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792B1 -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792B1
KR102200792B1 KR1020200058375A KR20200058375A KR102200792B1 KR 102200792 B1 KR102200792 B1 KR 102200792B1 KR 1020200058375 A KR1020200058375 A KR 1020200058375A KR 20200058375 A KR20200058375 A KR 20200058375A KR 102200792 B1 KR102200792 B1 KR 102200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nds
melody
rhythm
b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갑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20005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792B1/ko
Priority to PCT/KR2021/000099 priority patent/WO20212304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92B1/ko
Priority to EP21155740.0A priority patent/EP3910622A1/en
Priority to CA3108789A priority patent/CA3108789C/en
Priority to US17/171,683 priority patent/US115517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musical phrases, isolation of musically relevant segments, e.g. musical thumbnail generation, or for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a musical piece, e.g. determination of the movement sequence of a musical 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31File merging MIDI, i.e. merging or mixing a MIDI-like file or stream with a non-MIDI file or stream, e.g. audio or video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로디와 함께 가사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 장치에서, 노래 반주가 시작되고 반주에 맞춰 사용자에게 가사가 잘 떠오르도록 가사 대응 멜로디를 시작하기 바로 전에 가사를 미리 가청음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멜로디에 대응하는 가사를 틀리지 않고 잘 부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음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층;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과,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배치된 멜로디 음원층; 및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가 배치된 보이스 음원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Sound source file stru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ound source file}
본 발명은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멜로디와 함께 가사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 장치에서, 노래 반주가 시작되고 반주에 맞춰 사용자에게 가사가 잘 떠오르도록 가사 대응 멜로디를 시작하기 바로 전에 가사를 미리 가청음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멜로디에 대응하는 가사를 틀리지 않고 잘 부르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 반주기는 연주 중인 노래의 가사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연주 중인 노래의 반주에 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노래 반주기를 통해 사용자는 희망하는 노래를 선택하고, 선택된 노래의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사를 보면서 미디 멜로디에 맞춰 노래를 부를 수 있어 가사를 미리 기억할 필요없이 노래 반주기의 도움으로 쉽게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노래 반주기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일 예로, 일반 가정의 셋탑 박스는 노래 반주 기능을 구비하여 연결된 TV로 가사를 표시하고, 구비된 스피커로 반주(멜로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래 반주기는 디스플레이에 가사를 표시하여 반주에 동기화되는 가사의 도움으로 사용자가 쉽게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노래 반주기는 다음 등록특허 공보(등록번호 제10-2050785호, 등록일자 2019년11월26일)에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노래 반주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노래 반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기(10)를 포함하고 나아가 광대역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20)를 더 포함한다.
노래 반주기(10)는 서버(20)로부터 선곡된 곡의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여 일련의 연주부분의 연주기간 내에 멜로디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현 연주기간의 멜로디 공백 기간에 후속 연주부분의 가사에 대응하는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즉, 노래 반주기(10)는 후속하는 가사를 멜로디와 겹치지 않는 시간에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가사의 숙지 없이 가사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멜로디 재생의 방해 없이 노래를 쉽게 부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서버(20)는 다수의 오디오 파일을 구비(저장)하고 선곡된 곡의 전송 요청을 노래 반주기(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요청의 곡(예를 들어, 곡 번호에 대응하는 곡)에 대응하는 오디오 파일을 요청한 노래 반주기(10)로 전송한다.
그런데, 전술한 노래 반주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못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사용자는 가사를 잘 모르거나 잘 떠오르지 않는 경우에 미디 멜로디에 대응되지 못하게 부른다거나 가사를 틀리게 노래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 운전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시청하지 못하는 환경 하에서는 가사를 보지 못하고 노래 반주에 맞춰 노래만을 부르기 때문에, 가사를 모르거나 잘 떠오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노래 반주기(10)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나, 차량이 이동 중이어서 서버(20)에 무선으로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서버(20)로부터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지 못하여 노래 반주기(10)를 이용할 수 없는 환경이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구비되지 못한 환경 하에서도 노래반주기(10)를 이용할 수 있고, 서버(20)에 접속하지 않고도 노래 반주기(1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노래 가사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 특허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0785호(2019.11.26. 등록)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노래가사를 출력하는 방법, 노래 반주기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요구 사항에 부응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멜로디와 함께 가사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 장치에서, 노래 반주가 시작되고 반주에 맞춰 사용자에게 가사가 잘 떠오르도록 가사 대응 멜로디를 시작하기 바로 전에 가사를 미리 가청음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멜로디에 대응하는 가사를 틀리지 않고 잘 부르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음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층;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과,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배치된 멜로디 음원층; 및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가 배치된 보이스 음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백 구간은, 온 쉼표, 점2분 쉼표, 2분 쉼표, 점4분 쉼표, 4분 쉼표, 점8분 쉼표, 8분 쉼표, 16분 쉼표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여백 구간은, 멜로디 음들의 전후나 멜로디 음들 사이에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사 보이스는,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멜로디 음들의 시작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사 보이스는,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멜로디 음들의 시작 0.5초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사 보이스는, 박자 및 리듬이 없고, 높낮이가 없는 목소리(음성)일 수 있다.
가사 보이스는, 박자 및 리듬이 없는 가사를 나타내는 목소리(음성)일 수 있다.
목소리(음성)는, 실제로 상기 가사를 부른 실연자의 목소리(음성)일 수 있다.
배경 음원층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1 배경 음원층; 박자 및 리듬에 따른 스트림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2 배경 음원층; 및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브라스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3 배경 음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배경 음원층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키타 음들이 배치되는 제1 배경 음원층;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드럼 음들이 배치되는 제2 배경 음원층; 및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음들이 배치되는 제3 배경 음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멜로디 음원층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피아노 음들 또는 바이올린 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가 기록된 기록매체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 음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층;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과,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배치된 멜로디 음원층; 및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들이 배치된 보이스 음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는, 소자 분리막에 의해 기판 상에 정의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끝단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비하며, 일 방향이 제1 방향에 대해 빗각이 되도록 배치되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활성 영역; 기판 상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제1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복수의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워드 라인;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제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제1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복수의 활성 영역 각각의 제1 영역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소스 라인; 복수의 활성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이 대응하는 복수의 활성 영역 각각의 제2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가변 저항 구조체; 및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제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복수의 소스 라인과 번갈아 배치되며, 각각이 제1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복수의 가변 저항 구조체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비트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경음들, 멜로디음들 및 가사 보이스들이 각각 0 또는 1로 변환되며, 특정 워드 라인(WL5)과 특정 비트 라인(BL1)이 선택되어 특정 메모리 셀(Cs)이 결정되고, 특정 소스 라인(SL2)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특정 비트 라인(BL1)에 저전압이 인가되고, 특정 워드 라인(WL5)에 턴-온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특정 소스 라인(SL2)과 특정 메모리 셀(Cs)의 액세스 트랜지스터(T) 및 특정 비트 라인(BL1)으로 전류 패스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특정 메모리 셀(Cs)의 MTJ 소자에 데이터 "0"이 기록된다.
또한, 특정 워드 라인(WL5)과 특정 비트 라인(BL1)이 선택됨에 따라 특정 메모리 셀(Cs)이 선택되고, 특정 소스 라인(SL2)에 저전압이 인가되고 특정 비트 라인(BL1)에 고전압이 인가되며, 특정 워드 라인(WL5)에 턴-온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특정 비트 라인(BL1), 특정 메모리 셀(Cs)의 액세스 트랜지스터(T) 및 특정 소스 라인(SL2)으로 전류 패스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특정 메모리 셀(Cs)의 MTJ 소자에 데이터 "1"이 기록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작 방법은, (a)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 음들이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는 단계; (b)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포함되고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이 멜로디 음원층에 기록되는 단계; 및 (c)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들이 보이스 음원층에 기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백 구간은, 온 쉼표, 점2분 쉼표, 2분 쉼표, 점4분 쉼표, 4분 쉼표, 점8분 쉼표, 8분 쉼표, 16분 쉼표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백 구간은, 멜로디 음들의 전후나 멜로디 음들 사이에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사 보이스는,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멜로디 음들의 시작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될 수 있다.
가사 보이스는,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멜로디 음들의 시작 0.5초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될 수 있다.
가사 보이스는, 박자 및 리듬이 없고, 높낮이가 없는 목소리(음성)로 기록될 수 있다.
가사 보이스는, 박자 및 리듬이 없는 가사를 나타내는 목소리(음성)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연주 음들이 제1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박자 및 리듬에 따른 스트림 연주 음들이 제2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브라스 연주 음들이 제3 배경 음원층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키타 음들이 제1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드럼 음들이 제2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음들이 제3 배경 음원층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피아노 음들이 멜로디 음원층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바이올린 음들이 멜로디 음원층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지 못하는 환경 하에서 연주 중인 노래의 가사를 음성을 통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음 연주될 가사를 현재 연주 중인 반주 멜로디의 공백 기간에 음성으로 출력하여 다음 연주될 가사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재 연주 중인 반주 멜로디의 공백 기간의 길이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될 다음 연주될 가사의 길이를 변동하여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노래 반주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에서 각 층의 구성 성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쉼표에 대응하는 박자, 리듬 및 시간 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멜로디 음들의 전후에 위치한 여백 구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멜로디 음들 사이에 위치한 여백 구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멜로디 음원층에 대응된 보이스 음원층에서 가사 보이스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경 음원층 및 멜로디 음원층의 구성 성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가 기록된 기록매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로서 자기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의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0"을 기록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의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1"을 기록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의 기록매체에 대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를 콤팩트 디스크(CD)로 구현한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층(110~114), 멜로디(Melody) 음원층(120) 및 보이스(Voice) 음원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음원 파일 구조(100)는 CD(Compact Disc)나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100)는 서로 다른 영역을 '층(Layer)'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채널(Channel)'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10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채널(110~114), 멜로디 음원채널(120) 및 보이스 음원채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100)는, 배경 음원층(110~114)이 없이, 멜로디 음원층(120) 및 보이스 음원층(130)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적인 구조의 층이나 채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적인 구조의 층이나 채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100)는 기록 매체에 수평적으로 기록되는 경우에 수평적인 구조를 가지며, 기록 매체에 수직적으로 층층이 기록되는 경우에 수직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100)는 수직적인 구조이든지 수평적인 구조이든지 각 층이나 채널은 서로 다른 영역을 의미하고, 각 층이나 채널에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음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100)는, 보이스 음원층(130) 위에 멜로디 음원층(120)이 위치하고, 멜로디 음원층(120) 위에 배경 음원층3(114)이 위치하고, 배경 음원층3(114) 위에 배경 음원층2(112)이 위치하고, 배경 음원층2(112) 위에 배경 음원층1(110)이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간에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배경 음원층(110~114)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경 음원층(110~11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연주 음들이 배치된 베이스 연주 채널(110), 스트림 연주 음들이 배치된 스트림 연주 채널(112) 및 브라스 연주 음들이 배치된 브라스 연주 채널(1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에서 각 층의 구성 성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배경 음원층(110~114)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반주 음들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반주 음원층' 또는 '반주 음원 채널'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멜로디 음원층(120)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과,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멜로디 음원층(120)은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이 연주되므로, '멜로디 연주층(120)' 또는 '멜로디 연주채널(120)'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멜로디 음원층(120)은 사용자(실연자)가 멜로디 음에 대응하는 가사를 가창하게 되므로, '가창 연주층(120)' 또는 '가창 연주채널(120)'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보이스 음원층(130)은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사 보이스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로디 시작 전에 미리 가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사전 가사음이므로, 멜로디에 대응되는 가창 가사와 구분된다.
또한, 여백 구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쉼표, 점2분 쉼표, 2분 쉼표, 점4분 쉼표, 4분 쉼표, 점8분 쉼표, 8분 쉼표, 16분 쉼표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쉼표에 대응하는 박자, 리듬 및 시간 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4분 음표에 대한 메트로놈의 빠르기가 60일 때, 온 쉼표는 4초의 시간 길이를 가지며, 점2분 쉼표는 3초의 시간 길이, 2분 쉼표는 2초의 시간 길이, 점4분 쉼표는 1.5초의 시간 길이, 4분 쉼표는 1초의 시간 길이, 점8분 쉼표는 0.75초의 시간 길이, 8분 쉼표는 0.5초의 시간 길이, 16분 쉼표는 0.25초의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4분 음표에 대한 메트로놈의 빠르기가 120일 경우, 온 쉼표는 2초의 시간 길이를 가지며, 점2분 쉼표는 1.5초의 시간 길이, 2분 쉼표는 1초의 시간 길이, 점4분 쉼표는 0.75초의 시간 길이, 4분 쉼표는 0.5초의 시간 길이, 점8분 쉼표는 0.375초의 시간 길이, 8분 쉼표는 0.25초의 시간 길이, 16분 쉼표는 0.125초의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여백 구간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로디 음들의 전후나 멜로디 음들 사이에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멜로디 음들의 전후에 위치한 여백 구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멜로디 음들 사이에 위치한 여백 구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이스 음원층(130)에서 여백 구간의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로디 음원층(120)에 있는 멜로디 음들의 앞(前)에 위치하거나(여백 구간1), 멜로디 음들의 뒤(後)에 위치(여백 구간2) 할 수 있다.
또한, 보이스 음원층(130)에서 여백 구간의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로디 음들과 멜로디 음들 사이에 위치(여백 구간3) 할 수 있다.
한편, 가사 보이스는,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로디 음들의 시작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멜로디 음원층에 대응된 보이스 음원층에서 가사 보이스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사 보이스는 멜로디 음들의 시작 0.1초 내지 0.9초 전의 여백 구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초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사 보이스는, 박자 및 리듬이 없고, 높낮이가 없는 사용자 또는 실연자의 목소리(음성)일 수 있다. 또한, 가사 보이스는, 박자 및 리듬이 없는 가사를 나타내는 목소리(음성)일 수 있다.
또한, 배경 음원층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자 및 리듬에 따른 키타 음들이 배치되는 제1 배경 음원층(110');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드럼 음들이 배치되는 제2 배경 음원층(112'); 및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음들이 배치되는 제3 배경 음원층(1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경 음원층 및 멜로디 음원층의 구성 성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로디 음원층(120')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피아노 음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멜로디 음원층(120')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바이올린 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음원 파일 구조(100)를 재생하는 장치는, 노래 반주기, 업소용 가라오케, 가정용 가라오케, 마이크 가라오케, 스마트폰, 셋탑 박스 또는 네비게이션 등의 음원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가 기록된 기록매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가 기록된 기록매체(200)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 음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층(210~214);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과,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배치된 멜로디 음원층(220); 및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들이 배치된 보이스 음원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가 기록된 기록매체(200)는,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층(210~214), 멜로디 음원층(220) 및 보이스 음원층(230)에 대해, 기록되는 영역에 따라 각각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 영역(210~214), 멜로디 음원 영역(220) 및 보이스 음원 영역(230)으로도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가 기록된 기록매체(200)는,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 채널(210, 212, 214), 멜로디 음원 채널(220) 및 보이스 음원 채널(230)로도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구조가 기록된 기록매체(200)는, 자기 터널 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 소자를 포함하는 자기 메모리 소자일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메모리 셀(C)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로서 자기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모리 셀(C) 각각은 액세스 트랜지스터(T)와 메모리(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 어레이는 복수의 워드 라인(Word Line: WL, 22), 복수의 소스 라인(Source Line: SL, 23), 및 복수의 비트 라인(Bit Line: BL, 2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 셀(C) 각각은 해당 워드 라인(22), 소스 라인(23), 및 비트 라인(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워드 라인(22)은 제1 방향(x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각각 제2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라인(23)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제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라인(25)은 소스 라인(23)과 동일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제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소스 라인(23)과 복수의 비트 라인(25)은 제2 방향을 따라서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셀 어레이 구조에서, 비트 라인(25)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는 소스 라인(23)은 인접한 비트 라인(25)과 아래 위로 교차하면서 메모리 셀(C)을 공유를 하게 된다. 특히, 어느 하나의 워드 라인(22)이 선택될 때 선택된 메모리 셀(C)의 주위에 다른 메모리 셀(C)이 없으므로 중복 선택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 구조에서, 하나의 워드 라인(22)을 따라서 어느 하나의 메모리 셀(C)에 바로 인접하는 메모리 셀(C)은 없으며, 바로 인접하는 메모리 셀(C)은 상기 하나의 워드 라인(22)에 인접하는 다른 워드 라인(22)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메모리 셀(C)과 워드 라인(22), 소스 라인(23), 및 비트 라인(25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워드 라인(22)은 복수의 메모리 셀(C)의 액세스 트랜지스터(T)의 게이트에 연결되되, 인접하는 2 개의 워드 라인(22) 각각은 제2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액세스 트랜지스터들(T)의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워드 라인(WL1)은 제1 비트 라인(BL0)과 제2 소스 라인(SL1) 사이, 제2 비트 라인(BL1)과 제3 소스 라인(SL2) 사이, 그리고 제3 비트 라인(BL2)과 제4 소스 라인(SL3) 사이에 배치된 액세스 트랜지스터들(T)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제3 워드 라인(WL2)은 제1 소스 라인(SL0)과 제1 비트 라인(BL0) 사이, 제2 소스 라인(SL1)과 제2 비트 라인(BL1) 사이, 그리고 제3 소스 라인(SL2)과 제3 비트 라인(BL2) 사이에 배치된 액세스 트랜지스터들(T)의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라인(23)은 복수의 메모리 셀(C)의 액세스 트랜지스터(T)의 소스 또는 드레인에 연결되되, 복수의 소스 라인(23)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가면서 다른 비트 라인(25)과 연결된 액세스 트랜지스터들(T)의 소스 또는 드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소스 라인(SL1)은 제1 방향을 따라서, 제1 비트 라인(BL0)으로 연결된 액세스 트랜지스터(T)와 제2 비트 라인(BL1)으로 연결된 액세스 트랜지스터(T)의 소스 또는 드레인으로 번갈아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라인(25)은 복수의 메모리 셀(C)의 액세스 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또는 소스에 연결되되, 복수의 비트 라인(25)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가면서 다른 소스 라인(23)과 연결된 액세스 트랜지스터들(T)의 드레인 또는 소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비트 라인(BL0)은 제1 방향을 따라서, 제1 소스 라인(SL0)으로 연결된 액세스 트랜지스터(T)와 제2 소스 라인(SL1)으로 연결된 액세스 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또는 소스로 번갈아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비트 라인(25)은 해당 메모리(M)를 거쳐 해당 액세스 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또는 소스에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관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워드 라인(22) 중 어느 하나, 그리고 복수의 소스 라인(23) 또는 복수의 비트 라인(2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오직 하나의 메모리 셀(C)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워드 라인(WL2)과 제3 소스 라인(SL2) 또는 제3 비트 라인(BL2)을 선택한 경우에, 제2 워드 라인(WL1)과 제3 워드 라인(WL2) 사이 그리고 제3 소스 라인(SL2)과 제3 비트 라인(BL2) 사이에 배치된 메모리 셀(Cs)이 선택될 수 있다.
참고로, 자기 메모리 소자의 특성상, 어느 하나의 워드 라인과 어느 하나의 비트 라인이 선택되면, 대응하는 소스 라인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워드 라인과 어느 하나의 소스 라인이 선택되면 대응하는 비트 라인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 제1 내지 제7 워드 라인(WL0 ~ WL6), 제1 내지 제4 소스 라인(SL0 ~ SL3), 및 제1 내지 제3 비트 라인(BL0 ~ BL2)만이 도시되고 있는데,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예컨대, 메모리 셀 어레이가 컬럼 소스 라인(Column Source Line: CSL)에 따라 블록 단위로 나뉘는 경우, 하나의 블록 내에 8개 워드 라인, 8개 소스 라인 및 8개의 비트 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 셀(C)을 구성하는 액세스 트랜지스터(T)는 워드 라인(22)의 전압에 따라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 되면서 메모리(M)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액세스 트랜지스터(T)는 모스(MOS)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bipolar)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C)을 구성하는 메모리(M)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M)는 자기 터널 접합(MTJ)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M)는 입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자성체의 자화 방향이 가변되는 STT(Spin Transfer Torque) 현상을 이용하여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자기 메모리 소자, 예컨대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자기 메모리 소자에 포함되어 있는 기억 소자인 MTJ 소자에 "0" 과 "1"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MTJ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양방향이어야 한다. 즉, 데이터 "0" 을 기록할 때와 데이터 "1" 을 기록할 때의 MTJ 소자에 흐르는 전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이어야 한다.
이렇게 반대 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자기 메모리 소자에서는 비트 라인 외에 소스 라인이 존재한다. 이러한 비트 라인과 소스 라인은 메모리 셀의 MTJ 소자와 액세스 트랜지스터(또는 셀 트랜지스터)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전위차를 바꿔 줌으로써 각각의 메모리 셀의 MTJ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소스 라인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단위 메모리 셀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메모리 셀 어레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비트 라인에 하나의 소스 라인이 배치되는 식으로 메모리 셀 어레이가 설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존 개별 소스 라인 방식의 경우와 같이 비트 라인과 소스 라인의 전압을 서로 변경하여 사용함으로써 동작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또한, 2개의 소스 라인이 하나의 비트 라인을 공유하는 식으로 메모리 셀들이 배치됨으로써, 워드 라인(22)을 따라서, 그리고 소스 라인(23)이나 비트 라인(25)을 따라서 메모리 셀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단위 메모리 셀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는 점선의 직사각형으로 표시된 단위 메모리 셀(Cu)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드 라인들(22) 간의 피치가 2F이고, 소스 라인들(23) 또는 비트 라인들(25) 간의 피치가 4F인 경우, 단위 메모리 셀(Cu)의 사이즈는 8F2일 수 있다. 여기서, F는 최소 리소그라피 피쳐 사이즈(minimum lithographic feature size)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셀들이 워드 라인(22) 및 소스 라인(23) 또는 비트 라인(25)을 따라서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워드 라인(22), 소스 라인(23), 및 비트 라인(25)으로 연결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워드 라인 및 어느 하나의 비트 라인(또는 어느 하나의 소스 라인)의 선택에 의해 오직 하나의 메모리 셀이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음원 파일 구조(100)가 기록된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장치는, 노래 반주기, 업소용 가라오케, 가정용 가라오케, 마이크 가라오케, 스마트폰, 셋탑 박스 또는 네비게이션 등의 음원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의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0"을 기록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의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1"을 기록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먼저, 배경음들(110, 112, 114), 멜로디음들(120) 및 가사 보이스들(130)이 각각 0 또는 1로 변환된다. 즉, 아날로드 형태의 배경음들(110, 112, 114), 멜로디음들(120) 및 가사 보이스들(130)은 예컨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각각 0 또는 1로 변환되고, 다음과 같이 자기 메모리 소자의 기록매체(200)에 기록되는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점선의 직사각형으로 표시된 선택 메모리 셀(Cs)에 데이터 "0"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제6 워드 라인(WL5)과 제2 비트 라인(BL1)(또는 제3 소스 라인(SL2))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 메모리 셀(Cs)이 유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소스 라인(SL2)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제2 비트 라인(BL1)에 저전압이 인가되며, 제6 워드 라인(WL5)에 적절한 턴-온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화살표와 같은 전류 패스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선택 메모리 셀(Cs)의 MTJ 소자에 데이터 "0"이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소스 라인(SL2)에 인가되는 고전압은 1.2V이고 제2 비트 라인(BL1)에 인가되는 저전압은 OV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전압 및 저전압은 예시적인 수치로서, 소스 라인으로 인가되는 고전압 및 비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저전압이 상기 수치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을 참조하면, 선택 메모리 셀(Cs)에 데이터 "1"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제6 워드 라인(WL5)과 제2 비트 라인(BL1)(또는 제3 소스 라인(SL2))을 선택함으로써, 선택 메모리 셀(Cs)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소스 라인(SL2)에 저전압이 인가되고 제2 비트 라인(BL1)에 고전압이 인가되며, 제6 워드 라인(WL5)에 적절한 턴-온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화살표와 같은 전류 패스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선택 메모리 셀(Cs)의 MTJ 소자에 데이터 "1"이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소스 라인(SL2)에 인가되는 저전압은 0V이고 제2 비트 라인(BL1)에 인가되는 고전압은 1.2V일 수 있다.
즉, 데이터 "0"을 기록할 때에 인가되었던 전압을 상호 변경함으로써, 데이터 "1"을 기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 구조에서는 1.2V 정도의 낮은 동작 전압을 가지고 MTJ 소자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물론, 데이터 "O"을 기록할 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전압 및 저전압은 예시적인 수치에 지나지 않으므로, 다른 수치의 고전압 및 저전압이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2 및 도 13에서 굵은 선은 OV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나머지 가는 선들은 0V 전압이 인가된 상태, 즉 전압이 인가되지 상태를 나타낸다. 그에 따라, 데이터 "0"을 기록할 때는 제3 소스 라인(SL2)으로 소정 전압이 인가되고, 데이터 "1"을 기록할 때는 제2 비트 라인(BL1)으로 소정 전압이 인가됨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의 기록매체에 대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메모리 소자(20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메모리 셀(도 11의 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메모리 소자(200)는 복수의 활성 영역(21), 복수의 워드 라인(22), 복수의 소스 라인(23), 복수의 가변 저항 구조체(24) 및 복수의 비트 라인(25)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영역(21)은 소자 분리막(미도시)에 의해 기판(미도시)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영역(21)은 양쪽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장 방향(E)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x 방향)에 대하여 빗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활성 영역(21)은 제1 방향에 대하여 예각에 해당하는 제1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활성 영역(21)이 제1 방향에 대하여 빗각으로 배치됨에 따라, 활성 영역(21)은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y 방향)에 대해서도 빗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활성 영역(21)은 양 끝단으로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소스 라인(23)과 연결되는 영역으로 소스 라인(23)과 일부가 겹쳐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A1)은 트랜지스터 관점에서 소스 또는 드레인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A2)은 비트 라인(25)에 연결되는 영역으로 비트 라인(25)과 일부가 겹쳐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역(A2)은 트랜지스터 관점에서 드레인 또는 소스 영역일 수 있다. 한편, 활성영역(21)의 제2 영역(A2)은 가변 저항 구조체(24)를 거쳐 비트 라인(2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영역(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으로 어느 하나의 워드 라인(22)을 따라서 배치된 제1 라인 활성 영역들(21)은 인접하는 워드 라인(22)을 따라서 배치된 제2 라인 활성 영역들(21)과 연장 방향(E)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라인 활성 영역들(21)은 상기 제2 라인 활성 영역들(21)과 연장 방향(E)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슷하게 제1 방향으로 따라서 배치되되, 어느 하나의 비트 라인(25)과 제2 방향 상부로 인접하는 소스 라인(23) 사이에 배치된 제1 그룹 활성 영역들(21)은 어느 하나의 비트 라인(25)과 제2 방향 하부로 인접하는 소스 라인(23) 사이에 배치된 제2 그룹 활성 영역들(21)과 연장 방향(E)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그룹 활성 영역들(21)은 상기 제2 그룹 활성 영역들(21)과 연장 방향(E)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영역(21)은 기판을 구성하는 반도체 물질층 또는 기판 상에 별도로 형성된 반도체 물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영역(21)은 기판 상에 증착 또는 에피택셜 성장을 통해 형성된 실리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층은 예컨대, 단결정 실리콘층 또는 폴리실리콘층일 수 있다.
복수의 워드 라인(22)은, 기판 상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제1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복수의 활성 영역(21)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워드 라인(22) 각각은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대응하는 활성 영역들(21) 각각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의 중앙 부분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워드 라인(22)은 도핑된 반도체, 금속, 도전성 금속 질화물, 및 금속-반도체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향으로 워드 라인들(22) 간의 피치는 2F일 수 있다.
복수의 소스 라인(23)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제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라인(23) 각각은 복수의 활성 영역(21) 각각의 제1 영역(A1)의 일부와 겹쳐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제1 영역(A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소스 라인(23) 각각에는 제2 방향 하방으로 인접하는 비트 라인(25)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그룹 활성 영역(21)과 제2 방향 상방으로 인접하는 비트 라인(25)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그룹 활성 영역(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룹 활성 영역(21) 및 제2 그룹 활성 영역(21) 각각의 제1 영역(A1)은 하나의 소스 라인(130)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을 따라서, 제1 그룹 활성 영역(21) 및 제2 그룹 활성 영역(21) 각각은 모두 서로 다른 워드 라인(22)에 의해 가로질러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어느 하나의 워드 라인(22)의 선택에 의해 제1 그룹 활성 영역(21) 및 제2 그룹 활성 영역(21)에 포함된 모든 활성 영역 중 단 하나의 활성 영역(21)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소스 라인(23)은 금속, 도전성 금속 질화물, 금속-반도체 화합물, 및 도핑된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방향으로 소스 라인들(23) 간의 피치는 4F일 수 있다.
복수의 가변 저항 구조체(24)는, 복수의 활성 영역(21)에 대응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가변 저항 구조체(24)는 비트 라인(25) 하부에 배치되어, 비트 라인(25)에 연결되는 활성 영역(21)의 제2 영역(A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가변 저항 구조체(24)는 복수의 활성 영역(21) 각각에 대응하여 하나씩 배치되며, 복수의 활성 영역(21) 각각의 제2 영역(A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라인(25)은, 소스 라인(23)과 유사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제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비트 라인(25)은 제2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소스 라인(23)과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라인(25) 각각은 복수의 활성 영역(21) 각각의 제2 영역(A2)의 일부와 겹쳐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제2 영역(A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라인(25) 각각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저항 구조체(24)를 거쳐 복수의 활성 영역(21) 각각의 제2 영역(A2)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라인(150) 각각에는 제2 방향의 하방으로 인접하는 소스 라인(23)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그룹 활성 영역(21)과 제2 방향의 상방으로 인접하는 소스 라인(23) 사이에 배치되는 제4 그룹 활성 영역(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그룹 활성 영역(21) 및 제4 그룹 활성 영역(21) 각각의 제2 영역(A2)은 해당 가변 저항 구조체(24)를 거쳐 하나의 비트 라인(25)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을 따라서, 제3 그룹 활성 영역(21) 및 제4 그룹 활성 영역(21) 각각은 모두 서로 다른 워드 라인(22)에 의해 가로질러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어느 하나의 워드 라인 선택에 의해 제3 그룹 활성 영역(21) 및 제4 그룹 활성 영역(21)에 포함된 모든 활성 영역 중 단 하나의 활성 영역(21)이 선택될 수 있다. 참고로, 제3 그룹 활성 영역(21)은 앞서 소스 라인(23)에서 설명한 제2 그룹 활성 영역(21) 대응하고, 제4 그룹 활성 영역(21)은 앞서 소스 라인(23)에서 설명한 제1 그룹 활성 영역(21)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소스 라인(23)을 기준으로 제2 방향의 상방은, 인접하는 비트 라인(25)을 기준으로 제2 방향의 하방에 해당하고, 비슷하게 어느 하나의 소스 라인(23)을 기준으로 제2 방향의 하방은, 인접하는 비트 라인(25)을 기준으로 제2 방향의 상방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트 라인(25)은 금속, 도전성 금속 질화물, 금속-반도체 화합물, 및 도핑된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방향으로 비트 라인들(25) 간의 피치는 4F일 수 있다.
한편, 점선의 직사각형은 단위 메모리 셀(Cu)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메모리 셀(Cu)은 8F2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단위 메모리 셀(Cu)을 도 11에서와 마찬가지로 액세스 트랜지스터(도 11의 T) 및 가변 저항 구조체(24)를 하나씩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아웃에서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활성 영역(21)을 온전히 포함하도록 단위 메모리 셀(Cu)을 정의하기가 매우 힘들고 또한 사이즈를 계산하기도 힘들 수 있다. 그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메모리 셀(Cu)을 정의하게 되면, 하나의 단위 메모리 셀(Cu)에 약 1/2의 활성 영역(21)이 2개가 포함되어 결국 하나의 활성 영역(21)이 포함된 것으로 취급될 수 있다. 그외 워드 라인, 소스 라인 및 비트 라인도 유사한 개념으로 단위 메모리 셀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워드 라인의 경우 약 1/2씩 양쪽으로 2개 포함되어 단위 메모리 셀(Cu)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를 콤팩트 디스크(CD)로 구현한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D의 기록 매체(500)는, 투명 플라스틱층(510), 금속 반사층(520), 보호막(530)을 포함한다.
투명 플라스틱층(510)은 대략 두께가 약 1.2mm 정도이고, 레이저빔(Laser Beam)이 투과된다.
금속 반사층(520)은 주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투명 플라스틱층을 투과한 레이저빔이 반사된다.
보호막(530)은 주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다. 보호막(530)은 이 폴리카보네이트를 녹여 액체로 만든뒤 스템퍼(stamper)를 이용해 0 또는 1을 나타내는 랜드(522) 또는 피트(524)를 형성한다. 즉, 보호막(530)은 폴리카보네이트에서 강한 레이저빔에 의해 타서 색이 변해 불투명해지는 피트(524)와, 레이저빔이 투과되는 투명한 곳인 랜드(522)가 형성된다. 따라서 CD롬 레이저빔을 폴리카보네이트에 비추면 투명한 곳은 1을 나타내는 랜드(522)로 읽히고, 타서 불투명해진 곳은 0을 나타내는 피트(524)로 읽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플라스틱층(510)에 알루미늄의 금속 반사층(520)을 입히고 이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막(530)을 만들어 CD를 제작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500)에는, 배경음들(110, 112, 114), 멜로디음들(120) 및 가사 보이스들(130)이 각각 0 또는 1로 기록되어 있다.
CD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해 CD-ROM Drive는 레이저 빔을 쏴서 금속 반사층(520)의 표면에서 튕겨져 나온 레이저 빔을 렌즈를 통해 포토 디렉터(단방향 반사거울)를 통해 빛이 지나온 길이의 장단, 웨이브 길이를 측정한다. 랜드(522)에서는 레이저 빛이 흩어짐 없어 거의 그대로 반사되지만, 피트(524)에서는 레이저 빛이 확산된다.
이러한 차이는 피트(524)로부터 나온 빛이 랜드(522)로부터 나온 빛을 없애버리게 되며, 읽기 메카니즘은 이를 1로 해석한다. 변이가 없는 것은 0으로 받아들여진다. 다시 말해서, 랜드(522)에서 피트(524), 피트(524)에서 랜드(522)로 변화되는 부분은 1로 해석되고, 랜드(522)나 피트(524)를 읽는 부분은 0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랜드(522)나 피트(524)가 짧으면 읽는 시간도 짧아지고 0의 숫자도 적어진다.
랜드(522)와 피트(524)는 최소한 3비트(또는 90nm), 최대 11비트(또는 3300nm)로 구성된다. 그 이유는, 데이터의 각 비트들은 나선형 트랙 상에서 약 300nm의 길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피트(524)와 랜드(522)가 바로 인접해서 존재한다면, 피트-랜드-피트-랜드-피트와 같은 연속성을 가지게 되고, 이는 11111로 표현되어야 하기 때문에 레이저 빔으로 이를 충분히 읽어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3개의 랜드 사이에는 항상 2개의 피트가 존재하도록 해야 하며, 이는 2개의 1사이에 최소한 2개의 0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피트와 랜드의 연속이 너무 길어서도 안되며, 반드시 최대 길이를 지켜야 한다. 따라서, 두 개의 1 사이에는 두 개 이상, 열 개 이하의 0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1byte 내에서는 1과 0의 조합에서 3bit 최소라는 것이 어긋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바이트 내에서는 11비트라는 최대수를 넘어설 수 있다. 따라서 CD-ROM에는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는 8bit 포맷의 형태로 데이터가 기록되어질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CD-ROM은 8bit 데이터를 채널 비트라는 14bit 패턴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과정을 8-to-14변환(EFM: Eight-to-Fourteen Modulation)이라 부른다.
CD-ROM 내의 디토더는 EFM 변환 테이블을 이용해서 8비트 데이터를 14bit 형태로 변환시킨다. 하지만 14비트 바이트라 할지라도 마지막에서 일어나는 연속적인 1은 막을 수 없는데, 이는 하나가 1로 끝나고 다른 하나가 1로 시작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 3개의 머징(merging) 비트들이 바이트들 사이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8비트 바이트들이 CD-ROM에서는 17채널 비트를 필요로 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기록 매체(500)로서 CD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P, CD-RW, DVD, 블루레이 디스크(BD)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작 방법은, 먼저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 음들이 배경 음원층(110, 112, 114)에 기록될 수 있다(S162). 여기서, 배경 음들은, 예를 들면, 베이스 연주음들, 스트림 연주음들, 브라스 연주음들, 키타 음들, 드럼 음들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포함되고,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이 멜로디 음원층(120)에 기록될 수 있다(S164). 여기서, 멜로디 음들은, 예를 들면, 피아노 음들이나 바이올린 음들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이스 음원층(130)에 가사 보이스들이 기록될 수 있다(S166).
여기서, 배경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2), 멜로디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4) 및 가사 보이스들이 기록되는 단계(S166)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즉, 잡음이 없는 녹음실이나 스튜디오에서, 배경 음들, 멜로디 음들 및 가사 보이스들이 순차적으로 녹음되지 않고 동시에 녹음될 수 있다.
또한, 배경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2)를 먼저 진행하고, 이어 멜로디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4) 및 가사 보이스들이 기록되는 단계(S166)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즉, 녹음실 등에서, 배경 음들이 먼저 녹음되는 단계를 진행한 후에, 녹음된 배경 음들을 재생하면서 멜로디 음들과 가사 보이스들이 녹음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2) 및 멜로디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4)를 동시에 진행하고, 그 이후에 가사 보이스들이 기록되는 단계(S166)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녹음실 등에서, 배경 음들과 멜로디 음들이 먼저 녹음되는 단계를 진행하고, 녹음된 배경 음들과 멜로디 음들을 재생하면서 가사 보이스들이 녹음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2)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키타 음들이 제1 배경 음원층(110)에 기록되거나,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드럼 음들이 제2 배경 음원층(112)에 기록되거나,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음들이 제3 배경 음원층(114)에 기록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2)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연주 음들이 베이스 연주 채널(110)에 기록되거나, 박자 및 리듬에 따른 스트림 연주 음들이 스트림 연주 채널(112)에 기록되거나,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브라스 연주 음들이 브라스 연주 채널(114)에 기록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멜로디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S164)는,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피아노 음들이 멜로디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바이올린 음들이 멜로디 음원층에 기록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사 보이스들이 기록되는 단계(S166)는, 녹음 장치를 통해 사용자 또는 실연자에 의해 박자 및 리듬이 없는 가사 음성이 보이스 음원층(130)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녹음 장치는 동일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마이크신호 수신부, DSP, 오디오 출력부, 기록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또는 실연자에 의한 녹음 장치를 통해 가사 음성을 입력받지 않고, 가사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입력받아, 사용자 또는 실연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가사 음성으로 변환해 녹음 장치로 출력하여 보이스 음원층(130)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TTS 프로그램은 TTS 엔진으로 지칭되기도 하며, 가사의 각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사용자 또는 실연자의 음성 주파수를 갖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마이컴, CPU, MPU, 마이크로 프로세서, DSP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는 전술한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이외에 하드 디스크 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는 모두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멜로디와 함께 가사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 장치에서, 노래 반주가 시작되고 반주에 맞춰 사용자에게 가사가 잘 떠오르도록 가사 대응 멜로디를 시작하기 바로 전에 가사를 미리 가청음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멜로디에 대응하는 가사를 틀리지 않고 잘 부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노래 반주기 20 : 서버
100 : 음원 파일 구조 110~114 : 배경 음원층
120 : 멜로디 음원층 130 : 보이스 음원층
200 : 기록매체 210~214 : 배경 음원층
220 : 멜로디 음원층 230 : 보이스 음원층
21 : 활성 영역 22 : 워드 라인
23 : 소스 라인 24 : 가변 저항 구조체
25 : 비트 라인 500 : 기록매체
510 : 투명 플라스틱층 520 : 금속 반사층
530 : 보호막

Claims (30)

  1.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음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층;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과,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배치된 멜로디 음원층; 및
    상기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Voice)가 배치된 보이스 음원층;
    을 포함하고,
    상기 가사 보이스는, 녹음 장치를 통해 사용자 또는 실연자에 의해 박자 및 리듬이 없는 가사 음성 또는 박자 및 리듬이 없고 높낮이가 없는 가사 음성이 상기 보이스 음원층에 기록되어 배치되고,
    상기 배경 음들과 상기 멜로디 음들이 동시에 먼저 녹음되고, 녹음된 배경 음들과 멜로디 음들을 재생하면서 상기 가사 보이스들이 녹음되어 배치되는 음원 파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 구간은, 온 쉼표, 점2분 쉼표, 2분 쉼표, 점4분 쉼표, 4분 쉼표, 점8분 쉼표, 8분 쉼표, 16분 쉼표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는 음원 파일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 구간은, 상기 멜로디 음들의 전후나 상기 멜로디 음들 사이에 하나 이상으로 배치된 음원 파일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보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멜로디 음들의 시작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음원 파일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보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멜로디 음들의 시작 0.5초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음원 파일 구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음원층은,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1 배경 음원층;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스트림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2 배경 음원층; 및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브라스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3 배경 음원층;
    을 포함하는, 음원 파일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음원층은,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키타 음들이 배치되는 제1 배경 음원층;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드럼 음들이 배치되는 제2 배경 음원층; 및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음들이 배치되는 제3 배경 음원층;
    을 포함하는, 음원 파일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음원층은,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피아노 음들 또는 바이올린 음들이 배치되는, 음원 파일 구조.
  11.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 음들이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음원층;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이 기록된 멜로디 음원층; 및
    상기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Voice)들이 기록된 보이스 음원층;
    을 포함하고,
    상기 가사 보이스는, 녹음 장치를 통해 사용자 또는 실연자에 의해 박자 및 리듬이 없는 가사 음성 또는 박자 및 리듬이 없고 높낮이가 없는 가사 음성이 상기 보이스 음원층에 기록되고,
    상기 배경 음들, 상기 멜로디 음들 및 상기 가사 보이스들이 순차적으로 녹음되지 않고 동시에 녹음되어 기록된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소자 분리막에 의해 기판 상에 정의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끝단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일 방향이 제1 방향에 대해 빗각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활성 영역;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복수의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워드 라인;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복수의 활성 영역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소스 라인;
    상기 복수의 활성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활성 영역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가변 저항 구조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소스 라인과 번갈아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복수의 가변 저항 구조체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비트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경음들, 상기 멜로디음들 및 상기 보이스들이 각각 0 또는 1로 변환되며,
    특정 워드 라인(WL5)과 특정 비트 라인(BL1)이 선택되어 특정 메모리 셀(Cs)이 결정되고, 특정 소스 라인(SL2)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특정 비트 라인(BL1)에 저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특정 워드 라인(WL5)에 턴-온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특정 소스 라인(SL2)과 상기 특정 메모리 셀(Cs)의 액세스 트랜지스터(T) 및 상기 특정 비트 라인(BL1)으로 전류 패스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특정 메모리 셀(Cs)의 MTJ(Magnetic Transfer Junction) 소자에 데이터 "0"이 기록되며,
    상기 특정 워드 라인(WL5)과 상기 특정 비트 라인(BL1)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특정 메모리 셀(Cs)이 선택되고, 상기 특정 소스 라인(SL2)에 저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특정 비트 라인(BL1)에 고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특정 워드 라인(WL5)에 턴-온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특정 비트 라인(BL1), 상기 특정 메모리 셀(Cs)의 액세스 트랜지스터(T) 및 상기 특정 소스 라인(SL2)으로 전류 패스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특정 메모리 셀(Cs)의 MTJ 소자에 데이터 "1"이 기록된 기록매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 구간은, 상기 멜로디 음들의 전후나 상기 멜로디 음들 사이에 하나 이상으로 기록된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보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멜로디 음들의 시작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된 기록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보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멜로디 음들의 시작 0.5초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된 기록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음원층은,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1 배경 음원층;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스트림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2 배경 음원층; 및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브라스 연주 음들이 배치되는 제3 배경 음원층;
    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음원층은,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키타 음들이 배치되는 제1 배경 음원층;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드럼 음들이 배치되는 제2 배경 음원층; 및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음들이 배치되는 제3 배경 음원층;
    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음원층은,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피아노 음들 또는 바이올린 음들이 기록된 기록매체.
  21. (a) 배경 음원층에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배경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
    (b) 멜로디 음원층에 쉼표에 대응하는 여백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하는 멜로디 음들이 기록되는 단계; 및
    (c) 보이스 음원층에 상기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사 보이스(Voice)들이 기록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사 보이스는, 녹음 장치를 통해 사용자 또는 실연자에 의해 박자 및 리듬이 없는 가사 음성 또는 박자 및 리듬이 없고 높낮이가 없는 가사 음성이 상기 보이스 음원층에 기록되고,
    상기 배경 음들과 상기 멜로디 음들이 동시에 먼저 녹음되고, 녹음된 배경 음들과 멜로디 음들을 재생하면서 상기 가사 보이스들이 녹음되어 기록된 음원 파일 제작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 구간은, 온 쉼표, 점2분 쉼표, 2분 쉼표, 점4분 쉼표, 4분 쉼표, 점8분 쉼표, 8분 쉼표, 16분 쉼표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음원 파일 제작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 구간은, 상기 멜로디 음들의 전후나 상기 멜로디 음들 사이에 하나 이상으로 배치된 음원 파일 제작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보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멜로디 음들의 시작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되는 음원 파일 제작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보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멜로디 음들의 시작 0.5초 전 여백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되는 음원 파일 제작 방법.
  26. 삭제
  27. 삭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연주 음들이 제1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스트림 연주 음들이 제2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브라스 연주 음들이 제3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는,
    음원 파일 제작 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키타 음들이 제1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드럼 음들이 제2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거나,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베이스 음들이 제3 배경 음원층에 기록되는,
    음원 파일 제작 방법.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박자 및 리듬에 따른 가사에 대응되는 피아노 음들 또는 바이올린 음들이 상기 멜로디 음원층에 기록되는, 음원 파일 제작 방법.
KR1020200058375A 2020-05-15 2020-05-15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KR102200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75A KR102200792B1 (ko) 2020-05-15 2020-05-15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PCT/KR2021/000099 WO2021230459A1 (ko) 2020-05-15 2021-01-06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EP21155740.0A EP3910622A1 (en) 2020-05-15 2021-02-08 Sound source file stru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sound source file
CA3108789A CA3108789C (en) 2020-05-15 2021-02-09 Sound source file stru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sound source file
US17/171,683 US11551717B2 (en) 2020-05-15 2021-02-09 Sound source file stru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sound source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75A KR102200792B1 (ko) 2020-05-15 2020-05-15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792B1 true KR102200792B1 (ko) 2021-01-11

Family

ID=7412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375A KR102200792B1 (ko) 2020-05-15 2020-05-15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51717B2 (ko)
EP (1) EP3910622A1 (ko)
KR (1) KR102200792B1 (ko)
CA (1) CA3108789C (ko)
WO (1) WO20212304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0622A1 (en) * 2020-05-15 2021-11-17 Keumyoung Entertainment Co., Ltd Sound source file stru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sound source fi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42B1 (ko) * 1993-12-30 1999-01-15 김광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JP2005037846A (ja) * 2003-07-18 2005-02-10 Xing Inc 音楽再生装置の情報設定装置及び情報設定方法
KR20130049332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15007776A (ja) * 2013-05-28 2015-01-15 昌樹 上田 盲人用カラオケシステムまたは盲人用カラオケソフト
KR102050785B1 (ko) 2019-05-10 2019-12-02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노래 가사 출력 방법, 노래 반주기 및 노래 반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9211B2 (ja) * 1995-03-23 2002-08-26 ヤマハ株式会社 音声変換機能付カラオケ装置
JPH11167392A (ja) * 1997-12-05 1999-06-22 Toyota Motor Corp カラオケ再生装置、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341338A (ja) * 2003-05-16 2004-12-02 Toyota Motor Corp 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再生方法および車両
JP4236533B2 (ja) * 2003-07-18 2009-03-11 クリムゾン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楽音発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50265172A1 (en) * 2004-05-26 2005-12-01 Star Sessions, Llc Multi-channel audio/video system and authoring standard
KR100717647B1 (ko) 2004-12-31 2007-05-15 전경열 다중채널 음악 파일 제작방법 및 다중채널 음악 파일 제공시스템
KR100639154B1 (ko) 2005-02-01 2006-10-30 우종식 하나의 파일로 일반 음악, 반주 음악, 가사 미리불러주기, 코러스 기능, 뮤직비디오 제작이 가능한 음원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장치
KR101029483B1 (ko) 2008-10-30 2011-04-18 주식회사 인코렙 멀티채널 오디오 파일을 이용한 음악 ucc 제작방법 및 그 장치
KR101328739B1 (ko) 2012-02-16 2013-1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제어가 가능한 다상유체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16157377A1 (ja) * 2015-03-30 2016-10-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再生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コンテンツ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29172B2 (ja) * 2017-09-20 2021-02-10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2200792B1 (ko) 2020-05-15 2021-01-11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42B1 (ko) * 1993-12-30 1999-01-15 김광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JP2005037846A (ja) * 2003-07-18 2005-02-10 Xing Inc 音楽再生装置の情報設定装置及び情報設定方法
KR20130049332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15007776A (ja) * 2013-05-28 2015-01-15 昌樹 上田 盲人用カラオケシステムまたは盲人用カラオケソフト
KR102050785B1 (ko) 2019-05-10 2019-12-02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노래 가사 출력 방법, 노래 반주기 및 노래 반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0622A1 (en) * 2020-05-15 2021-11-17 Keumyoung Entertainment Co., Ltd Sound source file stru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sound source file
US11551717B2 (en) 2020-05-15 2023-01-10 Keumyoung Entertainment Co., Ltd Sound source file stru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sound source 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8522A1 (en) 2021-11-18
CA3108789C (en) 2021-12-14
CA3108789A1 (en) 2021-04-19
WO2021230459A1 (ko) 2021-11-18
EP3910622A1 (en) 2021-11-17
US11551717B2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3106B2 (ja) 車載機及びその音声出力方法
JPH0946799A (ja) オーディオ方式、その再生方法、並びにその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媒体への記録方法
KR102200792B1 (ko) 음원 파일 구조,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음원 파일 제작 방법
TWI243362B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player,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tion method
TW200423085A (en)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apparatus
JP4293072B2 (ja) 楽曲再生装置
Howland “Let the Music Play”(1975): Hearing the Disco Mainstream in Barry White
KR20080015997A (ko) 무드 패턴을 이용한 오디오 곡 선별 재생방법
Komara Alpine Dreaming: The Helvetia Records Story, 1920-1924
McGrath Arnold Schoenberg
Blount Interactive Multimedia and Software Reviews:" World Beat," Version 1.0
Haley Theo Olof, Volume 1: Bach Solo Sonatas and Partitas, BWV 1001-1006/Julian Olevsky, Vol. 6: Handel: 15 Violin Sonatas, Op. 1; D. Scarlatti: 8 Violin Sonatas
Haskins John Cage: Music for Piano 4–84 Overlapped
KR19980080201A (ko)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Stewart Retaining a New Format: Jazz-Rap, Cultural Memory, and the New Cultural Politics of Difference
Simons THE SONGBOOK/HARRY SOUTH
Booth Burman-dada Was Total Indian
Copland et al. Music for the Theatre
JP3571510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カラオケ楽曲検出装置
TW594703B (en) Method for accessing a compact disk
Smith et al. Faculty Recital: Christina Smith, flute and Robert Henry, piano
Blount World Beat, Version 1.0, Interactive CD-ROM for IBM PC and Compatibles
Young Ripples
Kirchner The Night I Became a Jazz Musician
Phillips et al. The Technological Entrepreneurs: Engineers, Accountants, and Hipp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