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36B1 -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36B1
KR102201436B1 KR1020190132603A KR20190132603A KR102201436B1 KR 102201436 B1 KR102201436 B1 KR 102201436B1 KR 1020190132603 A KR1020190132603 A KR 1020190132603A KR 20190132603 A KR20190132603 A KR 20190132603A KR 102201436 B1 KR102201436 B1 KR 10220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unit
push plate
push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2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conveyed and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벨트의 소재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고, 설정높이를 초과하는 제거대상소재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소재연동부와, 소재연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거대상소재를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푸쉬제거부와, 소재연동부와 푸쉬제거부를 연결하고, 소재연동부의 변위를 푸쉬제거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DAMAGE PREVENTION APPARATUS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괴광이나 동결광으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 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석탄, 광석 등의 연료는 부두에서 연속식 하역기로 하역작업을 거친 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제철공장으로 운반된다. 그러나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연, 원료를 수송하는 과정에서 혼입된 괴광이나 동결광 등으로 인해 슈트가 막히거나, 벨트컨베이어 설비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879841호(2009.01.14 등록, 발명의 명칭: 슈트내의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괴광이나 동결광으로 인한 슈트 막힘 현상과 벨트컨베이어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는, 컨베이어벨트의 소재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고, 설정높이를 초과하는 제거대상소재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소재연동부; 상기 소재연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거대상소재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푸쉬제거부; 및 상기 소재연동부와 상기 푸쉬제거부를 연결하고, 상기 소재연동부의 변위를 상기 푸쉬제거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재연동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정회전축; 상기 정회전축에 하향 연장되게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설정높이를 두고 배치되는 걸림판; 및 상기 정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정회전축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견인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제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 일측에 초기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푸쉬판; 상기 푸쉬판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푸쉬판이동장치; 및 상기 푸쉬판을 초기 위치로 탄성가압하는 가압복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판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부와 상기 소재연동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연동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거대상소재를 가압하는 푸쉬판부; 및 상기 푸쉬판부와 상기 푸쉬판이동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설정높이 이하의 체적을 가지는 소재가 통과가능하게 상기 설정높이를 두고 배치되는 통과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과연결부는, 상기 푸쉬판이동장치와 연결되는 연결판부; 및 상기 연결판부와 상기 푸쉬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로부터 상기 설정높이에 해당되는 상향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 타측을 향하는 각도로 연장되는 통과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판이동장치는, 상기 푸쉬판과 연결되는 푸쉬판연결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푸쉬판연결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복귀장치는, 상기 푸쉬판을 가로질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푸쉬판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 일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소재연동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푸쉬제거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연동와이어; 및 상기 연동와이어의 연장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동와이어의 연장방향을 가변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는, 설정높이를 초과하는 체적을 가지는 제거대상소재가 컨베이어벨트의 소재 이송 경로 상에 존재 시, 푸쉬제거부가 소재연동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별도의 추가 동력원 없이 제거대상소재를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작동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높이를 초과하는 체적을 가지는 괴광이나 동결광으로 인한 슈트 막힘 현상과 벨트컨베이어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에 제거대상소재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제거대상소재에 밀려 소재연동부가 회동되는 제1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제거대상소재에 밀려 소재연동부가 회동되는 제2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1)는 소재연동부(10), 푸쉬제거부(20), 동력전달부(30),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벨트(2)는 회전풀리의 회전에 연동하여 무한궤도로 회전되면서 상면부에 안착된 소재(4)를 그 연장방향으로 이송한다. 회전풀리는 컨베이어벨트(2)와 마찰접촉되게 설치된 상태로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컨베이어벨트(2)에 전달하거나, 컨베이어벨트(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정위치에서 회전된다.
컨베이어벨트(2)의 단부에는 슈트(chute)(3)가 설치되고, 컨베이어벨트(2)에 안착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2)의 단부로 이송된 소재(4)는 슈트(3)의 내부를 통해 낙하되어, 컨베이어벨트(2)의 하측에 배치된 다른 컨베이어벨트(2)나 저장소 등으로 이송된다.
소재연동부(10)는 제거대상소재(5)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장치부로, 컨베이어벨트(2)의 소재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고,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소재(4) 중 설정높이(h)를 초과하는 높이, 체적을 가지는 제거대상소재(5)가 접촉 시 제거대상소재(5)에 밀려 회전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거대상소재(5)는, 컨베이어벨트(2)의 이송대상이 되는 소재(4) 중 슈트(3)의 막힘이나 컨베이어벨트(2)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대형 및 중량의 체적을 가지는 소재(4)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벨트(2)에 안착된 상태에서 설정높이(h)를 초과하는 높이를 가지는 소재(4)를 의미한다.
푸쉬제거부(20)는 제거대상소재(5)를 컨베이어벨트(2)의 소재 이송 경로 외부로 밀어내어 제거하는 장치부로, 소재연동부(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거대상소재(5)를 컨베이어벨트(2)의 외측으로 밀어낸다.
동력전달부(30)는 소재연동부(10)의 변위와 이동력을 푸쉬제거부(20)에 전달하는 장치부로, 일측부가 소재연동부(10)와 연결되고, 타측부가 푸쉬제거부(20)와 연결된다. 동력전달부(30)에 의해 소재연동부(10)의 회전변위는 직선변위로 전환되어 푸쉬제거부(20)로 전달된다.
지지부(40)는 소재연동부(10), 푸쉬제거부(20), 동력전달부(30)를 설정위치에 지지하는 장치부로,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 양측에 컨베이어벨트(2)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는 상하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된 전후측 한 쌍의 수직지지대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직지지대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소재연동부(10), 푸쉬제거부(20), 동력전달부(30)는 컨베이어벨트(2)의 상측에 위치되는 수직지지대의 상부와, 수평지지대 상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x방향, y방향, z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소재연동부(10), 푸쉬제거부(20), 동력전달부(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에 제거대상소재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제거대상소재에 밀려 소재연동부가 회동되는 제1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제거대상소재에 밀려 소재연동부가 회동되는 제2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연동부(10)는 정회전축(11), 걸림판(12), 견인바(13)를 포함한다.
정회전축(11)은 컨베이어벨트(2)의 상측에 폭방향(y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정회전축(11)의 y방향 양단부는 지지부(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걸림판(12)은 정회전축(11)의 하부에 하향 연장되게 연결되고, 정회전축(11)을 따라 y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걸림판(12)의 하단부는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로부터 설정높이(h)를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2)에 안착된 상태로 x방향으로 이송 중인 제거대상소재(5)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히 걸림판(12)를 x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걸림판(12)은 이에 연동하여 정회전축(11)을 중심으로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판(12)은 -z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되, x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걸림판(12)의 상, 하단부 높이가 동일하게 설정되고, 제거대상소재(5)가 동일한 속력으로 x방향으로 이송되는 등과 같이 다른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걸림판(12)이 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질수록, 제거대상소재(5)가 걸림판(12)에 걸린 상태를 보다 오래 지속할 수 있고, 동력전달부(30)와 푸쉬제거부(20)의 이동이 보다 느린 속력으로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연동부(10)가 순간적으로 회전 시, 동력전달부(30)를 통한 푸쉬제거부(20)로의 동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를 들어, 연동와이어(31)가 끊어지거나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걸림판(12)의 연장길이를 가변시켜 적용함으로써, 제거대상소재(5)의 밀도, 중량, 체적, 강성, 이송 속도 등을 고려하여, 푸쉬제거부(20)의 이동 속력을 증감 조절할 수 있다.
견인바(13)는 정회전축(11)의 y방향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정회전축(11)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견인바(13)의 길이가 보다 연장될수록, 즉 정회전축(11)으로부터 회동단부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정회전축(11)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더라도, 회동단부가 보다 확장된 변위를 가지게 된다. 견인바(13)의 회동단부는 동력전달부(30)와 연결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제거부(20)는 푸쉬판(21), 푸쉬판이동장치(24), 가압복귀장치(28)를 포함한다.
푸쉬판(21)은 제거대상소재(5)에 y방향으로 가압력을 직접 작용시키는 장치부로, 컨베이어벨트(2)의 y방향 일측에(컨베이어벨트(2)를 기준으로 -y방향에) 초기 배치되고, 동력전달부(3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판(21)은 푸쉬판부(22)와 통과연결부(23)를 포함한다.
푸쉬판부(22)는 제거대상소재(5)를 가압하여 밀어내는 패널 형상의 장치부로, x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x방향 단부가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와 소재연동부(10)의 회동궤적 사이에 위치된다. 푸쉬판부(22)는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와 소재연동부(10)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보다 높으면서, 걸림판(1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푸쉬판부(22)는 컨베이어벨트(2)의 -y방향측에 대기 중이다가 소재연동부(10)의 회전 시, 이에 연동하여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와 걸림판(12)의 사이를 통과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y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컨베이어벨트(2)에 안착된 상태로 걸림판(12)을 x방향으로 가압 중인 제거대상소재(5)를 y방향으로 밀어낸다.
통과연결부(23)는 푸쉬판부(22)와 푸쉬판이동장치(24)를 연결하는 장치부로,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로부터 설정높이(h) 이상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푸쉬판부(22)의 x방향 전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과연결부(23)는 연결판부(231)와 통과판부(232)를 포함한다.
연결판부(231)는 푸쉬판이동장치(24)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로부터 설정높이(h) 이상의 높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연결판부(231)의 상부는 푸쉬판이동장치(24)의 푸쉬판연결체(25)와 연결된다. 연결판부(231)의 중간부는 가이드축(281)에 의해 y방향으로 관통된다.
통과판부(232)는 연결판부(231)와 푸쉬판부(22)를 연결하는 장치부로,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로부터 설정높이(h) 이상의 높이에 x방향과 y방향의 사이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통과판부(232)는 x방향으로 갈수록 y방향을 향하는 각도로 연장되고, x방향 단부와 -x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판부(231), 푸쉬판부(2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거대상소재(5)가 y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쉬판부(22)에 가압되어 컨베이어벨트(2)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중에도, 제거대상소재(5)의 전방에 위치되는 설정높이(h) 이하의 체적을 가지는 소재(4)는, 통과연결부(23)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x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통과판부(232)를 컨베이어벨트(2)의 상면부로부터 설정높이(h) 상에 위치시키면, 제거대상소재(5)가 푸쉬판부(22)의 전방(x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통과판부(232)에 연속하여 걸리면서, y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연히 유도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통과판부(232)는 푸쉬판부(22)와 함께 제거대상소재(5)를 y방향으로 연속하여 밀어내게 된다.
이때, 제거대상소재(5)는 푸쉬판부(22)에 밀려 y방향으로 급격하게 튕겨나가지 않고, 컨베이어벨트(2)의 가장자리부에서 수직낙하되는 형태로 낙하된다. 이에 따라 푸쉬판(21)의 x방향 위치 및 컨베이어벨트(2)의 y방향 단부에 해당되는 목적한 위치에 보다 안정되고 신뢰성있게 제거대상소재(5)를 낙하시킬 수 있고,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거대상소재(5)와 함께 낙하되는 소재(4)의 비산으로 인한 작업환경 오염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푸쉬판이동장치(24)는 푸쉬판(21)을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 타측(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판이동장치(24)는 푸쉬판연결체(25), 안내레일(26), 가이드휠(27)을 포함한다.
푸쉬판연결체(25)는 푸쉬판이동장치(24)의 주행본체에 해당되는 장치부로, 푸쉬판(21)과 연결된다. 푸쉬판연결체(25)는 패널 형상 또는 블럭 형상을 가지고, 푸쉬판(21)의 상부와 일체로 연결된다. 안내레일(26)은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y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안내레일(26)은 푸쉬판연결체(25)의 x방향, -x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가이드휠(27)은 푸쉬판연결체(25)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안내레일(26)을 따라 이동된다. 가이드휠(27)은 x방향측 안내레일(26)에 안착되는 한 쌍과, -x방향측 안내레일(26)에 안착되는 한 쌍을 포함한 4개가 구비된다. -x방향측 안내레일(26)과, 이에 안착되는 가이드휠(27)은 푸쉬판(21)의 무게 중심 등을 고려하여 푸쉬판연결체(25)로부터 -x방향으로 설정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가압복귀장치(28)는 푸쉬판(21)을 -y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장치부이다. 소재연동부(10)의 정회전에 연동하여 y방향으로 이동된 푸쉬판(21)은 가압복귀장치(28)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복귀장치(28)는 가이드축(281)과 탄성부재(282)를 포함한다.
가이드축(281)은 푸쉬판(21)을 가로질러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y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가이드축(281)의 y방향 양단부는 지지부(40)에 고정설치된다. 탄성부재(282)는 푸쉬판(21)을 -y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장치부로,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가지고 가이드축(281)의 둘레에 끼워져 설치되고, 푸쉬판(21)과 지지부(40)의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부재(282)는 지지부(40)를 기준으로 하여 푸쉬판(21)을 -y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대상소재(5)가 컨베어이벨트(2)의 외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소재연동부(10)가 제거대상소재(5)에 의해 간섭된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282)에 밀려 푸쉬판(21)이 -y방향으로 이동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됨과 동시에 소재연동부(10) 또한 초기 각도로 복귀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0)는 연동와이어(31)와 가이드롤러(32)를 포함한다.
연동와이어(31)는 와이어 등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소재연동부(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푸쉬제거부(20)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가이드롤러(32)는 연동와이어(31)의 연장방향을 가변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부로, 연동와이어(31)와 구름접촉될 수 있는 롤러 또는 풀리의 구조를 가지고, 연동와이어(31)의 연장경로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32)는 제1가이드롤러(33)와 제2가이드롤러(34)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롤러(33)는 소재연동부(10)와 푸쉬제거부(20)의 사이에 y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가이드롤러(34)는 푸쉬제거부(20)과 동일한 x방향 위치 상에 z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가이드롤러(33)와 제2가이드롤러(34)는 지지부(4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연동와이어(31)는 견인바(13)의 회동단부에서 제1가이드롤러(33)의 하부로 연장되고, 제1가이드롤러(33)의 하부와 접하며 x방향으로 상향 연장되면서 제2가이드롤러(34)의 x방향 단부로 연장되고, -y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푸쉬판(21)의 연결판부(231)와 연결된다. 연동와이어(31)는 상기와 같은 연장 구조에 의해, 견인바(13)의 회동변위를 y방향 직선변위로 전환하여 푸쉬판(21)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1)에 의하면, 설정높이(h)를 초과하는 체적을 가지는 제거대상소재(5)가 컨베이어벨트(2)의 소재 이송 경로 상에 존재 시, 푸쉬제거부(20)가 소재연동부(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별도의 추가 동력원 없이 제거대상소재(5)를 컨베이어벨트(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작동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높이(h)를 초과하는 체적을 가지는 괴광이나 동결광으로 인한 슈트 막힘 현상과 벨트컨베이어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2 : 컨베이어벨트
3 : 슈트 4 : 소재
5 : 제거대상소재 10 : 소재연동부
11 : 정회전축 12 : 걸림판
13 : 견인바 20 : 푸쉬제거부
21 : 푸쉬판 22 : 푸쉬판부
23 : 통과연결부 24 : 푸쉬판이동장치
25 : 푸쉬판연결체 26 : 안내레일
27 : 가이드휠 28 : 가압복귀장치
30 : 동력전달부 31 : 연동와이어
32 : 가이드롤러 40 : 지지부
231 : 연결판부 232 : 통과판부
281 : 가이드축 282 : 탄성부재

Claims (8)

  1. 컨베이어벨트의 소재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고, 설정높이를 초과하는 제거대상소재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소재연동부;
    상기 소재연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거대상소재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푸쉬제거부; 및
    상기 소재연동부와 상기 푸쉬제거부를 연결하고, 상기 소재연동부의 변위를 상기 푸쉬제거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연동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정회전축;
    상기 정회전축에 하향 연장되게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설정높이를 두고 배치되는 걸림판; 및
    상기 정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정회전축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견인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2. 삭제
  3. 컨베이어벨트의 소재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고, 설정높이를 초과하는 제거대상소재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소재연동부;
    상기 소재연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거대상소재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푸쉬제거부; 및
    상기 소재연동부와 상기 푸쉬제거부를 연결하고, 상기 소재연동부의 변위를 상기 푸쉬제거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제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 일측에 초기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푸쉬판;
    상기 푸쉬판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푸쉬판이동장치; 및
    상기 푸쉬판을 초기 위치로 탄성가압하는 가압복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판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부와 상기 소재연동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연동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거대상소재를 가압하는 푸쉬판부; 및
    상기 푸쉬판부와 상기 푸쉬판이동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설정높이 이하의 체적을 가지는 소재가 통과가능하게 상기 설정높이를 두고 배치되는 통과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연결부는,
    상기 푸쉬판이동장치와 연결되는 연결판부; 및
    상기 연결판부와 상기 푸쉬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로부터 상기 설정높이에 해당되는 상향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 타측을 향하는 각도로 연장되는 통과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판이동장치는,
    상기 푸쉬판과 연결되는 푸쉬판연결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푸쉬판연결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복귀장치는,
    상기 푸쉬판을 가로질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푸쉬판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 일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8. 컨베이어벨트의 소재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고, 설정높이를 초과하는 제거대상소재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소재연동부;
    상기 소재연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거대상소재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푸쉬제거부; 및
    상기 소재연동부와 상기 푸쉬제거부를 연결하고, 상기 소재연동부의 변위를 상기 푸쉬제거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소재연동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푸쉬제거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연동와이어; 및
    상기 연동와이어의 연장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동와이어의 연장방향을 가변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KR1020190132603A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KR10220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603A KR102201436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603A KR102201436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436B1 true KR102201436B1 (ko) 2021-01-12

Family

ID=7412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603A KR102201436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161A (ko) * 2017-12-22 2019-07-0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161A (ko) * 2017-12-22 2019-07-0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436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 방지장치
KR20110047040A (ko) 벨트부재의 부상 방지장치
US4974826A (en) Document stacking apparatus
KR101277495B1 (ko) 트리퍼용 집진장치
KR101118316B1 (ko) 원료탄 장입 장치
CN218433482U (zh) 单排单层式橡胶圈自动上料装置
KR1006472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장치
KR100879846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CN114644210A (zh) 一种袋装水泥加工用的码垛设备
KR2003004859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KR101245312B1 (ko) 원료탄 장입 장치
CN220033016U (zh) 一种棒状工件上料设备
CN110641755A (zh) 一种多晶硅表金属去除装置
KR20240140344A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방지 장치
KR10216661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CN217575778U (zh) 自动化分级送料装置及管料包装装置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20240132693A (ko) 원연료 이송용 셔틀장치
CN211545098U (zh) 环保混凝土生产用原料平斜输送装置
KR1022995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화재 확산 방지 장치
CN116062428B (zh) 翻转提升机构与电池壳生产设备
JPH0420713B2 (ko)
CN217774821U (zh) 一种煤矸石自动分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