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964B1 -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 Google Patents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964B1
KR102202964B1 KR1020190108407A KR20190108407A KR102202964B1 KR 102202964 B1 KR102202964 B1 KR 102202964B1 KR 1020190108407 A KR1020190108407 A KR 1020190108407A KR 20190108407 A KR20190108407 A KR 20190108407A KR 102202964 B1 KR102202964 B1 KR 102202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band
user
microphone
uni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범석
반성훈
Original Assignee
(주)비에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스소프트 filed Critical (주)비에스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0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4Throat mounting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3Reduction of intrinsic noise in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착용공간이 마련된 환형의 넥밴드 본체와, 외부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이크 유닛과, 상기 마이크 유닛에서 수신된 음향 중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제외한 잡음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는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여 사용하므로 게임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터모듈 및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수신된 음향 중 사용자의 목소리를 보다 명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Neckband type microphone device for game}
본 발명은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용으로 사용되는 마이크 이어폰은 귀에 끼우거나 밀착할 수 있게 된,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해주는 소형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이크 이어폰은 스피커와 마이크, 고무로 된 이어팁, 스피커 단자와 마이크 단자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마이크 이어폰은 스피커 귀에 부착해서 마이크, 스피커단자를 다른 전자기기에 끼운 후 전기신호와 음향신호를 서로 변환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 이어폰은 귀에 끼워서 사용하므로 게임을 하는 동안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사용자의 목소리 외에, 키보드나 마우스의 조작 소리 등과 같은 잡음이 수집되어 사용자의 목소리를 명확하게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6215호: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넥밴드 형태로 형성되며, 수신된 음향 중 잡음을 필터링할 수 있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착용공간이 마련된 환형의 넥밴드 본체와, 외부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이크 유닛과, 상기 마이크 유닛에서 수신된 음향 중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제외한 잡음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마이크 유닛은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넥밴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들의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넥백드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 주위로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는 빔포밍 설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링 모듈은 상기 마이크 유닛에서 수신된 음향에 비-음수 행렬 인수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NMF)를 적용하여 잡음을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 유닛의 수신 감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스위치와, 상기 입력 스위치에서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마이크 유닛의 수신 감도를 조절하는 감도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는 지향성 마이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넥밴드 본체의 단부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마이크의 위치가 변경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구즈넥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넥밴드 본체는 단부에 상기 지지부재 및 마이크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는 상기 수납슬롯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슬롯에 수납된 상기 마이크를 살균하는 살균유닛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는 상기 넥밴드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가슴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하방으로 만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재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는 상기 넥밴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넥밴드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헤드 감지부와, 상기 헤드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기준으로 머리부분의 회전각도가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가 잡답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마이크 유닛에서의 음향 수신을 차단하는 마이크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감지부는 외주면이 상기 사용자의 뒷목부분 또는 머리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각도측정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헤드 감지부는 상기 넥밴드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과 함께 상기 회전로드가 회전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뒷목부분 또는 머리부분에 지지되는 신체지지패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각도측정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는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여 사용하므로 게임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터모듈 및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수신된 음향 중 사용자의 목소리를 보다 명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1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넥밴드 본체(110)와, 외부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110)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이크 유닛(120)과, 상기 마이크 유닛(120)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감도조절부(130)와, 상기 마이크 유닛(120)에서 수신된 음향 중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제외한 잡음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모듈(140)을 구비한다.
상기 넥밴드 본체(11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전방부가 개구된 착용공간(111)이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넥밴드 본체(110)는 양단부 상면에 각각, 마이크 유닛(12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슬롯(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슬롯(112)은 넥밴드 본체(110)의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며, 넥밴드 본체(110)의 양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사용자가 마이크(121)를 미사용시에는 마이크 유닛(120)을 상기 수납슬롯(112)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유닛(120)은 지지부재(123)에 의해 상기 넥밴드 본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마이크(121)와, 상기 마이크(121)들의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넥백드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 주위로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는 빔포밍 설정부(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23)는 상기 넥밴드 본체(110)의 단부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블럭(124)과, 상기 지지블럭(124)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마이크(121)가 설치된 구즈넥 부재(12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블럭(124)은 일단부가 넥밴드 본체(11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납슬롯(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구조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럭(124)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즈넥 부재(125)는 일단부가 지지블럭(124)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지지블럭(12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구즈넥 부재(125)는 상기 지지블럭(124)과 함께 수납슬롯(112)에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즈넥 부재(125)는 타단부에 상기 마이크(121)가 설치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마이크(12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여 구부릴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조작을 완료시 마이크(121)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123)는 복수개가 넥밴드 본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마이크(121)는 각 지지부재(123)의 구즈넥 부재(125) 타단부에 고정되며, 넥밴드 본체(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부분을 향하도록 지지부재(123)에 세팅된다. 여기서, 마이크(121)는 사용자의 음성을 보다 명확하게 수신하기 위해 지향성 마이크(121)가 적용된다. 한편, 마이크(121)는 구즈넥 부재(125)의 단부에 설치된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구즈넥 부재(125)의 후방측 외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마이크(121)가 마련된 구조가 게시되어 있으나, 마이크 유닛(12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마이크(121)를 구비할 수도 있다.
빔포밍 설정부(122)는 마이크(121)들의 빔포밍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121)들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빔포밍 설정부(122)는 빔포밍(Beamforming) 기법을 이용하여 마이크(121)들의 수신 범위를 제한한다. 여기서, 빔포밍 기법은 송신기기나 수신기기의 배열을 이용하여 방사 패턴의 방향이나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신호 처리 기법이다.
이때, 빔포밍 설정부(122)는 주위 잡음을 제외한 사용자의 음성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넥백드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 주위로 빔포밍 방향을 설정한다. 즉, 빔포밍 설정부(122)는 마이크(121)들 사이의 공간에 마이크(121)의 수신범위가 위치되도록 마이크(121)들의 빔포밍 방향을 설정한다.
감도조절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 유닛(120)의 수신 감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스위치(131)와, 상기 입력 스위치(131)에서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마이크 유닛(120)의 수신 감도를 조절하는 감도 제어부(132)를 구비한다.
입력 스위치(131)는 넥밴드 본체(110)에 연결되며, 마이크 유닛(120)의 수신 감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입력 스위치(131)를 통해 마이크 유닛(120)의 음향 수신 감도를 강,중,약 중 어느 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스위치(13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유닛(120)의 수신 감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이 아니라 다이얼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스위치(131)는 PC와 같은 게임 기기의 입력수단인 키보드 또는 마우스가 세팅된 테이블 위에 세팅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편하게 형성되며, 넥밴드 본체(110)와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충분한 길이로 마련되어 넥밴드 본체(1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도 제어부(132)는 입력 스위치(131) 내부에 설치되며, 입력 스위치(131)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마이크(121)의 음향 수신 감도를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감도 제어부(132)는 상호 저항값이 상이한 복수의 감도 조절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입력 스위치(131)에서 입력된 모드에 따라 감도 조절 회로기판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마이크(121)의 수신 감도를 조절한다. 한편, 감도 제어부(13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 스위치(131)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마이크(121)의 음향 수신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감도조절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필터링 모듈(140)은 상기 마이크 유닛(120)에서 수신된 음향 중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제외한 잡음을 필터링한다. 여기서, 잡음에는 사용자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PC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음향, 사용자 주변의 노이즈가 포함된다. 필터링 모듈(140)은 기입력된 잡음에 대한 다수의 샘플을 기계학습하여 잡음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 알고리즘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 모듈(140)은 상기 마이크 유닛(120)에서 수신된 음향에 비-음수 행렬 인수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NMF)를 적용하여 잡음을 필터링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100)는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여 사용하므로 게임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터모듈 및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수신된 음향 중 사용자의 목소리를 보다 명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200)는 상기 수납슬롯(11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슬롯(112)에 수납된 상기 마이크(121)를 살균하는 살균유닛(2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살균유닛(210)은 수납슬롯(112)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슬롯(112)에 수납된 마이크(121)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자외선 램프(211)을 구비한다. 자외선 램프(211)들은 수납슬롯(112)의 내벽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수납슬롯(112) 내부로 자외선 광을 조사한다. 이때, 넥밴드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211)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살균유닛(21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납슬롯(112)으로의 마이크(121) 수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넥밴드 본체(110)에 설치된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납슬롯(112)으로 마이크(121)가 인입될 경우, 상기 자외선 램프(211)를 작동시키는 살균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공간 내로 인입하는 대상물을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싱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살균유닛(210)은 수납공간으로 인입된 마이크(121)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위생적으로 마이크(121)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300)는 상기 넥밴드 본체(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가슴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연장부재(30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재(301)는 넥밴드 본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연장되되, 하방으로 만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된다. 여기서, 연장부재(301)는 단부가 사용자의 가슴부분에 지지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연장부재(301)의 단부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에 점착될 수 있도록 점착패드 또는 벨크로 테이프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301)가 사용자의 가슴부분을 지지하므로 넥밴드 본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회동된 지지부재(123) 및 마이크(121)의 중량에 의해 넥밴드 본체(110)가 전방으로 기울여지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마이크(121)가 세팅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400)는 상기 넥밴드 본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넥밴드 본체(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헤드 감지부(410)와, 상기 헤드 감지부(41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기준으로 머리부분의 회전각도가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가 잡답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마이크 유닛(120)에서의 음향 수신을 차단하는 마이크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헤드 감지부(410)는 외주면이 상기 사용자의 뒷목부분 또는 머리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1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411)와, 상기 회전부재(411)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각도측정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재(411)는 전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넥밴드 본체(110)의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411)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회전부재(411)는 넥밴드 본체(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목 뒷부분 또는 머리의 뒷부분이 접촉되어 사용자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된다.
각도측정모듈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부재(411)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부재(411)의 회전각도를 측정한다. 상기 회전부재(411)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므로 측정된 회전부재(411)의 회전각도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각도로 판단하여 마이크 제어부에 전달한다. 여기서, 각도측정모듈은 회전하는 부재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마이크 제어부는 헤드 감지부(41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기준으로 머리부분의 회전각도가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가 잡답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마이크 유닛(120)에서의 음향 수신을 차단한다. 사용자는 게임 중에, 옆사람이나 주위의 사람에게 게임과 관련이 없는 내용의 잡담을 할 경우, 고개를 비교적 크게 돌려 이야기하는데, 마이크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잡담 내용이 마이크 유닛(120)에 의해 수신되지 않도록 마이크 유닛(120)을 off시킨다. 따라서, 상기 헤드 감지부(410) 및 마이크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는 마이크 유닛(120)을 조작하지 않고, 보다 자유롭게 잡담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 감지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 감지부(420)는 상기 넥밴드 본체(1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421)와, 상기 회전로드(421)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과 함께 상기 회전로드(421)가 회전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뒷목부분 또는 머리부분에 지지되는 신체지지패드(422)와, 상기 회전로드(421)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각도측정모듈을 구비한다.
회전로드(42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가 넥밴드 본체(110)의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로드(421)는 상하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넥밴드 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지지패드(422)는 회전로드(421)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목 뒷부분 또는 머리 뒤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신체지지패드(422)는 후방으로 오목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측정모듈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로드(4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로드(421)의 회전각도를 측정한다. 상기 회전로드(421)는 신체지지패드(422)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므로 측정된 회전로드(421)의 회전각도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각도로 판단하여 마이크 제어부에 전달한다. 여기서, 각도측정모듈은 회전하는 부재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110: 넥밴드 본체
111: 착용공간
112: 수납슬롯
120: 마이크 유닛
121: 마이크
122: 빔포밍 설정부
123: 지지부재
124: 지지블럭
125: 구즈넥 부재
130: 감도조절부
131: 입력 스위치
132: 감도 제어부
140: 필터링 모듈

Claims (12)

  1.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착용공간이 마련된 환형의 넥밴드 본체;
    외부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이크 유닛; 및
    상기 마이크 유닛에서 수신된 음향 중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제외한 잡음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모듈;을 구비하는,
    상기 필터링 모듈은 잡음을 필터링하기 위해 기입력된 잡음에 대한 다수의 샘플을 기계학습하여 구축된 비-음수 행렬 인수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NMF)에, 상기 마이크 유닛에서 수신된 음향을 적용하여 잡음을 필터링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닛은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넥밴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들의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넥밴드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 주위로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는 빔포밍 설정부;를 구비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 유닛의 수신 감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스위치에서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마이크 유닛의 수신 감도를 조절하는 감도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지향성 마이크인,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넥밴드 본체의 단부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지지블럭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마이크의 위치가 변경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구즈넥 부재;를 구비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본체는 단부에 상기 지지부재 및 마이크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슬롯이 형성된,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슬롯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슬롯에 수납된 상기 마이크를 살균하는 살균유닛;을 더 구비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가슴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하방으로 만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재;를 더 구비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넥밴드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헤드 감지부; 및
    상기 헤드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기준으로 머리부분의 회전각도가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가 잡답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마이크 유닛에서의 음향 수신을 차단하는 마이크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감지부는
    외주면이 상기 사용자의 뒷목부분 또는 머리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넥밴드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각도측정모듈;을 구비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감지부는
    상기 넥밴드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과 함께 상기 회전로드가 회전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뒷목부분 또는 머리부분에 지지되는 신체지지패드; 및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각도측정모듈;을 구비하는,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KR1020190108407A 2019-09-02 2019-09-02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KR102202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07A KR102202964B1 (ko) 2019-09-02 2019-09-02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07A KR102202964B1 (ko) 2019-09-02 2019-09-02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964B1 true KR102202964B1 (ko) 2021-01-14

Family

ID=7414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07A KR102202964B1 (ko) 2019-09-02 2019-09-02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024B1 (ko) * 2021-04-27 2021-07-27 (주)아이엠피 넥 밴드형 마이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91U (ko) * 1999-03-24 2000-10-25 문광수 마이크 입력신호 레벨 조정이 가능한 마이크 부착 헤드폰
KR20080011985A (ko) * 2006-08-02 2008-02-11 정기삼 골전도 스피커 및 넥마이크를 구비한 다기능 헤드셋
KR101753726B1 (ko) * 2016-03-02 2017-07-04 (주) 로임시스템 넥밴드형 무선 마이크
KR20190047766A (ko) * 2017-10-29 2019-05-09 주명준 솔더 넥밴드 헤드셋
KR20190056215A (ko) 2017-11-16 2019-05-24 차규흔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91U (ko) * 1999-03-24 2000-10-25 문광수 마이크 입력신호 레벨 조정이 가능한 마이크 부착 헤드폰
KR20080011985A (ko) * 2006-08-02 2008-02-11 정기삼 골전도 스피커 및 넥마이크를 구비한 다기능 헤드셋
KR101753726B1 (ko) * 2016-03-02 2017-07-04 (주) 로임시스템 넥밴드형 무선 마이크
KR20190047766A (ko) * 2017-10-29 2019-05-09 주명준 솔더 넥밴드 헤드셋
KR20190056215A (ko) 2017-11-16 2019-05-24 차규흔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024B1 (ko) * 2021-04-27 2021-07-27 (주)아이엠피 넥 밴드형 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21557A1 (en) Multifunctional earphone system for sports activities
US20240121548A1 (en) Stand-alone multifunctional earphone for sports activities
US20200267487A1 (en) Dynamic spatial auditory cues for assisting exercise routines
JP5007842B2 (ja) 管楽器
US9918157B2 (en) Headphone type acou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901716A1 (en) Method for adjusting parameters of a hearing aid functionality provided in a consumer electronics device
US20070036363A1 (en) Electric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202964B1 (ko) 게임용 넥밴드형 마이크 기기
JP2019201946A (ja) 睡眠状態測定装置
US10057683B2 (en) System for fitting audio signals for in-use ear
US202300516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with ear-worn devices
JP2014117572A (ja) 生体音収集装置
CN208017485U (zh) 生理信号量测装置
JP4665174B2 (ja) 演奏装置
JP2008168051A (ja) 心拍計
CN220915385U (zh) 麦克风调向装置及系统
KR20170082101A (ko) 휴대용 음향기기
JP2009153824A (ja) 生体センサ
JP2006109311A (ja) 耳装着型電子機器
WO2013141209A1 (ja) 成分測定装置及び医療機器
JP2016127473A (ja) ヘッドホン
JP2005316417A (ja) 管楽器
TWM344138U (en) Behind-the-ear low frequency wireless heartbeat detector
CN219018971U (zh) 无线麦克风及电子交互装置
KR102571607B1 (ko) 생체 정보 측정 기능이 포함된 무선 이어버드 충전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