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033B1 - 리프팅 카트 - Google Patents

리프팅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033B1
KR101700033B1 KR1020150078434A KR20150078434A KR101700033B1 KR 101700033 B1 KR101700033 B1 KR 101700033B1 KR 1020150078434 A KR1020150078434 A KR 1020150078434A KR 20150078434 A KR20150078434 A KR 20150078434A KR 101700033 B1 KR101700033 B1 KR 101700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guide
moving
car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559A (ko
Inventor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0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적재부와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승강부로서,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양단에 장착되고, X 자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 기둥과, 상기 하판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X 자 형태의 승강 기둥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좁히거나 늘리는 승강 레일부와, 상기 승강 레일부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기둥 하단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커버와, 상기 승강 레일부에 연결되며, 승강 기둥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 손잡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프팅 카트 {Lifting cart}
본 발명은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쇼핑몰이나 대형 마트에서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바닥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카트를 제안한다.
대량 생산 및 대량 소비가 일반화된 현대 사회에 있어서, 식료품이나 가구, 잡화 등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구비할 때 쇼핑 센터나 대형 마트를 이용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다양한 상품을 대량으로 구비하고 있는 마트 등에서 이용객들은 많은 물건을 구입하고자 할 때 선택한 물건을 적재한 상태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카트를 사용한다. 기존의 전통 시장에서 이용하는 주머니 형태의 장가방이나 동네 상점에서 이용하는 장바구니와 달리, 쇼핑용 카트는 내부에 많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부피가 크고 통상 네 개의 이동용 바퀴가 구비되어 적재성과 이동성에서 탁월하다.
그러나, 많은 물건을 카트에 담게 되면 구입한 물건을 계산하기 위해 계산대에서 물건을 올려놓거나 계산을 마친 물건을 차량에 적재하기 위해 옮길 때 힘이 많이 들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쌀이나 과일 상자 등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물건이 카트 밑바닥에 적재되어 있을 때 물건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허리나 무릎, 또는 손목 등에 과도한 부담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노약자들이나 여성분들에게 카트 이용은 쇼핑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몸에 무리를 주는 행위가 될 수 있다.
카트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9-0001226에 따르면, 높이 조절 카트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카트는, 연결부가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부에 완충스프링이 구비되며,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잠금부가 형성된 중공된 구조의 고정관과 바스켓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관에 끼움되어 상기 완충스프링에 지지되며 안내되고, 외면에는 상기 슬릿부를 따라 안내되며 상기 잠금부에 잠금고정되는 목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승강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술의 경우 카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카트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행위가 필요하고 카트 높이 조절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트 높이를 승강봉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카트 바닥면을 원하는 높이로 변화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 다른 높이 조절 카트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7-0007496에 따르면, 상면은 개구되고 하면 및 전후/좌우측면은 복수개의 지지대가 소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전면이 좌우측면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하면을 구성하는 지지대가 좌우측면으로부터 회전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바스켓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장치와, 상기 유압장치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과 유압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트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카트의 경우 유압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카트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많이 들며, 다양한 형태의 카트에 범용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압수단으로 카트 바닥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재된 물건을 하역할 때 카트 앞면을 개방한 후 물건을 이동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동작으로 카트 바닥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리프팅 가능한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구동 수단을 요구하지 않고 손과 발의 누름 행위로 카트 바닥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팅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트에 설치 또는 장착이 용이하고 탈부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카트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트용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적재부와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승강부로서,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양단에 장착되고, X 자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 기둥과, 상기 하판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X 자 형태의 승강 기둥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좁히거나 늘리는 승강 레일부와, 상기 승강 레일부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기둥 하단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커버와, 상기 승강 레일부에 연결되며, 승강 기둥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 손잡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카트를 제공한다.
상기 승강 레일부는 상기 하판 표면에 랙(rack) 기어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 기어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이동부와, 상기 한쌍의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한 쌍의 이동부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인장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부는 제1돌출 가이드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장줄이 제1돌출 가이드에 감겨진 상태로 가이드 레일에서 직선 운동하는 제1이동부와, 고정핀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장줄의 일단이 상기 고정핀에 고정된 채로 가이드 레일에서 직선 운동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돌출 가이드와, 상기 하판 표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인장줄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프팅 카트는 또한, 상기 승강 기둥은 두 개의 기둥이 중앙에서 서로 겹치도록 X 자 형태로 배치되며, 두 개의 기둥이 만나는 부분에 기둥 고정부가 장착되어 있고, 각각의 기둥의 양단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승강 기둥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쇼핑용 카트나 물건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운반용 카트 등에 있어서, 내부에 적재된 물건의 높이를 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승강부를 구비하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 허리를 숙이거나 허리 또는 무릎 등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또는 밴드 형태의 인장줄을 손이나 발로 당기는 수동 동작에 의해 간단히 승강부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트의 이동이나 정지 시에 물건의 적재 또는 하역 과정에서 손과 발의 활용 자유도가 커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승강부를 카트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크기나 형태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카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프팅 카트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승강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승강부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승강부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승강부 상판 높이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승강부로 인하여 바닥 높이 변화된 리프팅 카트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카트 내부에 담긴 상품을 위 아래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강과 승강이 가능한 높이 조절 수단을 구비한 카트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부에서 승강 기둥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이동부 및 이동부의 선형적 이동 시 이동부를 동일 높이에서 유지시킬 수 있고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리프팅 카트를 제공한다. 이동부의 동작은 기어에 연결된 와이어 또는 밴드를 손이나 발로 당기는 수동 동작에 의해 간단히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프팅 카트 외관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카트(100)는 통상의 쇼핑용 카트와 유사하게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적재부(110)와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카트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이동휠(120)이 구비되어 있고, 적재부 상단 일측에는 손잡이(130)가 마련되어 있다.
카트의 적재부 내부에는 바닥면에 별도의 승강부(2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는 적재부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후술하는 승강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승강부 상면이 위로 승강될 수 있고, 물건을 적재함으로써 물건의 자중에 의해 승강부 상면이 하래로 하강될 수 있다.
승강부의 구조를 도 2의 외관 사시도를 통해 살펴보면,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승강부는, 상판(204) 및 하판(202)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양단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 기둥(230)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 기둥은 두 개의 기둥이 중앙에서 서로 겹치도록 X 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기둥의 일단 또는 양단은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 표면에는 양측에 상기 X 자 형태의 승강 기둥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좁히거나 늘리는 승강 레일부(210a, 201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레일부 상부에는 상기 승강 기둥 하단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커버(22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승강부에는 상기 승강 레일부에 연결되어 승강 기둥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 손잡이(300)가 포함된다. 승강 손잡이는 줄이나 얇은 바 형태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레일부의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판 표면에 랙(rack) 기어 형태로 가이드 레일(211)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 상에는 한 쌍의 이동부(212a, 212b)가 안착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는 피니언 형태의 이동 기어(213a, 213b)가 각각 내장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기어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이동부에는 인장줄(25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인장줄의 타단은 상기 승강 손잡이에 연결되며 승강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한 쌍의 이동부간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부는 제1돌출 가이드(214a)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장줄이 제1돌출 가이드에 감겨진 상태로 가이드 레일에서 직선 운동하는 제1이동부(212a)와, 도 4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215)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장줄의 일단(251)이 상기 고정핀에 고정된 채로 가이드 레일에서 직선 운동하는 제2이동부(21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이동부 일측에는상기 인장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돌출 가이드(21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판 표면 일측에는 상기 인장줄의 타단(252)의 이동을 안내하는 인장줄 가이드(216)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 손잡이를 아래로 밀어 승강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인장줄을 당기게 되면, 고정핀(215)에 인장줄의 일단이 연결된 제1이동부와 제1돌출가이드(214a)에 인장줄이 감겨져 있는 제2이동부가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서로 마주본 채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러한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동작에 상기 승강 기둥의 하단을 각각 연동시키게 되면 승강 기둥의 하단 간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전체적인 승강 기둥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즉 X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승강 기둥의 형태가 '
Figure 112015053527743-pat00001
' 형태에서 '
Figure 112015053527743-pat00002
' 형태로 변화한다. 이러한 승강 기둥의 높이 변화를 통해 승강 기둥 상단에 놓여 있는 승강부 상판의 높이가 변화될 수 있다.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전술한 레일 커버에 의해 가이드 레일 상에서만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되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에 각각 연동되는 승강 기둥 역시 상기 레일 커버에 의해 직선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안내된다. 승강 기둥의 하단이 레일 커버 내부에 장입되어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승강 기둥 하단의 형태는 기둥 직경 보다 큰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이동부의 동작 및 이에 따른 승강 기둥의 동작으로 승강부 상판 높이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승강 기둥은 두 개의 기둥(231, 232)이 중앙에서 서로 겹치도록 X 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두 개의 기둥이 만나는 부분에 기둥 고정부(23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둥 고정부는 두 개의 기둥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한편, 승강 기둥 하단이 상기 이동부와 연동되어 이동할 때 승강 기둥의 상단이 함께 동작하도록 회동축의 역할을 한다. 기둥 고정부 대신 각각의 기둥 중앙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채로 상호 맞닿게 하고 맞닿은 부분에 회동을 위한 고정핀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리프팅 카트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판의 하면에 상기 승강 기둥의 상단이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24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는 이동 가이드 위치에 대해서만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이동 가이드의 형태는 예를 들어 전술한 레일 커버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승강부(200)로 인하여 바닥 높이가 변화된 리프팅 카트를 보인 것이다. 실제 카트 적재부의 바닥면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이지만, 승강부의 상판이 상승하면서 적재부에 놓인 물건들이 위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카트 내부에 담겨 있는 무거운 물건을 허리를 굽혀 꺼내야 하는 불편과 수고를 덜 수 있고, 허리를 꼿꼿하게 편 상태로 승강 손잡이(300)를 당겨 승강부 상판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물건을 쉽게 카트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 손잡이는 손으로 잡아당길 수도 있지만 카트 적재부 아래로 늘어뜨림으로써 발로 당기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 쪽 발로 승강 손잡이를 밑으로 당기고 두 손은 물건을 이동시키게 되어 손과 발을 동시에 사용하여 물건의 이동이나 적재가 가능하다.
상승시킨 상태의 승강부 상판은 물건을 적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에는 별도의 구동 수단이 필요없다. 이와 같은 카트용 승강부는 도시된 바와 같은 쇼핑용 카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반 수단에도 작착되어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카트 110:적재부
120:이동휠 130:손잡이
200:승강부 202:하판
204:상판 210a,210b:승강 레일부
211:가이드 레일 212a,212b:이동부
213a,213b:이동 기어 214a,214b:돌출 가이드
215:고정핀 216:인장줄 가이드
220:레일 커버 230,231,232:승강 기둥
233:기둥 고정부 240:이동 가이드
250,251,252:인장줄 300:승강 손잡이

Claims (6)

  1.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적재부와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승강부로서,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양단에 장착되고, X 자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 기둥과,
    상기 하판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X 자 형태의 승강 기둥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좁히거나 늘리는 승강 레일부와,
    상기 승강 레일부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기둥 하단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커버와,
    상기 승강 레일부에 연결되며, 승강 기둥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레일부는 상기 하판 표면에 랙(rack) 기어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 기어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이동부와, 상기 한쌍의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한 쌍의 이동부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인장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부는
    제1돌출 가이드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장줄이 제1돌출 가이드에 감겨진 상태로 가이드 레일에서 직선 운동하는 제1이동부와,
    고정핀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장줄의 일단이 상기 고정핀에 고정된 채로 가이드 레일에서 직선 운동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돌출 가이드와,
    상기 하판 표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인장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둥은 두 개의 기둥이 중앙에서 서로 겹치도록 X 자 형태로 배치되며, 두 개의 기둥이 만나는 부분에 기둥 고정부가 장착되어 있고, 각각의 기둥의 양단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승강 기둥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카트.

KR1020150078434A 2015-06-03 2015-06-03 리프팅 카트 KR10170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434A KR101700033B1 (ko) 2015-06-03 2015-06-03 리프팅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434A KR101700033B1 (ko) 2015-06-03 2015-06-03 리프팅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59A KR20160142559A (ko) 2016-12-13
KR101700033B1 true KR101700033B1 (ko) 2017-01-25

Family

ID=5757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434A KR101700033B1 (ko) 2015-06-03 2015-06-03 리프팅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86B1 (ko) * 2019-03-12 2021-01-0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091B1 (ko) 2013-10-16 2015-03-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091B1 (ko) 2013-10-16 2015-03-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59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30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CN207046784U (zh) 一种手动叉车的调节装置
KR101319605B1 (ko) 쇼핑카트
KR101735537B1 (ko) 쇼핑카트
US2904201A (en) Elevator hand truck
JPS6214479B2 (ko)
KR101700033B1 (ko) 리프팅 카트
CN105997402B (zh) 便于手术床上患者搬动的辅助装置
US20160325770A1 (en) Hydraulic dolly and method of use
KR101506091B1 (ko) 쇼핑카트
KR20100098056A (ko) 쇼핑카트
KR20140018033A (ko) 운전이 쉽고 물건 운반이 쉬운 쇼핑 운반 장치
KR101281562B1 (ko)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CN207292076U (zh) 一种省力便于使用的购物车
KR200455850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KR101100857B1 (ko) 적재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3륜 바퀴의 쇼핑카트
CN207046788U (zh) 一种手动叉车的防滑装置
US11089898B2 (en) Shoe tie assisting device
CN209316343U (zh) 一种医疗推车
KR101405262B1 (ko) 쇼핑카트
JP2000152963A (ja) 介護リフト
KR102066182B1 (ko) 승강 조절이 가능한 쇼핑 카트
CN205867015U (zh) 便于手术床上患者搬动的辅助装置
CN220213247U (zh) 一种辅助医用转运车的设备转运架
CN212243409U (zh) 一种五金配件生产用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