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95B1 -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95B1
KR102201495B1 KR1020180147119A KR20180147119A KR102201495B1 KR 102201495 B1 KR102201495 B1 KR 102201495B1 KR 1020180147119 A KR1020180147119 A KR 1020180147119A KR 20180147119 A KR20180147119 A KR 20180147119A KR 102201495 B1 KR102201495 B1 KR 10220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filament
filament composition
manufacturing
bone m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044A (ko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이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규 filed Critical 이덕규
Priority to KR102018014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1Rapid manufacturing of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ng, agglomerating or laminating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본 발명에서는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골분을 포함하면서도 사람의 얼굴, 상반신, 전신, 흉상, 애완 동물의 형상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TRUCTURE INCLUDING BONE DUST USING 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우리나라의 장례는 매장 문화가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매장에 의한 장례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전통적인 유교사상으로 인해 화장 문화가 국민들에게 제대로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에서 묘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매장에 어려움이 있으며, 매장에 의해 토양 및 수질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 관리의 문제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화장을 실시하는 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통상적으로 화장 후 수득된 골분은 유골함에 담겨 납골당에 보관된다.
한편, 골분을 유골함에 담아 보관하는 행위, 납골당 등은 혐오 시설물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화장 후 남은 골분을 이용하여 구슬 모양 등 특정 형태의 구조체를 제작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26992호에서는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골분으로 만드는 단계, 상기 골분을 응고제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주형 틀에 부어 소정의 형상 또는 모양으로 만들어 고형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을 고형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들은 골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조체의 형태가 원형, 사각형 등으로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2001-00269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골분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을 적용하여 3D 프린터로 인쇄함으로써, 고인의 얼굴, 흉상, 전신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단계는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을 1차 가열하는 제 1-1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냉각하여 고체화하는 제 1-2 단계, 상기 고체화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2차 가열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 및 성형하는 제 1-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2 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열처리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골분 1 ~ 40 중량%, 상기 고분자 수지 45 ~ 95 중량%, 상기 금속 분말 1 ~ 50 중량% 및 상기 세라믹 0.1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ABS(Acrylonitile Poly-Butadiene Styrene), PLA(Poly-Lactic Acid),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HIPS(High Impact Polystyrene), PVA(Poly-Vinyl Alcohol),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C(Polycarbonate) 및 Nyl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분말은 Pb, Sn, Bi, Zn, Cu, Ga, In, Ag, Te, Hg, Tl, Sb, Se 및 Po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은 안료, 오일, 왁스, 지방산, 용매 및 수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분을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적용한 3D 프린터로 인쇄함으로써, 골분을 포함하면서도 사람의 얼굴, 상반신, 전신, 흉상, 애완 동물의 형상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랑하는 사람 또는 애완 동물과의 추억을 되새길 수 있고, 상기와 같은 구조체는 혐오스러움이 없어 생활 공간에서도 보관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존의 납골당을 아트 갤러리처럼 조성할 수 있어 납골당을 혐오 시설이 아닌 문화 시설로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골분을 유골함에 보관할 때와 달리 생활 공간에서 보관할 수 있음에 따라, 유골함 내 습기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제조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골분을 포함하면서도 사람의 얼굴, 상반신, 전신, 흉상, 애완 동물의 형상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본 실시예의 제 1 단계에서는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로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더 상세히, 본 실시예의 제 1 단계는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을 1차 가열하는 제 1-1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냉각하여 고체화하는 제 1-2 단계, 상기 고체화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2차 가열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 및 성형하는 제 1-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1)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을 1차 가열하는 제 1-1 단계
본 실시예의 제 1-1 단계에서는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를 교반하면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을 50 ~ 450 ℃ 로 가열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골분은 시신을 화장한 후 수득된 유골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골분을 1 ~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골분을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3D 프린터로 인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ABS(Acrylonitile Poly-Butadiene Styrene), PLA(Poly-Lactic Acid),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HIPS(High Impact Polystyrene), PVA(Poly-Vinyl Alcohol),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C(Polycarbonate) 및 Nyl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45 ~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4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필라멘트로서의 특성이 저하되어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9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골분, 금속 분말 등의 함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금속 분말은 Pb, Sn, Bi, Zn, Cu, Ga, In, Ag, Te, Hg, Tl, Sb, Se 및 Po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이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금속 분말을 1 ~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금속 분말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필라멘트로서의 특성이 저하되어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금속 분말을 5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골분, 고분자 수지 등의 함량이 적어지고, 필라멘트로서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세라믹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로 제조된 구조체를 열처리할 경우에는 세라믹에 의해, 본 실시예의 구조체는 도자기와 같이 매끈하면서도 단단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라믹은 분말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라믹으로는 공지된 모든 종류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Al2O3, FeSi, SiC, Si3N4, TiC, TiB2, Y2O3, ZrB2, HfB2, ZrO2, ZnO, WC, W2C, CrB2, BN 및 CeO2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세라믹을 0.1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세라믹 분말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필라멘트로서의 특성이 저하되어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필라멘트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세라믹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골분, 고분자 수지 등의 함량이 적어지고, 필라멘트로서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은 안료, 오일, 왁스, 지방산, 용매 및 수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2)상기 1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냉각하여 고체화하는 제 1-2 단계
본 실시예의 제 1-2 단계에서는 상기 제 1-1 단계에서 1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냉각하여 고체화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제 1-1 단계에서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1-2 단계에서는 고체화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볼 밀(ball mill), 압착, 그라인딩 등 공지의 방법으로 분말화하여 분쇄 및 분산시킬 수 있다.
(1-3)상기 고체화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2차 가열하는 제 1-3 단계
본 실시예의 제 1-3 단계에서는 상기 제 1-2 단계에서 고체화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2차 가열하여 재용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이 균일한 조성을 가지도록 용해될 수 있도록, 교반 및 가열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을 50 ~ 450 ℃ 로 가열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4)상기 2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 및 성형하는 제 1-4 단계
본 실시예의 제 1-4 단계에서는 상기 제 1-3 단계에서 2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 및 성형하여, 3D 프린터에 적용 가능한 필라멘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 조건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을 필라멘트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2) 상기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제 2 단계
본 실시예의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단계에 따라 제조된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제 2 단계에서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모델링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상기 제 1 단계의 필라멘트를 적용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 및 생산한다.
이때, 상기 3D 프린터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EBF(Electron Beam Freeform Fabrication), EBM(Electron beam melting), SLM(Selective laser melting), SHS(Selective heat sintering), LOM(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등의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3D 프린터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방식의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FDM 방식의 3D 프린터는 얇은 필라멘트를 녹여 적층 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모양을 출력하며, 다른 방식의 3D 프린터보다 전반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계에 따라 제조된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3D 프린터로 인쇄될 수 있는 특정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3D 프린터로 인쇄 가능한 공지된 모든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골분을 이용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얼굴, 흉상, 상반신, 전신, 특정 신체 부위, 애완 동물의 모습 등의 특정 형태를 가지는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열처리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열처리하는 제 3 단계
본 실시예의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단계의 필라멘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3D 프린트로 형성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열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 3 단계의 열처리를 통해, 필라멘트 조성물 내 세라믹에 의해 본 실시예의 특정 형상의 구조체는 도자기와 같이 구워짐에 따라, 매끈하면서도 단단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열처리는 세라믹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000 ~ 2,000 ℃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 따라 제조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채색, 도색 또는 광택하는 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골분 20 중량%, ABS 고분자 수지 60 중량%, Cu 분말 15 중량% 및 세라믹(Al2O3) 5 중량%를 혼합하여 필라멘트 조성물을 구성하고, 이를 교반하면서 약 200 ℃로 가열하였다. 약 30 분이 지난 후 냉각수를 이용하여 필라멘트 조성물을 고체화한 다음 이를 분쇄하여 균일한 상태의 분말로 형성하였다.
이 후, 상기 고체화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교반하면서 약 200 ℃로 가열하고, 이를 3D 프린터에 적용 가능한 필라멘트 형태로 압출 및 성형함으로써, 골분을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골분을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FDM 방식의 3D 프린터에 적용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람의 흉상을 인쇄하였다. 이 후, 표면을 정돈함으로써,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3D 프린터로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인쇄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는
    골분, 고분자 수지, 금속 분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조성물을 1차 가열하는 제 1-1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냉각하여 고체화하는 제 1-2 단계;
    상기 고체화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2차 가열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 및 성형하는 제 1-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은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골분 1 ~ 20 중량%, 상기 고분자 수지 60 ~ 95 중량%, 상기 금속 분말 1 ~ 15 중량% 및 상기 세라믹 0.1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 특정 형상의 구조체를 열처리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ABS(Acrylonitile Poly-Butadiene Styrene), PLA(Poly-Lactic Acid),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HIPS(High Impact Polystyrene), PVA(Poly-Vinyl Alcohol),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C(Polycarbonate) 및 Nyl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말은
    Pb, Sn, Bi, Zn, Cu, Ga, In, Ag, Te, Hg, Tl, Sb, Se 및 Po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은
    안료, 오일, 왁스, 지방산, 용매 및 수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180147119A 2018-11-26 2018-11-26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20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19A KR102201495B1 (ko) 2018-11-26 2018-11-26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19A KR102201495B1 (ko) 2018-11-26 2018-11-26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044A KR20200068044A (ko) 2020-06-15
KR102201495B1 true KR102201495B1 (ko) 2021-01-12

Family

ID=7108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19A KR102201495B1 (ko) 2018-11-26 2018-11-26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2490A (zh) * 2021-06-08 2021-09-03 闽江学院 一种骨修复支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2463A (ja) 2013-12-06 2015-06-22 美佐男 小野 遺骨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992A (ko) 1999-09-10 2001-04-06 김용일 화장 후 남은 유골을 고형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
KR101700874B1 (ko) * 2014-05-26 2017-01-31 이충석 유골을 형상화하는 방법
KR20170138780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고은빛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5703B1 (ko) * 2016-06-17 2018-07-09 이이알앤씨 주식회사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2463A (ja) 2013-12-06 2015-06-22 美佐男 小野 遺骨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044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strow The new 3D printing
Ferrage et al. A review of the additive manufacturing (3DP) of bioceramics: Alumina, zirconia (PSZ) and hydroxyapatite
DE102006061143A1 (de) Verfahren, computerlesbares Medium und Computer betreffend die Herstellung von Zahnersatzteilen
Ren et al. Graded biological materials and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ies for producing bioinspired graded materials: An overview
Pattnaik et al. A review of rapid prototyping integrated investment casting processes
DE102005015985B4 (de) Einseitige Zwei-Richtungszuführung zum Lasersintern
EP1021997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ahnersatz und dentalen Hilfsteilen
US20210163361A1 (en) Composition for fdm 3d printers
EP1372521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ollkeramischen dentalformteilen
KR102201495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제조방법
US20090220917A1 (en) Thermoplastic/Thermoset Dental Restorative Prosthetics
DE102007010624A1 (de) Vorrichtung zur schichtweisen generativen Herstellung dreidimensionaler Formteile,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ormteile sowie diese Formteile
US20180000571A1 (en) Powder material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 material set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 metho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object, three-dimensional object produc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object
Saptarshi et al. Basics of 3D printing: Engineering aspects
Celik Additive manufacturing: science and technology
Suwanprateeb et al. Fabrication of bioactive hydroxyapatite/bis-GMA based composite via three dimensional printing
EP3013542A1 (de) Knochenersatz-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nochenersatz-material
Pradhan et al. 3D printing assisted investment casting of dental crowns for recycling of DMLS waste
CN107007888B (zh) 一种基于光固化3d打印技术个体化定制型的二氧化锆多孔生物骨修复支架及其制备方法
Alves et al. Binder jetting
KR20150121525A (ko)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유골분 결정화 방법
CN107825706A (zh) 热塑性高分子材料的3d打印工艺
Önöral et al. Advancements in 3D printing technology: applications and options for prosthetic dentistry
ES2661552B1 (es) Procedimiento de creacion de objetos mediante impresion tridimensional con cenizas de cremacion
Pandey et al. 3D-Printing-The New Frontier in Prosthodontics-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