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466B1 -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466B1
KR102180466B1 KR1020130159639A KR20130159639A KR102180466B1 KR 102180466 B1 KR102180466 B1 KR 102180466B1 KR 1020130159639 A KR1020130159639 A KR 1020130159639A KR 20130159639 A KR20130159639 A KR 20130159639A KR 102180466 B1 KR102180466 B1 KR 10218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value
point
predetermine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222A (ko
Inventor
유준상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466B1/ko
Priority to EP14167495.2A priority patent/EP2887243A1/en
Priority to US14/445,902 priority patent/US9390533B2/en
Publication of KR2015007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222A/ko
Priority to US15/202,243 priority patent/US101923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92Interactive image processing based on input by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를 획득하고,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며,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고,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고,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RALATED TO MEASURED VALUE OF AN OBJECT}
본 발명은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정하게는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에 포함된 평균값 또는 비정상값을 측정값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진단 장치로서, 초음파 진단 장치, X선 촬영 장치, CT(Computerized Tomography) 장치, MRI(Magnetic Resonance Image) 촬영 장치 등이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소정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전달하고, 체내의 조직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얻는 것이다.
이러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X선 등의 피폭이 없어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X선 진단장치, CT(Computerized Tomography) 스캐너, MRI(Magnetic Resonance Image) 장치,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화상 진단장치와 함께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 산업용 방사선 투과 촬영 장치로서, 엑스선(X-ray) 촬영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엑스레이(X-ray)란, 일반적으로 0.01 ~ 100 옴스트롬(Å)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로서, 물체를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생체 내부를 촬영하는 의료장비나 일반산업의 비파괴검사장비 등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엑스레이를 이용한 촬영 장치는 엑스레이 튜브(또는 엑스레이 소스)에서 방출된 엑스레이를 피사체에 투과시키고, 투과된 엑스레이의 강도 차이를 엑스레이 디텍터에서 검출하여 피사체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피사체의 밀도, 피사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원자번호에 따라 엑스레이의 투과율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내부 구조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X선의 파장이 짧으면 투과율이 커지고 화면이 선명(Brightness)해진다.
엑스레이를 이용한 촬영 장치는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소스와 엑스레이 디텍터 및 이미지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레이 소스는 미리 설정된 X선 조사 조건으로 X선 광원을 조사하고, 엑스레이 디텍터는 피사체를 투과한 X선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를 이미지 처리 장치로 보낸다. 이미지 처리 장치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산업용 방사선 투과 촬영 장치로서, CT(Computerized Tomography)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CT 장치는 대상체에 대하여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X-ray 촬영 기기에 비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예컨대, 신장, 폐 등의 장기 등)가 겹치지 않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T 장치는, 예를 들어, 2mm 두께 이하의 영상 데이터를 초당 수십, 수백 회 획득하여 가공함으로써 대상체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한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회전축 주위에서 촬영한 복수개의 2차원 엑스선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 구조를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 기기로서,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촬영 장치가 있다.
자기 공명 영상(MRI)이란 자기장을 발생하는 커다란 자석 공간 속에 대상체를 위치 시킨 후, 고주파(Radio Frequency Pulse)를 발생시켜 대상체에 포함된 양성자를 공명시켜 대상체에 포함된 조직 등에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측정하여 컴퓨터를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자기 공명 영상(MRI)은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타 영상법에 비해 해상도 및 대조도가 높고, 심부 장기 영상과 3차원 정보 제공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영상(MRI)은 방사선 피폭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대상체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횡단면(axial), 시상면(sagittal), 관상면(coronal) 등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은,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대상 정보는 대상체의 프로파일 정보 및 측정 부위에 따라 결정된 측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는 측정 시작 포인트 및 측정 종료 포인트를 포함하고, 측정 종료 포인트는 측정 포인트를 지정(designate)하기 위한 소정의 포인터가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정된 포인트일 수 있다.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항목에 대한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측정값은 길이값, 둘레값, 각도값, 면적값 또는 부피값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소정의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직선에 따른 길이값, 소정의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곡선에 따른 둘레값,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들로 형성된 소정의 각도값,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영역의 면적값 또는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입체 영역의 부피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및 소정의 컬러가 할당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대상체의 의료 영상 상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과 중첩된 위치일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단계; 및 부가 정보로서 생성된 컬러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포인터가 이동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컬러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생성된 컬러바에 포함된 컬러 중 실시간으로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컬러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는,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를 획득하는 대상체 정보 획득부;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측정 정보 획득부;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기준값 결정부;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측정값 획득부; 및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대상 정보는 대상체의 프로파일 정보 및 측정 부위에 따라 결정된 측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는 측정 시작 포인트 및 측정 종료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종료 포인트는 측정 포인트를 지정하기 위한 소정의 포인터가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정된 포인트일 수 있다.
기준값 결정부는,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항목에 대한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대상체의 측정값은 길이값, 둘레값, 각도값, 면적값 또는 부피값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값 획득부는, 소정의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직선에 따른 길이값, 소정의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곡선에 따른 둘레값,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들로 형성된 소정의 각도값,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영역의 면적값 또는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입체 영역의 부피값을 획득할 수 있다.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컬러 할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소정의 컬러가 할당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대상체의 의료 영상 상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과 중첩된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컬러 할당부; 및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컬러바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부가 정보로서 생성된 컬러바를 디스플레이하며, 소정의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컬러 할당부; 및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컬러바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값 획득부는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포인터가 이동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획득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생성된 컬러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생성된 컬러바에 포함된 컬러 중 실시간으로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컬러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예시적인 부가 정보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함께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컬러할당부와 컬러바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엑스레이 영상에서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T 영상에서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RI 영상에서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의료 영상"이란 이산적인 이미지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은 초음파, X-ray, CT, MRI 및 다른 의료 이미징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는 신체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에는 간이나,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나, 태아 등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의료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병리사, 의료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대상체에 대하여 길이, 면적 등 소정의 측정을 수행할 때, 측정값이 정상 범위(또는 정상 그룹)에 속하는지, 비정상 범위(또는 비정상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백분위수 테이블 등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정상 그룹과 비정상 그룹을 구분하는 기준값과 측정값이 얼만큼의 차이를 갖는지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기준값 등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측정값이 정상 범위(또는 정상 그룹)에 속하는지, 비정상 범위(또는 비정상 그룹)에 속하는지를 손쉽게 판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은,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S200),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S300),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400) 및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대상 정보는 대상체의 프로파일 정보 및 측정 부위에 따라 결정된 측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대상 정보는 임신 주수(GA ; Gestational Age) 등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 정보에는 GA를 추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CRL (Crown lump length) 값 또는 Head Circumference(HC) 값 등이 존재한다면, CRL 값 또는 HC 값 등에 기초하여 GA가 추정(또는 예측)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 정보는 대상체의 측정 부위 및 측정 부위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측정 항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부위에는 태아 또는 성인의 머리, 심장, 복부, 팔, 다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측정 항목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부위에 따른 측정 빈도수가 높은 측정 항목들에 대하여 높은 우선순위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할당된 우선 순위에 따라서 측정 항목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측정 항목에는 CRL (Crown lump length), Bi-Parietal Diameter(BPD), AC (Abdominal circumference), Head Circumference(HC), CBLL (Cerebellum Diameter) 또는 Femur Length(FL) 등과 같은 태아의 생체 정보(biometry)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측정 항목에는 Posterior Ventricle Diameter(Vp), OccipitoFrontal Diameter(OFD), FTA (Fetal trunk area), EFW (Expected fetal weight)등과 같은 태아의 성장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측정 항목에는 태아의 염색체 이상 등 기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목덜미 투명대(NT; Nuchal translucency)의 길이(또는 두께) 측정, IT (Intracranial Translucency) 측정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의 기준값은 측정 대상 정보에 상응하는 백분위수 또는 백분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체가 태아라면, 측정의 기준값에는 태아의 임신 주수(GA)에 상응하는 측정 평균값, 비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는 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의 백분위수 또는 백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값은 점, 선, 면 또는 숫자, 글자 중 적어도 하나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외부 입력 수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 수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임신 주수(GA; Gestational Age) 등이 포함된 대상체의 프로파일 정보 또는 대상체의 측정 부위 및 측정 항목 등에 대한 정보가 측정 대상 정보로서 획득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S200)는, 외부 입력 수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는 측정 시작 포인트 및 측정 종료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종료 포인트는 측정 포인트를 지정(designate)하기 위한 소정의 포인터가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정된 포인트일 수 있다. 소정의 포인터는 화살표, 손가락 등의 형상을 갖는 지시자(또는 커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커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을 위한 측정 시작 포인트를 클릭한 후, 커서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측정 시작 포인트와 상이한 포인트를 클릭함으로써 측정 종료 포인트를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S300)는,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항목에 대한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항목에 대하여 임신 주수(GA)에 따라 측정 평균값, 정상, 비정상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 등이 미리 소정의 저장 장치(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측정 항목에 대하여 임신 주수(GA)에 기초하여 측정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이 통계학적으로 연산되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또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장치로부터 복수의 대상체들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계학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 항목에 대한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400)는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된 측정 방향을 따라 결정된 측정 종료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측정 부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측정값은 길이값, 둘레값, 각도값, 면적값 또는 부피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소정의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직선에 따른 길이값, 소정의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곡선에 따른 둘레값,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들로 형성된 소정의 각도값,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영역의 면적값 또는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입체 영역의 부피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00)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및 소정의 컬러가 할당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대상체의 의료 영상 상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X-ray, CT, MRI 및 다른 의료 이미징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과 중첩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정보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접한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의 좌측 또는 우측 위치일 수 있다.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00)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컬러바를 부가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값을 문자, 숫자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기준값에 상응하게 할당된 컬러를 이용하여 측정값과 기준값의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그라데이션 바(bar) 등으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측정값이 기준값에 미달이거나 초과되는 정도를 빠르게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400)는,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포인터가 이동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정의 포인터를 이동시킴으로써 대상체의 측정 부위에 대한 측정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00)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컬러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생성된 컬러바에 포함된 컬러 중 실시간으로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컬러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단계(S500)와 관련해서는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예시적인 부가 정보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태아라면, 사용자는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NT; Nuchal translucency)의 길이(또는 두께)를 측정하여 태아의 기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측정 대상이 된 태아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임신 주수(GA)를 갖는 복수명의 태아들의 목덜미 투명대의 길이값의 평균값 또는 기형일 확률이 높을 수 있는 길이값(예컨대, 비정상값)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이 된 태아의 기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a에서와 같은 태아의 영상에서 목덜미 부분과 같이 측정 부위를 포함하는 관심 영역(ROI)(100)에서 측정 시작 포인트(S)를 지정(또는 클릭)하고 측정 종료 포인트(E)를 지정한다면,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의 길이만큼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NT)의 길이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측정 대상이 된 태아의 임신 주수(GA)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임신 주수를 갖는 복수명의 태아들에 대한 목덜미 투명대의 길이값의 평균값(Ave)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이 된 태아의 임신 주수(GA)에서 비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는 비정상값(Ab)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은 측정 항목에 상응하게 미리 결정되어 있거나 대상체가 측정될 때에 통계학적으로 연산되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평균값(Ave), 비정상값(Ab)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의 백분위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평균값(Ave) 비정상값(Ab)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의 백분위수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평균값(Ave)의 백분위수 값은 50%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비정상값(Ab)의 백분위수 값은 75%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백분위수 값은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로서 대상체에 대한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측정 시작 포인트(S)에 대한 부가 정보(21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측정 시작 포인트에서의 백분위수 값이 부가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평균값(Ave)에 대한 백분위수 값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220)가 디스플레이되고, 비정상값(Ab)에 대한 백분위수 값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2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측정 종료 포인트(E)에 대한 백분위수 값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24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시작 포인트(S)로부터 측정 종료 포인트(E)까지의 길이가 측정 시작 포인트(S)로부터 비정상값(Ab)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측정 대상이 된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는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2b는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b에서와 같이, 측정 시작 포인트에서의 백분위수 값, 평균값에 대한 백분위수 값, 비정상값에 대한 백분위수 값 및 측정 종료 포인트에서의 백분위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부가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정보는 대상체에 대한 영상 상에 팝업 창 또는 말풍선 형태로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c는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평균값 또는 비정상값에 대하여 소정의 컬러가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값에 대한 컬러는 그라데이션 형태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값으로부터 비정상값으로 점차 변화할수록 컬러의 명도 또는 채도가 증가될 수 있다. 예컨대, 평균값에는 초록색이 할당되고, 비정상값에는 주황색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작 포인트에는 파란색이 할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비정상값으로 변화될수록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컬러가 할당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순서를 갖는 컬러바가 부가 정보로서 제공되고 측정값이 비정상값을 초과한다면, 측정값은 대상체에 대한 영상에서 빨간색 구간의 위치에 상응하므로, 사용자는 대상체가 비정상일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d 내지 도 2f는 대상체의 측정값을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커서 등과 같은 소정의 포인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영상에서 측정 시작 포인트(10)를 지정하고,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10)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지정되는 지점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포인터의 이동에 따라 측정값이 실시간으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측정값과 관련된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값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260)가 대상체에 대한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c에서와 같은 컬러바가 부가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시간으로 획득된 측정값은 측정값이 포함되는 범위에 따라 할당된 컬러로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d에서와 같이, 측정 시작 포인트(10)로부터 이동된 포인터가 제 1 위치의 포인트(41)를 지정할 때, 측정 시작 포인트(10)와 제 1 위치의 포인트(41) 간에 형성된 직선 거리는 부가 정보의 파란색 구간에 포함(261a)되므로, 측정 시작 포인트(10)와 제 1 위치의 포인트(41) 간에 형성된 직선은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e에서와 같이, 측정 시작 포인트(10)로부터 이동된 포인터가 제 2 위치의 포인트(42)를 지정할 때, 측정 시작 포인트(10)와 제 2 위치의 포인트(42) 간에 형성된 직선 거리는 부가 정보의 초록색 구간에 포함(261b)되므로, 측정 시작 포인트(10)와 제 2 위치의 포인트(42) 간에 형성된 직선은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f에서와 같이, 측정 시작 포인트(10)로부터 이동된 포인터가 제 3 위치의 포인트(43)를 지정할 때, 측정 시작 포인트(10)와 제 3 위치의 포인트(43) 간에 형성된 직선 거리는 부가 정보의 주황색 구간에 포함(261c)되므로, 측정 시작 포인트(10)와 제 3 위치의 포인트(43) 간에 형성된 직선은 주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대상체를 측정할 때,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에 상응하게 측정값이 표시되므로 대상체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측정값과 기준값과의 상대적 관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2g는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로서, 평균값에 기초한 비정상값의 백분율 또는 평균값에 기초한 측정값의 백분율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g에서와 같이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의 평균 길이값을 100%로 가정한다면, 비정상값은 평균값 대비 125%로 표시될 수 있고, 측정 종료 포인트는 평균값 대비 213%로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부가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된 평균값에 기초한 백분율을 참조하여 사용자는 평균값과 측정값 또는 비정상값과 측정값의 상대적 관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대상체의 측정값은 길이값, 둘레값, 각도값, 면적값 또는 부피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와 같이, 대상체의 관심 부위의 길이를 측정할 때, 현재 측정값(261)과 기준값(262 또는 263)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26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측정값(261)은 평균값(263)보다는 크지만, 비정상값(262)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260)에는 오차 범위 내에서 예측된 임신 주수에 따른 비정상값(264 또는 265)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260)에는 오차 범위 내에서 예측된 임신 주수에 따른 평균값(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오차 범위는 측정 항목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측정 대상 정보로서 획득된 임신 주수 이전 일주일 또는 이후 일주일이 오차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260)를 참조함으로써 현재 측정값(261)과 평균값(263)의 차이 또는 현재 측정값(261)과 비정상값(262)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 평균값 또는 비정상값에 대한 정보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대상체에 대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도 3b에서와 같이 대상체에 대한 영상(110)을 획득한 사용자는 대상체의 관심 부위의 둘레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시작 포인트(10)로부터 소정의 반경만큼 떨어진 영역의 둘레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둘레값과 기준값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26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둘레값은 평균값보다는 크지만, 비정상값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3c에서와 같이 대상체에 대한 영상(120)을 획득한 사용자는 대상체의 관심 부위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시작 포인트(10)를 포함하는 직선과 이루는 소정의 각도값 (61 또는 62)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각도값과 기준값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26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각도값은 평균값보다는 크지만, 비정상값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3d에서와 같이 대상체에 대한 볼륨 영상(130)을 획득한 사용자는 대상체의 관심 부위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시작 포인트(10)를 기준으로 대상체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부피값과 기준값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26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부피값은 평균값보다는 크지만, 비정상값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3b, 도 3c 및 도 3d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a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부가 정보(260)에는 오차 범위 내에서 예측된 임신 주수에 따른 평균값 또는 비정상값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함께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를 나타낸다.
도 4에서와 같은 대상체에 대한 영상(140)을 획득한 사용자는 측정 시작 포인트(10)와 측정 종료 포인트(40)를 지정함으로써 대상체의 길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종료 포인트(40)에서는 대상체의 측정된 값에 따른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시작 포인트(10)와 측정 종료 포인트(40)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대상체인 태아의 임신 주수가 예측될 수 있다. 예측된 임신 주수가 11주라면, 측정 종료 포인트(40)에서는 11W라는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체의 측정하기만 하면,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대상체에 대한 빠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로서, 오차 범위 내에서 예측된 임신 주수(264 또는 26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오차 범위는 측정 항목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측정을 통하여 예측되어 디스플레된 임신 주수의 이전 일주일(265) 또는 이후 일주일(264)이 오차 범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500)는,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를 획득하는 대상체 정보 획득부(510),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측정 정보 획득부(520),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기준값 결정부(530),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측정값 획득부(540) 및 결정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대상 정보는 대상체의 프로파일 정보 및 측정 부위에 따라 결정된 측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는 측정 시작 포인트 및 측정 종료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종료 포인트는 측정 포인트를 지정하기 위한 소정의 포인터가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정된 포인트일 수 있다. 소정의 포인터는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커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값 결정부(530)는,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항목에 대한 평균값 또는 비정상값을 결정할 수 있다.
대상체의 측정값은 길이값, 둘레값, 각도값, 면적값 또는 부피값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값 획득부(540)는, 소정의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직선에 따른 길이값, 소정의 포인터를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곡선에 따른 둘레값,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들로 형성된 소정의 각도값,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영역의 면적값 또는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입체 영역의 부피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0)는, 기준값 및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대상체의 의료 영상 상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컬러할당부와 컬러바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장치(500)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컬러 할당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0)는, 소정의 컬러가 할당된 기준값 및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대상체의 의료 영상 상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과 중첩된 위치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부가 정보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 상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장치(500)는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컬러 할당부(560) 및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컬러바 생성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0)는 생성된 컬러바를 부가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측정 시작 포인트와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
측정값 획득부(540)는,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포인터가 이동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0)는 생성된 컬러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생성된 컬러바에 포함된 컬러 중 실시간으로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컬러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엑스레이 영상에서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T 영상에서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RI 영상에서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 영상은 초음파 영상 이외에도 X-ray, CT, MRI 및 다른 의료 이미징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촬영된 대상체의 골반에 대한 엑스레이(X-ray) 영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부위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골반의 현재 측정값(261)과 함께 비정상값(262) 또는 평균값(263)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가 정보로서 제공되는 비정상값(262) 또는 평균값(263) 등을 참조하여 현재 측정값(261)에 따른 대상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골반의 길이 측정을 통하여 골반의 비정상적 발육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에 대한 CT 영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부위의 너비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척추의 너비의 현재 측정값(261)과 함께 비정상값(262) 또는 평균값(263)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가 정보로서 제공되는 비정상값(262) 또는 평균값(263) 등을 참조하여 현재 측정값(261)에 따른 대상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척추의 너비 측정을 통하여 경추관 협착증 유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에 대한 MRI 영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부위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뇌의 시상하부의 길이의 현재 측정값(261)과 함께 비정상값(262) 또는 평균값(263)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가 정보로서 제공되는 비정상값(262) 또는 평균값(263) 등을 참조하여 현재 측정값(261)에 따른 대상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시상하부의 길이 측정을 통하여 시상 하부의 임상적 기능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장치와 관련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이러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대상 정보는 상기 대상체의 프로파일 정보 및 측정 부위에 따라 결정된 측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는 측정 시작 포인트 및 측정 종료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종료 포인트는 상기 측정 포인트를 지정(designate)하기 위한 소정의 포인터가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정된 포인트이고,
    상기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항목에 대한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 있는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와 상기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 상에, 상기 측정값에 대한 백분위수 값 및 상기 결정된 기준값에 대한 백분위수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측정값은 길이값, 둘레값, 각도값, 면적값 또는 부피값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포인터를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직선에 따른 길이값, 상기 소정의 포인터를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곡선에 따른 둘레값,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들로 형성된 소정의 각도값,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영역의 면적값 또는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입체 영역의 부피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컬러가 할당된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상기 대상체의 의료 영상 상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와 상기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과 중첩된 위치인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컬러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포인터가 이동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컬러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컬러바에 포함된 컬러 중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컬러로 상기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측정 대상 정보를 획득하는 대상체 정보 획득부;
    상기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측정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측정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기준값 결정부;
    상기 획득된 측정 포인트 및 측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측정값 획득부; 및
    상기 결정된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대상 정보는 상기 대상체의 프로파일 정보 및 측정 부위에 따라 결정된 측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측정 포인트는 측정 시작 포인트 및 측정 종료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종료 포인트는 상기 측정 포인트를 지정하기 위한 소정의 포인터가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정된 포인트이고,
    상기 기준값 결정부는,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항목에 대한 평균값, 비정상값 또는 진단에 있어서 관심 있는 값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와 상기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 상에, 상기 측정값에 대한 백분위수 값 및 상기 결정된 기준값에 대한 백분위수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측정값은 길이값, 둘레값, 각도값, 면적값 또는 부피값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값 획득부는, 상기 소정의 포인터를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직선에 따른 길이값, 상기 소정의 포인터를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 곡선에 따른 둘레값,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들로 형성된 소정의 각도값,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영역의 면적값 또는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를 포함하는 입체 영역의 부피값을 획득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컬러 할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소정의 컬러가 할당된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측정값이 포함된 부가 정보를 상기 대상체의 의료 영상 상의 소정의 위치에 더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와 상기 측정 종료 포인트 사이에 형성된 직선과 중첩된 위치인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컬러 할당부; 및
    상기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컬러바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된 컬러바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준값에 소정의 컬러를 할당하는 컬러 할당부; 및
    상기 기준값에 할당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바를 생성하는 컬러바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값 획득부는, 상기 측정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포인터가 이동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된 컬러바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생성된 컬러바에 포함된 컬러 중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측정값에 상응하는 컬러로 상기 측정값을 더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17.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59639A 2013-12-19 2013-12-19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8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39A KR102180466B1 (ko) 2013-12-19 2013-12-19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4167495.2A EP2887243A1 (en) 2013-12-19 2014-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measured value of object
US14/445,902 US9390533B2 (en) 2013-12-19 2014-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measured value of object
US15/202,243 US10192337B2 (en) 2013-12-19 2016-07-05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measured value of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39A KR102180466B1 (ko) 2013-12-19 2013-12-19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222A KR20150072222A (ko) 2015-06-29
KR102180466B1 true KR102180466B1 (ko) 2020-11-18

Family

ID=5094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639A KR102180466B1 (ko) 2013-12-19 2013-12-19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390533B2 (ko)
EP (1) EP2887243A1 (ko)
KR (1) KR102180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466B1 (ko) * 2013-12-19 2020-11-1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134986B2 (ja) * 2014-09-01 2017-05-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医用画像計測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並びに医用画像計測プログラム
BR112018007491A2 (pt) * 2015-10-30 2018-10-23 Unilever Nv ?método de medição de indicações de tipo de cabelo, sistema para medir o tipo de cabelo e programa de computador para medir as indicações do tipo de cabelo?
JP7080177B6 (ja) * 2016-03-01 2022-06-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項部襞透過像の自動超音波測定
US20180042578A1 (en) * 2016-08-12 2018-02-15 Carestream Health, Inc. Automated ultrasound imag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11707806B2 (en) * 2019-02-12 2023-07-25 Illinois Tool Works Inc. Virtual markings in welding systems
US11328485B2 (en) * 2019-08-23 2022-05-10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ugmented-reality image corresponding to a microscope view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7014A1 (en) 2003-07-29 2008-03-27 Krantz David A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shape analysis to assess fetal abnormality
JP2008099931A (ja) * 2006-10-20 2008-05-01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9136332A2 (en) 2008-05-09 2009-11-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ultrasonic measurement of nuchal fold translucenc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5631B2 (ja) 1997-11-17 2002-06-24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カーソル表示方法および計測装置
US7252638B2 (en) 2003-06-23 2007-08-07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relationships of measurements of features associated with a medical image
JP4077430B2 (ja) * 2003-07-31 2008-04-16 佳知 高石 骨密度評価装置および骨密度評価方法
KR100803328B1 (ko) * 2006-07-06 2008-02-1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아 초음파 영상에서 목덜미투명대의 자동 측정방법
KR101194288B1 (ko) * 2010-09-14 2012-10-2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이미지의 시야를 확장하는 3차원 초음파 검사기 및 3차원 초음파 검사기의 동작 방법
US9047394B2 (en) 2010-10-22 2015-06-02 Samsung Medison Co., Ltd. 3D ultrasound system for intuitive displaying to check abnormality of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3D ultrasound system
US20170296064A9 (en) * 2012-04-04 2017-10-19 Spahn James G Method of Monitoring The Status of A Wound
WO2013150829A1 (ja) * 2012-04-03 2013-10-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71925B2 (en) * 2012-08-28 2017-06-06 Hitachi,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medical image capturing device
EP2742869A1 (en) * 2012-12-12 2014-06-18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into the same
WO2014148644A1 (ja) * 2013-03-22 2014-09-25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512291B1 (ko) * 2013-05-06 2015-04-1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제공 방법
KR102180466B1 (ko) * 2013-12-19 2020-11-1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7014A1 (en) 2003-07-29 2008-03-27 Krantz David A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shape analysis to assess fetal abnormality
JP2008099931A (ja) * 2006-10-20 2008-05-01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9136332A2 (en) 2008-05-09 2009-11-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ultrasonic measurement of nuchal fold transluc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90533B2 (en) 2016-07-12
US10192337B2 (en) 2019-01-29
US20150178969A1 (en) 2015-06-25
KR20150072222A (ko) 2015-06-29
US20170004643A1 (en) 2017-01-05
EP2887243A1 (en)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466B1 (ko) 대상체의 측정값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45189B1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처리 방법
EP31060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ltrasound images
KR102522539B1 (ko) 의료영상 표시장치 및 의료영상 처리방법
KR101676789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KR102049459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508154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49871B1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처리 방법
JP2008183063A (ja) 医用画像診断装置、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510760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185724B1 (ko) 대상체의 측정에 사용될 캘리퍼 타입에 따라 위치가 교정된 포인트를 의료 영상에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579535B2 (ja) 胎児の肋骨数を測定する超音波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65032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의 처리 방법
US9747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direction and position of plane selection line based on pattern
JP2004135867A (ja) 異常陰影候補検出方法及び異常陰影候補検出装置
KR101194293B1 (ko) 객체의 측정값에 따라 표시 제어하는 초음파 검사기 및 그 방법
KR20140141384A (ko) 볼륨 데이터를 이용한 초음파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160130182A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