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907B1 -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907B1
KR101856907B1 KR1020170135442A KR20170135442A KR101856907B1 KR 101856907 B1 KR101856907 B1 KR 101856907B1 KR 1020170135442 A KR1020170135442 A KR 1020170135442A KR 20170135442 A KR20170135442 A KR 20170135442A KR 101856907 B1 KR101856907 B1 KR 101856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image
dimensional scan
dimensional
sca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호
Original Assignee
강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호 filed Critical 강동호
Priority to KR102017013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4Repairing or adjusting dentures; Location of irritating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틀니를 착용한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 및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는 단계; 엑스레이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틀니를 구성하는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단계; 및 치아가 변형됨에 따라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DENTURES}
본 발명은 틀니 교정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해 촬영된 영상들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착용된 틀니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결손이 발생하면 음식물의 섭취가 어려워지므로, 치아 결손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틀니가 제작 및 제공되고 있다. 여러 개의 치아가 결손되면 치아 보철물로는 치아 결손을 회복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치아가 없는 부분이 하나로 연결된, 구강 내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틀니를 활용할 수 있다.
틀니는 크게 완전 틀니와 부분 틀니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완전 틀니는 치아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잇몸과 턱뼈 위에 놓여지는 형태이다. 부분 틀니는 치아의 부분적인 결손이 있는 경우 금속 등의 물체로 여러 군데의 치아 결손 부위를 연결시켜 치아가 없는 부위의 잇몸(턱뼈) 위에 놓여지는 형태이다.
틀니는 인공적으로 제작되는 것이므로 틀니를 착용하는 환자에게 외모적 위축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틀니의 크기 등이 환자에게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면 환자의 얼굴 형태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환자는 이러한 얼굴 형태 변화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환자 맞춤형 틀니를 제작하거나 이미 제작된 틀니를 환자 맞춤형으로 교정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이의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은 환자의 얼굴에 최적화된 틀니를 제작 또는 교정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은 환자에게 외모적 자신감을 북돋아주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은 간단한 방법으로 틀니 교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방법은,
부분 틀니를 착용한 환자의 측면의 2차원 엑스레이 영상 및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는 단계; 상기 엑스레이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틀니를 구성하는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합하는 단계는, 상기 엑스레이 영상 및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에서 식별되는 특징점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기 전에, 상기 엑스레이 영상에서 상기 부분 틀니를 구성하는 치아들을 미리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기 전에, 상기 식별된 치아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미리 엣지 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를 변형하는 단계는, 마우스의 클릭 입력에 따라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마우스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틀니 교정 방법은, 상기 치아가 변형된 후의 상기 부분 틀니의 구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의 변형에 따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에서 상기 환자의 안면의 길이 및 돌출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틀니 교정 방법은,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에 대한 서로 다른 변형 조작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변형된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3차원 스캔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 틀니의 구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2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영상과 상기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각각을 비교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복수의 표정에서 촬영된 상기 환자의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의 변형에 따라 상기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각각을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틀니를 착용한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고, 상기 엑스레이 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틀니를 구성하는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고, 상기 치아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은 환자의 얼굴에 최적화된 틀니를 제작 또는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은 환자에게 외모적 자신감을 북돋아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은 간단한 방법으로 틀니 교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환자의 3차원 스캔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의 정합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3차원 스캔 영상의 변형 전 및 변형 후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방법에서 변형 후의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방법에서 변형 전의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유닛)', '모듈' 등으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100)가 적용되는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틀니 교정 장치(100)는 엑스레이 장치(200) 및 3차원 스캔 장치(30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환자가 틀니를 착용한 상태에서 엑스레이 장치(200)를 통해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하면, 엑스레이 장치(200)는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틀니 교정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환자가 틀니를 착용한 상태에서 3차원 스캔 장치(300)를 통해 3차원 스캔 영상을 촬영하면, 3차원 스캔 장치(300)는 3차원 스캔 영상을 틀니 교정 장치(100)로 전송한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엑스레이 장치(200) 및 3차원 스캔 장치(300)에서 촬영된 영상들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고,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틀니 교정 장치(100)로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예를 들어, 의사 등)가 엑스레이 장치(200)에 저장된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장치(300)에 저장된 3차원 스캔 영상을 USB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한 후, 저장 매체를 틀니 교정 장치(100)에 연결하여 틀니 교정 장치(100)로 해당 영상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틀니 교정 장치(100)는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며 환자 맞춤형 틀니의 구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틀니 교정 장치(100)로서, 데스크탑 PC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100)는 데스크탑 PC 이외에 영상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 예를 들어,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틀니 교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210 단계에서, 틀니 교정 장치(100)는 틀니를 착용한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한다. 환자에게 착용되는 틀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기 제작된 틀니일 수도 있고, 환자 맞춤형 틀니를 제작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환자에게 착용되는 병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틀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엑스레이 영상은 환자의 머리의 경조직(hard tissue), 예를 들어, 치아, 뼈 등이 촬영된 영상을 의미하며,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스캔 영상은 환자의 머리의 외관, 다시 말하면 환자의 머리의 연조직(soft tissue), 예를 들어, 피부 등이 촬영된 영상을 의미한다. 도 3은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환자의 3차원 스캔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S220 단계에서, 틀니 교정 장치(100)는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한다.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이 정합된 영상은 틀니 교정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에 포함된 공통의 특징점(예를 들어, 귀 영역의 특징점)을 중첩시켜 직접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틀니 교정 장치(100)가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 각각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공통 특징점을 기반으로 하여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할 수도 있다. 도 5는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이 정합된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S230 단계에서, 틀니 교정 장치(100)는 엑스레이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틀니를 구성하는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한다.
사용자는 마우스, 트랙볼, 키보드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영상에서 틀니에 포함된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엑스레이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선택한 다음, 해당 치아의 위치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치아의 두께, 높이 등의 크기도 변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치아(도시된 상부 앞니(310) 및 하부 앞니(320))를 클릭하여 선택하고, 드래그 입력을 통해 치아의 위치, 기울기 각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할 수 있다.
틀니 교정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치아를 식별하기 위하여 미리 엑스레이 영상에서 치아들을 식별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치아를 다른 치아들과 구별시키기 위해 소정 마크(예를 들어, 도 3의 상부 앞니(310)와 하부 앞니(320)에 도시된 엣지 라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S240 단계에서, 틀니 교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치아가 변형됨에 따라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한다. 틀니 교정 장치(100)는 서로 정합된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 사이의 변환 관계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틀니 교정 장치(100)는 엑스레이 영상의 치아가 변형되면 그에 따라 3차원 스캔 영상을 어떻게 변형시켜야 할 지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엑스레이 영상에서 앞니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틀니 교정 장치(100)는 앞니에 밀접한 연조직, 구체적으로 입술 주변 부위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엑스레이 영상에서 앞니 또는 어금니의 높이를 감소시키면, 틀니 교정 장치(100)는 3차원 스캔 영상에서 환자 얼굴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경조직의 변형에 따른 연조직의 변형은 다양한 환자들의 실제 시술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된 경조직과 연조직의 상관관계와 대응 변위값과 대응 영역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틀니 교정 장치(100)는 3차원 스캔 영상의 변형이 완료되면 그때의 틀니의 구조 정보, 예를 들어, 틀니의 크기, 각 치아의 크기, 위치, 기울어진 각도 등의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출력된 틀니의 구조 정보에 따라 틀니를 제작하거나 교정할 수 있다.
환자는 치아의 변형에 따라 변형되는 자신의 3차원 스캔 영상을 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틀니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틀니 착용에 따른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틀니 교정 장치(100)는 환자의 변형 전 3차원 스캔 영상과 변형 후 3차원 스캔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환자에게 틀니 교정에 따라 외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한편, 환자가 자신의 변형 후 3차원 스캔 영상을 하나만 확인하는 경우, 어떤 틀니를 착용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 결정하기가 쉽지 않다. 다시 말하면, 비교 대상이 없는 상태에서 하나의 3차원 스캔 영상만을 보고 최적의 외모를 야기하는 틀니를 결정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틀니 교정 장치(100)는 치아에 대한 서로 다른 변형 조작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변형된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중에서 선택된 3차원 스캔 영상을 야기하는 틀니 구조를 환자의 최종 맞춤형 틀니의 구조로 결정 및 출력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제 1 의 조작을 통해 치아를 변형시킨 경우 틀니 교정 장치(100)는 그에 따라 변형된 제 1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저장하고, 다시 사용자가 제 2의 조작을 통해 치아를 변형시킨 경우 틀니 교정 장치(100)는 그에 따라 변형된 제 2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조작에 따라 변형된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도 7과 같이 도시하여 환자로 하여금 가장 마음에 드는 3차원 스캔 영상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는, 틀니 교정 장치(100)는 환자의 치아가 결손되기 전의 과거 2차원 영상을 입력받은 후, 과거 영상과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각각을 비교하여 과거 영상과 가장 유사도가 높은 3차원 스캔 영상을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틀니 구조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앞서서는, 환자가 자신의 3차원 스캔 영상을 하나만 촬영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예에 따라서 환자는 기 설정된 표정들하에서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기 설정된 표정들은 예를 들어, 환자가 입을 벌리고 있는 표정('아'를 발음할 때의 표정), 환자가 웃고 있을 때의 표정, 환자가 입을 내밀고 있을 때의 표정('우'를 발음할 때의 표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가 표현해야 할 표정의 종류는 3차원 스캔 장치(300)에 미리 저장되거나 틀니 교정 장치(100)에 저장되어 3차원 스캔 장치(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3차원 스캔 장치(300)는 환자가 지어야 하는 표정에 대해 모니터, 스피커 등을 통해 설명하고, 환자가 해당하는 표정을 지은 경우 환자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종류의 표정으로 촬영된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도 8 참조)은 틀니 교정 장치(100)로 전송되고, 틀니 교정 장치(100)는 엑스레이 영상에서의 치아의 변형에 따라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각각을 변형시킬 수 있다. 틀니 교정 장치(100)는 기 설정된 표정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미리 저장하고, 엑스레이 영상에서 치아가 변형됨에 따라 그에 맞춰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들 각각을 변형시킬 수 있다.
틀니를 착용한 상태에서 단일의 표정만으로 일상 생활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단일 표정의 3차원 스캔 영상만을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틀니를 제작하는 경우, 실생활에서 자신감이 위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여러 종류의 표정하에서 촬영된 3차원 스캔 영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보고 환자에게 최적화된 틀니 구조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교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910), 통신부(930), 디스플레이(950) 및 제어부(9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910)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트랙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910)를 통해 엑스레이 영상에서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기울기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할 수 있다.
통신부(930)는 엑스레이 장치(200) 및 3차원 스캔 장치(300) 각각으로부터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통신부(930)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950)는 엑스레이 영상, 3차원 스캔 영상, 이들의 정합 영상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970)는 사용자 입력부(910), 통신부(930) 및 디스플레이(9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970)는 엑스레이 영상과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여 디스플레이(950)에 표시하고, 엑스레이 영상의 치아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한다.
제어부(970)는 변형된 3차원 스캔 영상, 및 3차원 스캔 영상의 변형을 야기한 틀니의 구조 정보를 디스플레이(95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작성된 프로그램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틀니 교정 장치
200: 엑스레이 장치
300: 3차원 스캔 장치
910: 사용자 입력부
930: 통신부
950: 디스플레이
970: 제어부

Claims (11)

  1. 부분 틀니를 착용한 환자의 측면의 2차원 엑스레이 영상 및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는 단계;
    상기 엑스레이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틀니를 구성하는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치아의 위치, 크기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기 전에, 상기 엑스레이 영상에서 상기 부분 틀니를 구성하는 치아들을 미리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기 전에, 상기 식별된 치아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미리 엣지 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교정 장치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하는 단계는,
    상기 엑스레이 영상 및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에서 식별되는 특징점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엑스레이 영상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교정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를 변형하는 단계는,
    마우스의 클릭 입력에 따라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마우스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교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교정 방법은,
    상기 치아가 변형된 후의 상기 부분 틀니의 구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교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의 변형에 따라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에서 상기 환자의 안면의 길이 및 돌출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교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교정 방법은,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에 대한 서로 다른 변형 조작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변형된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3차원 스캔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 틀니의 구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교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2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영상과 상기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각각을 비교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교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복수의 표정에서 촬영된 상기 환자의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스캔 영상을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엣지 라인이 표시된 치아의 변형에 따라 상기 복수의 3차원 스캔 영상 각각을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교정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틀니 교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1. 삭제
KR1020170135442A 2017-10-18 2017-10-18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KR10185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42A KR101856907B1 (ko) 2017-10-18 2017-10-18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42A KR101856907B1 (ko) 2017-10-18 2017-10-18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907B1 true KR101856907B1 (ko) 2018-05-10

Family

ID=6218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442A KR101856907B1 (ko) 2017-10-18 2017-10-18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52A1 (ko) *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인공지능을 적용한 3차원 얼굴스캔 자동매칭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37B1 (ko) 2011-02-22 2013-01-21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안면보정 이미지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37B1 (ko) 2011-02-22 2013-01-21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안면보정 이미지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52A1 (ko) *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인공지능을 적용한 3차원 얼굴스캔 자동매칭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4876B2 (en) Mobile device for viewing of dental treatment outcomes
EP3651683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the placement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immersive photographs
US11030746B2 (en) Assisted dental beau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0210236241A1 (en) Face tracking and reproduction with post-treatment smile
US202000814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orthodontic appliance
CN112087985A (zh) 经由实时增强可视化的模拟正畸处理
KR20150039028A (ko) 치아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US201502971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mplant image
US118329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2D panoramic image
KR20200109419A (ko)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수복 유형 설계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장치 및 그 방법
CN112424820A (zh) 用于模拟牙齿状况的方法
KR20210037038A (ko)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CN108877897B (zh) 牙科诊疗方案生成方法、装置及诊疗系统
KR101856907B1 (ko)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KR102177884B1 (ko) 치아모델 저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치아모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KR102573908B1 (ko)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US118901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ugmented reality imaging of an antomical site
EP4328861A2 (en) Jaw movements data generation apparatus, data generation method, and data generation program
KR10263341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20051059A (ko) 치아 단면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CN114582498A (zh) 矫正方案的生成方法、展示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RU2508068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трехмерного дизайн-проекта краевого пародонта
Kachroo Investigating the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3dMDface System for Soft Tissue Analysis
WO202320338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al and oral static and dynamic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