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665B1 -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665B1
KR102202665B1 KR1020200031590A KR20200031590A KR102202665B1 KR 102202665 B1 KR102202665 B1 KR 102202665B1 KR 1020200031590 A KR1020200031590 A KR 1020200031590A KR 20200031590 A KR20200031590 A KR 20200031590A KR 102202665 B1 KR102202665 B1 KR 102202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information
crosswalk
pedestrian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욱
한상웅
김시경
Original Assignee
한성정보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정보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정보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보행 신호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동작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GUIDE SERVICE USING SONIC COMMUNICATION TO SUPPORT PEDESTRIAN WALKING ON A CROSSWALK}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횡단 보도는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안전 표지로 표시한 도로의 부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횡단 보도의 주변에는 보행자의 통행을 제어하기 위한 보행자 신호등과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기 위한 교통 신호등이 구비되어 있다.
대부분의 보행자 및 차량들은 보행자 신호등과 교통 신호등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지만, 무시하는 일부 보행자나 부주의하게 운전하는 차량 등으로 인해 횡단 보도 주변에서 보행자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보행자 사고에 있어 무단 횡단과 같은 잘못된 보행 문화와 안전 불감증에 의한 보행 심리에 기인한 사고의 비중은 무시 못할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중앙선에 펜스나 탄력봉을 설치하는 등의 시설 설비를 하거나 보행자가 무단 횡단 시에만 위험성을 알리는 장치를 설치하거나 기존의 횡단 보도의 주변에 신호등과 연동하는 별도의 차단기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오히려 통행에 방해 요소가 될 뿐 아니라 통상적인 도로의 사정이나 설치 비용을 고려하면 비효율적이고 현실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해결 방안들은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건너는 도중이 아닌 횡단 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 중일 때, 일어나는 사고는 예방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또한, 횡단 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 중일 때 음성 안내 장치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경우에도, 보행자들이 음성 안내 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 조작(예: 버튼 입력)을 해야만 음성 안내가 출력되기 때문에, 보행자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횡단 보도는 대부분의 경우 모퉁이나 커브길에 위치해 있어, 보행자 보도블록은 횡단 보도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보행자는 보행자 안전선 영역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그보다 더 앞서 횡단 보도와 가까운 영역에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운전자가 부주의하게 도로의 모퉁이나 커브길을 따라 회전할 때, 대기 중이던 보행자와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횡단 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뿐 아니라 횡단 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보행자에게 보행자 안전선 영역을 인지하여 횡단 보도 이용 시에 보행자 안전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25273호(1996.07.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파신호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에 인접한 보행자들에게 보행 신호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보행자들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횡단 보도에 인접한 보행자들 각각에 대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보행 신호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동작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 위치 정보 및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음파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보행자에 대한 맞춤형(Customized) 보행자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와 인접한 인도의 일부 영역에 기 설정된 안전 기준선과 상기 보행자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에 대한 안전 위험 등급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안전 위험 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기준선은 3D 레이저 센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 안내 정보를 진동 신호 형태로 출력하거나,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의 안내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안전 위험 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제어명령을 상기 보행자의 단말 및 상기 횡단 보도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보행자 안내 정보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신호 정보 및 복수의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보행자와 관련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행동패턴에 기초하여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기 생성된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보행자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성별 및 나이와 상기 보행자가 상기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제1 장소에 위치하는 복수의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횡단 보도에 구비된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소에 위치하는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제1 장소에 위치하는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소에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보행자의 단말로 상기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가 상기 횡단 보도에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가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행자의 단말의 사용을 중지할 것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상기 보행자의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를 상기 동작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보행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 가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 상기 보행 가능 신호의 보행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에 진입하는 보행자에 대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보행자에게 다음 보행 가능 신호에 보행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와 상기 다음 보행 가능 신호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 보도에 인접한 보행자들이 별도의 동작(예: 음성 안내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는 동작)하지 않더라도 음파신호를 이용하여 보행자들에게 보행 신호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들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횡단 보도에 인접한 보행자들 각각에 대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행자의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외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보행자들에게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얻은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저장된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보행 신호 정보로부터 보행자에 적합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서비스는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예: 보행 가능 신호 또는 보행 불가능 신호)를 안내하거나, 보행 신호 등과 같은 횡단 보도의 상황에 따라 보행자의 행동, 동작은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후술되는 사용자 단말(200)로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얻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사용자 단말(200) 자체적으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 사용자 단말(200) 내에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로 설치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및 데스크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얻은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자체적으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음성 출력 모듈(예: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피커를 이용하여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함으로써 생성된 음성 형태의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진동 출력 모듈(예: 진동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진동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함으로써 생성된 진동 형태의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는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어, 보행자 신호등(1)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파 신호(예: 보행 가능 신호(녹색)를 알리는 음파 신호, 보행 불가능 신호(적색)를 알리는 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음파 신호로부터 보행 신호 정보를 얻고, 횡단 보도(3)와 인접한 위치에 접근하는 보행자(2)들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얻은 보행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한 상태에서 횡단 보도(3)와 인접한 위치에 접근한 경우, 음파 신호로부터 얻은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가 녹색인지 또는 적색인지를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가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가 구동된 사용자 단말(20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가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구동된 경우, 보행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얻은 보행자 신호등(1)의 음파 신호로부터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는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어, 횡단 보도와 연결된 인도 상에 설정된 안전 기준선(4)과 보행자(2)간의 거리(D)에 기초하여, 보행자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는 안전 기준선(4)과 보행자(2)간의 거리(D)에 기초하여 보행자 안내 정보를 음성, 텍스트 및 진동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단말(200) 및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중 어느 하나에서 구동되며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소프트웨어 및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구동되며, 제2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프트웨어는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에 따라 보행 신호 안내 및 신호에 따른 간략한 동작 안내(예: "녹색 신호입니다. 건너가도 좋습니다."와 같은 음성 안내)하는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등 비교적 적은 연산량을 사용하여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200)에서 자체적으로 구동되어 보행자에게 보다 빠르게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소프트웨어는 보행 신호 정보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맞춤형(customized)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등 비교적 많은 연산량을 사용하여 보다 자세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보행자 안내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예: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2 음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구동되어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2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제2 음파 신호로부터 보행자 위치 정보 및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를 얻고, 이를 분석하여 보행자(2)에 대한 맞춤형(Customized)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행자의 위치 정보 및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 신호에 따른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한 행동 패턴에 따라 보행자 각각에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행자 각각에 대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장소에 대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예: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행동 패턴 분석 결과 정보, 특정 장소에서의 보행자의 행동 패턴 분석 결과 정보 및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가 외부 서버(300)에 저장되는 형태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 내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장치(미도시)에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서 생성된 각종 정보가 외부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가 구동 가능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스토리지(미도시), 버스(bus)(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가 구동 가능한 장치 중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가 구동 가능한 어떠한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든 적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도 4 내지 6과 관련하여 설명될 방법(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제1 음파 신호로부터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보행 신호 정보를 얻는 단계 및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동작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컴퓨팅 장치(100)가 수행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예: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한 주체가 사용자 단말(200)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인접한(예: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구동한 주체가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수신한 음파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보행자 신호등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 상시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 및 보행자 신호등 또는 횡단 보도와 인접한 영역(예: 보행자 신호등 또는 횡단 보도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에 보행자가 진입하는 경우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의 출력 방식에 따라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12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110 단계에서 수신한 음파 신호로부터 보행 신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보행 가능 신호(녹색 신호) 또는 보행 불가능 신호(적색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행 신호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보행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보행 신호 정보에 포함된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 가능 신호인지 또는 보행 불가능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동작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S120 단계에서 얻은 보행 신호 정보가 보행 가능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가 보행 가능 신호이며, 이에 따라 횡단 보도를 통행해도 좋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 신호 정보가 보행 불가능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가 보행 불가능 신호이며, 이에 따라 횡단 보도를 통행하지 말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와 인접한 인도의 일부 영역에 기 설정된 안전 기준선과 보행자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보행자에 대한 안전 위험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 보도와 연결된 인도 상에 설정된 안전 기준선(예: 도 2의 4)과 보행자 간의 거리(D)가 제1 거리인 경우 보행자의 안전 위험 등급을 위험 등급으로 결정하고, 안전 기준선과 보행자 간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인 경우 보행자의 안전 위험 등급을 경고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안전 기준선과 보행자 간의 거리가 제2 거리보다 큰 제3 거리인 경우 보행자의 안전 위험 등급을 안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3D 레이저 센서로부터 생성된 안전 기준선의 위치 좌표와 보행자의 단말(예: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보행자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안전 기준선과 보행자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각각에 설정된 안전 위험 등급에 기초하여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의 안전 위험 등급이 위험 등급인 경우 음성, 텍스트 및 진동 형태의 보행자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결정할 수 있고, 보행자의 안전 위험 등급을 경고 등급인 경우 음성 및 텍스트 형태의 보행자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결정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안전 위험 등급을 안전 등급인 경우 음성 형태의 보행자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진동 신호 형태로 출력하거나,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의 안내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결정하고, 설정된 안전 위험 등급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어명령을 보행자의 단말 및 횡단 보도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보행자 안내 정보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에 대한 신상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음성 및 진동 형태로 보행자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보행자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인 경우, 안내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 중 제1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보행자 안내 정보에 대한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 제2 음파 신호를 출력하여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2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제2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제1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보행자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있는 보행자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및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보행자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 소프트웨어를 구동함으로써 제1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제1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예: 도 4의 S110 단계).
S2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1 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보행 신호 정보를 얻을 수 있다(예: 도 4의 S120 단계).
S24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소프트웨어를 통해 S230 단계에서 얻은 보행 신호 정보가 보행 가능 신호인 경우, 횡단 보도의 통행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보행 신호 정보가 보행 가능 신호인 경우, 횡단 보도의 통행을 안내하는 음성, 텍스트 및 진동 형태의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5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소프트웨어를 통해 S230 단계에서 얻은 보행 신호 정보가 보행 불가능 신호인 경우, 횡단 보도의 통행 불가능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보행 신호 정보가 보행 불가능 신호인 경우, 횡단 보도의 통행 불가능을 안내하는 음성, 텍스트 및 진동 형태의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6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행자에 대한 보다 상세한 보행자 안내 정보의 생성 및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소프트웨어를 통해 보행자 위치 정보 및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행자에 대한 보다 상세한 보행자 안내 정보의 생성 및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보행자로부터 보다 상세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얻는 경우 및 보행자가 보행자의 위치 정보 및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행자에 대한 보다 상세한 보행자 안내 정보의 생성 및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제2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음파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음파 신호를 상시 출력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S270 단계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2 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음파 신호에 따른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S28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행자 위치 정보 및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 불가능 신호임에도 불구하고 보행자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으로 판단(무단 횡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횡단 보도의 통행 불가능을 알리고, 무단 횡단하지 않을 것을 제안하며, 안전에 유의할 것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해당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행자 위치 정보 및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 가능 신호임에도 불구하고 보행자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횡단 보도의 통행이 가능함과 함께 보행 가능 신호가 유지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알리고, 보행 가능 신호가 유지되는 시간 내에 보행할 것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해당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행자에 대한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한 행동 패턴에 기초하여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행자의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보행 신호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보행자 신호등 또는 횡단 보도와 인접한 보행자의 단말(예: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보행 신호 정보(예: 보행 가능 신호 또는 보행 불가능 신호)를 얻을 수 있고, 보행자의 단말에 구비된 위치 센서(예: GSP 센서)로부터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32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310 단계에서 수집한 보행자의 위치 정보 및 보행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 신호 정보 및 복수의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보행자와 관련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 각각에 대한 행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행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제1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제1 장소에 위치하는 복수의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제1 횡단 보도에 구비된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장소에 위치하는 보행자들의 행동 패턴 즉, 제1 장소를 방문하는 보행자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320 단계에서 분석한 보행자의 행동 패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보행자에 대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320 단계에서, 분석된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행동패턴에 기초하여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보행자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성별 및 나이와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하는 보행자가 50대 여성인 경우, 50대 여성의 행동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보행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320 단계에서 분석한 제1 장소에 위치하는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장소에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보행자의 단말로 상기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통행량이 적고, 도로폭이 좁은 도로의 경우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와 상관없이 무단 횡단하는 사람들이 많을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 불가 신호인 시점에서 보행자들이 횡단 보도를 건너는 횟수가 많은 지역을 무단 횡단 주의 지역으로 설정하고, 무단 횡단 주의 지역으로 설정된 영역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단말로 무단 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강력한 안내 신호를 출력(예: 진동 신호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음성 형태의 안내 메시지의 크기를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장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시간대별 유동인구, 사용자의 연령대, 시각장애 여부, 보행패턴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장소의 보행자 신호등이 음파 신호를 발하는 주기나 음파 신호를 발하는 방식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기 설정된 수 이상인 시간대에는 음파 신호를 지속적으로 발하거나, 음파 신호를 짧은 주기로 반복하여 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장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기 설정된 수 이하인 시간대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파통신을 통해 신호등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음파신호를 발송하거나,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예 : GPS나 비콘 등에 기반하여 수집되는)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이 신호등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신호등에서 음파신호를 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장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들의 보행패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장소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기 설치된 횡단보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횡단보도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정보(사용자의 수, 사용자의 연령대, 사용자의 시각장애 여부, 사용자들의 보행패턴 등)와, 해당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통계정보를 수집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수집된 학습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학습(머신러닝) 및 기계학습의 일종인 딥 러닝에 기반하여 학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새로운 장소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위치의 사용자의 정보(사용자의 수, 사용자의 연령대, 사용자의 시각장애 여부, 사용자들의 보행패턴 등)를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위치의 위험도(사고가능성)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예측된 위험도에 기반하여 해당 위치에서 음파신호를 통해 신호상태를 안내하는 주기, 패턴, 방식, 안내의 내용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도가 높은 장소일수록 더 짧은 주기로 신호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 및 음파신호의 내용 또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신호는 현재 횡단보도가 보행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파신호는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사람의 수(예를 들어, 사람이 많은 경우 보행에 주의하여야 할 수 있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없거나 작동하지 않는 시간대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등에서는 횡단보도 주변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보행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음파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의 차량정보(예: GPS정보나 센싱 정보 등에 기반하여 수집)에 기반하여 소정 시간동안 횡단보도 보행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 정보를 음파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음파를 통해 보행요청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등이 다시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신호등에서 상시 발하는 음파 신호는 횡단보도 보행가능여부(즉, 신호등의 색)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를 수신하고 음파로 회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신호등에서는 회신된 음파정보에 기반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를 수집할 수 있고, 보행자가 횡단 보도에 진입한 시점에서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가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보행자의 단말의 사용을 중지할 것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보행자의 단말로 제공하거나,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를 동작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보행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 화면을 들여다보느라 길거리에서 고개를 숙이고 걷는 사람(스몸비(스마트폰 좀비라는 뜻의 신조어))들이 증가하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스몸비족은 주변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스마트폰 화면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횡단 보도를 보행하는 상황에서 보행자 신호를 제대로 못해 무단 횡단을 하거나, 차량이 접근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지 못하는 등 여러가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가 횡단 보도에 진입한 시점에서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가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보행자가 스마트폰의 사용을 자제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보행자가 자의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팅 장치(100)가 스마트폰 사용 등과 같은 이유로 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지역에서는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를 동작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보행자의 단말로 제공하여 보다 강압적으로 보행자의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시킴으로써, 이러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 가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 보행 가능 신호의 보행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에 진입하는 보행자에 대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보행 가능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 보행자에게 다음 보행 가능 신호에 보행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와 다음 보행 가능 신호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 보도로부터 장애물과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장애물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 가능 신호로 변경되었으나, 횡단 보도를 미처 통과하지 못한 차량이 있는 경우 또는 보행 가능 신호임에도 횡단 보도를 통과하려는 차량이 있는 경우 이를 식별하여 횡단 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단말로 차량에 유의하여 잠시 대기할 것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장애물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횡단 보도상에 공사 현장 등과 같이 고정되어 있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고정되어 있는 장애물의 위치와 해당 장애물을 피해서 보행할 것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 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복수의 장소 각각에 대한 보행자 통행 정보를 외부의 모니터링 서버(예: 보행자들의 상태(예: 사고 발생 여부), 횡단 보도내에 구비되는 각종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복수의 장소 각각에 대한 보행자 통행량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보행자 통행량에 기초하여 보행자 통행량이 높은 장소에 대한 보행자 통행 정보를 우선적으로 외부의 모니터링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 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중 시각 장애인의 수를 산출하고, 시각 장애인의 수가 가장 높은 장소 및 시각 장애인의 통행량이 많은 시간에 대한 보행자 통행 정보를 우선적으로 외부의 모니터링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시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거나, 일부 블록이 삭제 또는 변경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컴퓨팅 장치)
200 : 사용자 단말
300 : 외부 서버
400 : 네트워크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보행 신호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보행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동작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제1 장소를 이용하는 복수의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횡단 보도에 구비된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소를 이용하는 복수의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제1 장소를 이용하는 복수의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소에 진입하는 신규 보행자에게 제공할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소에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보행자의 단말로 상기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소에서의 보행자의 행동 패턴과 상기 제1 장소에서 발생된 사고에 대한 통계 정보에 따라 판단된 상기 제1 장소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주기, 패턴 및 제공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소에 대한 정보 - 상기 제1 장소에 대한 정보는, 보행자의 수, 시간대별 유동인구, 보행자의 연령대, 시각장애인 유무, 복수의 보행자들 각각의 보행 패턴을 포함함 -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장소에 진입하는 신규 보행자에게 상기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주기 및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기 및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장소에 진입하는 신규 보행자의 단말로 상기 제1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음파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보행자에 대한 맞춤형(Customized) 보행자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맞춤형 보행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와 인접한 인도의 일부 영역에 기 설정된 안전 기준선과 상기 보행자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에 대한 안전 위험 등급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안전 위험 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보행자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 안내 정보를 진동 신호 형태로 출력하거나,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의 안내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안전 위험 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제어명령을 상기 보행자의 단말 및 상기 횡단 보도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보행자 안내 정보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신호 정보 및 복수의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보행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보행자와 관련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행동패턴에 기초하여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성별, 연령 및 시간대별 보행자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성별 및 나이와 상기 보행자가 상기 횡단 보도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보행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가 상기 횡단 보도에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가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행자의 단말의 사용을 중지할 것을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상기 보행자의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보행자의 단말의 작동 상태를 상기 동작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보행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 가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 상기 보행 가능 신호의 보행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대응되는 횡단 보도에 진입하는 보행자에 대한 보행자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보행자에게 다음 보행 가능 신호에 보행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와 상기 다음 보행 가능 신호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00031590A 2020-03-13 2020-03-13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20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590A KR102202665B1 (ko) 2020-03-13 2020-03-13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590A KR102202665B1 (ko) 2020-03-13 2020-03-13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665B1 true KR102202665B1 (ko) 2021-01-14

Family

ID=7414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590A KR102202665B1 (ko) 2020-03-13 2020-03-13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833A (ko) * 2021-09-23 2023-03-30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273A (ko) 1994-12-10 1996-07-20 김종구 시각 장애자용 횡단보드 음성 신호버튼장치
JP2015053721A (ja) * 2014-10-31 2015-03-19 株式会社インテック 音波信号出力装置を備える音波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利用する携帯端末装置
KR20180059309A (ko) * 2016-11-25 2018-06-04 자동차부품연구원 보행자 안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962909B1 (ko) * 2018-06-05 2019-03-27 (주)패스넷 스마트폰 보행안전 예방 시스템
KR102027981B1 (ko) * 2019-05-14 2019-10-04 (주)아이에스디앤피 횡단보도 신호등 스마트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273A (ko) 1994-12-10 1996-07-20 김종구 시각 장애자용 횡단보드 음성 신호버튼장치
JP2015053721A (ja) * 2014-10-31 2015-03-19 株式会社インテック 音波信号出力装置を備える音波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利用する携帯端末装置
KR20180059309A (ko) * 2016-11-25 2018-06-04 자동차부품연구원 보행자 안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962909B1 (ko) * 2018-06-05 2019-03-27 (주)패스넷 스마트폰 보행안전 예방 시스템
KR102027981B1 (ko) * 2019-05-14 2019-10-04 (주)아이에스디앤피 횡단보도 신호등 스마트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833A (ko) * 2021-09-23 2023-03-30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KR102605717B1 (ko) * 2021-09-23 2023-11-23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664B2 (e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program, and processing method
KR102155379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보행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637118B2 (e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JP7266627B2 (ja) 早期警報方法、装置、電子機器、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20170010679A1 (en) Communicat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 and external observers
KR102101956B1 (ko)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시스템
KR20180060860A (ko) 객체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0910673B (zh) 一种提醒行人碰撞车辆的方法及系统、摄像头、移动终端
KR102062589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스마트 통합안내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감시시스템
CN110998687B (zh) 控制系统以及控制方法
KR20140084962A (ko) 고속도로 자율주행 시스템 및 방법
JP2012141770A (ja) 運転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565227B1 (ko) 위험도 예측 안내를 제공하는 교통 안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시스템
JP2016130966A (ja) 危険度推定装置、危険度推定方法及び危険度推定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02665B1 (ko) 보행자의 횡단 보도 보행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EP404414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130254A1 (en) Vehicle automation-connected pedestrian risk assessment device
JP2020013173A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KR102510542B1 (ko) 스마트 교차로를 위한 3차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5503B1 (ko) 이탈 방지를 위한 인공 지능 기반의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510022B1 (ko) 레이더 센서 기반의 터널 내 상황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91229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102009448B1 (ko) 사물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6949512B2 (ja)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
JP2020135804A (ja) 信号機制御装置、第1路側機、情報処理装置及び信号機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