균에 접촉시키고, 상기 파일로리균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는 광선역학 요법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0. 메틸렌 블루 및 탄산 수소 나트륨을 포함하고, pH가 7.6~9.5인,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로서,
    상기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은, 피부 점막 감염증의 병변부에 존재하는 병원 미생물에 접촉시키고, 상기 병원 미생물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는 광선역학 요법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병원 미생물이,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메티실린 내성 스테피로코커스·오우러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에셰리키아·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pH가 8.3~9.2인,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 블루의 농도가 0.0007~4.0w/v%이며,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007~0.50w/v%인,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 블루의 농도가 0.0007~4.0w/v%이며, 상기 탄산 수소 나트륨의 농도가 0.007~0.50w/v%인,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0, 청구항 11, 청구항 14 및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막 감염증이, 칸디다병,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 구균 감염증, 녹농균 감염증 및 대장균 감염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19. 삭제
  20. 촬상 수단과, 광조사 수단과, 조성물 분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촬상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광조사 수단의 광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조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분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 상기 광조사 수단,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구비하는,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으로서,
    (a)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수단의 피관찰 영역을 상기 광조사 수단이 조명하도록 작동하고,
    (b)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점막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부에 송신하며,
    (c)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색의 차를 강조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정상부와 병변부를 식별하여, 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d)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작동하며,
    (e)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일로리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고,
    (f)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광조사 수단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작동하며, 및
    (g) 상기 광조사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파일로리균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21. 삭제
  22. 촬상 수단과, 광조사 수단과, 조성물 분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촬상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광조사 수단의 광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조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분사 방향 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 상기 광조사 수단,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구비하는,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으로서,
    (a) 상기 촬상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수단의 피관찰 영역을 상기 광조사 수단이 조명하도록 작동하고,
    (b)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피부 또는 점막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부에 송신하며,
    (c)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피부 또는 점막의 정상 영역과 이상 영역의 색의 차를 강조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며, 정상부와 병변부를 식별하여, 병변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d) 상기 분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의 분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작동하며,
    (e) 상기 조성물 분사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청구항 10, 청구항 11, 청구항 14 및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 점막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을 분사하고,
    (f) 상기 조사 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광조사 수단의 조사 방향을 병변부에 맞추도록 작동하며, 및
    (g) 상기 광조사 수단은, 상기 연산·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백색광 또는 파장 660±10nm의 LED광 혹은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피부 점막 감염증에 의한 병변부의 살균 시스템.
  23. 삭제
KR1020187019978A 2016-02-04 2017-01-19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치료 방법, 살균 시스템 및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203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9728 2016-02-04
JPJP-P-2016-019728 2016-02-04
PCT/JP2017/001727 WO2017135048A1 (ja) 2016-02-04 2017-01-19 光線力学療法用組成物、治療方法、殺菌システムおよび殺菌システムの作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505A KR20180086505A (ko) 2018-07-31
KR102203314B1 true KR102203314B1 (ko) 2021-01-15

Family

ID=5950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978A KR102203314B1 (ko) 2016-02-04 2017-01-19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치료 방법, 살균 시스템 및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02400B2 (ko)
KR (1) KR102203314B1 (ko)
CN (1) CN108463249A (ko)
WO (1) WO2017135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6236B2 (ja) * 2019-03-27 2021-08-11 Hoya株式会社 内視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6129A (ja) * 2013-09-27 2015-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蛍光観察装置、内視鏡システム及びプロセッサ装置並びに作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976B2 (en) 1992-04-30 2002-10-16 Eastman Dental Institute Medicament for disinfection of the oral cavity
CN1329398C (zh) * 2006-02-25 2007-08-01 贵州法澳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二氢卟吩e6锌合物光敏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2323643B1 (en) * 2008-08-01 2013-05-08 Ondine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mrsa
JP2012520876A (ja) * 2009-03-16 2012-09-10 オンディーヌ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光線力学殺菌用の組成物
JP6015501B2 (ja) * 2012-06-01 2016-10-26 ソニー株式会社 歯用装置及び医療用装置
WO2016031875A1 (ja) * 2014-08-27 2016-03-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線力学療法用組成物、殺菌方法、殺菌システムおよび殺菌システムの作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6129A (ja) * 2013-09-27 2015-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蛍光観察装置、内視鏡システム及びプロセッサ装置並びに作動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otodiagnosis and Photodynamic Therapy, Vol. 11, pp. 526-532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63249A (zh) 2018-08-28
WO2017135048A1 (ja) 2017-08-10
JP6602400B2 (ja) 2019-11-06
JPWO2017135048A1 (ja) 2018-09-27
KR20180086505A (ko)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625B1 (ko)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살균 방법, 살균 시스템 및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6846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VIVO treatment of mammary ducts by light induced fluorescence
US10357661B2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internal healing and antimicrobial purposes
KR101453011B1 (ko) 세포외 다당류 용매화 시스템
US11318325B2 (en) Internal ultraviolet therapy
US20070135874A1 (en) Endoscope for therapeutic light delivery
Kato et al. Photodynamic diagnosis in respiratory tract malignancy using an excimer dye laser system
KR102203314B1 (ko) 광선역학 요법용 조성물, 치료 방법, 살균 시스템 및 살균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11554187B2 (en) Remote pathogen eradication
JP4366528B2 (ja) 室内消毒方法
CN111134602A (zh) 一种光动力诊疗一体的消化道胶囊内镜
US20140031702A1 (en) Two-way photodynamic therapy stereo colposcope for diagnosing and treating diseases of the female genital tract
US20230147752A1 (en) Internal ultraviolet therapy
US2016028770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ositions to prevent infections
Raffaldi et al. A strange gingival swelling in an Italian child: a case of oral myiasis
JP2022552355A (ja) 体内紫外線療法
JP2012050511A (ja) 内視鏡用フード及びフード付き内視鏡
RU2731312C2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нфекционного поражения голосовых протезов у пациентов после ларингэктомии
CN104168904A (zh) 用于光动力治疗、经过化学修饰以增强上皮细胞渗透性和细胞的生物利用度的组分
CN113877066A (zh) 黏膜层检查消杀装置及方法
JP2022094753A (ja) 癌治療装置
Kurachi et al. Photodynamic therapy-designing optical systems for customized application
JP2024521760A (ja) 感染症の治療のための内視鏡装置
Gupta et al. Laser applications in medicine: Studies at centre for advance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