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104B1 - 오폐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104B1
KR101430104B1 KR1020140078726A KR20140078726A KR101430104B1 KR 101430104 B1 KR101430104 B1 KR 101430104B1 KR 1020140078726 A KR1020140078726 A KR 1020140078726A KR 20140078726 A KR20140078726 A KR 20140078726A KR 101430104 B1 KR101430104 B1 KR 10143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ath
turbulence
treated wa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연
Original Assignee
(유)일토씨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토씨엔엠 filed Critical (유)일토씨엔엠
Priority to KR102014007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중의 유기성 오염물질과 부유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오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류판이 구비된 난류생성프레임을 이용하여 중공사막의 분리막모듈에 결합된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 장치는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 중의 협잡물 또는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조; 상기 스크린조에 연결되어 스크린조에서 처리되어 이송된 처리수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중교반기가 구비된 혐기조; 상기 혐기조에 연결되어 혐기조에서 이송된 처리수의 탈질화를 위한 것으로 제2수중교반기가 구비된 무산소조; 상기 무산소조에 연결되어 무산소조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잔류 유기물을 제거하고 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시키는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MBR조; 상기 MBR조에 연결되어 MBR조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황탈질반응을 하기 위한 SDR조; 및 상기 SDR조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 장치{Wastewater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은 오폐수 중의 유기성 오염물질과 부유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오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류판이 구비된 난류생성프레임을 이용하여 중공사막의 분리막모듈에 결합된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 장치에 대한 것이다.
오폐수 처리 장치는 오폐수 중의 유기성 오염물질과 부유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화조 등에 연결되는 것으로, 스크린조, 혐기조, 무산소조, MBR조, SDR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 MBR(Membrane Bio-Reactor)조는 침전지 대신 분리막을 반응조에 침지시켜 처리수와 슬러지를 분리함으로써 안정적인 처리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침전된 슬러지가 최종 침전지에서 유출되어 처리수를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 MBR조에서는 침지형 분리막으로 평막 또는 중공사막(hollow fiber)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 중공사막 형태의 분리막은 모듈 형태로 제작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수중에서 막의 표면에 공기 방울을 부딪치게 하여 오염을 줄이도록 한다.
그러나 중공사막은 막의 표면에 섬유상의 오염물이 흡착하여 막 자체를 훼손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위모듈을 직접 회전시켜 중공사막의 고형물을 제거시키는 기술이 제시된바 있다(특허 제10-0805866호).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 단위모듈은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위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단위모듈의 회전축과 배출구의 결합부에 회전이 가능하면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조비용이 상승할 뿐 아니라 유지관리가 어렵고 종래 설치된 장치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중공사막의 단위모듈에 결합된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신규 제작 분리막모듈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분리막모듈에도 간단하게 부가하여 장착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 중의 협잡물 또는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조; 상기 스크린조에 연결되어 스크린조에서 처리되어 이송된 처리수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중교반기가 구비된 혐기조; 상기 혐기조에 연결되어 혐기조에서 이송된 처리수의 탈질화를 위한 것으로 제2수중교반기가 구비된 무산소조; 상기 무산소조에 연결되어 무산소조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잔류 유기물을 제거하고 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시키는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MBR조; 상기 MBR조에 연결되어 MBR조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황탈질반응을 하기 위한 SDR조; 및 상기 SDR조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막모듈은 오폐수를 여과하여 정화하는 모듈본체, 상기 모듈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정화수를 SDR조로 이송하는 이송관에 연결되는 이송부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막모듈의 외부에는 난류생성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난류생성프레임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관 형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의 관통공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관,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수직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수직부재의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난류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난류판은 난류생성프레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난류생성프레임은 좌우로 분할되어 한 쌍을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인접하는 수직부재에 결합된 난류판은 수직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난류판은 내측 단부가 파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인접하는 수직부재에 결합된 난류판은 파형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리막모듈 외부에 구비된 난류생성프레임의 난류판이 난류생성프레임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난류를 생성한다. 따라서 난류에 의하여 분리막모듈에 점착된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둘째, 분리막모듈 외부에 난류생성프레임을 구비하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 면에서 편리하다.
셋째, 분리막모듈 외부에 케이지 형태의 난류생성프레임을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신규 제작 분리막모듈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분리막모듈에도 간단하게 부가하여 장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오폐수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분리막모듈과 난류생성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난류생성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분리막모듈과 난류생성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난류생성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오폐수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분리막모듈과 난류생성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 장치는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 중의 협잡물 또는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조(2); 상기 스크린조(2)에 연결되어 스크린조(2)에서 처리되어 이송된 처리수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중교반기(31)가 구비된 혐기조(3); 상기 혐기조(3)에 연결되어 혐기조(3)에서 이송된 처리수의 탈질화를 위한 것으로 제2수중교반기(41)가 구비된 무산소조(4); 상기 무산소조(4)에 연결되어 무산소조(4)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잔류 유기물을 제거하고 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시키는 분리막모듈(51)이 구비된 MBR조(5); 상기 MBR조(5)에 연결되어 MBR조(5)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황탈질반응을 하기 위한 SDR조(6); 및 상기 SDR조(6)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조(2)는 유입관(11)에 연결되어 오폐수 중의 협잡물 또는 부유물질을 스크린에 의하여 걸러낸다. 이때 상기 스크린조(2) 하부에 형성되는 협잡물이나 침전물은 정기적인 청소를 하여 외부로 반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혐기조(3)는 스크린조(2)에서 각종 부유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제1수중교반기(31)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활성 슬러지 미생물과 처리수가 잘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활성 슬러지 미생물이 ATP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합성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인이 제공되면서 처리수 중의 인을 제거한다.
상기 무산소조(4)는 혐기조(3)에서 인이 제거된 처리수를 이송 받아 제2수중교반기(41)에 의하여 교반하면서 탈질화한다. 무산소조(4)에서는 탈질 미생물을 이용하여 질산성 질소를 아질산성 질소로, 아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변형시켜 제거한다.
상기 MBR조(5)는 무산소조(4)에 연결되며 분리막모듈(51)이 구비된다. MBR조(5)를 거치면서 무산소조(4)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잔류 유기물이 제거되며 물과 슬러지가 고액 분리되어 깨끗한 처리수를 생산한다.
또한, 상기 MBR조(5)에는 순환라인(13)이 구비되어, 탈질화를 거친 처리수는 무산소조(4)로 재반송하여 재탈질하도록 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처리수의 재반송 과정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탈질 효과가 가능하다.
상기 분리막모듈(51)은 외부에 난류생성프레임(52)이 구비되는데, 분리막모듈(51) 및 난류생성프레임(52)에 대하여는 도 2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SDR조(6)는 MBR조(5)에 연결되어 MBR조(5)에서 유입된 처리수를 황탈질반응한다. SDR(Sulfur Denitrification Reactor) 공정은 내부 반송과 외부 유기탄소원의 공급 없이 황 입자 표면에 서식하는 독립 영향 탈질균에 의해 HCO3 - 등의 무기탄소를 탄소원으로 이용하고 전자수용체로서 질산성 질소인 NO3 --N을 사용하면서 탈질반응한다. 또한, SDR 공정에서는 소량의 응집제를 투과하여 MBR조(5)에 잔류하는 인을 완벽히 제거한다.
상기 SDR조(6)에서 여과된 처리수는 배출관(12)을 통하여 배출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리막모듈(51)은 오폐수를 여과하여 정화하는 모듈본체(511), 상기 모듈본체(511) 상부에 결합되어 정화수를 SDR조(6)로 이송하는 이송관(14)에 연결되는 이송부(512)로 구성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MBR조(5)와 SDR조(6) 사이의 이송관(14)에는 약품탱크조(7)가 연결될 수 있으며, 약품탱크조(7)에서 SDR조(6)로 이송되는 처리수에 알칼리도와 응집제를 공급하여 처리수와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알칼리도는 탈질에 소요되는 약품으로 NaHCO3을 사용하고, 응집제는 생물학적 반응으로 제거하지 못한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명반(alum)을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도와 응집제는 원활한 혼합을 위하여 액상으로 사용하고, 정량펌프로 일정량을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본체(511)는 오폐수를 여과하여 유입한 다음, 모듈본체(511) 상부에 결합된 이송부(512)를 통하여 이송관(14) 및 SDR조(6)로 이송한다.
모듈본체(511)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부의 이송부(512) 또한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송관(14)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모듈(51)의 외부에는 난류생성프레임(5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난류생성프레임(52)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521), 관 형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521)의 관통공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부(5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부(5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관(522), 상기 상부프레임(521)의 외측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수직부재(523),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523)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524) 및 상기 수직부재(523)의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난류판(5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난류판(525)은 난류생성프레임(5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관(522)은 모터 등 구동부(5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분리막모듈(51)의 외부에 형성된 케이지 형상의 난류생성프레임(52)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난류생성프레임(52)의 회전에 따라 난류생성프레임(52) 내부에 난류가 발생하며, 난류생성프레임(52)에 형성된 난류판(525)이 난류생성프레임(52)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난류 발생 효과를 배가시키면서 난류생성프레임(52)의 회전에 따라 오폐수를 분리막모듈(51) 측으로 이동시켜 여과 효율을 증대시킨다. 동시에 난류에 의하여 분리막모듈(51)에 접착되는 고형물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여과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상부프레임(521)과 하부프레임(524)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도 2에서와 같이 원판 형상의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와 회전축관(522)을 연결하는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프레임(521, 524)은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수직부재(52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하부프레임(521, 524)과 수직부재(523)는 난류생성프레임(52)의 외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회전축관(522)의 외주면에는 톱니 등이 형성되어 구동부(53)와 벨트로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53)의 구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다.
도 3은 난류생성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분리막모듈과 난류생성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난류생성프레임(52)은 좌우로 분할되어 한 쌍(52a, 52b)을 서로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제작 분리막모듈(51)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분리막모듈(51)에도 한 쌍의 난류생성프레임(52a, 52b)을 부가 결합하여 분리막모듈(51)에 결합되는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난류생성프레임(52a, 52b)은 볼트, 버클, 접착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접합 가능하다.
또한, 인접하는 수직부재(523)에 결합된 난류판(525)은 수직 위치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난류판(525)의 수직 위치를 동일하게 할 경우, 난류생성프레임(52)의 회전에 따라 난류가 아니라 층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난류판(525)의 수직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배열하여 오폐수의 움직임을 불규칙하게 함으로써 난류 발생 정도를 증폭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난류생성프레임(52) 내부에 결합된 난류판(525)이 난류생성프레임(52)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난류생성프레임(52)이 시계 반향으로 회전하면, 오폐수가 난류생성프레임(52)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난류판(525)에 부딪히고 분리막모듈(51) 측으로 이동하여 이송관(14)으로 이송된다.
도 5는 난류생성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난류판(525)은 내측 단부가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난류판(525)이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오폐수의 움직임을 불규칙하게 하여 난류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인접하는 수직부재(523)에 결합된 난류판(525)은 파형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측 난류판(525)에 의하여 발생한 난류를 인접한 난류판(525)에서 서로 어긋나게 밀어주기 때문에 불규칙한 움직임을 증폭시킬 수 있다.
11: 유입관 12: 배출관
13: 순환라인 14: 이송관
2: 스크린조 3: 혐기조
31: 제1수중교반기 4: 무산소조
41: 제2수중교반기 5: MBR조
51: 분리막모듈 511: 모듈본체
512: 이송부 52, 52a, 52b: 난류생성프레임
521: 상부프레임 522: 회전축관
523: 수직부재 524: 하부프레임
525: 난류판 53: 구동부
6: SDR조 7: 약품탱크조

Claims (5)

  1.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 중의 협잡물 또는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조(2);
    상기 스크린조(2)에 연결되어 스크린조(2)에서 처리되어 이송된 처리수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중교반기(31)가 구비된 혐기조(3);
    상기 혐기조(3)에 연결되어 혐기조(3)에서 이송된 처리수의 탈질화를 위한 것으로 제2수중교반기(41)가 구비된 무산소조(4);
    상기 무산소조(4)에 연결되어 무산소조(4)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잔류 유기물을 제거하고 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시키는 분리막모듈(51)이 구비된 MBR조(5);
    상기 MBR조(5)에 연결되어 MBR조(5)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황탈질반응을 하기 위한 SDR조(6); 및
    상기 SDR조(6)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막모듈(51)은 오폐수를 여과하여 정화하는 모듈본체(511), 상기 모듈본체(511) 상부에 결합되어 정화수를 SDR조(6)로 이송하는 이송관(14)에 연결되는 이송부(512)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막모듈(51)의 외부에는 난류생성프레임(5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난류생성프레임(52)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521), 관 형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521)의 관통공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부(5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부(5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관(522), 상기 상부프레임(521)의 외측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수직부재(523),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523)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524) 및 상기 수직부재(523)의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난류판(5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난류판(525)은 난류생성프레임(5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난류생성프레임(52)은 좌우로 분할되어 한 쌍(52a, 52b)을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3. 제1항에서,
    인접하는 수직부재(523)에 결합된 난류판(525)은 수직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난류판(525)은 내측 단부가 파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5. 제4항에서,
    인접하는 수직부재(523)에 결합된 난류판(525)은 파형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KR1020140078726A 2014-06-26 2014-06-26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43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726A KR101430104B1 (ko) 2014-06-26 2014-06-26 오폐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726A KR101430104B1 (ko) 2014-06-26 2014-06-26 오폐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104B1 true KR101430104B1 (ko) 2014-08-14

Family

ID=5175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726A KR101430104B1 (ko) 2014-06-26 2014-06-26 오폐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1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101A1 (ko) * 2015-08-24 2017-03-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왕복하는 막을 사용하는 침지형 막여과 시스템
KR101760674B1 (ko) 2015-10-13 2017-07-24 김대건 세라믹 분리막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여과농축장치
CN111018113A (zh) * 2019-12-31 2020-04-17 重庆阁林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mbbr技术的污水处理设备
US10745309B2 (en) 2015-03-11 2020-08-18 Bl Technologies, Inc. Multi-step system for treating selenium-containing wastewa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599U (ko) * 1989-07-03 1991-02-22
JP3018599U (ja) 1995-05-24 1995-11-21 三山産業株式会社 回転攪拌式水処理装置
KR20010035605A (ko) * 1999-10-01 2001-05-07 민병렬 자체 회전봉 장착형 프로펠러를 지니는 관형 분리막 모듈
KR20140050279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코벡 원통 전열관을 이용한 증발농축건조장치
KR101395188B1 (ko) 2014-02-04 2014-05-15 (유)일토씨엔엠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599U (ko) * 1989-07-03 1991-02-22
JP3018599U (ja) 1995-05-24 1995-11-21 三山産業株式会社 回転攪拌式水処理装置
KR20010035605A (ko) * 1999-10-01 2001-05-07 민병렬 자체 회전봉 장착형 프로펠러를 지니는 관형 분리막 모듈
KR20140050279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코벡 원통 전열관을 이용한 증발농축건조장치
KR101395188B1 (ko) 2014-02-04 2014-05-15 (유)일토씨엔엠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5309B2 (en) 2015-03-11 2020-08-18 Bl Technologies, Inc. Multi-step system for treating selenium-containing wastewater
WO2017034101A1 (ko) * 2015-08-24 2017-03-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왕복하는 막을 사용하는 침지형 막여과 시스템
US9833741B2 (en) 2015-08-24 2017-12-05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s Co., Ltd. Submerged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ing reciprocating membrane
US10232316B2 (en) 2015-08-24 2019-03-19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Submerged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ing reciprocating membrane
KR101760674B1 (ko) 2015-10-13 2017-07-24 김대건 세라믹 분리막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여과농축장치
CN111018113A (zh) * 2019-12-31 2020-04-17 重庆阁林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mbbr技术的污水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3992B2 (en) High-rate sedimentation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1891336B (zh) 垃圾卫生填埋场渗滤液的处理系统及方法
KR101430104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686484B1 (ko) 하수 처리방법
CN110431114A (zh) 废水处理系统和方法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KR101461592B1 (ko) 난류날개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539727B1 (ko) 전기응집과 전자석을 이용한 총인 제거방법 및 장치
JP2006205155A (ja) 嫌気槽とそれを含んだ排水処理システム
KR100992827B1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CN211497304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20160084631A (ko) 팩키지형 오수처리시설
KR102021951B1 (ko) 여과막의 왕복운동과 간헐 공기세정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430105B1 (ko) 이중 난류생성프레임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019092B1 (ko) 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947145A (zh) 一种市政污水处理系统
KR101991867B1 (ko) 미생물 및 자성체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620533B1 (ko)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CN109019905B (zh) 一种基于曝气控制的水处理系统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KR20150081920A (ko)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793636A (zh) 一种节能环保的低废水净水装置
KR100597072B1 (ko)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브이하수 소독 시스템
CN205347130U (zh) 一种处理高浓度有机废水一体化装置
KR20140048427A (ko) 대단위 양식장의 정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