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020B1 -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020B1
KR102202020B1 KR1020177006684A KR20177006684A KR102202020B1 KR 102202020 B1 KR102202020 B1 KR 102202020B1 KR 1020177006684 A KR1020177006684 A KR 1020177006684A KR 20177006684 A KR20177006684 A KR 20177006684A KR 102202020 B1 KR102202020 B1 KR 10220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guide path
clamp
tip
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687A (ko
Inventor
치카라 타카기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44Handling tyre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and supplying to the toroidal support or to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5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the bead cores being made using a b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wires embedded in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7Forming devices for manufacturing the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8Clamping the wires on the form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포머(110)로 이송되는 강선(W)이 통과하는 안내로(41)가 형성된 안내장치(10)로서, 안내로(4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슬릿(44)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안내장치{GUIDE DEVICE}
본 발명은, 포머로 이송되는 강선이 통과하는 안내로를 구비하는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타이어의 비드부에 매설되는 비드 코어를 성형할 때, 포머로 이송되는 강선이 통과하는 안내로를 구비하는 안내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내장치는 고무 피막된 강선을 내보내는 공급롤러와 강선이 권취되는 포머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안내장치는 사각형의 하우징 내부에 안내로가 형성되고, 이 안내로를 공급롤러에 의해 이송된 강선이 통과한다. 강선이 안내로를 통과하면서 이송되기 때문에, 강선이 공급롤러와 포머와의 사이에서 크게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강선은 예를 들면, 비드 직경에 따라 미리 휘어진 상태, 즉, 만곡된 상태로 공급롤러에 의해 안내장치를 통하여 포머로 이송된다. 포머로 이송된 강선의 선단은 포머에 설치된 클램프 장치에 의해 클램프 된다.
일본특허공개 2006-289733호 공보
그런데, 강선이 포머에 권취되는 중에는 강선이 포머 및 클램프 장치에 의해 당겨지기 때문에, 안내로를 통과하는 강선은 직선형상을 이룬다. 즉, 만곡되어 있지 않다. 한편, 강선은 포머에 소정의 횟수로 권취된 후, 종단, 환언하면 다음으로 포머에 권취될 강선의 선단이 되는 개소가 절단된다. 이로써, 강선이 포머 및 클램프 장치에 의해 당겨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강선은 안내로에서 만곡된다. 강선이 안내로에서 만곡되면, 강선의 표면과 안내로의 내면이 접촉함으로써 강선에 저항이 가해져 뒤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강선이 뒤틀리면 강선의 선단위치가 원하는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때문에, 강선의 선단이 클램프 장치에 의해 적절히 클램프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로에서 강선이 뒤틀리지 않는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내장치는, 포머로 이송되는 강선이 통과하는 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로서, 상기 안내로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이며, 강선이 만곡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장치에 의하면, 강선이 안내로의 내면 중 슬릿이 형성된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안내로에서 강선이 뒤틀리지 않는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내장치에 있어서는, 포머로 이송된 강선이 통과하는 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로서, 상기 안내로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 또한 강선이 만곡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부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장치에 의하면, 강선이 안내로의 내면 중 요부가 형성된 부분과 접촉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안내로에서 강선이 뒤틀리지 않는다.
본 안내장치에 의하면, 안내로에서 강선이 뒤틀리지 않는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실시형태의 강선통과부의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의 강선통과부의 정면도.
도 5는,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의 제1베이스벽부 및 제2베이스벽부와 제1권취홈 및 제2권취홈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실시형태의 강선통과부가 강선의 선단을 제1베이스벽부를 향하여 회전시키는 도중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강선의 선단이 제1베이스벽부에 마주하는 상태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강선통과부의 선단이 절단위치보다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강선의 선단이 제2베이스벽부에 마주하는 상태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강선통과부의 선단이 절단위치보다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의 평면도.
이하, 비드 코어 성형장치(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드 코어 성형장치(1)는 고무 피막된 강선(W)이 통과하는 안내장치(10)와, 강선(W)을 절단하는 절단장치(80)와, 안내장치(10)에 의해 이송된 강선(W)을 권취하여 비드 코어를 성형하는 권취장치(100)를 구비한다. 또한, 강선(W)은 비드 직경에 따라 휘어진 상태로 공급롤러(도시 생략)에 의해 안내장치(10)로 이송된다.
안내장치(10)는, 장치 본체(20), 및 이송된 강선(W)이 통과하는 강선통과부(30)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0)는 절단장치(80)가 설치되는 제1지지판(21), 강선통과부(30)가 설치되는 제2지지판(22), 제2지지판(22)을 제1지지판(21)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3)를 구비한다. 제1지지판(21)에는 제2지지판(22)의 가이드(22A)를 안내하는 레일(21A)이 설치된다.
강선통과부(30)는 연결축(62)을 통하여 실린더(도시 생략)의 피스톤로드(70)와 연결된다. 피스톤로드(70)는 제2지지판(22)에 설치된다. 실린더에 의해 피스톤로드(70)가 구동함으로써 강선통과부(30)가 회전축(61)의 둘레를 회전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장치(80)는 제1지지판(21)에 대하여 상하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날(81), 및 제1지지판(21)에 대하여 고정된 하측날(82)을 구비한다. 상측날(81) 및 하측날(82)은 성형하는 비드 코어에 대응하는 권취수의 강선(W)이 권취장치(100)에 권취된 후, 절단위치(XA)에서 강선(W)을 절단한다.
권취장치(100)는 이송된 강선(W)이 권취되는 포머(110), 및 포머(110)에 설치되며, 강선(W)의 선단을 클램프하는 클램프 장치(120)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머(110)의 둘레면에는 제1권취홈(111) 및 제2권취홈(112)이 포머(110)의 축방향으로 병설된다. 제1권취홈(111)과 제2권취홈(112)은 성형되는 비드 코어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권취홈(111) 또는 제2권취홈(112)에 강선(W)이 권취됨으로써 비드 코어가 성형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선통과부(30)는 강선(W)이 통과하는 안내로(41)가 형성되는 본체부(40), 및 본체부(40)와 연속하여 형성되는 기부(50)를 구비한다.
안내로(41)는 강선(W)의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이다. 안내로(41)의 입구(41A)는 강선(W)의 이송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로(41)의 출구(41B)에는 회전체의 일례로서 미니어처 롤러(43)가 복수(실시형태에서는 4개) 설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40)에는 본체부(40)의 상면(42)과 안내로(41)의 내면과의 사이를 관통하는 슬릿(44)이 형성된다. 슬릿(44)은 안내로(41)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또한, 강선(W)은 비드 직경에 따른 휘어짐으로서, 예를 들면, 상면(42)에 근접하도록 만곡된 휘어짐이 부여된 상태로 안내로(41)로 이송된다. 이 때문에, 휘어진 강선(W)이 안내로(41)의 내부에서 안내로(41)와 접촉하기 어렵도록, 슬릿(44)은 상면(42)과 안내로(41)의 내면과의 사이를 관통하는 위치, 즉, 강선(W)이 만곡된 방향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기부(50)는 본체부(40) 중의 안내로(41)의 입구(41A) 측의 단부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기부(50)에는 강선통과부(3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61)(도 2 참조)을 위한 제1축공(51), 및 피스톤로드(70)와 강선통과부(30)를 연결하는 연결축(62)(도 2 참조)을 위한 제2축공(52)이 형성된다. 제1축공(51)은 제2축공(52)보다 강선(W)의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형성된다.
도 5~도 7을 참조하여, 클램프 장치(1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장치(120)는 포머(110)에 설치되는 클램프 베이스(130), 클램프 베이스(130)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체(140), 이동체(14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 레그부(170)를 구비한다.
클램프 베이스(130)는 이송된 강선(W)의 선단을 끼우는 제1베이스벽부(131) 및 제2베이스벽부(132)를 구비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베이스벽부(131)는 제1권취홈(111)과 대응한다. 제2베이스벽부(132)는 제2권취홈(112)과 대응한다.
이동체(140)는 클램프 베이스(130) 중의 베이스벽부(131, 132)가 형성된 부분을 끼우도록 클램프 베이스(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레그부(141)를 구비한다. 회전 레그부(141)는 클램프 베이스(130)에 지지되는 회전축(142)의 둘레를 회전한다.
이동체(140) 중 한 쌍의 회전 레그부(141)의 사이에는, 제1권취홈(111)(도 2 참조)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강선(W)의 선단을 제1베이스벽부(131)와의 사이에서 끼움으로써 클램프하는 제1클램프벽부(151)가 형성된다
이동체(140) 중의 한 쌍의 회전 레그부(141) 사이에는, 제2권취홈(112)(도 2 참조)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강선(W)의 선단을 제2베이스벽부(132)와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클램프하는 제2클램프벽부(161)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제1클램프벽부(151) 또는 제2클램프벽부(161)가 강선(W)의 선단을 끼우는 위치, 즉, 클램프벽부(151, 161)가 베이스벽부(131, 132)와 대향할 때의 이동체(140)의 위치를 클램프 위치라 한다. 한편, 제1클램프벽부(151) 또는 제2클램프벽부(161)가 강선(W)의 선단을 끼우지 않는 위치, 즉, 클램프벽부(151, 161)가 베이스벽부(131, 132)와 대향하지 않을 때의 이동체(140)의 위치를 비 클램프 위치라 한다.
한 쌍의 이동 레그부(170)는, 한 쌍의 회전 레그부(141)를 끼우도록 연결축(171)을 통하여 회전 레그부(141)와 연결된다. 한 쌍의 이동 레그부(170)의 구멍(172)는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8~도 13을 참조하여, 비드 코어 성형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도 13에서는 포머(1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먼저, 강선(W)이 제1권취홈(111)에 권취될 경우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스톤로드(70)가 몰입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23)가 제2지지판(22)을 클램프 장치(120)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소정의 휘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강선(W)이 강선통과부(30)의 안내로(41)를 통과한다. 또한, 강선(W)은 선단이 안내로(41)의 출구(41B)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이송된다.
다음, 피스톤로드(70)가 몰입한 상태에서 제2지지판(22)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변위한 후, 액츄에이터(23)가 제2지지판(22)을 클램프 장치(120)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강선통과부(30) 및 장치 본체(20)에 의해 지지되는 강선(W)이 도 9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고, 강선(W) 선단의 위치결정이 완료된다. 이때, 강선(W)의 선단은 도 8의 이점쇄선의 강선(W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베이스벽부(131) 및 제2베이스벽부(132)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강선(W)의 선단 이송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진 후, 피스톤로드(70)가 몰입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선통과부(30)가 회전축(61)의 둘레를 회전한다. 이 때문에,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선(W)의 선단이 제1베이스벽부(131)에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1베이스벽부(131)에 마주하는 위치로 강선(W)의 선단이 이동한 후, 이동 레그부(170)가 액츄에이터(도시 생략)에 의해 하측으로 밀려 내려감으로써 이동체(140)가 비 클램프 위치로부터 클램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1베이스벽부(131) 및 제1클램프벽부(151)가 제1권취홈(111)(도 2 참조)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강선(W)을 클램프하고, 포머(110)가 확경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베이스벽부(131) 및 제1클램프벽부(151)에 의해 강선(W)이 클램프 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23)가 제2지지판(22)을 클램프 장치(120)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강선통과부(30)의 출구(41B)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절단위치(XA)보다 후방까지 이동한다.
그 후, 포머(110)가 회전함으로써 제1권취홈(111)에 소정 횟수의 강선(W)이 권취된다. 제1권취홈(111)에 강선(W)이 권취된 후, 절단장치(80)에 의해 강선(W)의 종단이 절단되고, 포머(110)가 축경되며, 이동체(140)가 클램프 위치로부터 비 클램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강선(W)의 선단이 클램프 장치(120)에 의해 클램프된 상태가 해제되고, 제1권취홈(111)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드 코어가 성형된다. 또한, 강선(W)의 종단, 환언하면, 다음으로 포머(110)에 권취될 강선(W)의 선단이 되는 개소가 절단장치(80)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강선(W)이 안내로(41)에서 만곡된다. 만곡된 강선(W)은 본체부(40)에 형성된 슬릿(44)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강선(W)과 안내로(41)의 내면이 접촉하지 않는다.
다음, 강선(W)이 제2권취홈(112)에 권취될 경우의 비드 코어 성형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선(W) 선단의 이송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진 후, 피스톤로드(70)가 도 9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2에 나타낸 위치까지 몰입함으로써, 강선통과부(30)가 회전축(61)의 둘레를 회전한다. 이로써, 도 8에 이점쇄선의 강선(W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선(W)의 선단이 제2베이스벽부(132)에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2베이스벽부(132)에 마주하는 위치로 강선(W)의 선단이 이동한 후, 이동 레그부(170)가 액츄에이터(도시 생략)에 의해 하측으로 밀려 내려감으로써, 이동체(140)가 비 클램프 위치로부터 클램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2베이스벽부(132) 및 제2클램프벽부(161)가 제2권취홈(112)(도 2 참조)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강선(W)을 클램프하고, 포머(110)가 확경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베이스벽부(132) 및 제2클램프벽부(161)에 의해 강선(W)이 클램프 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23)가 제2지지판(22)을 클램프 장치(120)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강선통과부(30)의 출구(41B)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절단위치(XA)보다 후방까지 이동한다.
그 후, 포머(110)가 회전함으로써, 제2권취홈(112)에 소정 횟수의 강선(W)이 권취된다. 제2권취홈(112)에 강선(W)이 권취된 후, 절단장치(80)에 의해 강선(W)의 종단이 절단되고, 포머(110)가 축경되며, 이동체(140)가 클램프 위치로부터 비 클램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강선(W)의 선단이 클램프 장치(120)에 의해 클램프 된 상태가 해제되고 제2권취홈(112)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드 코어가 성형된다. 또한, 강선(W)의 종단, 환언하면, 다음으로 포머(110)에 권취될 강선(W)의 선단이 되는 개소가 절단장치(80)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강선(W)이 안내로(41)에서 만곡된다. 만곡된 강선(W)은 본체부(40)에 형성된 슬릿(44)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강선(W)과 안내로(41)의 내면이 접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강선(W)이 안내로(41)의 내면 중 슬릿(44)이 형성된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안내로(41)에서 강선(W)이 뒤틀리지 않는다.
2) 안내로(41)에서 강선(W)이 뒤틀리지 않기 때문에, 강선(W) 선당의 위치가 원하는 위치에서 어긋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램프 장치(120)에 의해 강선(W)의 선단을 적절하게 클램프 할 수 있다.
3) 슬릿(44)이 안내로(41)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안내로(41)의 내면 중 강선(W)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강선(W)이 안내로(41)를 통과함으로써 더욱 뒤틀리기 어렵다.
4) 안내로(41)의 입구(41A)의 형상이 강선(W)의 이송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넓은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에, 휘어진 강선(W)이 안내로(41)로 이송된 때 강선(W)이 안내로(41)의 입구(41A)와 접촉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강선(W)의 선단이 안내로(41)로 들어오기 쉽다.
5) 안내로(41)의 출구(41B)에 미니어처 롤러(43)가 설치되기 때문에, 강선(W)과 안내로(41)의 출구(41B)가 접촉함에 의한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강선(W)의 고무 피막이 더욱 손상되기 어렵다.
6) 기부(50)가 본체부(40) 중 안내로(41)의 입구(41A)의 단부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기부(50)가 본체부(40) 중 측면과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강선통과부(30)의 회전반경을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위회전각도 당 강선(W) 선단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ㆍ 안내로(41)의 내면에 슬릿(44)에 추가로 또는 슬릿(44) 대신, 요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안내로(41)를 통과하는 강선(W)이 안내로(41)의 내면 중 요부가 형성된 부분과 접촉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안내로(41)를 통과하는 강선(W)이 뒤틀리기 어렵다. 또한, 안내로(41)의 내면에 요부를 형성하는 경우, 요부는 안내로(4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ㆍ 슬릿(44)을 본체부(40)의 측면 및 저면의 적어도 한 쪽과 안내로(41)의 내면과의 사이를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슬릿(44)은 안내로(41)에서 강선(W)이 만곡된 방향과 내응하는 위치에서 임의의 개소에 형성할 수 있다.
ㆍ 안내로(41)의 출구(41B)를 강선(W)의 이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항하여 넓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드 직경에 따라 휘어진 강선(W)이 안내로(41)로 이송된 때, 강선(W)이 안내로(41)의 출구(41B)와 접촉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강선(W)의 선단이 안내로(41)로부터 나오기 쉽다.
ㆍ 안내로(41)의 출구(41B)를 강선(W)의 이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출구(41B)에 미니어처 롤러(43)를 설치할 수 있다.
ㆍ 기부(50)를 본체부(40) 중 측면과 대응하는 부분과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ㆍ 제1베이스벽부(131) 및 제1클램프벽부(151), 또는 제2베이스벽부(132) 및 제2클램프벽부(161)를 생략할 수 있다.
10: 안내장치
41: 안내로
41A: 입구
41B: 출구
43: 미니어처 롤러(회전체)
44: 슬릿
W: 강선

Claims (7)

  1. 포머(former)로 이송되는 강선이 통과하는 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로서,
    상기 안내로 내면의 적어도 일부이며, 강선이 만곡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부가 형성된,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상기 안내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인,
    안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의 입구는 상기 강선의 이송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안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의 출구는 상기 강선의 이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안내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의 출구에 회전체가 설치되는,
    안내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77006684A 2014-08-27 2014-08-27 안내장치 KR102202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2426 WO2016030990A1 (ja) 2014-08-27 2014-08-27 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687A KR20170046687A (ko) 2017-05-02
KR102202020B1 true KR102202020B1 (ko) 2021-01-12

Family

ID=5539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684A KR102202020B1 (ko) 2014-08-27 2014-08-27 안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03859B2 (ko)
JP (1) JP6441943B2 (ko)
KR (1) KR102202020B1 (ko)
CN (1) CN106573428B (ko)
DE (1) DE112014006893B4 (ko)
PH (1) PH12017500328A1 (ko)
RU (1) RU2693985C2 (ko)
WO (1) WO2016030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255B (zh) * 2018-03-28 2019-08-06 山东大业股份有限公司 一种胎圈钢丝包纸装置及包纸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9733A (ja) * 2005-04-08 2006-10-26 Sumitomo Rubber Ind Ltd ビードコア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7170A (en) 1918-04-30 1920-01-06 Pratt Alphonso Comstock Apparatus for making gromets
US3713598A (en) * 1971-01-13 1973-01-30 Globe Tool Eng Co Wire guide apparatus
JPS5123289B1 (ko) 1971-04-24 1976-07-15
US3846888A (en) * 1972-07-24 1974-11-12 Columbia Broadcasting Syst Inc Apparatus for providing ball ends on guitar strings
DE3343738C2 (de) * 1983-12-02 1985-09-26 Deubzer-Eltec GmbH, 8000 Mü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onden eines dünnen, elektrisch leitenden Drahtes an elektrische Kontaktflächen von elektrischen oder elektronischen Bauteilen
JPS60100369U (ja) 1983-12-13 1985-07-0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線状材料用ガイド
JPH023483Y2 (ko) 1984-12-06 1990-01-26
JP2694751B2 (ja) * 1991-11-06 1997-12-24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の起立台駆動構造
JPH1043863A (ja) 1996-08-06 1998-02-17 Katayama Kogyo Kk 溶接機のコンタクトチップ
KR100678661B1 (ko) * 1998-12-23 2007-02-07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타이어용 카아커스 제작 방법 및 그 제작 방법에 의해얻어진 카아커스
JP4116751B2 (ja) 2000-02-01 2008-07-09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線材供給部材と線材の巻線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20166621A1 (en) 2001-05-10 2002-11-14 Marsden Rodney C. Build-up wheel for tire bead
JP3645532B2 (ja) * 2002-03-04 2005-05-11 株式会社富士精工 切削装置
JP2006116976A (ja) * 2002-08-20 2006-05-11 Niwa Shoko:Kk 撚回状ビードワイ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564820B1 (ko) * 2004-12-13 2006-03-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스틸벨트의 진입 정렬장치
CN101998904B (zh) 2008-04-14 2014-07-30 不二精工株式会社 胎圈钢丝缠绕和成型设备
JP2010173131A (ja) 2009-01-28 2010-08-12 Bridgestone Corp ビードコア成形装置及びビードコア成形方法
CN202669005U (zh) * 2012-04-27 2013-01-16 澳星机电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钢丝导开装置
RU2662539C1 (ru) * 2014-07-11 2018-07-26 Фудзи Сейко Ко., Лтд. Деформ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льной проволок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сердечников бортов ши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9733A (ja) * 2005-04-08 2006-10-26 Sumitomo Rubber Ind Ltd ビードコア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6893B4 (de) 2023-06-29
JPWO2016030990A1 (ja) 2017-06-08
US20170266901A1 (en) 2017-09-21
PH12017500328A1 (en) 2017-07-17
RU2693985C2 (ru) 2019-07-08
CN106573428B (zh) 2020-01-17
KR20170046687A (ko) 2017-05-02
CN106573428A (zh) 2017-04-19
RU2017109275A3 (ko) 2018-09-27
RU2017109275A (ru) 2018-09-27
WO2016030990A1 (ja) 2016-03-03
JP6441943B2 (ja) 2018-12-19
DE112014006893T5 (de) 2017-05-11
US10603859B2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061B1 (ko) 전선 교정 장치
HRP20220997T1 (hr) Aparat za vezanje
US9586249B2 (en) Apparatus for feeding wire to wire processing machines
RU2017125360A (ru) Крутильная машина
NZ710451A (en)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KR102202019B1 (ko) 비드 코어 성형장치
KR102202020B1 (ko) 안내장치
KR102202018B1 (ko) 클램프 장치
US1098772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il spring and coil spring manufacturing apparatus
JP2009131886A (ja) 線材矯正装置
JP2016535676A (ja) 棒、丸棒又は金属ワイヤ等の横長の金属製品を曲げるための装置及びそれに対応する曲げ方法
US20150251369A1 (en) Device for winding bead ring-binding thread
KR101946676B1 (ko) 권회장치
BR102015015440A2 (pt) dispositivo para ajuste de largura de enrolamento de fio utilizando guia auxiliar
KR101528166B1 (ko) 스트립 권취장치
KR101427110B1 (ko) 스프링 제조장치의 강선 가이드지그
CN114101543A (zh) 线圈绕线机及其切线装置
KR101592119B1 (ko) 코일용 권선장치 및 방법
JP2009277880A (ja) 位置決め治具および空芯コイル巻線装置
PL415879A1 (pl) Układ głowicy drukującej
JP2006264073A (ja) ベルト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