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634B1 -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634B1
KR102201634B1 KR1020130165448A KR20130165448A KR102201634B1 KR 102201634 B1 KR102201634 B1 KR 102201634B1 KR 1020130165448 A KR1020130165448 A KR 1020130165448A KR 20130165448 A KR20130165448 A KR 20130165448A KR 102201634 B1 KR102201634 B1 KR 10220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notification
speech
controll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822A (ko
Inventor
김광식
최광희
강민석
박현욱
진수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634B1/ko
Priority to EP14196819.8A priority patent/EP2889771B1/en
Priority to EP16169527.5A priority patent/EP3086231B1/en
Priority to US14/582,605 priority patent/US9596672B2/en
Priority to CN201410830133.1A priority patent/CN104754115B/zh
Publication of KR2015007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Abstract

단말 장치는 이벤트 트리거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 트리거에 할당된 중요도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 장치는 상기 이벤트 트리거에 해당하는 통지 레벨을 체크하고, 상기 이벤트 트리거에 할당된 중요도 정보와 상기 통지 레벨에 기초하여 통지 강도를 결정한다. 단말 장치는 결정된 통지 강도에 따라 상기 제1 이벤트의 통지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의 이벤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단말기가 걸려오는 전화(incoming call)이나 문자 수신 등과 같은 이벤트를 획득하면, 단말기는 이벤트를 통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기는 다양한 상황이나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에 무관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이벤트를 통지할 뿐이어서, 다양한 상황 및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차별화된 이벤트 알림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상황이나 단말기의 사용자에 적응적으로 이벤트의 통지 강도를 차별화하여 이벤트 통지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벤트 트리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트리거에 할당된 중요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트리거에 해당하는 제1 이벤트에 설정된 통지 레벨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트리거에 할당된 중요도 정보와 상기 통지 레벨에 기초하여 통지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통지 강도에 따라 상기 제1 이벤트의 통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기 제1 이벤트의 통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통지 강도에 따라 상기 제1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요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설정에 무관하고, 상기 이벤트 트리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지 레벨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이벤트를 얼마만큼 중요하게 간주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벤트 트리거는 사용자 스피치가 변환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스피치의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트리거에 할당된 중요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스피치의 특성 정보에 해당할 수 있따.
상기 사용자 스피치의 특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 스피치의 스피치 속도 정보, 스피치 목소리 톤 정보, 스피치 단어 중요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이벤트의 중요도, 상황, 단말기의 사용자에 적응적으로 이벤트의 통지 강도를 차별화하여 이벤트 통지를 수행하여, 사용자는 중요한 이벤트일수록 빠르게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벤트 통지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벤트 통지 레벨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지 우선 순위의 변경 방법을 보여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에 목소리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씨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보여준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보여준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테더링 방법을 보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낮은 신호 강도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통화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온도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입을 수 있는 단말기(wearable termina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을 수 있는 단말기에는 시계형 단말기, 안경형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는,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이벤트라는 용어와 이벤트 트리거라는 용어는 구분되게 사용된다.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록된 이벤트 (또는 이벤트) 이벤트 트리거
배터리 낮은 배터리 이벤트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보다 낮음
알람 알람 이벤트 해당 알람 이벤트의 알람 시간에 도달
메시지 메시지 도착 이벤트 수신 메시지 (received message)
전화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 (incoming call event) 걸려오는 전화 (incoming call)
전화 부재중 통화 이벤트 부재중 통화
전화 낮은 전화 신호 강도 이벤트 기준값보다 낮은 전화 신호 강도
뉴스 뉴스 이벤트 수신된 뉴스 메시지
날씨 날씨 이벤트 수신된 날씨 메시지
일정 일정 도달 이벤트 해당 일정 도달 이벤트의 일정 시간에 도달
단말기 온도 높은 단말기 온도 이벤트 기준값보다 높은 단말기 온도
Wi-Fi 낮은 Wi-Fi 신호 강도 이벤트 기준값보다 낮은 Wi-Fi 신호 강도
DMB 낮은 DMB 신호 강도 이벤트 기준값보다 낮은 DMB 신호 강도
블루투스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블루투스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블루투스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블루투스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데이터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 설정된 값에 도달한 데이터 잔여량
표 1에서 보여지듯이,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또는 복수의 등록된 이벤트를 가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이벤트 트리거를 획득하면, 이동 단말기는 획득한 이벤트 트리거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다. 등록된 이벤트에는 통지 우선 순위와 통지 레벨이 할당될 수 있다.
표 1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등록 이벤트를 가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복수의 이벤트 트리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등록 이벤트를 가질 수도 있다.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록된 이벤트 (또는 이벤트)
배터리 복수의 배터리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낮은 배터리 이벤트
알람 복수의 알람 시간에 각각 대응하는 알람 이벤트
메시지 복수의 등록 연락 포인트(contact point)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메시지 도착 이벤트
전화 복수의 등록 연락 포인트(contact point)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 (incoming call event)
전화 복수의 등록 연락 포인트(contact point)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부재중 통화 이벤트
전화 복수의 전화 신호 강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낮은 전화 신호 강도 이벤트
뉴스 복수의 뉴스 카테고리(경제, 정치, 연예 등)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뉴스 이벤트
날씨 복수의 지역에 각각 대응하는 날씨 이벤트
일정 복수의 일정 시간에 각각 대응하는 일정 도달 이벤트
단말기 온도 복수의 경고 온도에 각각 대응하는 높은 단말기 온도 이벤트
Wi-Fi 복수의 Wi-Fi 신호 강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낮은 Wi-Fi 신호 강도 이벤트
DMB 복수의 DMB 신호 강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낮은 DMB 신호 강도 이벤트
블루투스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본 명세서에서, 통지는 스피치 브리핑 통지(speech briefing notification), 음향 통지(sound notification), 진동 통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지(GUI output notification) 중 하나만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피치 브리핑 통지는 이벤트를 개략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말로서 설명하는 음성을 출력하여 이벤트를 통지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음향 통지는 스피치 브리핑 통지와는 구별되며, 기계음 또는 음악(music), 비프음을 출력하여 이벤트를 통지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진동 통지는 진동을 출력하여 이벤트를 통지하는 것을 나타내고, GUI 통지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G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벤트를 통지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144)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4)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144)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4)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4)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144)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80)가 통지(notification)가 요구되는 새로운 이벤트 트리거를 획득하면(S101),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 트리거에 해당하는 이벤트와는 다른 이전 이벤트가 통지 중에 있는지를 확인한다(S103). 제어부(180)가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요구되는 새로운 이벤트 트리거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 트리거에 해당하는 이벤트와는 다른 이전 이벤트가 스피치 브리핑 통지 중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전 이벤트가 통지 중에 있다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notification priority)를 체크하고(S105), 이전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를 체크한다(S107). 이전 이벤트가 스피치 브리핑 통지 중에 있다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를 체크하고,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를 체크할 수도 있다. 이전 이벤트가 통지 중에 있지 않다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와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를 비교한다(S109). 이때,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와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를 비교할 수 있다.
이전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가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보다 높다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통지를 계속한다(S111). 이때,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가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보다 높다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계속할 수 있다.
이전 이벤트의 통지가 완료되면(S113),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를 통지한다(S115). 실시예에서,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벤트 통지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전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가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보다 낮다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통지를 중지하고(S117),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한다(S119). 실시예에서,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가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보다 낮다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중지하고,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벤트 통지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가 완료되면(S121),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중지된 통지를 재개한다(S123). 실시예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중지된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재개할 수 있다.
이전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가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와 동일하다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를 허용할 지를 묻는 질의를 출력한다(S125). 실시예에서,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가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와 동일하다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허용할 지를 묻는 질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질의는 시각적 질의, 청각적 질의, 촉각적 질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 질의를 통해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를 허용할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127).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이 질의를 통해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허용할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허용에 해당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높힌다(S129).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이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허용에 해당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높힐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절대적으로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80)가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높힌다고 하더라도, 제3의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서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통지를 중지하고(S117),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한다(S119).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중지하고,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벤트 통지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가 완료되면(S121),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중지된 통지를 재개한다(S123). 실시예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중지된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재개할 수 있다.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불허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에 대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낮춘다(S131). 실시예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불허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에 대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절대적으로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80)가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낮춘다고 하더라도, 제3의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서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상대적 우선 순위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벤트들의 상대적 우선 순위를 관리할 수 있다.
낮은 배터리 이벤트 알람 이벤트 메시지 도착 이벤트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 부재중 통화 이벤트
낮은 배터리 이벤트 - A A B B
알람 이벤트 A - B A B
메시지 도착 이벤트 A B - B B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 B A A - A
부재중 통화 이벤트 B B A A -
표 3에서, 세로로 기재된 복수의 이벤트는 이전 이벤트들을 나타내고, 가로로 기재된 복수의 이벤트는 새로운 이벤트들을 나타내고, A는 이전 이벤트가 우선함을 나타내고, B는 새로운 이벤트가 우선함을 나타낸다.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허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횟수보다 더 많은 회수만큼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높힐 수 있다. 예컨데,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허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5번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높힐 수 있다.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불허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횟수보다 더 많은 회수만큼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예컨데,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불허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5번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표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상대적 우선 순위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벤트들의 상대적 우선 순위를 관리할 수 있다.
낮은 배터리 이벤트 알람 이벤트 메시지 도착 이벤트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 부재중 통화 이벤트
낮은 배터리 이벤트 0 1 -2 3 4
알람 이벤트 -1 0 5 -4 5
메시지 도착 이벤트 -5 5 0 -5 2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 3 -4 -2 0 -3
부재중 통화 이벤트 -2 -5 -3 -5 0
표 4에서 숫자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허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과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불허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된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허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해당 숫자는 증가하고,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불허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해당 숫자는 감소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통지를 계속한다(S111).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계속할 수 있다.
이전 이벤트의 통지가 완료되면(S113),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를 통지한다(S115). 실시예에서, 이전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완료되면(S113),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를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벤트 통지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벤트 통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벤트 통지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강도를 결정한다(S301).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에 할당된 통지 레벨을 이용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통지 레벨과 통지 강도가 각각 3개의 레벨을 가진다면, 통지 강도는 표 5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벤트의 통지 레벨 통지 강도
1 1
2 2
3 3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이벤트 트리거에 할당된 중요도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중요도 정보는 통지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통지 레벨과 통지 강도가 각각 3개의 레벨을 가진다면, 통지 강도는 표 6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벤트 트리거의 통지 레벨 통지 강도
1 1
2 2
3 3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에 할당된 통지 레벨과 이벤트 트리거에 할당된 중요도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중요도 정보는 통지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통지 레벨과 통지 강도가 각각 3개의 레벨을 가진다면, 통지 강도는 표 7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벤트의 통지 레벨 이벤트 트리거의 통지 레벨 두 통지 레벨의 합 통지 강도
1 1 2 1
1 2 3 1
2 1 3 1
1 3 4 2
2 2 4 2
3 1 4 2
2 3 5 3
3 2 5 3
3 3 6 3
표 7에서,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단말기가 해당 이벤트를 얼마 만큼 중요하게 간주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는 이벤트 트리거 자체가 얼마나 강하게 통지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사용자 학습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고,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는 사용자 학습과는 무관할 수 있다.
예컨데, 단말기는 연락처 A의 통지 레벨을 2로 설정하고, 연락처 B의 통지 레벨을 3으로 설정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연락처 A로부터 중요도 3의 메시지가 도착하면, 연락처 A의 통지 레벨이 2이므로, 단말기는 3의 통지 강도로 메시지 도착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연락처 B로부터 중요도 2의 메시지가 도착하면, 연락처 B의 통지 레벨이 3이므로, 단말기는 동일한 3의 통지 강도로 메시지 도착을 통지할 수 있다.
낮은 배터리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보다 얼마나 낮은지를 나타낼 수 있다.
알람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현재 시간이 알람 이벤트의 알람 시간에 얼마나 가까이 도달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메시지 도착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얼마만큼 중요한 메시지가 도착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과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얼마만큼 중요한 전화가 도착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부재중 통화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부재 중 통화가 동일 상대방으로부터 얼마만큼 발생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낮은 전화 신호 강도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전화 신호 강도가 기준값보다 얼마만큼 낮은지를 나타낼 수 있다.
뉴스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얼마만큼 중요한 뉴스가 수신됐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날씨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얼마만큼 중요한 날씨가 수신됐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정 도달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현재 시간이 일정 이벤트의 일정 시간에 얼마나 가까이 도달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높은 단말기 온도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단말기 온도가 기준값보다 얼마만큼 높은지를 나타낼 수 있다.
낮은 Wi-Fi 신호 강도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이벤트 트리거의 통지 레벨은 Wi-Fi 신호 강도가 기준값보다 얼마만큼 낮은지를 나타낼 수 있다.
낮은 DMB 신호 강도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이벤트 트리거의 통지 레벨은 DMB 신호 강도가 기준값보다 얼마만큼 낮은지를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에서, 이벤트 트리거의 중요도 정보는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량이 얼마만큼 남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통지 레벨은 이벤트에 할당이 되고, 사용자 반응의 학습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폴트로, 주소록에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의 incoming call 이벤트에는 최소의 통지 레벨이 할당될 수 있고, 주소록에 등록된 사용자로부터의 incoming call 이벤트는 최소 통지 레벨 보다는 높은 통지 레벨(예컨데 2의 통지 레벨 또는 최대 통지 레벨)이 할당될 수 있다. 이후, 전화를 자주 거는 사용자 또는 전화가 자주 걸려오고 응답도 자주 하는 사용자로부터의 incoming call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증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결정한 통지 강도에 따라 통지 방식을 결정한다(S303).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결정한 스피치 브리핑 통지 강도에 따라 스피치 브리핑 통지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통지 방식으로서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높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사용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스피치 브리핑 통지의 오디오 볼륨을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 수록 스피치 브리핑 통지의 오디오 볼륨의 크기도 높힐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스피치 브리핑 내용의 분량을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 수록 스피치 브리핑 볼륨의 분량도 많게 할 수 있다.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수록 제어부(180)는 스피치 브리핑 내용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스피치 브리핑 내용의 반복 횟수를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 수록 스피치 브리핑 내용의 반복 횟수도 많게 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스피치 브리핑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스피치 브리핑의 목소리 톤(voice tone)을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 수록 스피치 브리핑 의 목소리 톤을 높혀,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통지 방식으로서 음향 통지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음향 통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높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음향 통지를 사용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음향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음향 통지의 오디오 볼륨을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 수록 음향 통지의 오디오 볼륨의 크기도 높힐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음향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음향(sound)의 반복 횟수를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 수록 음향의 반복 횟수도 많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통지 방식으로서 진동 통지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진동 통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높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진동 통지를 사용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진동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진동의 강도를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 수록 진동 강도를 높힐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진동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진동의 패턴을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 수록 진동 패턴의 불규칙성을 높혀,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진동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진동 패턴의 반복 횟수를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수록 진동 패턴의 반복 횟수도 많게 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진동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진동의 지속 시간을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수록 진동의 지속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통지 방식으로서 GUI 통지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GUI 통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높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GUI 통지를 사용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GUI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GUI 엘리먼트의 타입을 차별화할 수 있다. GUI 엘리먼트의 타입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측에 표시되는 알림 아이콘,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에 표시되는 팝업 창, 통지의 중단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데, 알람 이벤트에서는 통지의 중단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알람 중단을 제어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가 알람 이벤트의 통지를 개시하고, 퀴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퀴즈 애플리케이션의 퀴즈를 풀 때까지 통지는 중단되지 않으며, 퀴즈를 풀면 통지는 중단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GUI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GUI 엘리먼트의 크기를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수록 GUI 엘리먼트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GUI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GUI 엘리먼트의 컬러를 차별화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의 크기가 클수록 GUI 엘리먼트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하는 컬러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통지 방식으로서 또 다른 단말 장치를 통한 통지인 또 다른 단말 통지(another terminal notification)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또 다른 단말 통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높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또 다른 단말 통지를 사용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서 또 다른 단말 통지가 사용될 때,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이벤트 통지 또는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하는 또 다른 단말의 범위를 다음의 표8과 같이 차별화할 수 있다.
통지 강도 또 다른 단말의 범위의 제1 실시예
1 이벤트를 획득한 단말 장치
2 이벤트를 획득한 단말 장치 + 입을 수 있는 단말 장치
3 이벤트를 획득한 단말 장치 + 입을 수 있는 단말 장치 + 이동 단말기 (폰, 태블릿, 노트북 등)
4 이벤트를 획득한 단말 장치 + 입을 수 있는 단말 장치 + 이동 단말기 (폰, 태블릿 등) + 고정 단말기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벤트 통지 또는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하는 또 다른 단말 장치의 범위는 이벤트를 획득한 단말 장치, 입을 수 있는 단말 장치, 이동 단말기, 고정 단말기의 조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벤트 통지 또는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하는 또 다른 단말 장치의 범위는 이벤트를 획득한 단말 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에 속하는 단말 장치로 한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벤트 통지 또는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하는 또 다른 단말 장치의 범위는 이벤트를 획득한 단말 장치에 등록된 단말 장치로 한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에 따라 통지 방식으로서 통지 시점을 즉시 알림과 정기 알림 중에서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데,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통지 시점을 정기 알림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지 강도가 기준값보다 높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방식으로서 통지 시점을 즉시 알림으로 결정할 수 있다.
표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다양한 통지 방식은 조합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스피치 브리핑 통지 사용 여부, 스피치 브리핑 통지의 오디오 볼륨의 조절, 스피치 브리핑 통지의 내용 분량 조절, 진동 통지 사용 여부 등을 조합하여 통지 강도에 따라 통지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통지 강도 1 2 3
낮은 배터리 이벤트 오디오 볼륨 레벨 1 + 스피치 브리핑 반복 X1 오디오 볼륨 레벨 2 + 스피치 브리핑 반복 X2 오디오 볼륨 레벨 3 + 스피치 브리핑 반복 X3 + 진동 통지
부재중 통화 이벤트 오디오 볼륨 레벨 1 + 스피치 브리핑 내용 "부재중 통화" 오디오 볼륨 레벨 2 + 스피치 브리핑 내용 "부재중 통화가 N건 있습니다" 오디오 볼륨 레벨 3 + 진동 통지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사용자 A]로부터의 부재중 통화가 있습니다, [사용자 B]로부터의 부재중 통화가 있습니다.."
메시지 도착 이벤트 오디오 볼륨 레벨 1 + 스피치 브리핑 내용 "메시지" 오디오 볼륨 레벨 2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사용자 A]로부터의 메시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오디오 볼륨 레벨 3 + 진동 통지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사용자 A]로부터의 부재중 통화가 있습니다, 사용자 B로부터의 부재중 통화가 있습니다.."
일정 도달 이벤트 오디오 볼륨 레벨 1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일정" 오디오 볼륨 레벨 2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시간]에 [주제]에 관한 일정이 있습니다" 오디오 볼륨 레벨 3 + 진동 통지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시간]에 [주제]에 관한 일정이 있습니다. {일정 내용의 첫번째 문장}"
뉴스 이벤트 정기 알림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섹션][기사 제목]" 즉시 알림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섹션][기사 제목]{기사의 첫번째 문장}" 즉시 알림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섹션][기사 제목]{기사 전체 내용}"
한편, 이벤트 트리거에 통지 방식이 지정되어 있다면, 제어부(180)는 통지 강도와 이벤트 트리거에 지정된 통지 방식을 참조하여 최종 통지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결정한 통지 방식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를 통지한다(S305). 제어부(180)는 결정한 스피치 브리핑 통지 방식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텍스트 스피치 변환(text-to-speech)을 수행하여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벤트 트리거가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면, 제어부(180)는 이벤트 트리거의 텍스트를 말(speech)로 변환하여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벤트 트리거가 텍스트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제어부(180)는 이벤트 트리거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메모리(16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텍스트를 말(speech)로 변환하여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벤트 트리거를 위하여 지정된 멘트, 이벤트 트리거의 정보 및 이벤트 트리거의 텍스트 중 적어도 둘을 조합한 텍스트를 말(speech)로 변환하여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표 8의 따옴표("") 내의 텍스트 중에서 대괄호([])는 이벤트 트리거의 정보를 나타내며, 중괄호({})는 이벤트 트리거 내의 텍스트를 나타내며, 이외의 텍스트는 지정된 멘트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80)가 날씨 메시지에 해당하는 이벤트 트리거를 획득하였고, 이 날씨 메시지는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 현재 습도에 대한 정보, 오늘의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 내일의 날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스피치 브리핑 통지의 내용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좋은 아침입니다. 현재 온도는 [현재 온도]이고, 현재 습도는 [현재 습도]이며, 오늘의 최고 온도는 [오늘의 최고 온도]입니다. 내일의 날씨는 [내일의 날씨]로 예상됩니다."
텍스트 스피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설정된 목소리(voice)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텍스트 스피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를 위하여 설정된 목소리(voice)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텍스트 스피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가 속하는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하여 설정된 목소리(voice)를 이용할 수 있다.
기능에 해당하는 목소리의 설정은 변경될 수 있다. 기능에 해당하는 목소리의 변경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중에 제어부(180)가 단말기(100)를 락해제(unlock)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새로운 이벤트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새로운 이벤트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다(S307). 이때,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의 예는 전화 통화, 뉴스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날씨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각종 경고, 블루투스 페어링을 포함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 반응을 학습하여 그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조절한다(S309).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중의 사용자 반응에 기초하여 통지 레벨을 조절할 수 도 있고,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후의 사용자 반응에 기초하여 통지 레벨을 조절할 수 도 있으며,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중의 사용자 반응 및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후의 사용자 반응 모두에 기초하여 통지 레벨을 조절할 수 도 있다.
표 10는 사용자 반응 학습에 따른 통지 레벨 조절의 예를 보여준다.
이벤트의 종류 통지 레벨 증가 통지 레벨 감소
낮은 배터리 이벤트 사용자가 스피치 브리핑을 확인한 뒤 배터리를 충전할 때 사용자가 스피치 브리핑을 종료할 때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 1) 사용자가 스피치 브리핑을 확인하고 즉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때, 2) 개별 통화량이 기준값보다 큰 사용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올 때, 또는 3) 통화 횟수가 기준값보다 큰 사용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올 때 1) 연락처에 저장되지 않은 번호로 전화가 왔을 때 또는 2)걸려오는 전화에 응답하지 않고 종료할 때, 또는 3) 부재중 전화 이벤트의 확인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지 않을 때
메시지 도착 이벤트 스피치 브리핑을 확인하고 바로 메시지를 확인할 때, 또는 스피치 브리핑을 확인하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때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가 도착할 때, 또는 스피치 브리핑을 확인하고 바로 메시지를 삭제할 때, 또는 스피치 브리핑 이 무시될 때
일정 도달 이벤트 지정된 키워드(생일, 업무, 회신, 회의 등)를 포함하는 일정에 도달할 때 지정된 키워드를 포함하지 않는 일정에 도달할 때 또는 스피치 브리핑을 종료할 때
뉴스 이벤트 지정된 키워드(속보, 사용자 지정 키워드 등)를 포함하는 뉴스를 수신할 때 또는 사용자의 접근 빈도가 높은 뉴스를 수신할 때 사용자의 접근 빈도가 낮은 뉴스를 수신할 때
날씨 이벤트 날씨 변화가 상대적으로 클 때 또는 날씨 속보(폭염, 폭우, 폭설 등)가 발생할 때 날씨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때
SNS 이벤트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접속률이 증가할 때 또는 검색어 순위에서 상위권의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 항목이 발생할 때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접속률이 감소할 때
특히,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incoming call event)와 관련하여, 제어부(180)가 사용자가 스피치 브리핑을 확인하고 즉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거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상대방으로부터의 incoming call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증가할 수 있다.
또, 제어부(180)가 개별 통화량이 기준값보다 큰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상대방으로부터의 incoming call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전체 통화량 대비 개별 통화량이 기준값보다 큰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컨데, 기준값은 10%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또, 제어부(180)가 통화 횟수가 기준값보다 큰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상대방으로부터의 incoming call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전체 통화 횟수 대비 개별 통화 횟수가 기준값보다 큰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컨데, 기준값은 10%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벤트 통지 레벨 조절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벤트 통지 레벨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중에 이벤트 거부(또는 이벤트 통지 종료)의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S401), 이는 사용자가 새로운 이벤트를 인식했으나 이 새로운 이벤트에 관심이 낮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다음 통지를 위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감소하고(S403),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를 종료한다(S405). 실시예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중에 스피치 브리핑 통지 종료의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다음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위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레벨을 감소하고,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종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거부의 카운트가 기준 거부 카운트보다 크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이벤트의 거부의 카운트를 리셋할 수 있다.
표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새로운 이벤트는 사용자 반응을 요구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등록된 이벤트 (또는 이벤트) 요구되는 사용자 반응
배터리 낮은 배터리 이벤트 충전
알람 알람 이벤트 알람 종료
메시지 메시지 도착 이벤트 메시지 확인
전화 걸려오는 전화 이벤트 (incoming call event) 전화 수락(call acceptation)
전화 부재중 통화 이벤트 부재중 통화 확인, 또는 부재중 통화에 해당하는 상대방에게 통화 시도
전화 낮은 전화 신호 강도 이벤트 전화 신호 강도 확인
뉴스 뉴스 이벤트 뉴스 확인
날씨 날씨 이벤트 날씨 확인
일정 일정 도달 이벤트 일정 확인
단말기 온도 높은 단말기 온도 이벤트 단말기 사용량 감소
Wi-Fi 낮은 Wi-Fi 신호 강도 이벤트 Wi-Fi 신호 강도 확인
DMB 낮은 DMB 신호 강도 이벤트 DMB 신호 강도 확인
블루투스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페어링 수락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에 대하여, 제어부(180)가 이벤트 승인의 사용자 입력(새로운 이벤트가 요구하는 사용자 반응)을 감지하면(S407), 이는 사용자가 새로운 이벤트를 인식했고 이 새로운 이벤트에 관심이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다음 통지를 위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증가시킨다(S409). 실시예에서, 제어부(180)가 새로운 이벤트가 요구하는 사용자 반응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다음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위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새로운 이벤트가 요구하는 사용자 반응의 카운트가 기준 사용자 반응 카운트보다 크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이벤트가 요구하는 사용자 반응의 카운트를 리셋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새로운 이벤트의 승인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새로운 이벤트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새로운 이벤트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다(S411). 이때,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의 예는 전화 통화, 뉴스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날씨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각종 경고, 블루투스 페어링을 포함한다.
한편, 이벤트 통지 종료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나 새로운 이벤트가 요구하는 사용자 반응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새로운 이벤트를 인지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사용자가 새로운 이벤트를 인지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면(S413), 새로운 이벤트가 다음에 더 강하게 통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다음 통지를 위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증가시킨다(S415). 실시예에서 제어부(180)가 사용자가 새로운 이벤트를 인지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다음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위하여 새로운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이벤트를 인지하지 못한 카운트가 기준 비인지 카운트(reference non-recognition count)보다 크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증가시키고, 사용자가 새로운 이벤트를 인지하지 못한 카운트를 리셋할 수 있다.
기준 거부 카운트, 기준 사용자 반응 카운트, 기준 비인지 카운트와 같은 기준 카운트는 통지 레벨과 무관하게 상수일 수도 있으나, 통지 레벨에 따라 가변할 수도 있다. 예컨데, 통지 레벨 1, 2, 3을 위한 기준 카운트는 각각 1, 2, 3일 수 있다. 기준 카운트의 값은 통지 레벨의 증가에 따라 증가할 수도 있고, 통지 레벨의 증가에 따라 감소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벤트 트리거가 발생하면, 이벤트를 통지한 후 이벤트의 통지 레벨이 변경된다. 그러나, 실시예에서, 이벤트 트리거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이벤트 트리거의 반복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조정하고, 이벤트를 통지한 후,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반응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재조정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지 우선 순위의 변경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지 우선 순위의 변경 방법을 보여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보여준다.
특히, 도 5에서, 이벤트의 통지 우선 순위는 그 이벤트가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통지 우선 순위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가 스피치 브리핑 설정 메뉴 진입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더 구체적으로 통지 우선 순위의 설정 메뉴 진입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S1001), 제어부(180)는 통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기능(구체적으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1003). 이때, 스피치 브리핑 설정 메뉴 진입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해당 설정 메뉴 진입에 해당하는 아이콘과 같은 항목의 터치일 수 있다.
제어부(180)가 통지 우선 순위의 변경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우선 순위를 변경한다(S1005). 이때, 제어부(180)가 한 기능의 통지 우선 순위의 변경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그 기능의 통지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한 기능의 통지 우선 순위의 변경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그 기능(애플리케이션)을 드래그 및 드랍(drag and drop)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특히, 도 5는 전화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의 변경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통지 우선 순위의 설정 메뉴 진입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현재 스피치 브리핑 리스트에 등록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리스트로 보여준다. 사용자가 전화 항목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우선 순위에 드랍하면, 제어부(180)는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를 해당 위치에 해당하는 우선 순위로 변경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전화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날씨 애플리케이션, 뉴스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순서로 높은 스피치 브리핑 통지 우선 순위가 할당된다.
도 5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통지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도 5 및 그 설명에 해당하는 실시예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통지 레벨을 변경하는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에 목소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에 목소리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가 스피치 브리핑 설정 메뉴 진입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S1101), 제어부(180)는 통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기능(구체적으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1103). 이때, 스피치 브리핑 설정 메뉴 진입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해당 설정 메뉴 진입에 해당하는 아이콘과 같은 항목의 터치일 수 있다.
제어부(180)가 한 기능의 목소리 설정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1105). 이때, 제어부(180)가 복수의 목소리 중 하나의 선택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목소리를 해당 기능에 설정할 수 있다.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기능의 목소리 설정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해당 기능에 해당하는 리스트 항목의 우측에 위치한 사운드 아이콘 버튼의 터치 클릭일 수 있다. 복수의 목소리 중 하나의 선택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목소리를 위한 복수의 리스트 항목 중 하나의 터치 클릭일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보여준다.
배터리가 30% 남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1 (또는 통지 강도 1)의 로우 배터리 이벤트를 통지한다(S1151). 이때, 제어부(180)는 볼륨 레벨 1으로 스피치 브리핑을 1회 수행하여 로우 배터리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다.
통지 레벨 1의 로우 배터리 이벤트의 통지에도 불구하고 충전이 시작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킨다(S1153).
배터리가 20% 남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2 (또는 통지 강도 2)의 로우 배터리 이벤트를 통지한다(S1155). 이때, 제어부(180)는 볼륨 레벨 2로 스피치 브리핑을 2회 수행하여 로우 배터리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다.
통지 레벨 2의 로우 배터리 이벤트의 통지에도 불구하고 충전이 시작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킨다(S1157).
배터리가 10% 남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3 (또는 통지 강도 3)의 로우 배터리 이벤트를 통지한다(S1159). 이때, 제어부(180)는 볼륨 레벨 3으로 스피치 브리핑을 3회 수행하고 진동을 발생시켜 로우 배터리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지를 종료하여 무시한 이후에도 계속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을 때, 지속적인 통지는 단말기의 사용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다음 통지를 위하여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감소할 수 있다.
예컨데, 게임 중 배터리 충전 알림 팝업이 발생되면 게임에 방해가 되므로, 제어부(180)는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다음 통지를 위하여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감소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게임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다음의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데, 제어부(180)는 상태 바에서 낮은 배터리 이벤트와 관련된 G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낮은 배터리 이벤트가 통지된 후 바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3회 이상 충전하면, 제어부(180)는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다음 통지를 위하여 낮은 배터리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증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씨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씨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보여준다.
제어부(180)가 날씨 메시지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1 (또는 통지 강도 1)의 날씨 이벤트를 통지한다(S1201). 이때, 제어부(180)는 볼륨 레벨 1으로 스피치 브리핑을 1회 수행하여 날씨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새로운 날씨 메시지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날씨가 변화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날씨가 변화되었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킨다(S1203).
이후,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2 (또는 통지 강도 2)의 날씨 이벤트를 통지한다(S1205). 이때, 제어부(180)는 볼륨 레벨 2로 스피치 브리핑을 2회 수행하여 날씨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지 레벨 2의 스피치 브리핑의 내용은 통지 레벨 1의 스피치 브리핑의 내용보다 상세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새로운 날씨 메시지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날씨 메시지가 속보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한다. 날씨 메시지가 속보에 해당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킨다(S1203).
이후,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3 (또는 통지 강도 3)의 날씨 이벤트를 통지한다(S1205). 이때, 제어부(180)는 볼륨 레벨 3으로 스피치 브리핑을 3회 수행하고 진동을 발생시켜 날씨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지 레벨 3의 스피치 브리핑의 내용은 통지 레벨 2의 스피치 브리핑의 내용보다 상세할 수 있다.
다음은 도 9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출근을 위해 모닝콜을 설정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모니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알람 이벤트를 등록한다(S1301). 이때, 모니콜 설정 정보는 모니콜 날짜에 대한 정보, 모니콜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콜 시간에 도달하면, 제어부(180)는 알람 이벤트를 통지하여(S1303), 알람이 개시된다(S1303).
사용자가 어제 새벽까지 과제를 한 탓에 일어나기가 힘들어 "다시 알림" 버튼을 누르고 다시 잠을 자는 것을 3회 반복하면(S1305), 제어부(180)는 해당 알람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3만큼 증가 시킨다(S1307).
이후 해당 알람 이벤트가 다시 통지되는 시점에 도달하면, 해당 알람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3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80)는 "다시 알림" 버튼 없이 퀴즈 풀이를 요구하면서 큰 진동 세기와 큰 볼륨의 스피치 브리핑을 가지는 알람 이벤트를 통지한다(S1309).
제어부(180)가 퀴즈에 대한 옳은 답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알람 이벤트의 통지를 정상적으로 종료한다(S1311).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정말로 일어났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질의 스피치를 출력하고, 이 질의 스피치에 대하여 "Yes", "응", "네"와 같은 긍적적 대답을 획득하면, 통지 레벨을 1만큼 감소시킨다. 긍정적 대답이 획득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알람 이벤트의 통지를 다시 시작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첫째날에 사용자가 출근을 위해 모닝콜을 설정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모니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알람 이벤트를 등록한다(S1401).
사용자는 오늘 컨디션이 좋아서 알람이 시작되면 바로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S1403).
알람이 시작된다. 사용자가 퀴즈를 올바로 풀어 제어부(180)는 정상적으로 알람을 종료하고(S1405), 해당 알람 이벤트의 통지를 1만큼 감소한다(S1407).
둘째 날에, 통지 레벨 2의 알람 이벤트가 통지된다. 알람 이벤트의 통지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키고,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통지 레벨을 1만큼 감소시킨다(S1409). 레벨 2의 알람 이벤트의 통지 지속 시간은 레벨 3의 알람 이벤트의 통지 지속 시간의 절반에 해당할 수 있다. 통지 레벨은 최대값이 5이고, 최소값이 -5 이며, 1주일에 한번씩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테더링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테더링 방법을 보여준다.
도 11을 참고하면,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및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처음에는 1이다(S1501).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와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는 단일의 블루투스 페어링 이벤트로 관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및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는 단일의 블루투스 데이터 이벤트로 관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및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 중 둘 이상은 단일의 블루투스 이벤트로 관리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이들 블루투스 관련 이벤트들의 통지 레벨은 1부터 3까지의 범위를 가진다고 가정하고 설명된다. 그러나, 이 통지 레벨의 범위는 공장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데, 이들 블루투스 관련 이벤트들의 통지 레벨은 0부터 5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소정의 기간동안 페어링되지 않은 블루투스 장치를 위한 블루투스 관련 이벤트들의 통지 레벨은 감소될 수 있다. 예컨데, 1주일 동안 페어링되지 않은 블루투스 장치를 위한 블루투스 관련 이벤트들의 통지 레벨은 1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들 블루투스 관련 이벤트들의 통지 레벨(또는 통지 강도)에 따른 통지 방식은 표 12과 같을 수 있다.
통지 강도 1 2 3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페어링 수락 여부를 질의하는 팝업 창 ON + 스피치 브리핑 "[팝업 창에 기재된 전체 텍스트]" 페어링 수락 여부를 질의하는 팝업 창 OFF + 간소화된 스피치 브리핑 "페어링 중입니다 " 통지 없음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페어링 완료를 통지하는 팝업 창 ON + 스피치 브리핑 "[팝업 창에 기재된 전체 텍스트]" 페어링 완료를 통지하는 간소화된 팝업 창 ON + 간소화된 스피치 브리핑 "페어링 완료" 페어링 완료를 통지하는 팝업 창 OFF + 간소화된 스피치 브리핑 "페어링 완료"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데이터 교환 개시를 통지하는 팝업 창 ON + 스피치 브리핑 "[팝업 창에 기재된 전체 텍스트]" 데이터 교환 개시를 통지하는 팝업 창 OFF + 간소화된 스피치 브리핑 "데이터 교환 중입니다" 통지 없음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 데이터 교환 완료를 통지하는 팝업 창 ON + 스피치 브리핑 "[팝업 창에 기재된 전체 텍스트]" 데이터 교환 완료를 통지하는 간소화된 팝업 창 ON + 간소화된 스피치 브리핑 "데이터 교환 완료" 데이터 교환 완료를 통지하는 팝업 창 OFF + 간소화된 스피치 브리핑 "데이터 교환 완료"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연결 타겟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1의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를 통지한다(S1503). . 블루투스 연결 타겟 장치의 예는 무선 키보드, 마우스, 헤드셋을 포함한다. 통지 레벨 1의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의 통지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원하는지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원한다는 사용자 응답을 획득하면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1의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를 통지한다(S1505).
페어링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S1507). 페어링 완료의 카운트가 기준값(예컨데 5)이상이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1의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를 통지한다(S1509). 통지 레벨 1의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의 통지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을 원하는지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을 원한다는 사용자 응답을 획득하면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1의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를 통지한다(S1511).
데이터 교환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S1513). 데이터 교환 완료의 카운트가 기준값(예컨데 5)이상이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및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2이다(S1521).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연결 타겟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2의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를 통지한다(S1523). 이때,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원하는지 사용자에게 질의하지 않고서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2의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를 통지한다(S1525).
페어링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S1527). 페어링 완료의 카운트가 기준값(예컨데 5)이상이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2의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를 통지한다(S1529). 이때,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을 원하는지 사용자에게 질의하지 않고서 자동으로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2의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를 통지한다(S1531).
데이터 교환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S1533). 데이터 교환 완료의 카운트가 기준값(예컨데 5)이상이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및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3이다(S1541).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의 통지 레벨이 3일 때,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와 관련하여 아무런 통지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원하는지 사용자에게 질의하지 않고서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3의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를 통지한다(S1545).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의 통지 레벨이 최대값(예컨데 3)일 때,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페어링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유지시킨다(S1547).
제어부(180)가 이벤트 트리거로서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 3의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를 통지한다(S1549).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의 통지 레벨이 3일 때,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와 관련하여 아무런 통지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을 원하는지 사용자에게 질의하지 않고서 자동으로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 이벤트의 통지 레벨이 최대값일 때,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개시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교환 완료 이벤트, 블루투스 데이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레벨을 유지시킨다(S1553).
다음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신호 강도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낮은 신호 강도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DMB, Wi-Fi, 전화와 같은 통신의 사용 중 또는 통신 접속 시도 중에, 제어부(180)가 기준값보다 낮은 신호 강도를 이벤트 트리거로서 획득하면(S1601), 제어부(180)는 낮은 신호 강도 이벤트를 통지한다(S1603).
낮은 신호 강도 이벤트의 통지에도 불구하고, 제어부(180)가 이벤트 통지 종료의 사용자 입력이나 계속적 통신 접속 시도를 감지하면(S1605), 신호 강도가 낮더라도 통신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의도를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이벤트의 통지를 계속하는 것은 사용자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통지 레벨을 감소시킨다(S1607)
낮은 신호 강도 이벤트의 통지 레벨(또는 통지 강도)에 따른 통지 방식은 표 13와 같을 수 있다.
통지 강도 1 2 3
낮은 신호 강도 이벤트 가장 짧은 통지 주기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신호가 약합니다" 낮은 신호 강도를 알리는 팝업 창 + 짧은 통지 주기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신호가 약합니다" 낮은 신호 강도를 알리는 팝업 창 + 긴 통지 주기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신호가 약합니다"
다음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80)는 사용가능한 통신 데이터의 잔여량을 기준량과 비교한다(S1701).
데이터 한도량 대비 데이터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크면, 제어부(180)는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최소값(예컨데 1)로 설정하고(S1703), 아무런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다(S1705).
데이터 한도량 대비 데이터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어부(180)는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기준 스텝(예컨데 1)만큼 증가시키고(S1707),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 위치하는 통지 바(notification bar)에 사용량과 잔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고(S1709), 사용량과 잔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스피치 브리핑한다(S1711).
통신 데이터가 더 이상 남아있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최대값(예컨데 3)으로 설정하고(S1713),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 위치하는 통지 바(notification bar)에 통신 데이터 잔여량이 없음을 디스플레이하고(S1715), 통신 데이터 잔여량이 없음을 스피치 브리핑하며(S1717), 데이터 한도량을 초과하여 사용할지를 질의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한다(S1719).
데이터 한도량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최소값(예컨데 1)로 설정한다(S1721).
데이터 한도량을 초과하여 사용하겠다는 응답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데이터 한도량을 변경할지를 질의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한다(S1723).
데이터 한도량을 초과하여 사용하겠다는 응답을 획득했지만, 데이터 한도량이 변경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최소값(예컨데 1)로 설정한다(S1725).
데이터 한도량을 초과하여 사용하겠다는 응답을 획득했고, 데이터 한도량의 변경으로 데이터 한도량 대비 데이터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크면(S1727), 제어부(180)는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최소값(예컨대 1)로 설정한다(S1729).
데이터 한도량을 초과하여 사용하겠다는 응답을 획득했고, 데이터 한도량의 변경으로 데이터 한도량 대비 데이터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작으면(S1727), 제어부(180)는 통신 데이터 잔여량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기준 스텝(예컨대 1)만큼 감소한다(S1731).
다음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통화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통화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특정 상대방로부터의 부재 중 통화의 카운트가 0일 때, 해당 상대방의 부재 중 통화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0과 같은 최소값으로 설정된다(S1801).
이벤트 트리거로서 상기 상대방으로부터의 부재 중 통화가 발생하면(S1803), 제어부(180)는 이 상대방으로부터의 부재 중 통화의 카운트를 1만큼 증가 시킨다(S1805).
제어부(180)는 이 상대방으로부터의 부재 중 통화의 카운트를 기준 카운트와 비교한다(S1807). 이때, 기준 카운트는 통지 레벨과 무관하게 상수일 수도 있으나, 통지 레벨에 따라 가변할 수도 있다. 예컨데, 통지 레벨 1, 2, 3을 위한 기준 카운트는 각각 1, 2, 3일 수 있다. 기준 카운트의 값은 통지 레벨의 증가에 따라 증가할 수도 있고, 통지 레벨의 증가에 따라 감소할 수도 있다.
이 상대방으로부터의 부재 중 통화의 카운트가 기준 카운트보다 작으면, 제어부(180)는 이 상대방의 부재 중 통화 이벤트를 현재의 통지 레벨에 따라 통지한다(S1813).
이 상대방으로부터의 부재 중 통화의 카운트가 기준 카운트보다 작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이 상대방의 부재 중 통화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1과 같은 기준 스텝 만큼 증가시키고(S1809), 이 상대방으로부터의 부재 중 통화의 카운트를 리셋하고(S1811), 이 상대방의 부재 중 통화 이벤트를 증가된 통지 레벨에 따라 통지한다(S1813).
사용자 반응으로서 상대방에 대한 전화 시도가 이루어지면(S1813), 제어부(180)는 이 상대방의 부재 중 통화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최소값으로 변경한다(S1815). 이 부재 중 통화 이벤트의 통지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에 대한 전화 시도가 이루어 지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이 상대방의 부재 중 통화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변경하지 않는다.
다음은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온도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온도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단말기 온도가 정상 범위에 있을 때, 단말기 온도 이벤트의 통지 레벨은 0과 같은 최소값으로 설정된다(S1901).
이벤트 트리거로서 단말기 온도가 첫번째 경고 온도에 도달하면(S1903), 제어부(180)는 단말기 온도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1과 같은 기준 스텝 만큼 증가시키고(S1905), 증가된 통지 레벨(1)에 따라 단말기 온도 이벤트를 통지한다(S1907).
이벤트 트리거로서 단말기 온도가 두번째 경고 온도에 도달하면(S1909), 제어부(180)는 단말기 온도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1과 같은 기준 스텝 만큼 증가시키고(S1911), 증가된 통지 레벨(2)에 따라 단말기 온도 이벤트를 통지한다(S1913).
이벤트 트리거로서 단말기 온도가 세번째 경고 온도에 도달하면(S1915), 제어부(180)는 단말기 온도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1과 같은 기준 스텝 만큼 증가시키고(S1917), 증가된 통지 레벨(3)에 따라 단말기 온도 이벤트를 통지한다(S1919).
세번째 경고 온도는 두번째 경고 온도보다 높고, 두번째 경고 온도는 첫번째 경고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단말기 온도의 통지 레벨(또는 통지 강도)에 따른 통지 방식은 표 14와 같을 수 있다.
통지 레벨(통지 강도) 1 2 3
단말기 온도 이벤트 오디오 볼륨 레벨 1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온도를 낮춰야 합니다" 오디오 볼륨 레벨 2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온도를 낮춰야 합니다. [M]분 후 단말기는 power off됩니다." 오디오 볼륨 레벨 3 + 진동 통지 + 빨간색 경고 화면 + 반짝임 효과 + 스피치 브리핑 내용 "온도를 낮춰야 합니다. 잠시 후 단말기는 power off됩니다."
단말기 온도가 최대 경고 온도에 도달하여 단말기 온도 이벤트의 통지 레벨이 최대값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의사에 무관하게 단말기(100)의 보호를 위하여 단말기를 턴오프한다(S1923).
사용자 반응으로서 단말기 사용량이 감소하여 단말기 온도가 내려가면(S1925), 제어부(180)는 단말기 온도 이벤트의 통지 레벨을 기준 스텝(1) 만큼 감소한다(S1927).
다음은 도 18와 도 1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도착 이벤트의 통지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도 18과 도 19는 전화 형 단말기보다 상대적으로 메시지 작성과 메시지 확인이 불편한 입을 수 있는 단말 장치(wearable terminal device)에 적용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스피치를 마이크(122)를 통해 획득한다(S601).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는 획득한 스피치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peech-to-text를 수행한다(S603).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스피치로부터 스피치 속도 정보를 스피치 특성 정보로서 획득한다(S605). 스피치 속도 정보는 사용자가 얼마만큼 빠르게 말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절대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평소보다 얼마만큼 빠르게 말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상대 정보일 수도 있다.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100a)는 사용자의 스피치 속도를 누적 평균하여 스피치 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피치 속도 정보의 값은 상, 중, 하의 3개의 등급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스피치로부터 스피치 목소리 톤 정보를 스피치 특성 정보로서 획득한다(S607). 스피치 속도 정보는 사용자가 얼마만큼 높은 목소리 톤으로 말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절대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평소보다 얼마만큼 높은 목소리 톤으로 말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상대 정보일 수도 있다.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100a)는 사용자의 목소리 톤을 누적 평균하여 목소리 톤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목소리 톤 정보의 값은 상, 중, 하의 3개의 등급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스피치로부터 스피치 단어 중요도 정보를 스피치 특성 정보로서 획득한다(S609). 스피치 단어 중요도 정보는 사용자가 얼마만큼 중요한 단어를 사용하여 말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절대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평소보다 얼마만큼 중요한 단어를 사용하여 말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상대 정보일 수도 있다.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100a)는 사용자의 스피치 단어 중요도를 누적 평균하여 스피치 단어 중요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피치 단어 중요도 정보의 값은 상, 중, 하의 3개의 등급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는 스피치 속도 정보, 스피치 목소리 톤 정보, 스피치 단어 중요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피치 파리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통지 레벨을 결정한다(S611).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스피치가 변환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S613). 이때, 메시지는 스피치 속도 정보, 스피치 목소리 톤 정보, 스피치 단어 중요도 정보, 통지 레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중요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는 생성한 메시지를 지정된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S615). 메시지 송신 단말 장치(100a)는 생성한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에 직접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생성한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에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651).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는 수신 메시지의 스피치 특성 정보, 수신 메시지의 통지 레벨, 수신 메시지와 관련하여 단말 장치에 등록된 메시지 수신 이벤트의 통지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지 강도를 결정한다(S653). 수신 메시지가 통지 레벨을 가지지 않는 경우,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는 수신 메시지의 스피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메시지의 통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는 수신 메시지의 스피치 특성 정보, 수신 메시지의 통지 레벨, 수신 메시지의 통지 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지 방식을 결정한다(S655). 예컨데,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가 스피치 특성 정보와 수신 메시지 통지 강도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통지한다면,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는 상대방이 말하는 속도, 목소리 톤 대로 통지 강도에 해당하는 볼륨, 반복, 내용에 따라 메시지 텍스트를 스피치 브리핑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단말 장치는 결정한 통지 방식에 따라 메시지의 수신을 메시지 수신 이벤트로서 통지한다(S657).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단말 장치에 있어서,
    통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발생하는 복수의 이벤트 중 제1 이벤트를 나타내는 이벤트 트리거를 획득하고, 복수의 통지 레벨 중 상기 제1 이벤트에 할당된 제1 통지 레벨을 체크하고, 상기 이벤트 트리거로부터 상기 제1 이벤트의 중요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중요도 정보와 상기 제1 이벤트에 할당된 상기 제1 통지 레벨에 기초하여 통지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지 강도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이벤트의 통지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벤트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통지 레벨 중 상응하는 통지 레벨이 할당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통지 강도에 따라 상기 제1 이벤트의 스피치 브리핑 통지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설정에 무관하고, 상기 이벤트 트리거 내에 포함되며,
    상기 통지 레벨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이벤트를 얼마만큼 중요하게 간주하는지를 나타내는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트리거는 사용자 스피치가 변환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이며,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스피치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중요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스피치의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스피치의 특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 스피치의 스피치 속도 정보, 스피치 목소리 톤 정보, 스피치 단어 중요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의 사용자 브리핑 통지 중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 레벨을 변경하는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의 사용자 브리핑 통지 중의 사용자 입력이 통지 종료에 해당하면, 상기 통지 레벨을 감소하는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의 사용자 브리핑 통지 중의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이벤트가 요구하는 사용자 반응에 해당하면, 상기 통지 레벨을 증가하는
    단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의 사용자 브리핑 통지 중의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통지 레벨을 증가하는
    단말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의 통지 중에 상기 단말 장치를 언락하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상기 제1 이벤트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이벤트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165448A 2013-12-27 2013-12-27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448A KR102201634B1 (ko) 2013-12-27 2013-12-27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14196819.8A EP2889771B1 (en) 2013-12-27 2014-12-08 Event handling and notification on a mobile terminal
EP16169527.5A EP3086231B1 (en) 2013-12-27 2014-12-08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4/582,605 US9596672B2 (en) 2013-12-27 2014-12-24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1410830133.1A CN104754115B (zh) 2013-12-27 2014-12-26 终端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448A KR102201634B1 (ko) 2013-12-27 2013-12-27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822A KR20150076822A (ko) 2015-07-07
KR102201634B1 true KR102201634B1 (ko) 2021-01-12

Family

ID=5210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448A KR102201634B1 (ko) 2013-12-27 2013-12-27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96672B2 (ko)
EP (2) EP3086231B1 (ko)
KR (1) KR102201634B1 (ko)
CN (1) CN104754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6488B2 (en) 2010-06-18 2014-06-17 Swee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on of an application runtime environment into a user computing environment
US8775917B2 (en) * 2012-08-09 2014-07-08 Swee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ert management
US8775925B2 (en) 2012-08-28 2014-07-08 Swee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sted applications
US20160210021A1 (en) * 2015-01-21 2016-07-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er-Implemented Tools for Exploring Event Sequences
CN105515953A (zh) * 2015-12-21 2016-04-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通知消息的处理方法、装置和设备
CN106375574A (zh) * 2016-08-31 2017-02-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通知提醒方法及终端
JP7009479B2 (ja) * 2016-11-26 2022-01-25 華為技術有限公司 メッセージ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10708313B2 (en) * 2016-12-30 2020-07-07 Google Llc Multimodal transmission of packetized data
US10839811B2 (en) 2018-06-08 2020-11-17 The Toronto-Dominion Bank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privacy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voice assistant
US10831923B2 (en) 2018-06-08 2020-11-10 The Toronto-Dominion Bank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privacy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voice assistant
CN109388238A (zh) * 2018-08-31 2019-02-26 北京羽扇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US11023200B2 (en) * 2018-09-27 2021-06-01 The Toronto-Dominion Bank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udible alerts
US10978063B2 (en) * 2018-09-27 2021-04-13 The Toronto-Dominion Bank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udible alerts
DE102019209315A1 (de) * 2019-06-27 2020-12-31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sgabevorrichtung, Speichermedium, mobiles portables Endgerät, Personalisierungs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US11868596B2 (en) * 2021-07-28 2024-01-09 Capital One Services, Llc Color-based system for generating notif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414A (ja) * 2000-07-24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メール着信通知装置及び電子メール着信通知方法
JP2009089229A (ja) * 2007-10-02 2009-04-23 Sony Broadband Solution Corp 機器監視システム
KR101203080B1 (ko) 2007-07-30 2012-11-21 텔코디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매시-업, 또는 개인화된 믹스처, 및 연관된 컨텍스트 제안들을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2782C (fi) * 1993-02-09 1994-12-27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puhelimien asetusten ryhmittely
US20010056508A1 (en) * 2000-05-12 2001-12-27 Kenneth Arneson Event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7844666B2 (en) * 2000-12-12 2010-11-3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s and displays for acquiring preferences, inspecting behavior, and guiding the learning and decision policies of an adaptive communications prioritization and routing system
US7250955B1 (en) * 2003-06-02 2007-07-3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notification window from completely transparent to intermediate level of opacity as a function of time to indicate an event has occurred
US20050204009A1 (en) * 2004-03-09 2005-09-15 Devapratim Hazarika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ioritizing messages
CA2605120C (en) * 2005-04-18 2012-08-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hosting and executing a component application
US8868028B1 (en) * 2008-01-17 2014-10-21 Calvin L. Kaltsukis Network server emergency information accessing method
US8819701B2 (en) * 2009-12-12 2014-08-26 Microsoft Corporation Cloud comput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US20110161987A1 (en) * 2009-12-30 2011-06-30 Anqi Andrew Huang Scaling notifications of events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8312096B2 (en) * 2010-12-08 2012-11-13 Google Inc. Priority inbox notifications and synchronization for mobile messaging application
JP5749524B2 (ja) * 2011-03-09 2015-07-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US8346881B1 (en) * 2012-05-18 2013-01-01 Google Inc. Prioritization of incoming communications
US9195519B2 (en) * 2012-09-06 2015-11-24 Box, Inc. Disabling the self-referential appearance of a mobile application in an intent via a background regist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414A (ja) * 2000-07-24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メール着信通知装置及び電子メール着信通知方法
KR101203080B1 (ko) 2007-07-30 2012-11-21 텔코디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매시-업, 또는 개인화된 믹스처, 및 연관된 컨텍스트 제안들을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09089229A (ja) * 2007-10-02 2009-04-23 Sony Broadband Solution Corp 機器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6672B2 (en) 2017-03-14
EP2889771A1 (en) 2015-07-01
CN104754115A (zh) 2015-07-01
EP2889771B1 (en) 2016-06-22
EP3086231A1 (en) 2016-10-26
CN104754115B (zh) 2019-06-25
EP3086231B1 (en) 2021-03-17
KR20150076822A (ko) 2015-07-07
US20150223200A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634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71911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58208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91606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97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1894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125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3677261A (zh) 用户装置的情景感知服务提供方法和设备
KR10158226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정보 표시 제어 방법
KR101569116B1 (ko) 일정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0044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76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6772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14681A (ko) 대화 스레드내에서 대화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98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25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 호 제어 방법
KR20150094057A (ko) 이동단말 제어방법
KR20140127553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4461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1000224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15002078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0486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이동 단말기
KR20140094090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05189B1 (ko) 대화 스레드내에서 기능 전환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673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