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234Y1 -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234Y1
KR200414234Y1 KR2020060003027U KR20060003027U KR200414234Y1 KR 200414234 Y1 KR200414234 Y1 KR 200414234Y1 KR 2020060003027 U KR2020060003027 U KR 2020060003027U KR 20060003027 U KR20060003027 U KR 20060003027U KR 200414234 Y1 KR200414234 Y1 KR 200414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ter
sludge
wastewater
tank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Priority to KR2020060003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2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30Mechanical cleaning, e.g. with brushes or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8Removal of treatment agents afte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수조로 유입된 오폐수를 진공자흡식펌프를 이용하여 펌핑하고, 펌핑된 오폐수는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분리 시킨 후,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에 이송시켜 제거되게 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폐수는 활성탄 여과기를 거쳐 재이용수조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Description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The sewage treatment system}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집수조 110 ; 재이용수조
200 ; 펌핑조 210 ; 슬러지 자동제거장치
300 ; 오존발생기 400 ; 진공자흡식펌프
500 ; 부상분리조 510 ; 분배관
520 ; 배오존분해장치 600 ; 청소구
700 ; 활성탄여과기
본 고안은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수조로 유입된 오폐수를 진공자흡식펌프를 이용하여 펌핑하고, 펌핑된 오폐수는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분리 시킨 후,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에 이송시켜 제거되게 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폐수는 활성탄 여과기를 거쳐 재이용수조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한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정화 처리장치는 집수조로 유입된 오폐수를 일련의 장치를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 처리되고, 정화 처리된 오폐수는 재이용수조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폐수 정화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 처리 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오폐수 속에 함유된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 처리하지 못하였으며, 구조적으로 슬러지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집수조로 유입된 오폐수를 진공자흡식펌프를 이용하여 펌핑하고, 펌핑된 오폐수는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분리 시킨 후,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에 이송시켜 제거되게 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폐수는 활성탄 여과기를 거쳐 재이용수조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펌핑조에 유입된 오폐수와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화공기를 혼합시키고, 오존화공기와 혼합된 오폐수를 오존반응시켜 오폐수 속의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진공자흡식펌프와;
상기 진공자흡식펌프에 의해 산화된 오폐수가 분배관을 따라 내부로 유입되면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 분리되게 한 후, 분리된 슬러 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에 이송시켜 제거되게 하고 처리된 처리수는 활성탄 여과기를 거쳐 재이용수조로 공급되게 하는 부상분리조와;
상기 부상분리조 상단에 위치하고 부상분리조 내부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오존을 제거하는 배오존분해장치와;
상기 부상분리조 하단에 위치하고 부상분리조 내부로 투입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청소구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오폐수 정화 처리장치도 사용하고 난 오폐수가 집수조로 유입되면 일련의 과정을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 처리되어 재이용수조로 공급되게 하는 기본적인 맥락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더욱 효과적으로 오폐수가 정화 처리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에서와 같이 집수조(100), 재이용수조(110), 진공자흡식펌프(400), 부상분리조(500), 분배관(510), 배오존분해장치(520), 청소구(600)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집수조(100)는 사용하고 난 오폐수가 최초 유입되는 장치이며, 재이용수조(110)는 일련의 과정을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 처리된 처리수가 재이용될 수 있도록 저장되는 장치이다.
진공자흡식펌프(400)는 펌핑조(100)에 유입된 오폐수와 오존발생기(300)에서 발생된 오존화공기를 혼합시키고, 오존화공기와 혼합된 오폐수를 오존반응시켜 오폐수속의 오염물질을 산화시킬 수 있도록 공기와 혼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상분리조(500)는 진공자흡식펌프(400)에 의해 산화된 오폐수가 내부로 유입되면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 분리되게 한 후, 분리된 슬러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210)에 이송시켜 제거되게 하고 처리된 처리수는 활성탄여과기(700)를 거쳐 재이용수조(110)로 공급되게 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한 부상분리조(500) 상단에는 배오존분해장치(520)가 설치되어, 부상분리조(500)에서 내부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오존을 제거하고, 부상분리조(500) 하단에는 청소구(600)가 형성되어 부상분리조(500)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가 침적되면 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을 작동시키면 집수조(100)내부로 유입된 오폐수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210)를 통하여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펌핑조(200)로 투입되고, 오존발생기(300)에서는 오존화공기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펌핑조(200)에 유입된 오폐수와, 오존발생기(300)에서 발생된 오존화공기는 진공자흡식펌프(400)에 의해 흡입되면서 혼합되고, 오존화공기와 혼합된 오폐수는 오존화공기의 오존이 빠른 속도로 오폐수 속의 오염물질과 골고루 접촉되기 때문에 오존의 직접반응과 간접반응으로 산화되며, 산화된 오폐수는 부상분리조(500)로 투입된다.
이때 부상분리조(500) 내부에 유입된 오폐수에는 슬러지가 다량 함유되어 있 고 이러한 슬러지는 부분적으로 슬러지 침적이 발생하기 때문에 청소구(600)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빼주면 되고, 부상분리조(500) 내부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오존은 배오존분해장치(520)를 통하여 분해 제거된다.
한편, 부상 분리된 슬러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210)에 이송되어 제거되고, 용액 즉, 슬러지가 제거된 오폐수는 활성탄여과기(700)를 거쳐 재이용수조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집수조로 유입된 오폐수를 진공자흡식펌프를 이용하여 펌핑하고, 펌핑된 오폐수는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분리 시킨 후,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에 이송시켜 제거되게 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폐수는 활성탄 여과기를 거쳐 재이용수조로 공급되기 때문에 오폐수 속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사용하고 난 오폐수가 집수조로 유입되면 일련의 과정을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 처리되어 재이용수조로 공급되게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펌핑조에 유입된 오폐수와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화공기를 혼합시키고, 오존화공기와 혼합된 오폐수를 오존반응시켜 오폐수 속의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진공자흡식펌프와;
    상기 진공자흡식펌프에 의해 산화된 오폐수가 분배관을 따라 내부로 유입되면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 분리되게 한 후, 분리된 슬러지는 슬러지 자동제거장치에 이송시켜 제거되게 하고 처리된 처리수는 활성탄 여과기를 거쳐 재이용수조로 공급되게 하는 부상분리조와;
    상기 부상분리조 상단에 위치하고 부상분리조 내부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오존을 제거하는 배오존분해장치와;
    상기 부상분리조 하단에 위치하고 부상분리조 내부로 투입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청소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2020060003027U 2006-02-03 2006-02-03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200414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027U KR200414234Y1 (ko) 2006-02-03 2006-02-03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027U KR200414234Y1 (ko) 2006-02-03 2006-02-03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234Y1 true KR200414234Y1 (ko) 2006-04-17

Family

ID=4176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027U KR200414234Y1 (ko) 2006-02-03 2006-02-03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2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114B1 (ko) 2020-05-01 2021-01-14 전상복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102597002B1 (ko) * 2023-07-24 2023-11-02 주식회사 에버 자흡펌프를 이용하는 슬러지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114B1 (ko) 2020-05-01 2021-01-14 전상복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102597002B1 (ko) * 2023-07-24 2023-11-02 주식회사 에버 자흡펌프를 이용하는 슬러지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8029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排水処理方法
KR101134099B1 (ko) 잉여공기를 재이용하는 용존공기부상장치와 침지식 막여과 장치의 일체형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050024488A (ko)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101579310B1 (ko) 외부 침지식 분리막 시스템
KR200414234Y1 (ko)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
KR100799938B1 (ko) 오존 접촉산화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069773B1 (ko) 분리막 생물 반응조,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9061349A (ja) 膜分離活性汚泥法による汚水処理方法
KR101390686B1 (ko) 하수처리공정의 분리막 카트리지 세정장치
KR100948807B1 (ko) 응집 부상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0538347B1 (ko) 오폐수처리장치
KR20060114493A (ko) 오폐수 처리장치
JP2014094322A (ja) 多段階の有機廃水処理システム
KR200413336Y1 (ko) 개량형 오폐수처리장치
KR20010068850A (ko) 막 분리 활성오니법과 고도 산화법을 활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05998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JP4019277B2 (ja) 漁港や魚市場等から発生する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2126480A (ja) オゾン水処理装置
KR101729316B1 (ko) 산화폭기장치
KR200352300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150081920A (ko)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7000712A (ja) 固液分離装置
CN216445195U (zh) 一种油库污水循环利用装置
JP2002119949A (ja) 生ごみ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装置
JPH0938671A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