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533B1 -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533B1
KR101620533B1 KR1020150001783A KR20150001783A KR101620533B1 KR 101620533 B1 KR101620533 B1 KR 101620533B1 KR 1020150001783 A KR1020150001783 A KR 1020150001783A KR 20150001783 A KR20150001783 A KR 20150001783A KR 101620533 B1 KR101620533 B1 KR 10162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dity
treated water
horizontal connection
connection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달식
이학수
신성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0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200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를 유입시켜 침전시키는 1차 침전조; 상기 1차 침전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을 이용하여 질소(N), 인(P) 및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 반응조; 상기 생물학 반응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 침전조; 상기 2차 침전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탁도를 측정 및 정제시키는 탁도 정제조; 상기 탁도 정제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재를 제거하는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상태를 이미지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하수의 탁도가 측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응집제 투입부를 통해 응집제를 공급하여 탁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수가 통과하는 수평 연결관의 내부에 응급제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확산공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교반날을 장착하여 처리수에 응급제를 신속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Smart sewer system}
본 발명은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차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탁도 상태를 측정하면서도 정제할 수 있도록 한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공장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산업 폐기물 및 하수가 다량 발생되며, 이러한 하수를 무단 방류하게 되면 자연환경이 오염되어 생태계가 유지될 수 없으므로 하수를 정화처리하여 방류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하수의 정화 처리 문제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보다 깨끗하고 간단한 방법에 의해 하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처리장치는 여과나 침강 방식으로 부유물, 모래, 협잡물 등의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이나 침사지 등이 설치된 물리적 처리시설과, 반응, 응집 등을 이용하여 무기물 등의 고형물을 응집, 침전시켜 제거하는 화학적 처리시설과, 질산화반응과 탈질 반응 등을 이용하여 유기물, 질소 및 인을 처리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시설을 갖는다.
이러한 처리시설 중, 물리/화학적 시설은, 조대 입자를 걸러주는 스크린과, 세립입자가 침강 즉 가라앉는 침사조와, 하수량과 농도를 일정하게 하는 유량조정조와, 하수에 약품을 혼합시켜 하수에 포함된 미립자의 고형물을 반응시키는 반응조 및 고형물을 서로 응집시켜 플록을 생성시키는 응집조로 구성된 반응/응집조와, 오염물질 즉 슬러지를 침전시켜 제거하는 침전조와, 침전된 슬러지를 더 농축시키는 농축조와, 방류수를 담아 정확한 유량을 측정하는 방류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하수 등을 정화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응집제를 하수에 투여하여 응집된 이물질이 침강하도록 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스크린으로 걸러내어 제거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1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를 2차 처리시설로 공급하여서, 하수를 가열하여 증발시킴으로써 잔류하는 슬러지를 분리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처리장치는 2차 처리시설을 거쳐 배출되는 최종 처리수의 오염도가 측정치를 초과할 경우 마지막에 재투입하여 처리시 제대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처리장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나 탁도가 측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이를 정제하여 배출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제된 최종 처리수를 재공급해야 함으로써 처리과정이 복잡해지고 최종 처리수가 또다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59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92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73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차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상태를 이미지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하수의 탁도가 측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응집제 투입부를 통해 응집제를 공급하여 처리수의 탁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처리수가 통과하는 수평 연결관의 내부에 응급제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확산공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교반날을 장착하여 처리수에 응급제를 신속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평 연결관의 내면에 이물질 제거솔을 장착하여 배경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은 하수를 유입시켜 침전시키는 1차 침전조; 상기 1차 침전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을 이용하여 질소(N), 인(P) 및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 반응조; 상기 생물학 반응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 침전조; 상기 2차 침전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탁도를 측정 및 정제시키는 탁도 정제조; 상기 탁도 정제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재를 제거하는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탁도 정제조는 상기 2차 침전조의 배출관과 연결되는 수평 연결관; 상기 수평 연결관의 내부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은 베어링이 구비되는 고정부에 지지되며, 외면 중앙에는 다수개의 확산공이 형성되는 회전작동관; 상기 수평 연결관의 유입 부분에 장착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와 대응하는 회전작동관의 외면에 장착되는 배경부로 구성되고 처리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회전작동관과 연결되고 다수개의 확산공을 통해 응집제를 선택적으로 수평 연결관에 공급하는 응집제 투입부; 상기 이미지센서 및 응집제 투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측정에 따라 응집제 투입부의 응집제를 수평 연결관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연결관의 내면 하부에는 배경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제거솔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연결관의 배출 부분에 위치한 회전작동관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교반날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관의 유입부분에는 처리수를 수평 연결관과 회전작동관의 사이로 안내하는 경사가이드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연결관의 배출 부분에는 회전작동관을 통과한 처리수를 입구 부분에 재공급하는 리턴부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상태를 이미지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하수의 탁도가 측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응집제 투입부를 통해 응집제를 공급하여 처리수의 탁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비용은 절감하고 처리과정은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처리수가 통과하는 수평 연결관의 내부에 응급제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확산공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교반날을 장착하여 처리수에 응급제를 신속하게 혼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 연결관의 내면에 이물질 제거솔을 장착하여 배경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수의 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구성하는 2차 침전조 및 탁도 정제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구성하는 탁도 정제조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구성하는 탁도 정제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구성하는 2차 침전조 및 탁도 정제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구성하는 탁도 정제조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구성하는 탁도 정제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10)은 하수를 유입시켜 침전시키는 1차 침전조(20)와, 상기 1차 침전조(20)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을 이용하여 질산화시키는 생물학 반응조(30)와, 상기 생물학 반응조(30)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 침전조(40)와, 상기 2차 침전조(40)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탁도를 측정 및 정제시키는 탁도 정제조(50)와, 상기 탁도 정제조(50)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재를 제거하는 여과수단(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10)은 2차 침전조(40)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탁도 상태를 측정하면서도 정제하는 탁도 정제조(50)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1차 침전조(20), 생물학 반응조(30), 2차 침전조(40), 여과수단(60)은 도시된 도면 이외에도 공지된 1차 침전조, 생물학 반응조, 2차 침전조, 여과수단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수를 유입시켜 침전시키는 1차 침전조(20)는 하수가 저장되는 침사지(1)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공급받아 상기 처리수 내의 부유 고형물질을 침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1 차 침전조(20)는 침사지(1)에서 처리수를 공급받아 하부로 부유 고형물질을 침전시킨 후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생물학 반응조(30)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1차 침전조(20)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을 이용하여 질소(N), 인(P) 및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 반응조(30)는 혐기조(31)와 무산소조(32) 및 호기조(33)로 구성되어 질소(N), 인(P) 및 유기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생물학 반응조(30)는 1차 침전조(20)를 거쳐 공급되는 처리수를 혐기조(31)에서 인(P)을 방출하고, 무산소조(32)에서 질산염(NO3)을 탈질하며, 호기조(33)에서 유기물 산화, 질산화, 인(P) 축적하는 순서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생물학 반응조(30)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 침전조(40)는 생물한 반응조(30)에서 생산된 미생물을 침전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 침전조(40)의 내부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격판(42)과 경사판(44)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2차 침전조(40)는 생물학 반응조(30)에서 공급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중앙에 형성된 격판(42)을 이용하여 하부로 침전을 유도하면서도 경사판(44)을 이용하여 중앙에 미생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2차 침전조(40)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탁도를 측정 및 정제시키는 탁도 정제조(50)는 2차 침전조(40)의 배출관(46)과 연결되는 수평 연결관(51)과, 상기 수평 연결관(51)의 내부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은 베어링(52b)이 구비되는 고정부(52a)에 지지되며 외면 중앙에는 다수개의 확산공(52c)이 형성되는 회전작동관(52)과, 상기 수평 연결관(51)의 유입 부분(51a)에 장착되는 측정부(53a)와 상기 측정부(53a)와 대응하는 회전작동관(52)의 외면에 장착되는 배경부(53b)로 구성되고 처리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이미지센서(53)와, 상기 회전작동관(52)과 연결되고 다수개의 확산공(52c)을 통해 응집제를 선택적으로 수평 연결관(51)에 공급하는 응집제 투입부(54)와, 상기 이미지센서(53) 및 응집제 투입부(54)와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센서(53)의 측정에 따라 응집제 투입부(54)의 응집제를 수평 연결관(51)에 공급하는 제어부(55)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탁도 정제조(50)는 2차 침전조(40)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수평 연결관(51)을 통해 공급받은 후, 상기 이미지센서(53)를 통해 처리수의 탁도를 측정한 다음, 상기 처리수의 탁도에 따라 응집제 투입부(54) 및 회전작동관(52)을 통해 응집제를 수평 연결관(51)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탁도 정제조(50)는 제어부(55)의 설정에 따라 2차 침전조(40)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실시간 또는 일정간격으로 이미지센서(53)를 통해 측정한 후, 상기 이미지센서(53)를 통해 측정되는 탁도 측정치가 기대치 이하인 경우에는 응집제 투입부(54) 및 회전작동관(52)을 통해 응집제를 공급하여 처리수의 탁도를 낮춘 다음, 여과수단(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 연결관(51)은 내부 상태를 실시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수평 연결관(51)의 내면 하부에는 배경부(53b)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제거솔(56)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솔(56)은 이미지센서(53)의 측정부(53a)와 반대편에 위치한 수평 연결관(51)의 내면에 장착되어 배경부(53b)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제거함으로써 처리수의 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결관(51)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전작동관(52)은 처리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이 베어링(52b)이 구비되는 고정부(52a)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관(52)의 외면 중앙에는 응집제 투입부(54)를 통해 공급되는 응급제를 상기 수평 연결관(51)과 회전작동관(52)의 사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확산공(52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산공(52c)을 회전작동관(52)의 둘레를 따라 형성한 것은 상기 수평 연결관(51)과 회전작동관(52)의 사이에 응집제가 균일하게 공급되면서도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관(52)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교반날(57)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날(57)은 배경부(53b)의 반대 측에 위치한 회전작동관(52)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처리수에 혼합된 응집제를 교반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센서(53)는 수평 연결관(51)의 유입 부분(51a)에 장착되는 측정부(53a)와 상기 측정부(53a)와 대응하는 회전작동관(52)의 외면에 장착되는 백색의 배경부(53b)로 구성되어, 상기 측정부(53a)를 통해 측정된 이미지의 색상이 설정된 색상 이하이면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적은 것이고, 설정된 색상 이상이면 처리수에 이물질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간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작동관(52)과 연결되고 다수개의 확산공(52c)을 통해 응집제를 선택적으로 수평 연결관(51)에 공급하는 응집제 투입부(54)는 이미지센서(53)의 측정을 통한 측정값과 제어부(55)의 신호를 통해 회전작동관(52)에 응집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응집제 투입부(54)는 응집제 연결관(54a)을 통해 회전작동관(52)에 응집제를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탁도 정제조(50)는 도시된 도 4 및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4의 탁도 정제조(50)는 수평 연결관(51)의 유입부분에 처리수를 수평 연결관(51)과 회전작동관(52)의 사이로 안내하는 경사가이드(58)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탁도 정제조(50)는 처리수에 혼합된 이물질이 회전작동관(52)에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처리수의 흐름 속도를 높여 교반날(57)을 빠르게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수평 연결관(51)의 유입 부분(51a)에 경사가이드(58)을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가이드(58)는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을 통해 수평 연결관(51)과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의 탁도 정제조(50)는 수평 연결관(51)의 배출 부분(51b)에 회전작동관(52)을 통과한 처리수를 입구 부분(51a)에 재공급하는 리턴부(59)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탁도 정제조(50)는 수평 연결관(51)의 배출 부분(51b)에 이미지센서(53)를 더 장착하면서 상기 수평 연결관(51)의 유입 부분(51a)과 배출 부분(51b)을 리턴부(59)로 연결하여 상기 배출 부분(51b)에 배출되는 처리수의 탁도가 측정치보다 낮을 경우 리턴부(59)를 이용하여 유입 부분(51a)에 처리수를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탁도 정제조(50)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재를 제거하는 여과수단(60)은 압축된 공기와 오존을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61)와,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기(62)와, 염류제거공정인 RO(역삼투; Reverse Osmosis)(6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여과수단(60)은 탁도 정제조(50)를 거쳐 공급되는 처리수를 마이크로버블 발생기(61)와 여과기(62) 및 RO(63)를 거쳐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수가 저장되는 침사지(1)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공급받아 상기 처리수 내의 부유 고형물질을 침전시키게 1차 침전조(20)를 설치한 후 상기 1차 침전조(20)의 일 측으로 혐기조(31)와 무산소조(32) 및 호기조(33)로 구성되는 생물학 반응조(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생물학 반응조(30)의 일 측으로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격판(42)과 경사판(44)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2차 침전조(4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침전조(40)의 일 측으로 2차 침전조(40)의 배출관(46)과 연결되는 수평 연결관(51)과, 상기 수평 연결관(51)의 내부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은 베어링(52b)이 구비되는 고정부(52a)에 지지되며 외면 중앙에는 다수개의 확산공(52c)이 형성되는 회전작동관(52)과, 상기 수평 연결관(51)의 유입 부분(51a)에 장착되는 측정부(53a)와 상기 측정부(53a)와 대응하는 회전작동관(52)의 외면에 장착되는 배경부(53b)로 구성되고 처리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이미지센서(53)와, 상기 회전작동관(52)과 연결되고 다수개의 확산공(52c)을 통해 응집제를 선택적으로 수평 연결관(51)에 공급하는 응집제 투입부(54)와, 상기 이미지센서(53) 및 응집제 투입부(54)와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센서(53)의 측정에 따라 응집제 투입부(54)의 응집제를 수평 연결관(51)에 공급하는 제어부(55)로 이루어진 탁도 정제조(5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탁조 정제조(50)의 일 측으로 압축된 공기와 오존을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61)와,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기(62)와, 염류제거공정인 RO(역삼투; Reverse Osmosis)(63)으로 이루어진 여과수단(60)을 장착하면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10)의 조립 과정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 차 침전조(20)는 침사지(1)에서 처리수를 공급받아 하부로 부유 고형물질을 침전시킨 후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생물학 반응조(30)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생물학 반응조(30)는 1차 침전조(20)를 거쳐 공급되는 처리수를 혐기조(31)에서 인(P)을 방출하고, 무산소조(32)에서 질산염(NO3)을 탈질하며, 호기조(33)에서 유기물 산화, 질산화, 인(P) 축적하는 순서로 처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침전조(40)는 생물학 반응조(30)에서 공급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중앙에 형성된 격판(42)을 이용하여 하부로 침전을 유도하면서도 경사판(44)을 이용하여 중앙에 미생물이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탁도 정제조(50)는 제어부(55)의 설정에 따라 2차 침전조(40)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실시간 또는 일정간격으로 이미지센서(53)를 통해 측정한 후, 상기 이미지센서(53)를 통해 측정되는 탁도 측정치가 기대치 이하인 경우에는 응집제 투입부(54) 및 회전작동관(52)을 통해 응집제를 공급하여 탁도를 낮춘 다음, 여과수단(60)에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수단(60)은 탁도 정제조(50)를 거쳐 공급되는 처리수를 마이크로버블 발생기(61)와 여과기(62) 및 RO(63)를 거쳐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20 : 1차 침전조,
30 : 생물학 반응조, 40 : 2차 침전조,
50 : 탁도 정제조, 51 : 수평 연결관,
52 : 회전작동관, 53 : 이미지센서,
54 : 응집제 투입부, 55 : 제어부,
56 : 이물질 제거솔, 57 : 교반날,
58 : 경사가이드, 59 : 리턴부,
60 : 여과수단.

Claims (6)

  1. 삭제
  2. 하수를 유입시켜 침전시키는 1차 침전조; 상기 1차 침전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을 이용하여 질소(N), 인(P) 및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 반응조; 상기 생물학 반응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미생물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2차 침전조; 상기 2차 침전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탁도를 측정 및 정제시키는 탁도 정제조; 상기 탁도 정제조의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재를 제거하는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탁도 정제조는,
    상기 2차 침전조의 배출관과 연결되는 수평 연결관;
    상기 수평 연결관의 내부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은 베어링이 구비되는 고정부에 지지되며, 외면 중앙에는 다수개의 확산공이 형성되는 회전작동관;
    상기 수평 연결관의 유입 부분에 장착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와 대응하는 회전작동관의 외면에 장착되는 배경부로 구성되고 처리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회전작동관과 연결되고 다수개의 확산공을 통해 응집제를 선택적으로 수평 연결관에 공급하는 응집제 투입부;
    상기 이미지센서 및 응집제 투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측정에 따라 응집제 투입부의 응집제를 수평 연결관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관의 내면 하부에는 배경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제거솔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관의 배출 부분에 위치한 회전작동관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교반날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관의 유입부분에는 처리수를 수평 연결관과 회전작동관의 사이로 안내하는 경사가이드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관의 배출 부분에는 회전작동관을 통과한 처리수를 입구 부분에 재공급하는 리턴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KR1020150001783A 2015-01-07 2015-01-07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KR101620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783A KR101620533B1 (ko) 2015-01-07 2015-01-07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783A KR101620533B1 (ko) 2015-01-07 2015-01-07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533B1 true KR101620533B1 (ko) 2016-05-12

Family

ID=5602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783A KR101620533B1 (ko) 2015-01-07 2015-01-07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73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응집제 자동 조절 시스템
CN113371867A (zh) * 2021-05-12 2021-09-10 安徽泽升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废水处理方法及环保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485B1 (ko) * 2004-09-21 2006-10-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청천시 및 우천시 처리기능을 극대화한 전천후 하수 및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485B1 (ko) * 2004-09-21 2006-10-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청천시 및 우천시 처리기능을 극대화한 전천후 하수 및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73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응집제 자동 조절 시스템
CN113371867A (zh) * 2021-05-12 2021-09-10 安徽泽升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废水处理方法及环保处理装置
CN113371867B (zh) * 2021-05-12 2023-10-20 安徽泽升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废水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3992B2 (en) High-rate sedimentation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95188B1 (ko)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804555B1 (ko) 고농도 유기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방법.
RU2008115310A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JP2010260047A (ja) 凝集−傾斜板沈殿池による前処理を行った加圧式精密ろ過器と回収率を向上させるための空隙制御型繊維ろ過器とを用いた浄水処理装置及び方法
US20140097136A1 (en) Composite microorganism rea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KR101686484B1 (ko) 하수 처리방법
JP4997724B2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
KR101620533B1 (ko) 지능형 응집제 투입 및 탁도측정 정제장치
KR101430104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KR20110128641A (ko) 분리막침전조를 이용한 화학폐수 처리장치
KR101539727B1 (ko) 전기응집과 전자석을 이용한 총인 제거방법 및 장치
CN211170214U (zh) 一种工业废水一体化处理设备
KR101751250B1 (ko) 배오존을 이용한 부상분리와 무포기 오존 반응기를 이용한 수 처리장치
KR20150124970A (ko) 폐수 처리에서의 cod 전환 및 마이크로-체 분리
CN103619434A (zh) 液体处理体系
KR20160085429A (ko) 하수처리 시스템
KR20170142916A (ko)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CN206955866U (zh) 反渗透预处理系统
JP2001047089A (ja) 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2007319763A (ja) 汚濁水浄化装置
KR20100088283A (ko) 분리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30076549A (ko) 스트루바이트 침전을 이용한 영양염류 처리장치
CN109502905A (zh) 一种污水处理工艺
KR20150081920A (ko)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