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927B1 -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927B1
KR101025927B1 KR20100123341A KR20100123341A KR101025927B1 KR 101025927 B1 KR101025927 B1 KR 101025927B1 KR 20100123341 A KR20100123341 A KR 20100123341A KR 20100123341 A KR20100123341 A KR 20100123341A KR 101025927 B1 KR101025927 B1 KR 10102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reated water
reaction
wastewa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2010012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 등의 오염유체를 방류수 기준에 맞추어 정화하여 최종 처리된 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오염유체를 제공받아 오염유체 중에 포함된 고형물이나 협잡물을 침전시켜 분리하는 침전분리조; 상기 침전분리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처리수를 제공받으며, 유입되는 처리수가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반응셀을 거치도록 하여 처리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는 임시저장셀과, 상기 임시저장셀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처리수가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부착미생물 메디아를 거치도록 하여 처리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다층반응셀로 이루어진 고도처리조; 및 상기 고도처리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처리수 내의 오염물을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사여과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Wastewater disposal plant for wastewater}
본 발명은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 등의 오염유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분뇨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이하 "BOD"라 함.)이 수만ppm(예, 20000ppm)을 넘는다.
한편 오폐수의 처리방법으로는 진동스크린법, 가압부상법, 응집제처리법, 활성슬러지법, 회전원통법(RBC법), 접촉처리법(HBC법) 등과 같이 물리, 화학, 미생물학이 동원된 많은 폐수처리방법이 있긴 하지만, 축산분뇨와 같이 BOD가 높은 폐수는 처리가 곤란하여 방류수 수질에 미달된 상태로 하천에 방류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질 및 환경은 날로 악화되고 있다.
종래의 폐수처리방법 중 진동스크린법은 경사진 진동스크린 위로 폐수 및 폐기물을 낙하시켜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진동스크린 위에서 걸러지도록 하고, 폐수만 진동스크린 밑으로 빠져서 분리되도록 한 것으로, 진동스크린을 움직이기 위해 전력 낭비가 심하였으며, 비교적 큰 이물질만을 제거할 뿐 방류수 기준을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였다.
또 가압부상법은 반응조 밑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수중에 잔류하고 있는 이물질에 부상력을 가해 이물질이 수면위로 떠오르도록 한 다음 수면을 쓸어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으로, 수면위로 떠오를 정도의 가볍고 큰 입자형태의 이물질 제거에만 효과가 있을 뿐, 수중에 녹아 있는 유기물이나 매우 작은 입자형태로 된 이물질의 제거에는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수면 위의 이물질을 쓸어낼 때 기계적인 움직임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응집제처리법은 응집제와 같은 약품을 다량 투입하여 응집처리하는 방법으로서, 고가의 응집제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처리비용이 매우 비싸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처리과정에서 사용한 응집제가 독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곧바로 방류하지 못하고 후처리과정을 거쳐 무독성처리를 해야 하므로, 절차가 복잡하고 독성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못할 경우 이로 인해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활성슬러지법은 "폭기법"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수중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물속에 다량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서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대시켜 호기성미생물의 유기물분해 활동을 촉진하도록 한 것이었으나, 움직임이 정적이어서 정화효율이 낮고, 저농도의 폐수정화에 적합하기 때문에 축산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폐수 정화에는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또, 회전원통법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일부분이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된 드럼을 회전시켜 폐수의 공기 접촉시간 및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서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대시키도록 한 것으로, 저농도의 폐수정화에는 효과가 있으나 고농도의 축산폐수는 폐수중의 분뇨나 음식물 찌꺼기가 드럼에 끼거나 구멍을 메우게 되어 가동 중에 잦은 고장을 일으키므로, 축산폐수 정화에는 사용이 어렵다.
또한 접촉처리법은 실처럼 가느다란 여러 가닥의 미생물부착 섬유를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한 다음 방치하여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꾀한 것으로, 이 또한 축산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폐수정화시에는 분뇨나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미생물부착 섬유에 들러붙어서 미생물부착 섬유에 자생하는 미생물들을 사멸시키기 때문에 고농도의 폐수정화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 등의 오염유체를 방류수 기준에 맞추어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 등의 오염유체의 효과적인 정화를 통하여 정화된 물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는 오염유체를 제공받아 오염유체 중에 포함된 고형물이나 협잡물을 침전시켜 분리하는 침전분리조; 상기 침전분리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유량조정조; 수평방향으로 연접하게 배치되어 유량조정조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처리수를 순차적으로 유동시키는 다수개의 반응셀과, 상기 각각의 반응셀 내에 고정되게 설치된 망틀 내에 다수개의 부착미생물 메디아가 채워진 것으로 이루어진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과,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의 하측에서 부착미생물 메디아를 향해 상측으로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각각의 반응셀에 설치된 기포발생장치로 구성되어 유량조정조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처리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는 임시저장셀과, 상기 임시저장셀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처리수가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부착미생물 메디아를 거치도록 하여 처리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층반응셀로 이루어진 고도처리조; 및 상기 고도처리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처리수 내의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사여과조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는 외면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세로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상기 고도처리조의 다층반응셀은, 다층반응셀의 내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다층반응셀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메디아 지지망; 상기 각각의 메디아 지지망 상에 적재된 부착미생물 메디아; 상기 다층반응셀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장치로 구성된다.
삭제
한편 상기 사여과조는, 자갈로 이루어진 자갈층과, 모래와 안트라사이트로 이루어진 사여과층 및 왕겨로 이루어진 왕겨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염유체가 반응영역과 침전영역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반응셀로 이루어진 반응조를 거친 후, 다시 임시저장셀과 다층반응셀로 이루어진 고도처리조를 거치면서 오염유체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약품의 투입이나 큰 에너지의 소모없이 오폐수나 축산폐수 또는 분뇨 등의 다양한 오염유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처리되어 배출되는 물은 도로나 각종 시설물의 청소용 수, 화장실용 수, 정원용 수 등의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물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물의 처리에 소모되는 인력과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구조를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를 구성하는 반응셀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반응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미생물 메디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도처리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여과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는 침전분리조(110)와, 유량조정조(120)와, 반응조(130)와, 고도처리조(140)와, 사여과조(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침전분리조(110)는 오염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 또는 협잡물 등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침전분리조(110)는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침전셀(110a,110b)로 구성되어 오염유체가 2개의 침전셀(110a,110b)을 통해 순차적으로 침전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오염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이나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정조(120)는 침전분리조(11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침전분리조(110)의 인접한 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유량조정조(120)에 저장된 처리수는 펌프(121)에 의하여 반응조(130)로 공급되며, 이때 펌프(121)에 의해 반응조(130)로 공급되는 처리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유량조정조(120)를 포함한 정화장치 내의 수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량조정조(120)에는 다수개의 폭기용 노즐(122)이 구비되며, 이러한 폭기용 노즐(122)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유량조정조(120) 내 처리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더불어 이물질의 산화 및 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구조를 도면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를 구성하는 반응셀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반응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미생물 메디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반응조(130)는 다수개의 반응셀(130a,130b,130c)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반응셀(130a,130b,130c)은 연접하게 배치되어 처리수의 유입측에 배치된 반응셀(130a)을 거친 처리수가 나머지 반응셀(130b,130c)을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반응셀(130a,130b,130c)은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이 설치되는 반응영역(130-1)과, 반응영역(130-1)에서 처리된 처리수 중에 잔류한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영역(130-2)으로 구성되며, 반응영역(130-1)과 침전영역(130-2)은 처리수의 유동을 위한 다수개의 유동홀(1341)을 갖는 분할벽(13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반응영역(130-1)에는 유입되는 처리수를 반응영역(130-1)의 바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133)과, 반응영역(130-1)으로 유입되는 처리수를 호기성 미생물로 분해처리하기 위한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과,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에 의한 처리효율을 높이고 안내판(133)에 의해 반응영역(130-1)의 바닥으로 하강하는 처리수를 다시 상향 유동시켜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로 유동시키는 기포발생장치(1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은 각각의 반응영역(130-1) 내에 고정되게 설치된 망틀(1311)과, 상기 망틀(1311) 내에 채워진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는 외면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세로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1313)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에 의하면, 망틀(1311) 내에 불규칙한 구조로 채워진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의 사이사이에 요홈(1313)에 의해 통로가 형성되어 처리수의 원활한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요홈(1313)에 의해 형성되는 불규칙한 통로를 따라 처리수가 유동하는 관계로 보다 긴 시간동안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와 처리수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보다 많은 미생물의 부착이 가능하게 되고,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와 처리수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포발생장치(132)는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각각의 반응영역(130-1) 내에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기포발생장치(132)로부터 발생되는 기포에 의하여 처리수는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을 향하여 유동하게 된다.
상기 침전영역(130-2)에는 쇄석이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망(135)이 설치되고, 상기 스테인레스망(135)의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유입홀(1361)을 측면에 구비하여 침전영역(130-2) 내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36)이 구비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도처리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도처리조(140)는 반응조(13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으며, 임시저장셀(140a)과 다층반응셀(140b)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임시저장셀(140a)은 반응조(13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다층반응셀(140b)로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임시 저장된 처리 중의 침전물을 유량조정조(120)로 순환시키기 위한 에어리프트 펌프(141)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다층반응셀(140b)은 임시저장셀(140a)과 연접하게 배치되고 하단부가 임시저장셀(140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임시저장셀(140a)로부터 처리수를 공급받게 되며, 다층반응셀(140b)의 내부에는 다층반응셀(140b)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연접한 다수개의 반응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메디아 지지망(142)이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설치된 각각의 메디아 지지망(142) 상에는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가 적재되어 상향류를 형성하며 유동하는 처리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다층반응셀(140b)의 하단부에는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에 의한 처리효율을 높이고 처리수를 상향 유동키기 위한 기포발생장치(1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메디아 지지망(142)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반응공간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층반응셀(140b) 내에는 다수개의 메디아 지지망(142)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공기분사관(144)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관(144)의 측면에는 각각의 반응공간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사홀(14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는 앞서 설명된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와 마찬가지로 외면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세로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1313)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여과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사여과조(150)는 고도처리조(14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처리수 내의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자갈층(151)과 사여과층(152) 및 왕겨층(15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사여과층(152)은 모래와 안트라사이트를 여재로 사용하고, 상기 자갈층(151)은 자갈을 여재로 사용하며, 상기 왕겨층(153)은 왕겨를 여재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왕겨는 우수한 흡착성을 구비함으로써, 고도처리조(14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 중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왕겨는 물속에서 부유하게 되므로 왕겨층(153)이 사여과조(150) 내에서 고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망 속에 왕겨를 채워 넣는 방식으로 왕겨층(153)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정화장치에 의한 오염유체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침전분리조(110)로 오염유체가 유입되고, 오염유체 중의 고형물이나 협잡물은 침전분리조(110)의 바닥으로 침강한다.
상기 침전분리조(11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량조정조(120)로 유입되어 저장되며, 유량조정조(120)에 저장된 처리수는 펌프(121)에 의해 반응조(130)로 공급된다.
상기 반응조(130)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안내판(133)을 따라 반응셀(130a)의 바닥으로 유동하게 되고, 반응셀(130a)의 바닥으로 유동하는 처리수는 기포발생장치(132)로부터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로 유입되어진다.
이처럼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처리되며, 이러한 처리과정에서 처리수가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의 표면에 형성된 요홈(1313)을 통해 유동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반응조(130)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각각의 반응셀(130a,130b,130c)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며, 말단에 위치한 반응셀(130c)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고도처리조(140)로 공급된다.
상기 고도처리조(140)로 공급되는 처리수는 임시저장셀(140a)로 유입되며, 임시저장셀(140a)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임시저장셀(140a)과 다층반응셀(140b)의 하단부에 유체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다층반응셀(140b)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다층반응셀(140b)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기포발생장치(143)에 의하여 부상하여 다층구조로 배치된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를 순차적으로 거침으로써 처리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고도처리조(14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는 사여과조(150)로 공급된다.
상기 사여과조(150)로 공급되는 처리수는 사여과조(150)의 바닥으로부터 상향류를 형성하며 유동하게 되므로, 자갈층(151)과 사여과층(152) 및 왕겨층(153)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과정에서 처리수 중에 잔류한 이물질을 완전하게 여과시키게 되며, 최종 처리되어 정화된 물은 청소용 수, 화장실용 수, 정원용 수 등을 재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침전분리조 (120) : 유량조정조
(130) : 반응조
(130a),(130b),(130c) : 반응셀
(131) :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
(1311) : 망틀 (1312) : 부착미생물 메디아
(132) : 기포발생장치 (1313) : 요홈
(140) : 고도처리조 (140a) : 임시저장셀
(140b) : 다층반응셀 (142) : 메디아 지지망
(143) : 기포발생장치 (150) : 사여과조
(151) : 자갈층 (152) : 사여과층
(153) : 왕겨층

Claims (5)

  1. 오염유체를 제공받아 오염유체 중에 포함된 고형물이나 협잡물을 침전시켜 분리하는 침전분리조(110);
    상기 침전분리조(11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유량조정조(120);
    수평방향으로 연접하게 배치되어 유량조정조(120)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처리수를 순차적으로 유동시키는 다수개의 반응셀(130a,130b,130c)과, 상기 각각의 반응셀(130a,130b,130c) 내에 고정되게 설치된 망틀(1311) 내에 다수개의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가 채워진 것으로 이루어진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과,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 모듈(131)의 하측에서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를 향해 상측으로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각각의 반응셀(130a,130b,130c)에 설치된 기포발생장치(132)로 구성되어 유량조정조(120)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처리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조(130);
    상기 반응조(13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는 임시저장셀(140a)과, 상기 임시저장셀(140a)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처리수가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를 거치도록 하여 처리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층반응셀(140b)로 이루어진 고도처리조(140); 및
    상기 고도처리조(14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제공받아 처리수 내의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사여과조(150)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는 외면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세로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13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처리조(140)의 다층반응셀(140b)은, 다층반응셀(140b)의 내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다층반응셀(140b)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메디아 지지망(142);
    상기 각각의 메디아 지지망(142) 상에 적재된 부착미생물 메디아(1312);
    상기 다층반응셀(140b)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장치(1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여과조(150)는,
    자갈로 이루어진 자갈층(151)과, 모래와 안트라사이트로 이루어진 사여과층(152) 및 왕겨로 이루어진 왕겨층(1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KR20100123341A 2010-12-06 2010-12-06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KR10102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3341A KR101025927B1 (ko) 2010-12-06 2010-12-06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3341A KR101025927B1 (ko) 2010-12-06 2010-12-06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927B1 true KR101025927B1 (ko) 2011-03-30

Family

ID=4393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3341A KR101025927B1 (ko) 2010-12-06 2010-12-06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9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372B1 (ko) * 2014-10-08 2015-10-08 주식회사 에코스타 상향류 다단계 고속여과장치
KR20170028077A (ko) 2015-09-03 2017-03-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토양피복형 분뇨정화장치 및 방법
KR102213273B1 (ko) 2020-07-14 2021-02-05 국진산업개발(주) 오폐수 및 해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KR20230099115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동성하이텍 화장실용 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280A (ko) * 2003-05-03 2004-04-01 김진석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KR100550662B1 (ko) 2001-10-09 2006-02-10 주식회사 현진기업 중수도 및 간이상수도 정수장치
KR100927161B1 (ko) * 2009-06-25 2009-11-18 지유 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전기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662B1 (ko) 2001-10-09 2006-02-10 주식회사 현진기업 중수도 및 간이상수도 정수장치
KR20040027280A (ko) * 2003-05-03 2004-04-01 김진석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KR100927161B1 (ko) * 2009-06-25 2009-11-18 지유 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전기발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372B1 (ko) * 2014-10-08 2015-10-08 주식회사 에코스타 상향류 다단계 고속여과장치
KR20170028077A (ko) 2015-09-03 2017-03-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토양피복형 분뇨정화장치 및 방법
KR102213273B1 (ko) 2020-07-14 2021-02-05 국진산업개발(주) 오폐수 및 해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KR20230099115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동성하이텍 화장실용 정화장치
KR102614611B1 (ko) * 2021-12-27 2023-12-15 주식회사 동성하이텍 화장실용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membrane filters
KR101025927B1 (ko)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KR100989414B1 (ko) 정화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20140114586A (ko) 고농도 오·폐수 처리용 처리조 및 이를 이용한 처리 시스템
KR20130019164A (ko)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KR100992827B1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US78200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organically contaminated waste water
KR101541070B1 (ko) 고도처리장치
CN109851180A (zh) 一种生活污水双效物化处理成套设备及工艺
KR101069773B1 (ko) 분리막 생물 반응조,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CN1931750B (zh) 石油化工污水回用处理工艺
KR100292225B1 (ko)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102457108B1 (ko) 미세 부유물질의 부상 분리 및 여과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처리시설의 여과장치
JP4136877B2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KR101307926B1 (ko) 오폐수처리 시스템
KR100767717B1 (ko) 생물막 압밀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류수 재이용시스템
KR101671199B1 (ko)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101204395B1 (ko) 하.폐수의 처리장치
JP5270247B2 (ja) 食品加工工場排水処理設備
KR100414688B1 (ko) 침전 및 생물막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181800B1 (ko) 하.폐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20150081920A (ko)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