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300B1 -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300B1
KR102201300B1 KR1020190016321A KR20190016321A KR102201300B1 KR 102201300 B1 KR102201300 B1 KR 102201300B1 KR 1020190016321 A KR1020190016321 A KR 1020190016321A KR 20190016321 A KR20190016321 A KR 20190016321A KR 102201300 B1 KR102201300 B1 KR 10220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rror rate
photographing
acquisition device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321A (ko
Inventor
호정규
조정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3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7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e use of two or more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7Determining parameters from multiple pi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Abstract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제1 영상을 제2 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되, 상기 제1 영상은 대상체를 제1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지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이 획득된 시점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대상체를 제2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Calculation Method of Error of Image, Image Analysis Apparatus and Calculating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아에 대한 산전 영상과 산후 영상을 비교하여 산전영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에 관련된 것이다.
초음파 영상 장치는 대상체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상기 초음파 영상 장치는 의료 분야에서 연부 조직의 단층상이나 혈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산모에 자궁에 송신하여 태아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특히 태아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상기 초음파 장치는 X-ray, MRI 등 다른 영상 획득 장치에 비교하여 태아에게 방사선원을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태아의 영상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초음파 영상은 소정의 영상 처리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영상으로 변환한다. 상기 과정에서 초음파 정보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에 따라 변환되는 영상의 정확도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일반적인 초음파 영상에서는 형태를 알고 있는 대상물을 촬영하고,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을 거쳐 교정할 수 있다. 하지만 태아를 촬영하는 초음파 영상은 태아가 출산하기 전 까지는 태아의 정확한 형상 정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초음파 영상을 보정하고 정확한 영상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태아에 대한 산전 영상과 산후 영상을 비교하여 산전영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산전 영상의 오차를 분석하여 산전 영상의 촬영 조건을 제어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제1 영상을 제2 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되, 상기 제1 영상은 대상체를 제1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지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이 획득된 시점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대상체를 제2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상기 오차율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획득 장치의 설정 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상기 제1 영상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대상체들 각각에 대해 획득되어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영상은 복수의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여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오차율은 복수의 상기 제1 영상 및 복수의 상기 제2 영상 각각을 대비하여 산출된 값을 결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상기 제1 영상은 태중(胎中)의 태아를 촬영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 영상은 신생아를 촬영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상기 제1 영상은 출산 예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의 태아를 촬영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 영상은 산후 1개월 이내의 신생아를 촬영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상기 대상체의 안면부에 위치된 정수리, 이마, 눈, 코, 입술 및 턱의 위치, 영역 및 형상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하고, 상기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제1 대상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2 분할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제2 대상 영역들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2 분할 기준 포인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서로 대응되고, 상기 제1 대상 영역들과 상기 제2 대상 영역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상기 대상체의 안면부에 위치된 정수리, 이마, 눈, 코, 입술 및 턱의 위치, 영역, 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고, 상기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비교 대상부와 상기 제2 비교 대상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 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하여 획득된 제1 영상과,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획득된 제2 영상을 제공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2 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 프로그램은 대상체를 제1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지는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상이 획득된 시점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대상체를 제2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지는 제2 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은 초음파로 측정된 태아의 산전 영상과 실제 신생아를 촬영한 영상과의 일치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 영상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상 획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S130에서 대상 영역을 기준으로 오차율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면부의 정면을 기준으로 대상 영역을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술 및 코를 기준으로 대상 영역을 선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S130에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여 오차율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눈과 이마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기 위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라 함은 의료 영상이 촬영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출산 예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인 태중(胎中)의 태아일 수 있으며, 산후 1개월 이내의 신생아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영상 획득 장치라 함은 X-ray, CT, MRI, 초음파 등 대상체를 투과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어떠한 의료 영상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영상 획득 장치라 함은 필름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광학 스캐너 등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어떠한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상 획득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은 제1 영상 획득 장치(110), 제2 영상 획득 장치(120) 및 영상 분석 장치(130)를 포함한다.
제1 영상 획득 장치(110)는 대상체를 촬영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한다. 상기 대상체는 사람일 수 있으며, 태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상체는 출산 예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인 태중(胎中)의 태아일 수 있다. 제1 영상 획득 장치(110)는 X-ray, CT, MRI,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로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촬영부(111) 및 제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1)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111)는 상기 대상체에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고, 대상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13)는 촬영부(111)에서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영상으로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3)는 상기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초음파 신호를 분류하고, 상기 위치 당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소정의 픽셀(pixels)로 변환하여 영상을 구성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3)는 상기 픽셀 당 상기 초음파의 설정 조건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영상의 분해능과 선명도를 조절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3)는 소정에 영역에 대하여 상기 영역에서 변환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영역의 분해능을 향상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13)는 상기 영역에서 변환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의 양을 저감하여 상기 영역의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3)는 상기 영역에서 변환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의 변환 계수를 수정하여 상기 영역의 선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3)는 상기 제1 영상을 후술할 영상 분석 장치(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는 상기 제1 영상이 획득된 시점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한다. 제2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상기 대상체는 사람일 수 있으며, 신생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상체는 산후 1개월 이내의 신생아일 수 있다.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는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광학 스캐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학 스캐너로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2D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2D 영상을 모델링하여 3D 스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개시되지 않았으나,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는 촬영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대상체에서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을 후술할 영상 분석 장치(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 분석 장치(130)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2 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한다. 영상 분석 장치(130)는 입력부(131), 영상 분석부(133), 저장부(135) 및 출력부(137)를 포함한다.
입력부(131)는 제1 영상 획득 장치(110) 및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로부터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전달 받는다.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31)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 통신으로 영상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1)는 별도의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플레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 SD카드 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영상 분석부(133)는 입력부(131)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설정 영역 또는 형상을 기준으로 구획하며, 상기 구획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영상에 대한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한다. 영상 분석부(133)가 영상 오차율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4 내지 도 13을 통해 후술하도록 하겠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오차율을 분석하여, 상기 오차율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분석부(110)의 설정 조절에 사용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부(133)는 순차적으로 전달받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기초로 제1 영상 획득 장치(110)의 설정 조절에 사용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정 영역에서 변환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를 증감하는 데이터 일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신호의 변환 계수를 수정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아울러, 영상 분석부(133)는 설정 기간동안 누적된 상기 제1 영상들과 상기 제2 영상들을 비교하여, 오차율을 산출하고, 제1 영상 획득 장치(110)의 설정 조절에 사용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35)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5)는 오차율을 기초로, 제1 영상 획득 장치(110)의 설정 조절에 사용될 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35)는 영상 분석부(133)에서 산출한 상기 오차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5)는 하나의 대상체에 대한 오차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오차율을 통합한 통합 오차율을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37)는 사용자에게 저장부(135)에 저장된 상기 오차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부(137)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 모니터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저장메체, 예를 들어 USB, 플레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 SD카드 등을 사용하여 상기 오차율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부(137)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 통신 또는 저장메체를 통해 제어부(113)에 상기 촬영 조건을 조건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영상 획득 장치(110) 및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를 포함하는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하나, 상기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은 필요에 의하여 셋 이상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4 내지 도 13을 통하여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대상체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제2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대상체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에서는 제1 영상 획득 장치(110)로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한다. 이 때, 상기 대상체는 사람일 수 있으며, 태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상체는 출산 예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인 태중(胎中)의 태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계 S110에서는 출산 예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인 태중(胎中)의 태아를 촬영한 산전영상을 상기 제 1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상 획득 장치(110)는 초음파 활영 장치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X-ray, CT, MRI 등 다른 의료 영상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상 획득 장치(110)는 2D 초음파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2D 초음파 영상을 모델링하여 3D 초음파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에서는 단계S110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로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한다. 이 때, 상기 대상체는 사람일 수 있으며, 신생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상체는 산후 1개월 이내의 신생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계 S120에서는 신생아를 촬영한 생후영상을 상기 제2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상 획득 장치(110)는 광학 스캐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 촬영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는 2D 스캔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2D영상을 모델링하여 3D스캔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S130)에서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전달받고,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2 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한다. 일 예에 따르면, 단계 S130에서는 하나의 대상체를 촬영한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전달받아 오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설정 기간동안 누적된 복수의 제1 영상들과 제1 영상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영상들을 전달받고, 상기 복수의 제1 영상들과 복수의 제2 영상들을 분석하여 오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상기 제1 영상들과 복수의 상기 제2 영상들을 통합하여 분석한 오차율을 통합 오차율로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오차율은 하나의 대상체에 대한 오차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제1 영상들과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기 제2 영상들을 각각 대비하여 도출된 오차율을 통합한 통합 오차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은 상기 오차율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분석부(110)의 설정 조절에 사용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영상 분석 장치(130)의 영상 분석부(133)는 제1 대상체를 촬영한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오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제1 오차율로 정의한다.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제1 오차율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오차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1 영상 중 오차율이 높은 영역 또는 형상에 대하여 해당 영역의 상기 픽셀에서 변환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의 양을 증감하여 명암을 조절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초음파 신호의 변환 계수를 수정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설정 조절에 사용될 데이터를 출력부(137)를 통해 제1 영상 획득 장치(110)의 제어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13)는 수신된 초음파를 영상으로 전환하는 조건 설정이 수정되어, 수신된 상기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의 형상과 일치도가 높은 영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영상 획득 장치(110)는 상기 설정이 조절된 촬영부(111)로 제2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영상 분석부(133)은 제2 데이터를 제어부(113)에 전달하여 촬영부(111)의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은 제1 영상 획득 장치(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대상체의 실체 형상과 가깝게 보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영상 분석부(133)는 설정 기간 동안 복수의 대상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복수의 제1 영상들과 복수의 제2 영상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 분석부(133)는 복수의 대상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복수의 상기 제1 영상들과 복수의 상기 제2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복수의 오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33)는 복수의 오차율을 저감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은 제1 영상 획득 장치(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대상체의 실체 형상과 가깝게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과정을 통하여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은 제1 영상 획득 장치(110)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이 상기 대상체의 실제 형상과 일치도가 높아지도록, 제1 영상 획득 장치(110)을 설정 값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제1 영상 획득 장치(110)를 통해 획득되는 태아의 초음파 영상을 제2 영상 획득 장치(120)를 통해 얻은 신생아의 3D 영상과 가깝게 보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S130에서 대상 영역을 기준으로 오차율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면부의 정면을 기준으로 대상 영역을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술 및 코를 기준으로 대상 영역을 선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단계 S130에서 오차율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에 대하여 설정 기준으로 대상 영역을 구획하여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체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하, 도 5내지 7을 통해서는 상기 대상 영역을 구획하여 비교하는 방법을 먼저 설명하고, 상기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여 비교하는 방법은 도 8 내지 도 12를 통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S131), 제2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S132), 제1 대상 영역들로 구획하는 단계(S133), 제2 대상 영역들로 구획하는 단계(S134), 상기 제1 대상 영역들과 상기 제2 대상 영역들을 비교하는 단계(S135) 및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S136)를 포함한다.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S131)에서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상기 대상체의 형상을 비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포인트를 선정한다. 상기 기준 포인트는 구체적으로 정수리, 이마, 눈, 코, 입술 및 턱 등 안면부에 형성된 형상의 위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기준 포인트를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로 정의한다.
제2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S132)에서는 상기 제2 영상에 대해서, 단계 S131에서 선정한 제1 분할 기준 포인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한다.
제1 대상 영역들로 구획하는 단계(S133)에서는, 단계 S131에서 선정된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제1 영상을 제1 대상 영역들로 구획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통해 예시되는 도면에는 성인 여성의 안면부 사진을 제1 영상으로 하여 상기 제1 대상 영역을 구획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태중의 태아에 대해서도 같은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기준으로 대상 영역을 구획한다. 예를 들어, 영상 분석부(133)는 미간, 정수리 및 턱 끝을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로 가지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기 대상체의 안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L1), 상기 안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1)과 평행하고 대상체의 정수리를 지나는 직선(L2) 및 상기 안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1) 및 정수리를 지나는 직선(L2)과 평행하고 대상체의 턱 끝을 지나는 직선(L3)을 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체의 안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L1)과 상기 정수리를 지나는 직선(L2)으로 정의되는 영역(6a-1) 및 상기 안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1)과 상기 턱 끝을 지나는 직선(L3)으로 정의되는 영역(6a-2)을 상기 제1 대상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133)는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 사이, 이마의 상단, 인중의 상단 및 턱 끝을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로 가지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을 지나는 직선(L4), 상기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을 지나는 직선(L4)과 평행하고 상기 이마의 상단을 지나는 직선(L5), 상기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을 지나는 직선(L4) 및 이마의 상단을 지나는 직선(L5)과 평행하고 상기 인중 끝을 지나는 직선(L6)을 더 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을 지나는 직선(L4)과 상기 이마의 상단을 지나는 직선(L5)으로 정의되는 영역(6b-1), 상기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을 지나는 직선(L4)과 상기 인중 끝을 지나는 직선(L6)으로 정의되는 영역(6b-2) 및 상기 인중 끝을 지나는 직선(L6)과 상기 턱 끝을 지나는 직선(L3)으로 정의되는 영역(6b-3)을 상기 제1 대상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133)는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 사이, 정수리, 이마의 상단, 인중의 상단 및 턱 끝을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로 가지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정수리를 지나는 직선(L2)과 상기 이마의 상단을 지나는 직선(L5)으로 정의되는 영역(6c-1), 상기 이마의 상단을 지나는 직선(L5)과 상기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을 지나는 직선(L4)으로 정의되는 영역(6c-2), 상기 양 눈썹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점을 지나는 직선(L4)과 상기 인중 끝을 지나는 직선(L6)으로 정의되는 영역(6c-3) 및 상기 인중 끝을 지나는 직선(L6)과 상기 턱 끝을 지나는 직선(L3)으로 정의되는 영역(6c-4)을 상기 제1 대상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133)는 대상체의 측면을 촬영한 제 1 영상에 대하여, 대상체의 입술 끝, 인중 상단 및 턱 끝을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 안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하며 상기 입술 끝을 지나는 직선(L7), 상기 입술 끝을 지나는 직선(L7)과 평행하며 상기 인중 끝을 지나는 직선(L8) 및 상기 인중 끝을 지나는 직선(L8)과 평행하며 상기 턱 끝을 지나는 직선(L9)을 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입술 끝을 지나는 직선(L7)과 상기 인중 끝을 지나는 직선(L8)으로 정의되는 영역(7a-1) 및 상기 입술 끝을 지나는 직선(L7)과 상기 턱 끝을 지나는 직선(L9)으로 정의되는 영역(7a-2)을 상기 제1 대상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안면부 양 끝단과 상기 대상체의 콧방울의 양 끝단을 분할 기준 포인트로 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체 안면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직선(L16), 상기 대상체 안면부의 좌측 일 끝단을 통과하는 직선(L10), 상기 대상체 콧방울의 좌측 일 끝단을 통과하는 직선(L11) 및 대상체 안면부의 좌측 일 끝단과 상기 대상체 콧방울의 좌측 일 끝단 사이의 일 점을 통과하는 일 직선으로 기준으로 양분되는 영역을 통과하는 직선(L12)들로 정의되는 영역 및, 상기 대상체 안면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직선(L16)을 중심으로 상기 영역에 대칭되는 영역들을 상기 제1 대상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2 대상 영역들로 구획하는 단계(S134)에서는 상기 제2 영상에 대해서, 단계 S133에서 선정한 제1 대상 영역들에 대응하는 제2 대상 영역을 선정한다.
상기 제1 대상 영역들과 상기 제2 대상 영역들을 비교하는 단계(S135)에서는 상기 제1 대상 영역들과 상기 제2 대상 영역들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제1 영상의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2 영상의 상기 제2 분할 기준 포인트의 위치를 대응시키고,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1 대상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2 대상 영역의 형상 차이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분석부(133)는 제1 대상 영역과 상기 제2 대상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대상 영역의 오차를 픽셀 단위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픽셀 단위의 오차를 합산하여 상기 제1 대상 영역에 대한 통합 오차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S136)에서는 단계 S135에서 비교한 영상을 바탕으로,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한다. 이를 통해,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은 초음파로 측정된 태아의 산전 영상을 실제 신생아의 이미지와의 오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오차율을 바탕으로 제어부(113)에 상기 촬영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간의 일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S130에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여 오차율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눈과 이마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의 형상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은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단계(S141), 제2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단계(S142), 상기 제1 비교 대상부와 상기 제2 비교 대상부를 비교하는 단계(S143) 및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S144)를 포함한다.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단계(S141)에서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상기 대상체를 설정의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제1 영상에서 촬영된 대상체에 대하여 대상체의 안면부의 형상을 기준으로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수리, 이마, 눈, 코, 입술 및 턱의 위치, 영역, 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통해 예시되는 도면은 성인 여성의 안면부 사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태중의 태아에 대해서도 같은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이마와 눈의 형상을 기준으로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이마의 형상을 기준으로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상체의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마를 수직하여 내려오는 직선(L17)과 상기 대상체의 콧등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L18)과의 사이각을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안구와 눈썹 사이의 형상을 기준으로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대상체의 안구의 일 끝단과 상기 대상체의 콧방울의 일 끝단을 연결하는 직선(L19)과 상기 대상체 안면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직선(L16)과의 사이각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안구의 일 끝단과 상기 대상체의 콧방울의 일 끝단을 연결하는 직선(L19)은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를 기준으로 우측 안구의 우측 끝단과 상기 대상체의 콧방울의 우측 끝단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코의 형상을 기준으로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의 콧등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L18)과 상기 대상체의 안구 중심을 지나며, 상기 대상체 안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직선(20)과의 사이각을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의 인중 상단에서 코 끝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L21)과 상기 대상체의 인중 상단을 지나며, 상기 대상체 안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직선(L22)과의 사이각을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콧방울의 좌우 폭을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으며,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 대상체의 코의 높이를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입의 형상을 기준으로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입술 끝의 좌우 폭을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으며,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대상체가 안면 근육을 완전히 이완한 상태로 입을 벌렸을 때 관찰되는 앞니의 길이를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인중과 턱의 형상을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대상체의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인중의 상단과 미간을 연결하는 직선(L23)과 상기 인중의 상단과 상기 턱 끝을 연결하는 직선(L24) 사이의 사이각을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대상체 측면부에서의 턱의 각도를 제1 비교 대상부로 선정할 수 있다.
제2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단계(S142)에서는 상기 제2 영상에 대해서, 단계 S141에서 선정한 제1 비교 대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비교 대상부를 선정한다.
상기 제1 비교 대상부와 상기 제2 비교 대상부를 비교하는 단계(S143)에서는 제1 비교 대상부와 상기 제2 비교 대상부에 해당하는 형상들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분석부(133)는 제1 비교 대상부와 상기 제2 비교 대상부에 대하여, 상기 제1 비교 대상부의 오차를 픽셀 단위로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픽셀 단위의 오차를 합산하여 상기 제1 대상 영역에 대한 통합 오차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S136)에서는 단계 S135에서 비교한 영상을 바탕으로,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한다. 이를 통해, 영상 오차율 산출 시스템(100)은 초음파로 측정된 태아의 산전 영상을 실제 신생아의 이미지와의 오차율을 산출하여, 산전 영상과 신생아 영상의 일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정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분석부(133)는 상기 오차율을 바탕으로 제어부(113)에 상기 촬영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간의 일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제1 영상 획득 장치
111: 촬영부
113: 제어부
120: 제2 영상 획득 장치
130: 영상 분석 장치
131: 입력부
133: 영상 분석부
135: 저장부
137: 출력부

Claims (9)

  1. 제1 영상을 제2 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되, 상기 제1 영상은 대상체를 제1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지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이 획득된 시점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대상체를 제2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지되,
    상기 제1 영상은 태중(胎中)의 태아를 촬영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 영상은 신생아를 촬영하여 획득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율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획득 장치의 설정 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대상체들 각각에 대해 획득되어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영상은 복수의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여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오차율은 복수의 상기 제1 영상 및 복수의 상기 제2 영상 각각을 대비하여 산출된 값을 결합하여 산출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출산 예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의 태아를 촬영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 영상은 산후 1개월 이내의 신생아를 촬영하여 획득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의 산출은,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상기 대상체의 안면부에 위치된 정수리, 이마, 눈, 코, 입술 및 턱의 위치, 영역 및 형상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하고, 상기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분할 기준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제1 대상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2 분할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제2 대상 영역들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제1 분할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2 분할 기준 포인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서로 대응되고, 상기 제1 대상 영역들과 상기 제2 대상 영역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의 산출은,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상기 대상체의 안면부에 위치된 정수리, 이마, 눈, 코, 입술 및 턱의 위치, 영역, 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고, 상기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비교 대상부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비교 대상부와 상기 제2 비교 대상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8. 대상체를 촬영하여 획득된 제1 영상과,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획득된 제2 영상을 제공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2 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은 태중(胎中)의 태아를 촬영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 영상은 신생아를 촬영하여 획득되는 영상 분석 장치.
  9. 태중(胎中)의 태아를 제1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지는 제1영상을, 상기 제1 영상이 획득된 시점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신생아를 제2 영상 획득 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지는 제2영상과 대비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오차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영상 분석 프로그램.
KR1020190016321A 2019-02-12 2019-02-12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KR10220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21A KR102201300B1 (ko) 2019-02-12 2019-02-12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21A KR102201300B1 (ko) 2019-02-12 2019-02-12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21A KR20200098321A (ko) 2020-08-20
KR102201300B1 true KR102201300B1 (ko) 2021-01-11

Family

ID=7229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321A KR102201300B1 (ko) 2019-02-12 2019-02-12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3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718A (ja) * 2010-03-31 2011-10-27 Yamatake Corp 照合装置
JP2014018618A (ja) * 2012-07-24 2014-02-03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2017136345A (ja) 2016-01-29 2017-08-10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医用画像処理装置
JP2018061844A (ja) * 2017-12-14 2018-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196A (ko) * 2000-12-08 2002-06-19 임영구 태아 초음파 이미지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718A (ja) * 2010-03-31 2011-10-27 Yamatake Corp 照合装置
JP2014018618A (ja) * 2012-07-24 2014-02-03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2017136345A (ja) 2016-01-29 2017-08-10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医用画像処理装置
JP2018061844A (ja) * 2017-12-14 2018-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21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3381B2 (en) Motion tracking system for real time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in biomedical imaging
US7929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graphic imaging
US9400923B2 (en) Patient interface identification system
US201302614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body composition
US202201390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posing and visualizing dental treatments
Leipner et al. 3D mug shot—3D head models from photogrammetry for forensic identification
KR20130072810A (ko)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정중 시상면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63294B1 (ko) 초음파 영상을 실사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82318A (ko)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US10849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a cranial image trajectory
JP2005349176A (ja) 顎運動解析方法及び顎運動解析システム
KR102201300B1 (ko) 영상 오차율 산출 방법, 영상 분석 장치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KR100930594B1 (ko) 안면 영상 촬영장치 및 그의 안면 특징점 검출 방법
KR102346199B1 (ko) 파노라믹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KR101801376B1 (ko) 3차원 위상 기술자를 이용한 두개골 이형 자동판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두개골 이형 자동판단방법
US112637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erimposing teeth data image onto face image
JP2004030596A (ja) 画像階調変換方法、画像階調変換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1160824A (ja) 脊椎湾曲症判定支援装置
JP738728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56907B1 (ko)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CN205649489U (zh) 近红外体表血管点对点成像系统
KR20200129504A (ko) 치아 배열 분석 방법, 이를 이용한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0954B1 (ko) 딥러닝 기반 교정 치료 후의 3차원 얼굴 변화 예측 방법 및 장치
EP4328861A2 (en) Jaw movements data generation apparatus, data generation method, and data generation program
CN113409312B (zh) 一种用于生物医疗影像的图像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