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114B1 -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114B1
KR102203114B1 KR1020200053027A KR20200053027A KR102203114B1 KR 102203114 B1 KR102203114 B1 KR 102203114B1 KR 1020200053027 A KR1020200053027 A KR 1020200053027A KR 20200053027 A KR20200053027 A KR 20200053027A KR 102203114 B1 KR102203114 B1 KR 102203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ipe
filter
stirring tank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복
전재구
Original Assignee
전상복
전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복, 전재구 filed Critical 전상복
Priority to KR102020005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비롯하여 수질의 부영양화의 중요한 인자인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나아가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슬러지가 함유된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분리장치(200); 살균 처리관로(410)로 살균제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슬러지 분리장치에서 배수된 1차 처리수에 살균제를 투입하는 살균제 공급부(400); 상기 살균제를 1차 처리수에 분산시키는 분산부(500); 상기 분산부(500)에서 배출된 1차 처리수와 살균제를 교반하여 살균 처리수를 생성하는 교반조(600); 상기 교반조(600)에서 배출된 살균 처리수 내의 질소를 흡착하여 정화수를 생성하는 질소 제거부(700); 를 포함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 중에 함유된 슬러지를 비롯하여 수질의 부영양화의 중요한 인자인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를 함유한 오폐수의 정화 처리는 오폐수에서 슬러지를 분리하고 정수하여 하천 등으로 방류하는 방법이 이용되며, 이를 위한 장치는 집수조로 유입된 오폐수를 일련의 장치를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 처리되고, 정화 처리된 오폐수는 재이용 수조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폐수 정화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오폐수 속에 함유된 슬러지와 같은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 처리하지 못하였으며, 구조적으로 슬러지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4234호에서는 집수조로 유입된 오폐수를 진공자흡식펌프를 이용하여 펌핑하고, 펌핑된 오폐수는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분리시킨 후,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에 이송시켜 제거되게 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폐수는 활성탄 여과기를 거쳐 재이용 수조로 공급되게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처리과정을 거쳐 정화된 물은 요구되는 수질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며, 이러한 수질 기준에 있어서 BOD, COD 등도 중요하지만 이들 못지않게 수질의 부영양화의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질소나 인의 양 또한 중요한데, 종래의 기술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여 효율이 낮을 뿐 아니라 수질의 부영양화의 중요한 인자의 하나인 질소 역시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4234호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비롯하여 수질의 부영양화의 중요한 인자인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나아가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은, 슬러지가 함유된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분리장치; 살균 처리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 처리관로로 살균제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슬러지 분리장치에서 배수된 1차 처리수에 살균제를 투입하는 살균제 공급부; 상기 살균제 공급부에서 투입된 살균제를 1차 처리수에 분산시키는 분산부; 상기 분산부에서 배출된 1차 처리수와 살균제를 교반하여 살균 처리수를 생성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에서 배출된 살균 처리수 내의 질소를 흡착하여 정화수를 생성하는 질소 제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슬러지 분리장치는, 원통형의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망사로 된 원통형의 필터; 상기 필터 내부의 제1공간에서 제1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로 돌출된 스크류가 형성되며, 상부에 배출날개가 형성된 회전봉; 상기 챔버 내부와 상기 필터 외부 사이의 제2공간에서 제2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주면에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1브러쉬가 구비된 클리너; 를 포함하고, 슬러지가 함유된 오폐수가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투입되어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승하면서 슬러지는 상기 배출날개에 의해 배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1차 처리수는 상기 제2공간을 경유하여 배수구로 배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의 외주면에 상기 챔버의 내주면과 접하는 제2브러쉬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살균제는 산소 88 ~ 90wt% : 오존 10 ~ 12wt%의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부는, 1차 처리수가 흐르는 파이프 내에서 2개의 반달형 분산판이 상호 'X'자 형태로 배치되고, 각 분산판의 양측 단부가 상기 파이프 내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용접 고정되며, 각 분산판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내지 45°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조는, 상기 교반조 내에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나선형 파이프를 포함하여, 상기 분산부를 경유한 1차 처리수가 상기 나선형 파이프를 통해 상기 교반조 내에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조 일측에 솔레노이드밸브를 매개로 하여 반송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반송관의 타단은 상기 살균 처리관로와 병렬로 연결된 바이패스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교반조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을 때 1차 처리수의 일부가 상기 반송관을 통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반송 후 상기 분산부로 이송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오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전체 정화 처리 설비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설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수질의 부영양화의 중요한 인자인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화 처리 시스템을 통해 정화된 물의 수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중 슬러지 분리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슬러지 분리장치의 주요 부품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은, 오폐수 저장조(100), 슬러지 분리장치(200), 1차 처리수 저장조(300), 살균제 공급부(400), 분산부(500), 교반조(600), 질소 제거부(700) 및 정화수 저장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폐수 저장조(100)는 슬러지가 함유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탱크이고,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분리장치(200)는, 슬러지가 함유된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중 슬러지 분리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슬러지 분리장치의 주요 부품을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분리장치(200)는, 원통형의 챔버(210); 상기 챔버(200) 내에 구비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망사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필터(220); 상기 필터(220) 내부의 제1공간(S1)에서 제1모터(233)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로 돌출된 스크류(231)가 형성되며, 상부에 배출날개(232)가 형성된 회전봉(230); 상기 챔버(210) 내부와 상기 필터(220) 외부 사이의 제2공간(S2)에서 제2모터(247)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주면에 상기 필터(220)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1브러쉬(244)가 구비된 클리너(240);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클리너(2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챔버(210)의 내주면과 접하는 제2브러쉬(2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의 저부에는 유입구(211)가 연결되고, 상기 챔버(210)의 상부에는 슬러지 배출구(212)가 연결되며, 상기 챔버(210)의 하부에는 배수구(213)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터(233)는 회전봉(230)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1모터(233)의 축이 상기 회전봉(230) 내부를 관통하여 회전봉(230)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모터(233)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봉(230)이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상기 회전봉(230)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형태의 스크류(231)가 나선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240)는, 하부 링(241)과 상부 링(242)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링(241)과 상부 링(242)은 다수의 수직 지지대(243)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며, 상기 제1브러쉬(244)는 상기 지지대(243)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브러쉬(245)는 상기 지지대(243)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 링(241)의 외면에 기어부(246)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246)는 상기 제2모터(247)의 축에 구비된 기어와 연결되어 제2모터(247)의 구동에 의해 클리너(240)가 회전 가능한데, 이때 상기 회전봉(230)과 상기 클리너(24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슬러지가 함유된 오폐수가 유입구(211)를 통해 상기 제1공간(S1)으로 투입되어 회전봉(230) 회전에 의해 슬러지가 상기 스크류(231)를 타고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슬러지는 상기 배출날개(232)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밀려서 배출구(212)로 배출된다.
또한, 슬러지와 함께 상승하는 물은 그 주변의 필터(220)를 통과하여 제2공간(S2)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1차 처리수는 상기 제2공간을 경유하여 그 저부에 구비된 배수구(213)를 통해 배수된 후 상기 1차 처리수 저장조(300)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브러쉬(244)는 상기 필터(220)의 외주면과 마찰하면서 필터(220)의 구멍이 슬러지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2브러쉬(245)는 상기 챔버(210)의 내주면과 마찰하면서 챔버(210) 내주면을 지속적으로 세척함으로써 1차 처리수가 원활하게 배수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살균제 공급부(400)는 상기 1차 처리수 저장조(300)의 배수관 측에 연결된 살균 처리관로(410)의 인젝터(420)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 처리관로(410)로 살균제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슬러지 분리장치(200)에서 배수된 1차 처리수에 살균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살균제 공급부(400)는 오존과, 산소 그리고 물을 혼합하여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오존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무성방전법, 전해법, 광화학적 방법 등이 있으며 대량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무성방전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성방전법의 원리는 교류의 고전압(6,000~18,000V)을 가하고 반대의 전극 사이에 유리나 세라믹과 같은 유전체를 넣고 이 방전공간에 공기 또는 산소를 주입하여 오존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공급되는 살균제는 산소 88 ~ 90wt% : 오존 10 ~ 12wt%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고,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산소 용존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산소량 88wt% 내지 90wt%와 혼합되는 오존의 량이 10wt% 이하의 경우에는 살균력이 저하되고 12wt% 이상의 경우에는 살균 처리관로(410) 내부가 쉽게 산화될 우려가 있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오폐수에 포함된 미생물이나 박테리아 등은 오존과 산소의 살균력으로 살균시켜 제거할 수 있고, 상기의 살균제와 오존이 물에 녹아 오존수로서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산화력은 거의 대부분의 병원균까지 살균 가능하다.
상기 분산부(500)는, 상기 살균제 공급부(400)에서 투입된 살균제를 1차 처리수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분산부(500)는, 1차 처리수가 흐르는 파이프(510) 내에서 2개의 반달형 분산판(520)이 상호 'X'자 형태로 배치되고, 각 분산판(520)의 양측 단부가 상기 파이프(510) 내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용접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각 분산판(520)에 의한 살균제 분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각 분산판(520)을 상기 파이프(5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내지 45°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그 형태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교반조(600)는 상기 분산부(500)에서 배출된 1차 처리수와 살균제를 교반하여 살균 처리 효율성을 높이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교반조(600)는, 상기 교반조(600) 내에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나선형 파이프(61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분산부(500)를 경유한 1차 처리수가 상기 나선형 파이프(610)를 통해 상기 교반조(600) 내에서 회전성을 가진 후 분사되어 1차 처리수와 살균제가 더 잘 혼합될 수 있다. 물론 나선형 파이프(610) 역시 예시적인 형태일 뿐이고, 상기 교반조(600) 내부에 교반날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조(600) 일측에는 솔레노이드밸브(620)를 매개로 하여 반송관(63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반송관(630)의 타단은 상기 살균 처리관로(410)와 병렬로 연결된 바이패스관(640)의 인젝터(6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반조(600)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20)가 개방되어 1차 처리수의 일부가 상기 반송관(630)을 통해 상기 바이패스관(640)으로 반송 후 다시 상기 분산부(500)로 이송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교반조(600) 내부의 과압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1차 처리수와 살균제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켜서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질소 제거부(700)는, 상기 교반조(600)에서 배출된 살균 처리수 내의 질소를 흡착하여 정화수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질소 제거부(700)과 정화수 저장조(800)사이에는 통상적인 필터가 구성된 필터장치(미도시)가 구성될수 있거나, 필터가 폴리프로필렌(PP) 30~40wt%과 폴리에틸렌(PE) 60~70wt%를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의 혼합필터를 1 내지 3겹 사용하여 미세한 이물질제거하고, 일정시간 필터를 사용한 후에는 필터장치를 분리하여 필터를 교환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수의 정화효과를 높일수 있다.
상기 질소 제거부(700)는,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제가 내입된 저장조 내에 살균 처리수를 통과시켜서 살균 처리수 내의 질소를 제거하는 형태이거나, 또는 살균 처리수가 수용된 집수조 내에 시판되고 있는 질소 제거제를 투입하여 질소산화물을 선택적으로 무해한 질소와 산소로 흡착, 분해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질소 제거제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0250호에 기재된 질소와 인 제거 기능을 갖는 오폐수 정화용 담체를 활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예시된 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화수 저장조(800)는 상기 질소 제거부(700)에서 질소를 비롯하여 선택적으로 인이 제거된 정화수를 포집하기 위한 탱크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오폐수 저장조 200 : 슬러지 분리장치
210 : 챔버 211 : 유입구 212 : 배출구
213 : 배수구 220 : 필터 230 : 회전봉
231 : 스크류 232 : 배출날개 233 : 제1모터
240 : 클리너 241 : 하부 링 242 : 상부 링
243 : 지지대 244 : 제1브러쉬
245 : 제2브러쉬 246 : 기어부 247 : 제2모터
300 : 1차 처리수 저장조 400 : 살균제 공급부
410 : 살균 처리관로 420 : 인젝터
500 : 분산부 510 : 파이프 520 : 분산판
600 : 교반조 610 : 나선형 파이프
620 : 솔레노이드밸브 630 : 반송관
640 : 바이패스관 650 : 인젝터
700 : 질소 제거부 800 : 정화수 저장조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Claims (8)

  1. 슬러지가 함유된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분리장치; 살균 처리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 처리관로로 살균제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슬러지 분리장치에서 배수된 1차 처리수에 살균제를 투입하는 살균제 공급부; 상기 살균제 공급부에서 투입된 살균제를 1차 처리수에 분산시키는 분산부; 상기 분산부에서 배출된 1차 처리수와 살균제를 교반하여 살균 처리수를 생성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에서 배출된 살균 처리수 내의 질소를 흡착하여 정화수를 생성하는 질소 제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분리장치는, 원통형의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망사로 된 원통형의 필터; 상기 필터 내부의 제1공간에서 제1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로 돌출된 스크류가 형성되며 상부에 배출날개가 형성된 회전봉; 상기 챔버 내부와 상기 필터 외부 사이의 제2공간에서 제2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주면에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1브러쉬가 구비된 클리너; 상기 클리너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의 내주면과 접하는 제2브러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모터는 상기 회전봉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1모터의 축이 상기 회전봉 내부를 관통하여 회전봉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봉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형태의 스크류가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클리너는 하부 링과 상부 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링과 상부 링은 다수의 수직 지지대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며 상기 제1브러쉬는 상기 지지대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브러쉬는 상기 지지대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링의 외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2모터의 축에 구비된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클리너가 회전 가능하게 되되, 상기 회전봉과 클리너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슬러지가 함유된 오폐수가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투입되어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승하면서 슬러지는 상기 배출날개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밀려서 배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1차 처리수는 상기 제2공간을 경유하여 배수구로 배수되며,
    상기 질소 제거부와 정화수 저장조 사이에 필터장치가 더 구성되되, 상기 필터장치의 필터는 폴리프로필렌(PP) 30~40wt% 및 폴리에틸렌(PE) 60~70wt%를 혼합하여 구성된 혼합필터를 1 내지 3겹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는 산소 88 ~ 90wt% : 오존 10 ~ 12wt%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1차 처리수가 흐르는 파이프 내에서 2개의 반달형 분산판이 상호 'X'자 형태로 배치되고, 각 분산판의 양측 단부가 상기 파이프 내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용접 고정되며, 각 분산판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내지 45°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는, 상기 교반조 내에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나선형 파이프를 포함하여, 상기 분산부를 경유한 1차 처리수가 상기 나선형 파이프를 통해 상기 교반조 내에서 분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7. 제 1항, 제 4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 일측에 솔레노이드밸브를 매개로 하여 반송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반송관의 타단은 상기 살균 처리관로와 병렬로 연결된 바이패스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교반조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을 때 1차 처리수의 일부가 상기 반송관을 통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반송 후 상기 분산부로 이송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8. 삭제
KR1020200053027A 2020-05-01 2020-05-01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10220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27A KR102203114B1 (ko) 2020-05-01 2020-05-01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27A KR102203114B1 (ko) 2020-05-01 2020-05-01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114B1 true KR102203114B1 (ko) 2021-01-14

Family

ID=7414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027A KR102203114B1 (ko) 2020-05-01 2020-05-01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1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2817A (zh) * 2021-05-11 2021-07-09 田太超 一种环保型医疗废水处理装置
CN114084942A (zh) * 2021-11-08 2022-02-25 博易恒信(重庆)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医疗废水混合消毒设备
KR102562861B1 (ko) * 2022-08-31 2023-08-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오폐수 처리장치
CN117839318A (zh) * 2024-03-08 2024-04-09 内蒙古中科镧铈稀材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装置、系统及制备稀土基紫外线屏蔽材料的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956Y1 (ko) * 1997-06-11 1999-12-15 강동석 오폐수 처리장치
KR200414234Y1 (ko) 2006-02-03 2006-04-17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100718234B1 (ko) * 2005-09-20 2007-05-15 주식회사 젠트로 기체혼화관 및, 이를 이용하는 수조, 양식장 및 수처리장치
KR100802633B1 (ko) * 2007-08-29 2008-02-18 (주)한일이에스티 로터와 오존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100965972B1 (ko) * 2009-08-27 2010-06-22 윤영현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
KR101806489B1 (ko) * 2016-11-08 2017-12-07 주식회사워터리유즈 축산 폐수 자원화 처리시설
KR102054625B1 (ko) * 2019-07-22 2019-12-31 주식회사 삼정이엔지 오폐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956Y1 (ko) * 1997-06-11 1999-12-15 강동석 오폐수 처리장치
KR100718234B1 (ko) * 2005-09-20 2007-05-15 주식회사 젠트로 기체혼화관 및, 이를 이용하는 수조, 양식장 및 수처리장치
KR200414234Y1 (ko) 2006-02-03 2006-04-17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100802633B1 (ko) * 2007-08-29 2008-02-18 (주)한일이에스티 로터와 오존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100965972B1 (ko) * 2009-08-27 2010-06-22 윤영현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
KR101806489B1 (ko) * 2016-11-08 2017-12-07 주식회사워터리유즈 축산 폐수 자원화 처리시설
KR102054625B1 (ko) * 2019-07-22 2019-12-31 주식회사 삼정이엔지 오폐수 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2817A (zh) * 2021-05-11 2021-07-09 田太超 一种环保型医疗废水处理装置
CN114084942A (zh) * 2021-11-08 2022-02-25 博易恒信(重庆)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医疗废水混合消毒设备
KR102562861B1 (ko) * 2022-08-31 2023-08-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오폐수 처리장치
CN117839318A (zh) * 2024-03-08 2024-04-09 内蒙古中科镧铈稀材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装置、系统及制备稀土基紫外线屏蔽材料的方法
CN117839318B (zh) * 2024-03-08 2024-05-17 内蒙古中科镧铈稀材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装置、系统及制备稀土基紫外线屏蔽材料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114B1 (ko)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20140047334A (ko) 오폐수 또는 원수의 처리장치
KR101221579B1 (ko) 선박에 구비된 녹조 및 적조 제거장치
CN106977054A (zh) 市政污水净化系统施工工艺
CN213623657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废水处理装置
CN105753222A (zh) 一种处理家庭生活污水的装置
CN105439323A (zh) 臭氧气浮循环处理装置
CN1931750B (zh) 石油化工污水回用处理工艺
CN113683240B (zh) 物化法处理医院污水的方法与装置
KR100711259B1 (ko) 정화처리 장치
KR20000055904A (ko)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RU971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сточных вод
KR100617479B1 (ko) 전기응집 활성탄 여과장치
CN109502902A (zh) 一种多极化污水处理装置
CN205528266U (zh) 一种中水回用污水处理设备
KR102166874B1 (ko) 수처리 시스템
CN206051781U (zh) 中水回用设备
CN111003841A (zh) 一种医疗废水处理系统
CN219771918U (zh) 一种污水分层处理净水器装置
CN219637034U (zh) 一种饮用水生产处理用过滤池
JPH0515885A (ja) 水槽のオゾンによる浄化方法とその装置
KR102300358B1 (ko) 수질정화장치
CN110746012B (zh) 一种光电催化氧化混合处理废液废水系统
CN212102452U (zh) 一种水处理废渣收集装置
CN215886669U (zh) 一种用于餐厨废水处理的叠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