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86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586B1 KR102200586B1 KR1020190028135A KR20190028135A KR102200586B1 KR 102200586 B1 KR102200586 B1 KR 102200586B1 KR 1020190028135 A KR1020190028135 A KR 1020190028135A KR 20190028135 A KR20190028135 A KR 20190028135A KR 102200586 B1 KR102200586 B1 KR 1022005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
- height
- bicycle
- shopping cart
- eleva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8—Adaptations facilitating the transport to the coun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79—Towing by connecting to another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2—Coupling parts for attaching cars or the like to cycle; Arrangemen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마련되는 안장(110) 및 상기 안장(110)의 전방에 구비되는 핸들(120)을 포함하는 자전거(100); 상기 자전거(100)와 일체로 결합되되 내부에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카트(200); 및 상기 카트(200) 내에 배치되어 상하로 구동되는 승강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300)의 상면에 물체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10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에 관한 것으로, 카트 내에 승강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카트에 담긴 제품을 보다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
쇼핑카트는, 실내외에서 사용자가 제품을 함에 담아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대형마트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쇼핑카트는 제품을 담을 수 있는 적재부와, 적재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바퀴 등의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보다 큰 편의성을 주고자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고 있다.
최근 개시되고 있는 쇼핑카트의 일예로, 소비자가 인터넷으로 주문하면 창고에서 자동으로 물건을 쇼핑카트로 담아주는 인공지능 카트나, 자율주행 기능으로 쇼핑하는 소비자가 직접 카트를 끌고 다니지 않아도 쇼핑을 할 수 있는 자율주행 카트 등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쇼핑카트의 경우에는 자동화된 장점은 있으나, 오프라인 상에서 쇼핑을 즐기거나 실시간으로 상품의 전체적인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들은 수기로 운반하는 전통적인 카트를 많이 사용한다. 위와 같은 기술의 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1731호(“자전거형 쇼핑카트”)에서 개시되어 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소개하자면, 해당 문헌에는 사용자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페달을 이용하여 쇼핑카트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쇼핑하여도 피로함이 보다 적어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잡이로 카트의 전체의 주행방향을 조절해야 하므로, 과도한 힘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계산대 또는 차량의 트렁크와 같이 다른 적재공간에 구매한 제품을 옮기기 위해서는 쇼핑카트에서 내려서 수기로 일일이 옮겨야 하는 수고스러움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와 쇼핑카트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되 쇼핑 시의 방향전환이 보다 용이하도록 핸들과 쇼핑카트의 바퀴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쇼핑카트의 적재함 내에 승강장치가 구비되어 담긴 제품을 보다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1000)는,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마련되는 안장(110) 및 상기 안장(110)의 전방에 구비되는 핸들(120)을 포함하는 자전거(100); 상기 자전거(100)와 일체로 결합되되 내부에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카트(200); 및 상기 카트(200) 내에 배치되어 상하로 구동되는 승강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300)의 상면에 물체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자전거(100)에 형성되는 제1바퀴(W1); 및 상기 카트(2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바퀴(W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전거(100)의 핸들(120)은 상기 제2바퀴(W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핸들(120)에 연결되는 주프레임(131); 및 상기 주프레임(131)과 제2바퀴(W2)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13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프레임(131)은 자전거(100) 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전거(100) 본체와 카트(2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재(300)는, 카트(200)의 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320); 상기 받침플레이트(320)의 상측에 배치되되 물체가 상면에 놓이는 승강플레이트(310);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와 받침플레이트(320) 사이를 연결하되, 동력수단(400)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높이조절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는, 상하 높이가 가변되는 승강부재(300)가 형성되어 승강부재(300) 상에 놓인 물체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카트 내 깊은 지점에 위치한 물체를 집기 위한 수고스러움이 덜어져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는, 카트의 제2바퀴와 핸들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조향 제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착석한 상태에서 물체를 집어 바로 카트로 넣는 경우에 카트 내 물체의 높이가 일정 높이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자전거에서 하차할 필요가 없어 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전거형 쇼핑카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1000)는, 자전거(100) 및 카트(200)가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전거(100)는 일반적인 형태의 전후 한 쌍의 제1바퀴(W1)가 형성된 형태이거나, 상기 카트(200)가 배치된 측의 반대 측에만 제1바퀴(W1)가 형성되거나 보조바퀴를 더 포함하는 등 여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자전거(100)의 전방에 카트(20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자전거(200)는 후방 측에 제1바퀴(W1)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전거(10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장(110)이나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핸들(120)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전거(100)는 페달(140)과 하나 이상의 제1바퀴(W1)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인력에 의해서 추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트(200)는 내부에 물체가 담길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200)에도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바퀴(W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바퀴(W2)는 상기 자전거(100)의 핸들(120)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핸들(120)에 연결되는 주프레임(131) 및 상기 주프레임(131)과 상기 제2바퀴(W2)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하여 상기 핸들(120)을 조작함으로써 조향각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200)가 전후 방향에 한 쌍의 제2바퀴(W2)로 구성되어 총 4개의 제2바퀴(W2)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핸들(120)은 전방에 배치된 2개의 제2바퀴(W2)와 연결되거나,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된 2개의 제2바퀴(W2)와 연결되거나, 선택되는 하나의 제2바퀴(W2)와 연결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바퀴(W2)는 캐스터 형태로 구성되어 측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자전거(100)는 본체가 형성되어 체인이나 안장, 페달 및 제1바퀴 등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주프레임(131)의 경우에는 상기 자전거(100)의 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200)는 상기 자전거(100)의 본체와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트(200)의 공간상에 배치되는 승강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300)는 상기 카트(200)의 공간 내부의 저면 상에 고정되되, 상하로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300)에 놓인 물체는, 상기 승강부재(30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승강부재(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승강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승강부재(300) 및 동력수단(4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승강부재(300)는, 상기 카트(200)의 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320), 상기 받침플레이트(320)의 상측에 배치되되 물체가 상면에 놓인 승강플레이트(310)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와 받침플레이트(320) 사이를 연결하되, 동력수단(400)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높이조절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력수단(400)은 상기 높이조절부재(330)와 연결되어 동력으로 인가하여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력수단(400)은,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0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의 면적이 상기 카트(200)의 공간부 면적과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고무 등의 탄성재질이 더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재(300)는 상기 받침플레이트(320)가 상기 카트(200)의 공간 저면과 결합되는 형태라면 판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1000)는, 상기 동력수단(400)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재(300)의 높낮이 조절을 하는 제어수단(500)과, 상기 제어수단(500)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500)에는 상기 동력수단(400)으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300) 상에는 로드셀이 형성되어 상기 제어수단(500)으로 측정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카트(200)의 공간상에 카메라 또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승강부재(300)의 로드셀로부터 인가되는 물체의 무게, 상기 카메라 또는 감지센서로부터 촬영되는 물체의 높이 또는 이미지를 신호로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600)에서 출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600) 또는 상기 핸들(120)에는 스위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수단(500)에 입력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승강부재(300)의 높낮이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60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카트(200)에 소량의 물체가 담긴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면 상기 승강부재(300)가 상승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200) 내부에 형성되는 초음파, 적외선 등과 같은 감지센서 또는 카메라에서 물체가 일정 높이에 도달한 것이 측정되면, 상기 승강부재(30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물체의 무게정보는 상기 승강부재(300)가 허용하는 하중치보다 높은지를 감지하여, 기준치 이상의 무게로 인하여 승강부재(300)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 디스플레이(600), 제어수단(500) 및 동력수단(4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133)에 중공이 형성되어 전선이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수단(500)이 무선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스위치가 사용자단말로 대체되어 상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W1 : 제1바퀴 W2 : 제2바퀴
1000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100 : 자전거
110 : 안장
120 : 핸들
131 : 주프레임 132 : 보조프레임
133 : 연결프레임
140 : 페달
200 : 카트
300 : 승강부재
310 : 승강플레이트 320 : 받침플레이트
330 : 높이조절장치
400 : 동력수단
500 : 제어수단
600 : 디스플레이
1000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100 : 자전거
110 : 안장
120 : 핸들
131 : 주프레임 132 : 보조프레임
133 : 연결프레임
140 : 페달
200 : 카트
300 : 승강부재
310 : 승강플레이트 320 : 받침플레이트
330 : 높이조절장치
400 : 동력수단
500 : 제어수단
600 : 디스플레이
Claims (5)
-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마련되는 안장(110) 및 상기 안장(110)의 전방에 구비되는 핸들(120)을 포함하는 자전거(100);
상기 자전거(100)와 일체로 결합되되 내부에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카트(200);
상기 카트(200) 내에 배치되어 상하로 구동되는 승강부재(300);
상기 승강부재(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수단(400);
상기 동력수단(400)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재(300)의 높낮이 조절을 하는 제어수단(500); 및
상기 제어수단(500)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600);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100)에 형성되는 제1바퀴(W1); 및
상기 카트(2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바퀴(W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전거(100)의 핸들(120)은 상기 제2바퀴(W2)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300)는,
카트(200)의 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320);
상기 받침플레이트(320)의 상측에 배치되되 물체가 상면에 놓이는 승강플레이트(310);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와 받침플레이트(320) 사이를 연결하되, 동력수단(400)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높이조절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300) 상에는 로드셀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200) 내부에는 카메라 또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승강부재(300)의 로드셀로부터 인가되는 물체의 무게와, 상기 카메라 또는 감지센서로부터 촬영되는 물체의 높이 또는 이미지를 신호로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600)에서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600) 또는 상기 핸들(120)에는 스위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수단(500)에 입력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승강부재(30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승강부재(300)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카트(200)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감지센서에서 물체가 일정 높이에 도달한 것이 측정되면, 상기 승강부재(30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20)에 연결되는 주프레임(131); 및
상기 주프레임(131)과 제2바퀴(W2)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132);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프레임(131)은 자전거(100) 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100) 본체와 카트(2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8135A KR102200586B1 (ko) | 2019-03-12 | 2019-03-12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8135A KR102200586B1 (ko) | 2019-03-12 | 2019-03-12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9083A KR20200109083A (ko) | 2020-09-22 |
KR102200586B1 true KR102200586B1 (ko) | 2021-01-07 |
Family
ID=7270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8135A KR102200586B1 (ko) | 2019-03-12 | 2019-03-12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58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1731Y1 (ko) * | 2002-01-10 | 2002-04-10 | 송진우 | 자전거형 쇼핑카트 |
CN201506424U (zh) * | 2009-09-30 | 2010-06-16 | 蒋景刚 | 母婴两用自行车 |
KR200484628Y1 (ko) | 2016-08-24 | 2017-10-10 | 김영서 |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0927B1 (ko) | 2010-04-15 | 2013-01-11 | 윤흥열 | 자전거 리어랙과 쇼핑카트의 결속 구조 |
KR101700033B1 (ko) * | 2015-06-03 | 2017-01-25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프팅 카트 |
KR20170136945A (ko) * | 2016-06-02 | 2017-12-12 | 배훈천 | 쇼핑카트 하측면 상승 및 하강 장치 |
-
2019
- 2019-03-12 KR KR1020190028135A patent/KR1022005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1731Y1 (ko) * | 2002-01-10 | 2002-04-10 | 송진우 | 자전거형 쇼핑카트 |
CN201506424U (zh) * | 2009-09-30 | 2010-06-16 | 蒋景刚 | 母婴两用自行车 |
KR200484628Y1 (ko) | 2016-08-24 | 2017-10-10 | 김영서 |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9083A (ko) | 2020-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03573B1 (en) | Hover board tricycle | |
JP3819525B2 (ja) | 補助動力付き歩行型運搬車 | |
US9120657B1 (en) | Power hand truck | |
US7735587B1 (en) | Hand truck driving apparatus | |
US3524512A (en) | Self-propelled driving and steering truck for shopping carts | |
US5906383A (en) | Home shopping cart | |
US20080223649A1 (en) | Vehicle for transporting a wheelchair | |
GB2472657A (en) | Trolley with scanner and weighing device | |
US7987933B1 (en) | Motorized stroller apparatus | |
US20140231164A1 (en) | Power assist wheelbarrow | |
US20230172779A1 (en) | Auxiliary drive device for a wheelchair | |
US20170349198A1 (en) | Cart with lifting assistance | |
KR102200586B1 (ko)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 |
US1681944A (en) | Truck for storage batteries | |
US20190002006A1 (en) | Gyroscopically-responsive power assisted moment arm for load carrying devices | |
US20210061336A1 (en) | Transporting apparatus | |
US20050230928A1 (en) | Power assisted hand truck | |
US20090179443A1 (en) | Nestable ball retrieval and storage device | |
NL1001294C2 (nl) | Verrijdbare hefinrichting. | |
FR2588752A1 (fr) | Vehicule electrique pour un enfant handicape moteur verticalise dans un appareil medical | |
WO2010058105A1 (fr) | Dispositif de commande d'une table d'operation | |
US3150736A (en) | Knockdown golf bag cart | |
US11124081B2 (en) | Solar charging shopping scooter | |
AU1831901A (en) | Motor-driven transport trolley with differentiated drive | |
FR2768684A1 (fr) | Dispositif deployable et repliable pour rehausser et rendre mobiles les paniers de collecte des acha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