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318A -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318A
KR20130082318A KR1020120003458A KR20120003458A KR20130082318A KR 20130082318 A KR20130082318 A KR 20130082318A KR 1020120003458 A KR1020120003458 A KR 1020120003458A KR 20120003458 A KR20120003458 A KR 20120003458A KR 20130082318 A KR20130082318 A KR 2013008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tus
head
fetal
region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택
윤희철
정해경
이재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318A/ko
Priority to US13/739,143 priority patent/US8848994B2/en
Priority to PCT/KR2013/000249 priority patent/WO2013105815A1/en
Publication of KR2013008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태아를 촬영한 소정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및 상기 소정 영상에서 상기 태아의 머리와 몸통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머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구형, 상기 몸통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구형, 상기 머리의 중심축인 제1 축 및 상기 몸통의 중심축인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용이하게 태아의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태아를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기재한다.

Description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METHOD FOR FETUS MODELING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본원 발명은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영상에 포함되는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여 태아 형태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아의 상태 진단을 위하여 다양한 의료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의사는 태아의 초음파 영상을 촬영하고, 획득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태아의 상태를 진단한다. 초음파 시스템은 무침습 및 비파괴 특성이 있어, 대상체 내부의 정보를 얻기 위한 의료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시스템은 대상체를 직접 절개하여 관찰하는 외과 수술의 필요 없이, 대상체 내부의 고해상도 영상을 실시간으로 의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태아의 상태 진단을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태아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통한 시각적 판독과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s)의 측정을 이용할 수 있다. 태아의 상태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으로는 초음파 영상, MRI(Magnetic Resonance Image), 3D 카메라(3-dimensional camer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태아를 촬영한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는 것은, 의사 등의 임상 전문가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임상 전문가의 숙련도에 의해 측정 오차의 편차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수동적인 측정 동작으로 인하여, 태아 상태 진단을 위한 검진 절차가 표준화될 수 없다.
따라서, 수동 측정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차 편차를 감소시키고, 편리하게 태아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자동적으로 태아의 바이오메트릭스 등을 측정하거나 소정 부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용이하게 태아의 바이오메트릭스를 획득할 수 있는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태아를 촬영한 소정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및 상기 소정 영상에서 상기 태아의 머리와 몸통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머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구형, 상기 몸통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구형, 상기 머리의 중심축인 제1 축 및 상기 몸통의 중심축인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영상에서 상기 태아의 상기 머리 영역과 상기 몸통 영역을 각각 감지하는 영역 감지부, 및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을 설정하며, 상기 제1 축, 상기 제2 축, 상기 제1 구형, 및 상기 제2 구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태아 모델링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형은 원형이며, 상기 제2 구형은 타원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감지부는 상기 소정 영상에서 에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머리 영역과 상기 몸통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아 모델링 부는 감지된 상기 머리 영역에 피팅되는 상기 제1 구형을 상기 태아의 머리로 모델링하고, 감지된 상기 몸통 영역에 피팅되는 상기 제2 구형을 상기 태아의 몸통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아 모델링 부는 상기 머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특징점은 구개골, 코 뼈, 광대뼈, 및 정수리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아 모델링 부는 상기 머리에 포함되는 구개골에 수직하는 상기 제1 구형의 중심 축을 상기 제1 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형은 원, 대칭 타원형, 및 비대칭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형은 원, 대칭 타원형, 및 비대칭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메트릭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및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머리 지름(BPD), 머리 둘레(HC), 허벅지 및 다리 길이(FL), 상완골 길이(HL), 및 정수리-엉덩이 길이(CRL)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에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또는 상기 최종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최종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최종 영상에 포함되는 상기 해부학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기 위한 툴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태아의 소정 영역을 지정하거나, 소정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은 태아를 촬영한 소정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정 영상에서 상기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머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구형, 상기 몸통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구형, 상기 머리의 중심축인 제1 축 및 상기 몸통의 중심축인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태아를 촬영한 소정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에서 태아의 머리 및 몸통 영역의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어부에서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어부에서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태아의 상태 진단을 위하여 필요한 바이오메트릭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디스플레이 부가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일반적으로, 태아 상태 진단을 위해서는, 태아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의사가 수동적으로 신체 부위별로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을 측정한다. 또는 신체 부위별로 트레이닝(training) 기반의 통계 데이터를참조하여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이오메트릭스 측정 방법은 정해진 신체 부위에 존재하는 바이오메트릭스만을 측정할 수 있으며, 다른 신체 부위를 측정하려면 상기 다른 신체 부위에 해당하는 트레이닝이 다시 이루어져야 하며, 반복되는 트레이닝을 통하여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개별적인 신체 부위별 트레이닝 없이 자동적으로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태아를 촬영한 소정 영상(Din)을 수신한다. 여기서, 태아를 촬영한 영상으로는 태아를 촬영한 초음파 영상, MRI 영상, 3D 카메라(3-dimensional camera)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전송되는 소정 영상(Din)에서 태아의 머리와 몸통 영역을 감지한다. 그리고, 태아 머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구형, 태아의 몸통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구형, 태아 머리의 중심축인 제1 축 및 태아 몸통의 중심축인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한다. 그리고, 모델링 된 태아의 형태를 영상 데이터(Dout)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는 영상 수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200)는 촬영부(240) 및 디스플레이 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200)에 있어서, 영상 수신부(210) 및 제어부(220)는 각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영상 수신부(110) 및 제어부(12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촬영부(240)는 태아의 영상을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240)는 태아의 신체를 촬영할 수 있는 의료 영상 촬영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초음파 촬영 장치, MRI 촬영 장치, 3D 카메라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240)는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할 수 있는 태아의 소정 단면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240)는 태아의 정중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촬영하여 영상(Din)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촬영부(240)가 영상 처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촬영부(240)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외부에 별도 구비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110)는 촬영부(240)에서 생성한 영상(Din)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영상(Din)을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영상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영상(Din)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태아를 촬영한 소정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영상(Din)이 초음파 영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태아의 소정 단면을 촬영한 영상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Din)(300)은 태아의 전신을 촬영한 영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영상(300)은 태아의 정중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촬영한 영상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제어부(220)는 영역 감지부(230) 및 태아 모델링 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감지부(230)는 수신된 영상에서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영역 감지부(230)는 영상 내에 포함되는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각각 구별하여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영역 감지부(230)는 영상(Din)에서 에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에지(edge) 정보는 영상(Din)에서 태아의 신체, 예를 들어, 머리 또는 몸통 영역,의 외곽 경계을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에서 태아의 머리 및 몸통 영역의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400)은 영상 수신부(210)가 수신 및 출력하는 영상(Din)과 대응되며, 태아의 정중시상면을 촬영한 영상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영역 감지부(230)는 영상(Din)을 허프 변환(hough transform)하여 에지 영상(edge image)을 생성(미도시)할 수 있다. 여기서, 에지 영상은 영상(Din) 내에 존재하는 경계라인들로 이뤄진 영상이 된다. 그리고, 생성된 에지 영상에서 태아의 머리 및 몸통 영역의 경계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태아의 경계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허프 변환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의 경계 추출 방법이 이용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역 감지부(230)는 영상(400)에 포함되는 경계(410, 420, 430)를 감지한다. 도 4에 있어서, 경계(410)는 태아의 머리 및 몸통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고, 경계(430)는 태아의 팔의 경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경계(420)는 태아의 다리의 경계를 나타낸다.
영역 감지부(230)는 영상(400)의 에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프 변환을 이용하여 영상(400) 내에 존재하는 경계라인들을 감지하고, 상기 경계라인들에 대한 정보인 에지 정보에 근거하여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태아 모델링 부(235)는 태아의 머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구형 및 태아의 몸통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구형을 이용하여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형은 원, 대칭 타원형, 및 비대칭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형은 원, 대칭 타원형, 및 비대칭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형은 원형이 될 수 있으며, 제2 구형은 타원형이 될 수 있다. 태아 모델링 부(235)의 태아 형태 모델링 동작은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제어부에서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5의 영상(500)은 도 4의 영상(400)에 동일 대응될 수 있으며, 영역 감지부(230)가 태아의 머리 및 몸통 영역을 감지하여 태아의 머리 및 몸통 영역의 경계가 나타나는 영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태아 모델링 부(235)는 영역 감지부(230)에서 감지된 머리 영역에 피팅되는 제1 구형(510)을 획득한다. 또한, 태아 모델링 부(235)는 영역 감지부(230)에서 감지된 몸통 영역에 피팅되는 제2 구형(525)을 획득한다. 태아 모델링 부(235)는 제1 구형(510)을 태아의 머리로 모델링하고, 제2 구형(525)을 태아의 몸통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 감지부(230)가 감지한 태아의 머리 및 몸통 영역에 리스트 스퀘어(least square) 기법을 적용하면, 머리 및 몸통 영역에 피팅되는 구형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구형(510)이 원형이고, 제2 구형(525)이 대칭 타원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태아 모델링 부(235)는 태아 머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을 이용하여 제1 축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특징점으로는 구개골(palate)(517), 코 뼈(516), 광대뼈(미도시), 및 정수리(crown of head) 지점(P1)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아 모델링 부(235)는 제1 구형(510)의 중심축이고 태아의 정수리(crown of head)(P1)를 통과하는 직선을 제1 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태아 모델링 부(235)는 머리에 포함되는 구개골(517)에 수직하는 제1 구형(510)의 중심 축(515)을 제1 축(515)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구개골(517)에 수직한 직선(518)과 제1 축(515)은 평행하다.
또한, 태아 모델링 부(235)는 제2 축을 태아의 몸통에 피팅되는 타원(525)의 장축(5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타원(525)과 제2 축의 접점(P2)은 태아의 둔부(rump)가 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제어부에서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의 제1 구형(610), 제2 구형(625), 제1 축(615) 및 제2 축(620)은 각각 도 5의 제1 구형(510), 제2 구형(525), 제1 축(515) 및 제2 축(520)과 동일 대응되므로, 도 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20)는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s)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오메트릭스는 태아의 신체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생체 인식 값으로, 정수리-엉덩이 길이(CRL: crown rump length), 머리 지름(BPD: biparietal diameter), 머리 둘레(HC: head circumference), 복부 둘레(AC: abdominal circumference), 허벅지/다리 길이(FL: femur length), 상완골 길이(HL: Humerus length)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오메트릭스의 획득은 태아 모델링 부(235)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 예를 들어, 태아 모델링 부(235),는 획득된 바이오메트릭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20), 예를 들어, 태아 모델링 부(235),는 태아의 머리와 태아의 몸통 간의 각도인 제1 축(615) 및 제2 축(620) 사이의 각도(a)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범위를 판단하는 기준 값은 통계 데이터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아가 웅크리고 있는 정도에 따라서 제1 축(615) 및 제2 축(620) 사이의 각도(a)가 달라지며, 통계적으로 태아가 웅크리고 있는 일반적인 정도에 따라서 정상 범위의 판단 기준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축(615) 및 제2 축(620) 사이의 각도(a)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면, 제어부(220), 예를 들어, 태아 모델링 부(235),는 제1 축(615)과 제1 구형(610)의 접하는 지점(P1)과 제2 축(620)과 제2 구형(625)의 접하는 지점(P2) 간의 길이를 정수리-엉덩이 길이(CRL)로써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리와 몸통이 이루는 각도가 정상 범위 내에 있어야 정수리-엉덩이 길이(CRL) 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아가 너무 웅크리고 있으면 정수리-엉덩이 길이(CRL) 값이 작게 측정되고, 쭉 뻗어 있으면 정수리-엉덩이 길이(CRL) 값이 너무 크게 측정된다. 따라서, 태아가 너무 웅크리거나 쭉 뻗어 있는 경우는, 태아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값인 GA(Gestational Age: 임신 주수)를 계산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제어부(220), 예를 들어, 태아 모델링 부(235),는 각도(a)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이용하여 정수리-엉덩이 길이(CRL)(660)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머리와 몸통이 이루는 각도가 정상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20), 예를 들어, 태아 모델링 부(235),는 제1 축(615) 및 제2 축(620) 사이의 각도(a)가 전술한 기준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링 된 태아 형태에 있어서, 태아가 뻗어 있는 경우에는, 각도(a)의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축(615)을 정정하여 정전된 제1 축(630)을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 축(615) 및 제2 축(620) 사이의 각도(b)가 재설정될 수 있다.
재설정된 각도(b)를 갖는 태아 형태 모델에 따르면, 정수리-엉덩이 길이(CRL)는 P3 지점과 P2 지점 사이의 거리 값(650)이 된다.
도 7은 태아의 상태 진단을 위하여 필요한 바이오메트릭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태아의 상태 진단을 위하여 필요한 바이오메트릭스의 예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 두께(TTD: transverse thoracic diameter), 복부 둘레(AC), APTD(Anterior Posterior Thoracic Diameter), 머리 지름(BPD), 허벅지/다리 길이(FL) 등이 있다.
제어부(220), 예를 들어, 태아 모델링 부(235),는 도 5 또는 도 6에서 도시한 모델링 된 태아의 형태와 바이오메트릭스가 존재하는 위치를 매칭시켜서, 매칭된 위치에서 해당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이오메트릭스가 존재하는 위치는, 태아의 신체에서 소정 바이오메트릭스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통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데이터에 따라서 도시된 단면(680)에서 태아의 머리 둘레를 가장 많이 측정하게 되는 경우, 단면(680)에서 제1 구형(610)의 둘레를 머리 둘레(HC) 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영역 감지부(230)에서 감지된 머리 경계와 제1 구형(610)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차이를 고려하여 머리 둘레(HC) 값을 수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모델링 된 태아 형태에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해부학 정보는 태아의 신체 지점 정보, 태아의 바이오메트릭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부(250)는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또는 최종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또는 최종 영상에 부가하여 소정 툴 바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화면, 데이터, 및/ 또는 사용자가 소정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툴 바(tool bar)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요청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는 최종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는 디스플레이 부(250)의 내부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최종 영상 또는 최종 영상 및 툴 바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디스플레이 부가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은 최종 영상(805)을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영상(805)은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포함하며, 모델링 된 태아 형태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메트릭스인 CRL(831), FL(833), 및 TTD(83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영상(805)을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영상(805)은 모델링 된 태아 형태에 부가되는 해부학 정보인 코 끝 뼈(Nasal bone tip)(803) 및 구개골(palate)(805) 등의 표시(803, 8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은 적어도 하나의 툴 바(860, 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영상(805) 내에 포함되는 커서(801)가 지시하는 지점에 대응되는 해부학 정보 및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데이터 영역(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은 태아의 소정 영역을 지정하거나, 소정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80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서(801)를 이용하여, 최종 영상(805) 상에서 태아의 일부 신체 영역을 선택하거나, 소정 위치를 선택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는 커서(801)에 의하여 선택된 지점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에 따라서, 제어부(220)는 선택된 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해부학 정보 및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 예를 들어, 데이터 영역(850), 상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801)가 803 지점에 위치되어, 커서(801)에 의해 선택된 지점 정보가 제어부(220)로 전송되면, 데이터 영역(850)에는 '영역: 코 끝 뼈(Nasal bone tip)'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는 소정 영역 선택,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툴 바(8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툴 바(860)에 포함되는 '영역선택'키를 클릭하고, 커서(801)를 이용하여 소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는 소정 영역 선택 요청을 입력받으며, 제어부(220)로 상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전달된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소정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별도 저장하거나, 선택된 소정 영역을 전체 화면으로 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은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기 위한 툴 바(8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은 사용자가 최종 영상(805)에 포함되는 해부학 정보(예를 들어, 803 및 805)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예를 들어, P1: crown, P2: rump)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소정 바이오메트릭스의 측정을 요청하기 위한 툴 바(8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툴 바(870) 내에 포함되는 '선택'키를 누르면, 제어부(220)는 최종 영상(805)을 이용하여 촬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메트릭스의 리스트(미도시)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바이오메트릭스의 리스트(미도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받으면, 제어부(220)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 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툴 바(870) 내에 포함되는 '선택'키를 누르면, 제어부(220)는 측정하고자 하는 바이오메트릭스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미도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미도시)를 통하여 소정 바이오메트릭스를 입력하면, 제어부(220)는 입력된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 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툴 바(870) 내에 포함되는 '길이측정'키를 누르고, 커서(801)를 이용하여 두 지점을 선택하면,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 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툴 바(870) 내에 포함되는 '둘레측정'키를 누르고, 커서(801)를 이용하여 두 지점을 선택하면,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두 지점 사이 단면적의 둘레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 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900)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00, 200)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200)를 참조하여 태아 모델링 방법(900)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태아 모델링 방법(900)은 태아를 촬영한 영상(Din)을 수신한다(910 단계). 910 단계의 동작은 영상 수신부(2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910 단계에서 수신된 영상에서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감지한다(920 단계). 920 단계의 동작은 영역 감지부(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920 단계는 수신된 영상에서 에지 정보를 획득하고,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감지된 머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구형, 920 단계에서 감지된 몸통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구형, 머리의 중심축인 제1 축 및 몸통의 중심축인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한다(930 단계). 930 단계의 동작은 태아 모델링 부(235)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930 단계는 감지된 머리 영역에 피팅되는 제1 구형을 태아의 머리로 모델링하고, 감지된 몸통 영역에 피팅되는 제2 구형을 태아의 몸통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930 단계는 머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을 이용하여 제1 축을 설정하는 단계(단계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특징점은 구개골, 코 뼈, 광대뼈, 및 정수리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축을 설정하는 단계는 구개골에 수직하는 제1 구형의 중심 축을 제1 축으로 설정하는 단계(단계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1000)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8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200)를 참조하여 태아 모델링 방법(1000)을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태아 모델링 방법(1000)의 1010, 1020 및 1030 단계 각각은 도 9에서 도시한 태아 모델링 방법(900)의 910, 920 및 930 단계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9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태아 모델링 방법(1000)은 태아 모델링 방법(900)에 비하여 1040 단계 및 1050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태아 모델링 방법(1000)은 1030 단계에 후속하여, 1030 단계에서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메트릭스를 획득할 수 있다(1040 단계). 1040 단계 동작은 제어부(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40 단계는 1030 단계에서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및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머리 지름(BPD), 머리 둘레(HC), 허벅지 및 다리 길이(FL), 상완골 길이(HL), 및 정수리-엉덩이 길이(CRL)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1030 단계 또는 1040 단계에 후속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을 출력할 수 있다(1050 단계). 1050 단계의 동작은 디스플레이 부(250),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50 단계는 1040 단계에서 획득된 바이오메트릭스의 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1050 단계는 1030 단계에서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1100)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8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200)를 참조하여 태아 모델링 방법(1100)을 설명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태아 모델링 방법(1100)의 1110, 1120 및 1130 단계 각각은 도 9에서 도시한 태아 모델링 방법(900)의 910, 920 및 930 단계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9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태아 모델링 방법(1100)은 태아 모델링 방법(900)에 비하여 1140 단계 및 1150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아 모델링 방법(1100)은 1130 단계에 후속하여, 1130 단계에서 모델링 된 태아 형태에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1140 단계). 1140 단계는 제어부(220), 구체적으로, 태아 모델링 부(235)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1130 단계에서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또는 1140 단계에서 생성된 최종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1150 단계). 1150 단계의 동작은 디스플레이 부(250),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55),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150 단계에서 최종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최종 영상에 포함되는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기 위한 툴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태아의 소정 영역을 지정하거나, 소정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태아의 형태를 제1 구형 및 제2 구형을 이용하여 모델링함으로써, 태아의 신체 형태를 일률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태아의 바이오메트릭스 등을 측정하거나 소정 부위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가 수동적으로 태아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는 경우보다 용이하게 태아의 바이오메트릭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아 모델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영상 처리 장치
110, 210: 영상 수신부
120, 220: 제어부
230: 영역 감지부
235: 태아 모델링 부
240: 촬영부
250: 디스플레이 부
255: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

Claims (27)

  1. 태아를 촬영한 소정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및
    상기 소정 영상에서 상기 태아의 머리와 몸통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머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구형, 상기 몸통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구형, 상기 머리의 중심축인 제1 축 및 상기 몸통의 중심축인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영상에서 상기 태아의 상기 머리 영역과 상기 몸통 영역을 각각 감지하는 영역 감지부; 및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을 설정하며, 상기 제1 축, 상기 제2 축, 상기 제1 구형, 및 상기 제2 구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태아 모델링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형은 원형이며,
    상기 제2 구형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감지부는
    상기 소정 영상에서 에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머리 영역과 상기 몸통 영역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아 모델링 부는
    감지된 상기 머리 영역에 피팅되는 상기 제1 구형을 상기 태아의 머리로 모델링하고, 감지된 상기 몸통 영역에 피팅되는 상기 제2 구형을 상기 태아의 몸통으로 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아 모델링 부는
    상기 머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특징점은
    구개골, 코 뼈, 광대뼈, 및 정수리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아 모델링 부는
    상기 머리에 포함되는 구개골에 수직하는 상기 제1 구형의 중심 축을 상기 제1 축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형은 원, 대칭 타원형, 및 비대칭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형은 원, 대칭 타원형, 및 비대칭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메트릭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및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머리 지름(BPD), 머리 둘레(HC), 허벅지 및 다리 길이(FL), 상완골 길이(HL), 및 정수리-엉덩이 길이(CRL)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에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또는 상기 최종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최종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최종 영상에 포함되는 상기 해부학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기 위한 툴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태아의 소정 영역을 지정하거나, 소정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6. 태아를 촬영한 소정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정 영상에서 상기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머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구형, 상기 몸통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구형, 상기 머리의 중심축인 제1 축 및 상기 몸통의 중심축인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태아의 머리 영역과 몸통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영상에서 에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머리 영역과 상기 몸통 영역을 각각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단계는
    감지된 상기 머리 영역에 피팅되는 상기 제1 구형을 상기 태아의 머리로 모델링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몸통 영역에 피팅되는 상기 제2 구형을 상기 태아의 몸통으로 모델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태아의 형태를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머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축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특징점은
    구개골, 코 뼈, 광대뼈, 및 정수리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축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개골에 수직하는 상기 제1 구형의 중심 축을 상기 제1 축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메트릭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메트릭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및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머리 지름(BPD), 머리 둘레(HC), 허벅지 및 다리 길이(FL), 상완골 길이(HL), 및 정수리-엉덩이 길이(CRL)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바이오메트릭스의 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에 해부학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 된 태아 형태 또는 상기 최종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최종 영상에 포함되는 상기 해부학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체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바이오메트릭스를 측정하기 위한 툴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태아의 소정 영역을 지정하거나, 소정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모델링 방법.
KR1020120003458A 2012-01-11 2012-01-11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KR20130082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58A KR20130082318A (ko) 2012-01-11 2012-01-11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US13/739,143 US8848994B2 (en) 2012-01-11 2013-01-11 Fetus model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PCT/KR2013/000249 WO2013105815A1 (en) 2012-01-11 2013-01-11 Fetus model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58A KR20130082318A (ko) 2012-01-11 2012-01-11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318A true KR20130082318A (ko) 2013-07-19

Family

ID=4874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458A KR20130082318A (ko) 2012-01-11 2012-01-11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48994B2 (ko)
KR (1) KR20130082318A (ko)
WO (1) WO20131058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185A (ko) * 2017-08-25 2019-03-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아의 신체 계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아의 신체 계측 디바이스
WO2022124591A1 (ko) * 2020-12-11 2022-06-16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의료지표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초음파 진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9743B2 (en) 2014-05-06 2020-09-22 Peacs B.V. Estimating distribution, fluctuation and/or movement of electrical activity through a heart tissue
US11172860B2 (en) * 2014-05-06 2021-11-16 Peacs Investments B.V. Estimating distribution fluctuation and/or movement of electrical activity through a heart tissue
JP5865463B1 (ja) * 2014-10-01 2016-02-17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超音波画像処理装置
US11289207B2 (en) 2015-07-09 2022-03-29 Peacs Investments B.V. System for visualizing heart activation
US11458320B2 (en) 2016-09-06 2022-10-04 Peacs Investments B.V. Method of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EP3554384B1 (en) 2016-12-19 2022-09-14 Koninklijke Philips N.V. Fetal ultrasound imaging
KR20200099910A (ko) * 2019-02-15 2020-08-2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2145B1 (en) * 2003-08-06 2015-10-07 TRIG Medical Ltd. Method for monitoring labor parameters
US7783095B2 (en) * 2005-08-11 2010-08-2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fetal biometric measurements from ultrasound data and fusion of same for estimation of fetal gestational age
US8556814B2 (en) * 2007-10-04 2013-10-15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Automated fetal measurement from three-dimensional ultrasound data
US20110196236A1 (en) 2010-02-08 2011-08-11 Gokul Swamy System and method of automated gestational age assessment of fetus
US9134420B2 (en) * 2010-03-10 2015-09-15 Samsung Medison Co., Ltd. Three-dimensional (3D) ultrasound system for scanning object inside human body and method for operating 3D ultrasound system
KR101144867B1 (ko) 2010-03-10 2012-05-14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인체 내 오브젝트를 스캔하는 3차원 초음파 검사기 및 3차원 초음파 검사기 동작 방법
EP2387949A1 (en) * 2010-05-17 2011-11-23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system for measuring image using figure template and method for operating ultrasound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185A (ko) * 2017-08-25 2019-03-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아의 신체 계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아의 신체 계측 디바이스
WO2022124591A1 (ko) * 2020-12-11 2022-06-16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의료지표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초음파 진단장치
KR20220083894A (ko) * 2020-12-11 2022-06-21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의료지표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초음파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8994B2 (en) 2014-09-30
US20130177223A1 (en) 2013-07-11
WO2013105815A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2318A (ko) 태아 모델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KR102245189B1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처리 방법
US997208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30072810A (ko)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정중 시상면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11871A (ko) 3차원적 모델을 이용한 신체 장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80466B1 (ko)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32651B1 (ko) 적외선 체열 검출 및 분석 방법
EP3174467A1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WO2021138272A1 (en) Dynamic 3-d anatomical mapping and visualization
CN114529502A (zh) 用于进行自动化受检者解剖结构和取向识别的基于深度学习的方法和系统
Bonnet et al. Automatic estimate of back anatomical landmarks and 3D spine curve from a Kinect sensor
JP2018175007A (ja) 情報処理装置、検査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185724B1 (ko) 대상체의 측정에 사용될 캘리퍼 타입에 따라 위치가 교정된 포인트를 의료 영상에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I681755B (zh) 脊椎側彎量測系統與方法
KR20160057024A (ko) 마커리스 3차원 객체추적 장치 및 그 방법
JP201904605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16205A (ja) 医用画像計測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Mutsvangwa et al. Precision assessment of stereo-photogrammetrically derived facial landmarks in infants
CN116807452A (zh) 一种脊柱侧弯3d检测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20130036526A (ko) 안면 영상과 엑스레이 영상을 이용한 형상진단기
JP2011160824A (ja) 脊椎湾曲症判定支援装置
CHOI et al. Measurement of vertebral rotation from moire image for screening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KR102184001B1 (ko) 수술용 네비게이션을 위한 영상 정합 장치 및 영상 정합 방법
KR101194286B1 (ko) 인체 내 오브젝트의 굽은 정도를 표시하는 3차원 초음파 검사기 및 3차원 초음파 검사기 동작 방법
EP2807977B1 (en) Ultrasound diagnosis method and aparatus using three-dimensional volum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