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920A -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920A
KR20150081920A KR1020140001900A KR20140001900A KR20150081920A KR 20150081920 A KR20150081920 A KR 20150081920A KR 1020140001900 A KR1020140001900 A KR 1020140001900A KR 20140001900 A KR20140001900 A KR 20140001900A KR 20150081920 A KR20150081920 A KR 2015008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ludge
solid
collecting unit
separ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연
류인수
김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라
Priority to KR102014000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920A/ko
Publication of KR2015008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fib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21V2200/13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전달받도록 마련되되 내부공간이 침전부와 침지식 분리막이 설치되는 고액분리부로 구획되는 처리조; 및 상기 고액분리부로 오존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오존산화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하수의 고도처리 방법은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전달받는 처리조 내부공간을 침전부와, 침지식 분리막이 설치되는 고액분리부로 구획하고, 상기 고액분리부로 오존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상기 침지식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공정 및 오존 가스에 의한 오존산화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advanced treatment device of wastewater and advanced treatment method of wastewater}
본 발명은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활성슬러지공법을 통해 처리된 하수 처리수를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고도처리 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는 유기물 제거에 목적을 둔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설계, 운전되고 있다. 활성슬러지공법은 BOD, SS 등은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한 반면, 유기물 및 질소와 인은 미생물에 필요한 영양소로만 제거되어 처리 후 상대적으로 잔량이 많게 된다. 이와 같이 유기물 및 질소와 인이 미처리된 상태로 방류되면, 하천 및 호소에서의 부영양화가 심화되어 상수원 오염으로 정수처리시 비용 증가뿐만 아니라 보건상의 위해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유기물 및 질소와 인 등을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하수고도처리시설의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활성오니공정 이외에 막분리 공정이나 오존산화공정을 추가하여 유기물 및 질수와 인의 방류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8574호는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을 제시하고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2467호는 오존산화공정을 포함하는 고도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처리수가 고도처리 되도록 한 시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호기조에 설치되는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하는 고도처리시설의 경우, MLSS의 농도가 높아, 미생물에 의한 파울링으로 인해 분리막의 플럭스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약품의 역세작용을 통해 수시로 분리막을 세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분리막의 수명 및 유지관리에 따른 어려움으로 인해 하수고도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오존산화공정을 이용하는 종래 하수고도처리시설의 경우 대부분의 활성슬러지공법을 최종적으로 거친 처리수를 활성슬러지공정에서 이용하는 저수조와 별도 마련되는 오존산화조에서 오존산화 처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오존산화조의 시공을 위한 별도의 부지사용에 따른 공간활용도 측면에 있어서 경제적이지 못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857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2467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고도처리 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전달받도록 마련되되 내부공간이 침전부와 침지식 분리막이 설치되는 고액분리부로 구획되는 처리조; 및 상기 고액분리부로 오존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오전산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무기계 소재의 무기계 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세라믹 소재의 세라믹 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존산화유닛은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가스가 기포형태로 공급되도록 상기 분리막 저부의 고액분리부에 설치된 디퓨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부의 중도 저부에는 슬러지의 수집을 위한 슬러지 수집부가 마련되고, 상기 침전부에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 상류 쪽에는 하수 처리수 중 부유물의 응집 침전율을 높이기 위해 하수 처리수로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응집제 투입유닛과, 응집제가 투입된 하수 처리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전부에는 하수 처리수의 필터링을 위한 정류벽이 설치되며, 상기 정류벽은 각각 슬러지 수집부 양측에 마련된 제1정류벽과 제2정류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부에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 하류 쪽에는 슬러지의 침강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과, 저부로 침강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수집부 쪽으로 안내하도록 슬러지 수집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전달받는 처리조 내부공간을 침전부와, 침지식 분리막이 설치되는 고액분리부로 구획하고, 상기 고액분리부로 오존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상기 침지식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공정 및 오존 가스에 의한 오존산화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세라믹 소재의 세라믹 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존가스는 상기 분리막 저부의 고액분리부에 기포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침전부의 중도 저부에는 슬러지의 수집을 위한 슬러지 수집부가 마련되고, 하수 처리수 중 부유물의 응집 침전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슬러지 수집부 상류쪽에서 하수 처리수는 응집제가 투입된 상태에서 교반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수집부 양측으로 상기 침전부에는 제1정류벽과 제2정류벽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수집부 상류의 하수 처리수는 상기 제1 및 제2정류벽을 차례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수집부를 경유한 하수 처리수의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수집부 하류 쪽 상기 침전부에 설치된 경사판을 통해 저부로 안내되어 침강되고, 상기 슬러지 수집부 하류 쪽 침전부의 저부로 침가된 슬러지는 슬러지 수닙유닛을 통해 상기 슬러지 수집부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고액분리공정과 오존가스를 이용한 오존산화공정을 동시에 적용시켜 고도처리하게 되므로, 분리막의 수명 및 관리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존산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부지가 필요치 않게 되어 고도처리에 따른 효율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가 생물학적 하수처리 시실에 연계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10)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고도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전달받도록 마련된 처리조(20)를 구비하며, 처리조(20)는 내부공간이 침전부(21)와 침지식 분리막(30)이 설치되는 고액분리부(22)로 구획벽(23)을 통해 구획된다.
여기서 생물학적 처리공정이라 함은 활성오니공정을 포함하는 하수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가리킨다. 활성오니공정은 폭기에 의해 호기성미생물을 증식시켜 하수 중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그 과정에서 미생물의 집단이 부유물에 흡착하여 플록을 형성하고 진흙으로 침전하여 상징액과 분리하는 것을 가리킨다.
일례로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는 무산소조(1)와, 혐기조(2)와, 호기조(3)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산소조(1)에서는 탈질산화를 위한 유기탄소원으로 유입하수를 이용하여 질산염을 질소가스 형태로 제거할 수 있고, 혐기조(2)에서는 혐기성슬러지의 영향으로 혐기상태를 유지하여 유입하수 중 쉽게 분해 가능한 유기물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인 방출 및 슬러지내의 질소가 흡착 제거될 수 있으며, 호기조(3)에서는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제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무산소조(1)와 혐기조(2)에는 내부 내용물의 교반을 위한 교반수단(4)이 배치될 수 있고, 호기조(3)에는 공기의 공급을 위한 산기관(5)이 저부에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5a는 산고공급기를 가리킨다.
그리고 무산소조(1), 혐기조(2), 호기조(3)는 처리하고자 하는 하수의 상태와 조건에 따라 순서가 바뀌거나 일부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무산소조(1)와 혐기조(2)와 호기조(3)는 하나의 생물학적 반응조(6)를 구획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하수는 생물학적 반응조로 유입되기 전단계에서 부형화나 침전작용에 의해 예비처리 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7은 하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관을 가리킨다.
처리조(20)는 이와 같이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질소 및 인과 유기물이 1차적으로 제거된 하수 처리수를 침전부(21)를 통해 공급받게 되며, 이때 하수 처리수는 오버플로우 작용이나 펌프의 펌핑력 등을 통해 침전부(21)로 유입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5는 하수 처리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처리수 유입라인을 가리키며, 또 다른 미설명 부호 25a는 유입라인(25) 상에 설치되는 펌프를 가리킨다.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공급받게 되는 처리조(20)는 새로운 시공을 통해 새롭게 구축도 가능하지만, 기존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최종 침전지를 구획벽(23)을 세워 침전부(21)와 고액분리부(22) 사이가 구획되도록 하고, 고액분리부(22)가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등 단순한 추가시공만을 통해 간단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이때 밀폐된 고액분리부(22) 상부에는 운영과정에서 침지식 분리막(30)의 교체나 보수시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22a)가 마련될 수 있다.
침전부(21)로 유입된 하수 처리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함유되었던 슬러지는 저부로 침강되고, 상대적으로 맑은 상층의 처리수만 오버플로우 되어 고액분리부(22)로 공급된다. 침전부(21) 저부로 침지된 슬러지는 반송라인(8)을 따라 생물학적 처리조(6)로 반송처리 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침전부(21)의 상층의 처리수는 펌프의 펌핑작용을 이용하여 고액분리부(22)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8a는 반송라인(8) 상에 설치되는 펌프를 가리킨다.
또한, 침전부(21)를 거쳐 고액분리부(22)로 유입된 처리수를 침지식 분리막(30)을 이용한 고액분리공정과 오존가스를 이용한 오존산화공정을 동시에 적용시켜 고도처리 할 수 있도록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10)는 고액분리부(22)로 오존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오존산화유닛(4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오존산화유닛(40)은 오존발생기(41)와, 오존발생기(41)에서 생성된 오존가스를 고액분리부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펌프(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오존의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것으로, 오존산화유닛(40)은 배오존장치(43)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오존산화유닛(40)은 분리막(30) 저부의 고액분리부(22)에 설치된 디퓨져(44)를 더 구비하여 오존발생기(41)에서 발생한 오존가스를 기포형태로 고액분리부(22)에 공급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45는 오존공급라인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오존산화공정이 처리조(20)의 고액분리부(22)에서 고액분리공정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에서는 오존산화작용을 위한 별도의 오존산화조 부지를 확보할 필요 없이 처리조(20) 주변으로 오전산화유닛(40)만을 설치함으로써 하수의 오존산화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하수의 고도처리에 따른 경제성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오존산화유닛(40)을 통해 고액분리부(22)로 공급된 오존가스는 산소 보다 약 10배 높은 용해도를 가지며, 산소보다 강력한 산화력을 발휘하여 유기화합물을 CO2나 H2O 또는 HCL 등의 무해한 화합물로 분해시키고, 올레핀류 뿐만 아니라 방향족 핵도 실온에서 빠르게 분해시키게 된다. 그리고 오존가스에 의해 오존산화 처리된 오존처리수는 분리막(30)을 거치는 과정에서 분리막(30) 표면의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분리막 세정작용도 수행하게 된다.
오존산화유닛(40)은 오존의 PH를 조절하거나 과산화수소(H2O2), 자외선(UV) 등이 부가되도록 함으로써, 산화력을 증대시키는 복합산화방식으로도 채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침지식 분리막(30)은 다수의 평막 형태로 구성되어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케이싱(31)에 처리수가 통과되도록 설치된다. 케이싱(31)에는 분리막(30)을 거쳐 분리된 고도처리수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라인(5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유출라인(51) 상에는 고도처리수의 유출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52)가 설치될 수 있다. 침지식 분리막(30)은 고액분리부(22)의 면적에 따라 복수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펌프(52)를 구동시킴에 따라, 오존가스에 의해 오존산화 처리된 오존 처리수는 분리막(30)을 통과하면서 난분해성 및 미처리 유기물, 질소, 인 등의 말끔히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미생물이 제거된 하수 처리수를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산화시키고, 이 상태의 오존산화 처리수를 침지식 분리막(30)을 이용하여 고액분리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분리막(30) 표면에 미생물이나 오염물질로 인한 파울링이 생길 우려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별도의 역세장치 및 역세공정을 추가하여 분리막(30)을 세정하지 않고서도 분리막(30)의 플럭스 효율이 저하되지 않게 되므로, 분리막(30)을 이용한 연속적인 고액분리공정이 가능하게 되어 고도처리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오존산화 처리수로 인해 분리막(30)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분리막(30)은 산화알루미늄이나 산화지르코늄과 같은 무기소재를 이용하여 마련된 세라믹 막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라믹 소재를 포함하는 무기계 소재의 무기계 막은 내열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오존 처리수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어 높은 사용수명이 보장되며, 내열성 또한 유수하여 고온의 하수 처리 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고액분리부(22) 저부에는 내부의 잔량 슬러지를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라인(9)이 연결될 수 있으며, 슬러지 배출라인(9) 중도에는 슬러지 배출압력을 제공하는 배출펌프(9a)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처리조(20)가 기존의 최종 침전지를 간단히 개량하여 구축될 경우, 고액분리부(22)로 인해 침전부(21)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이때는 침전부(21)에서 슬러지가 말끔히 제거되지 않아, 고액분리부(22)로 공급되는 처리수에 슬러지 함유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고액분리부(22)에서의 고도 처리 효율이나 분리막(30)의 플럭스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침전부(21)에는 물리적으로 슬러지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단들이 추가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부의 중도 저부에는 슬러지의 수집을 위한 슬러지 수집부(61)가 마련되는데, 먼저 침전부(21)에서 슬러지 수집부(61) 상류 쪽에는 하수 처리수 중 부유물의 응집 침전율을 높이기 위해 하수 처리수로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응집제 투입유닛(62)과, 응집제가 투입된 하수 처리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63)이 설치될 수 있다. 응집제 투입유닛(62)은 고분자 응집제가 수용되는 수용탱크(62a)와, 수용탱크(62a)의 고분사 응집제를 침전부(21)로 공급하는 공급유로(62b)와, 공급유로(62b) 중도에 마련된 개폐밸브(62c)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교반유닛(63)은 모터(63a)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63b)과, 회전축(63b) 끝단에 마련된 교반날개(63c)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쳐 침전부(21)로 유입된 하수 처리수는 고분자 응집제가 투입된 상태로 교반유닛(63)을 통해 교반되는 과정에서 부유물의 응집 침전율이 향상되어 미세플럭을 형성하고, 미세플럭은 거대플럭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러지 침전율이 향상된 하수 처리수는 유입수문(64)이 개방됨에 따라 슬러지 수집부(61) 쪽을 경유하게 된다. 이때 하수 처리수 상의 슬러지는 저부의 슬러지 수집부(61)로 침전하게 되는데, 슬러지 수집부(61) 양측으로 침전부(21)에는 제1정류벽(65a)과 제2정류벽(65b)이 각각 설치되며, 이에 따라 슬러지 수집부(61) 상류의 하수 처리수는 제1 및 제2정류벽(65a,65b)을 차례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필터링되어 슬러지의 침전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정류벽(65a,65b)은 다수의 필터공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벽체로 구성되어 통과하는 하수 처리수의 유동저항을 증대시킴으로써, 슬러지의 침전시간이 보다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침전부(21)에서 슬러지 수집부(61) 하류 쪽에는 슬러지의 침강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66)과, 저부로 침강된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부(61) 쪽으로 안내하는 슬러지 수집유닛(67)이 설치될 수 있다. 슬러지 수집유닛(67)은 구동모터(67a)와, 구동모터(67a)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체인(67b)과, 체인(67b)에 연결된 다수의 스크래퍼(67c)를 구비하여 침전부(21) 바닥으로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부(61) 쪽으로 긁어모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슬러지 수집부(61) 상류 쪽의 하수 처리수 상에 포함된 슬러지는 경사판(66)에 부착된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경사판(66) 표면을 따라 저부로 안내되고, 경사판(66) 저부로 안내된 슬러지는 슬러지 수집유닛(67)의 스크래퍼(67c)에 의해 슬러지 수집부(61)로 운반되어 수집될 수 있게 된다.
슬러지 수집부(61)로 수집된 슬러지는 전술한 반송라인(8)을 따라 생물학적 반응조(6) 내로 반송되거나 설비 외부로 배출처리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 고도처리 장치는 기존의 최종 침전지를 간단히 개량하여 처리조(20)를 구성하는 경우, 고액분리부(22)로 인해 침전부(21)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물리적인 슬러지 제거수단들을 통해 침전부(21)에서의 슬러지 제거효율이 향상되므로, 고액분리부(22)에서의 고도 처리 효율이나 분리막(30)의 플럭스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따른 한계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된다.
10: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20: 처리조
21: 침전부 22: 고액분리부
23: 구획벽 30: 침지식 분리막
31: 케이싱 40: 오존산화유닛
41: 오존발생기 42: 가압펌프
43: 배오존장치 44: 디퓨져

Claims (13)

  1.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전달받도록 마련되되 내부공간이 침전부와 침지식 분리막이 설치되는 고액분리부로 구획되는 처리조; 및
    상기 고액분리부로 오존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오존산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무기계 소재의 무기계 막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세라믹 소재의 세라믹 막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산화유닛은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가스가 기포형태로 공급되도록 상기 분리막 저부의 고액분리부에 설치된 디퓨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의 중도 저부에는 슬러지의 수집을 위한 슬러지 수집부가 마련되고,
    상기 침전부에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 상류 쪽에는 하수 처리수 중 부유물의 응집 침전율을 높이기 위해 하수 처리수로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응집제 투입유닛과, 응집제가 투입된 하수 처리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에는 하수 처리수의 필터링을 위한 정류벽이 설치되며,
    상기 정류벽은 각각 슬러지 수집부 양측에 마련된 제1정류벽과 제2정류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에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 하류 쪽에는 슬러지의 침강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과, 저부로 침강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수집부 쪽으로 안내하도록 슬러지 수집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8.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하수 처리수를 전달받는 처리조 내부공간을 침전부와, 침지식 분리막이 설치되는 고액분리부로 구획하고,
    상기 고액분리부로 오존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상기 침지식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공정 및 오존 가스에 의한 오존산화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세라믹 소재의 세라믹 막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가스는 상기 분리막 저부의 고액분리부에 기포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의 중도 저부에는 슬러지의 수집을 위한 슬러지 수집부가 마련되고,
    하수 처리수 중 부유물의 응집 침전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슬러지 수집부 상류쪽에서 하수 처리수는 응집제가 투입된 상태에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 양측으로 상기 침전부에는 제1정류벽과 제2정류벽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수집부 상류의 하수 처리수는 상기 제1 및 제2정류벽을 차례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를 경유한 하수 처리수의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수집부 하류 쪽 상기 침전부에 설치된 경사판을 통해 저부로 안내되어 침강되고, 상기 슬러지 수집부 하류 쪽 침전부의 저부로 침가된 슬러지는 슬러지 수닙유닛을 통해 상기 슬러지 수집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고도처리 방법.
KR1020140001900A 2014-01-07 2014-01-07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50081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00A KR20150081920A (ko) 2014-01-07 2014-01-07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00A KR20150081920A (ko) 2014-01-07 2014-01-07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920A true KR20150081920A (ko) 2015-07-15

Family

ID=5379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900A KR20150081920A (ko) 2014-01-07 2014-01-07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9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91B1 (ko) 2021-03-08 2021-09-10 경상북도 경주시 조대 기포 산기관, 및 고효율 질소 및 인 제거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장치
KR102300917B1 (ko) 2021-03-09 2021-09-10 경상북도 경주시 하수의 분할 주입 및 공기교반을 이용한 고효율 질소 및 인 제거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91B1 (ko) 2021-03-08 2021-09-10 경상북도 경주시 조대 기포 산기관, 및 고효율 질소 및 인 제거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장치
KR102300917B1 (ko) 2021-03-09 2021-09-10 경상북도 경주시 하수의 분할 주입 및 공기교반을 이용한 고효율 질소 및 인 제거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117B1 (ko) 복합 고도정수처리 장치
KR101395188B1 (ko)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804555B1 (ko) 고농도 유기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방법.
KR100927629B1 (ko) 오폐수 처리 공법 및 그 장치
EP2305386A2 (en) Hydrocyclone flotation system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KR101220539B1 (ko) 수처리장치
KR101887332B1 (ko) 연속식 단일생물반응조와 역삼투 멤브레인을 적용하고 농축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 시스템
KR100992827B1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KR100989414B1 (ko) 정화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779492B1 (ko) 폐수 처리 시스템
JP2002177990A (ja) 浄水方法および浄水装置
KR101541070B1 (ko) 고도처리장치
KR101430104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069773B1 (ko) 분리막 생물 반응조,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6205155A (ja) 嫌気槽とそれを含んだ排水処理システム
KR101025927B1 (ko)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KR20150081920A (ko)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78475B1 (ko) 선회류식 무기슬러지 분리배출장치와 생물반응조를 결합한 슬러지처리장치
EP2822901B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20000055904A (ko)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JP4908542B2 (ja) ろ過方法、ろ過装置およびろ過池
KR101461592B1 (ko) 난류날개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JP2008000705A (ja) サテライト処理場の汚水処理装置
JP4067952B2 (ja) 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
JP4019277B2 (ja) 漁港や魚市場等から発生する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