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434B1 - 탭댄스용 탭슈즈 - Google Patents

탭댄스용 탭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434B1
KR102200434B1 KR1020200052414A KR20200052414A KR102200434B1 KR 102200434 B1 KR102200434 B1 KR 102200434B1 KR 1020200052414 A KR1020200052414 A KR 1020200052414A KR 20200052414 A KR20200052414 A KR 20200052414A KR 102200434 B1 KR102200434 B1 KR 10220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tab
heel
sho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범상
Original Assignee
유범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범상 filed Critical 유범상
Priority to KR102020005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2Dancing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02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1/025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43B21/28Pneumatic heel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댄스용 탭슈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대 무용 중 하나인 탭댄스에서 사용되는 슈즈의 하부 전후방에 금속재질의 탭(징)을 부착하여 플로어와의 접촉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탭슈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탭댄스용 탭슈즈{Tap Shoes}
본 발명은 탭댄스용 탭슈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대 무용 중 하나인 탭댄스에서 사용되는 슈즈의 하부 전후방에 금속재질의 탭(징)을 부착하여 플로어와의 접촉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탭슈즈에 관한 것이다.
탭댄스는 구두 밑창에 탭이라는 징을 박고 밑창의 앞 부분과 뒤축으로 플로어를 리드미컬하게 쳐서 소리를 내며 추는 춤의 일종으로, 아일랜드와 영국의 랭커셔주 지방의 클록댄스(신발 밑에 나무를 대고 마룻바닥을 빨리 밟아서 소리를 내며 추는 춤)가 미국에 유입, 니그로의 춤과 융합되어 19세기경부터는 주로 흑인 연예인들에 의해 민스트럴과 보드빌 무대에서 추어졌다. 그 당시에는 노래와 코미디가 춤과 함께 펼쳐졌으나 1920년대 재즈의 유행과 더불어 더욱 성행하게 되자 춤만 따로 추게 되었다. 리듬은 더욱 다양해지고 춤의 활동 범위도 넓어져 발레의 기교까지 채용하게 되었다. 탭댄서로 흑인 빌 로빈슨, 백인 프레드 애스테어, 로저스 등이 유명하다.
탭댄스에 사용되는 슈즈를 통상적으로 탭슈즈라고 일컫는데, 이러한 탭슈즈는 착용자의 발크기에 따라 꼭 맞도록 맞춤식으로 구두의 앞굽(toe)과 뒷굽(heal)에 쇠못으로 각각 탭(징)을 고정시켜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탭슈즈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176호 "전후방 철제 탭 부착 댄서구두"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탭슈즈는 훈련된 숙련자의 경우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으나, 초보자의 경우에는 소리를 잘 내기 위한 훈련과정이 필요하고 소리가 잘 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또한, 숙련자라 하더라도 신체조건 등에 따라 소리의 울림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탭슈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탭슈즈의 하부에 형성된 토우탭 및 힐탭의 내측에 공명부가 마련되어 기존 탭슈즈에 비해 풍부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탭댄스용 탭슈즈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탭슈즈의 저면에 적층되어 결합되는 홍창패드의 전방과 후방의 두께차이를 이용하여 소리의 음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연주(공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탭댄스용 탭슈즈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탭슈즈의 굽부재 및 힐탭의 저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탭 동작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음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음역대의 소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탭댄스용 탭슈즈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명부의 내주면에 증폭부재가 형성되어 소리의 증폭을 유도함으로써, 탭슈즈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보다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탭댄스용 탭슈즈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굽부재의 외측에 부설된 보조탭에 의해 비숙련자도 쉽게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숙련자가 보다 다양한 탭댄스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탭댄스용 탭슈즈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는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신발본체(100); 상기 신발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홍창패드(211)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홍창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홍창부의 후방측 하부에는 굽부재(220)가 형성되는 인솔부(200); 상기 인솔부의 전방측 하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310)이 구비되는 토우탭(300); 및 상기 굽부재의 하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410)이 구비되는 힐탭(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토우탭 및 힐탭은 지면과 접촉 시 발생되는 소리의 공명을 유도하도록 상부면 중앙부에 하부방향으로 함몰된 공명부(320,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솔부는 상기 홍창부재 적층된 홍창패드 중 최하단에 형성된 홍창패드(211-1)가 전방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굽부재는 하부면이 후방방향에서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제1경사면(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굽부재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명홀(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토우탭 및 힐탭은 상기 공명부의 내주면에 증폭부재(321,4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힐탭은 하부면이 후방방향에서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제2경사면(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굽부재는 외측에 굽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조탭(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탭은 외주면에 다수의 보조체결공(510)이 구비되며, 내주면에 보조공명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탭슈즈의 하부에 형성된 토우탭 및 힐탭의 내측에 공명부가 마련되어 기존 탭슈즈에 비해 풍부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탭슈즈의 저면에 적층되어 결합되는 홍창패드의 전방과 후방의 두께차이를 이용하여 소리의 음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연주(공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탭슈즈의 굽부재 및 힐탭의 저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탭 동작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음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음역대의 소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명부의 내주면에 증폭부재가 형성되어 소리의 증폭을 유도함으로써, 탭슈즈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보다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굽부재의 외측에 부설된 보조탭에 의해 비숙련자도 쉽게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숙련자가 보다 다양한 탭댄스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토우탭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전방측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힐탭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후방측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후방측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토우탭 및 힐탭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예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보조탭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토우탭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전방측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힐탭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후방측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후방측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토우탭 및 힐탭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예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의 보조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탭댄스용 탭슈즈는 크게 신발본체(100), 인솔부(200), 토우탭(300) 및 힐탭(400)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신발본체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외피를 구성하는 어퍼(upper),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토캡(toe cap), 발의 앞부분을 감싸는 뱀프(vamp), 발등 부분을 보강하면서 발 뒤꿈치를 감싸는 쿼터(quarter), 신발끈이 삽입되는 홀(lace loop) 및 발바닥을 지지하는 인솔(insole)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발본체는 남성 또는 여성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착용자에 따라 상술한 통상의 구성외에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인솔부는 상기 신발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홍창패드(211)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홍창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홍창부의 후방측 하부에는 굽부재(2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홍창부재는 상기 신발본체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홍창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겹 이상의 홍창패드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굽부재는 착용자의 뒤꿈치 부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홍창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홍창패드가 3 내지 7겹으로 적층되되 바람직하게는 5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우탭은 상기 인솔부의 전방측 하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31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체결공은 별도의 체결나사(미부호)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힐탭은 상기 굽부재의 하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41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체결공은 별도의 체결나사(미부호)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3개씩 삼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토우탭 및 힐탭이 고정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한편, 상기 토우탭 및 힐탭은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과 접촉 시 발생되는 소리의 공명을 유도하도록 상부면 중앙부에 하부방향으로 함몰된 공명부(320,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공명부는 상기 토우탭 및 힐탭과 지면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리를 공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풍성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명부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우탭 및 힐탭이 지면과 부딪히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가 상기 공명부(예컨대, 기타의 울림통과 같은 역할)의 내측에서 공명되어 보다 풍부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솔부는 상기 홍창부재 적층된 홍창패드 중 최하단에 형성된 홍창패드(211-1)가 전방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홍창패드(211-1)는 인솔부의 전방과 후방의 두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우탭과 힐탭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다.
또한, 상기 굽부재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면이 후방방향에서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제1경사면(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경사면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3°내지 1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경사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3°미만인 경우에는 힐탭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차이가 거의 없고,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부상위험이 커지게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5°내지 7°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힐탭은 하부면이 후방방향에서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제2경사면(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제1경사면과 마찬가지로 3°내지 1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내지 7°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은 힐탭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음역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타악기로 구분할 수 있는 탭슈즈는 다른 타악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역대가 좁게 형성되는 바, 상술한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을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탭슈즈에 비해 보다 넓은 음역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굽부재는 도 8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명홀(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명홀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굽부재의 전체높이를 기준으로 바닥면으로부터 1/2 이상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명홀은 상술한 공명부와 함께 탭동작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의 울림을 크게 향상시켜 보다 풍부한 소리를 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토우탭 및 힐탭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명부의 내주면에 증폭부재(321,4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증폭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발생된 소리의 진행 경로를 증가시켜 공명부내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소리의 증폭을 유도함으로써, 탭슈즈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보다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굽부재는 외측에 굽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조탭(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보조탭은 지면과의 접촉이 아닌 탭과 탭의 접촉으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다양한 탭댄스 동작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색다른 소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탭은 도 11 내지 도 12에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보조체결공(510)이 구비되며, 내주면에 보조공명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공명부는 도 11과 같이 보조탭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의 내주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와 같이 보조탭의 내측 전반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공명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명부의 증폭부재와 동일한 형태의 보조증폭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탭슈즈의 하부에 형성된 토우탭 및 힐탭의 내측에 공명부가 마련되어 기존 탭슈즈에 비해 풍부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탭슈즈의 저면에 적층되어 결합되는 홍창패드의 전방과 후방의 두께차이를 이용하여 소리의 음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연주(공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탭슈즈의 굽부재 및 힐탭의 저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탭 동작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음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음역대의 소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명부의 내주면에 증폭부재가 형성되어 소리의 증폭을 유도함으로써, 탭슈즈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보다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굽부재의 외측에 부설된 보조탭에 의해 비숙련자도 쉽게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숙련자가 보다 다양한 탭댄스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신발본체
200 ... 인솔부 210 ... 홍창부재
211 ... 홍창패드 220 ... 굽부재
221 ... 제1경사면 222 ... 공명홀
300 ... 토우탭 310 ... 제1체결공
320(420) ... 공명부 321(421) ... 증폭부재
400 ... 힐탭 410 ... 제2체결공
430 ... 제2경사면 500 ... 보조탭
510 ... 보조체결공 520 ... 보조공명부

Claims (7)

  1.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신발본체(100); 상기 신발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홍창패드(211)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홍창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홍창부의 후방측 하부에는 굽부재(220)가 형성되는 인솔부(200); 상기 인솔부의 전방측 하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310)이 구비되는 토우탭(300); 및 상기 굽부재의 하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410)이 구비되는 힐탭(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토우탭 및 힐탭은 지면과 접촉 시 발생되는 소리의 공명을 유도하도록 상부면 중앙부에 하부방향으로 함몰된 공명부(320,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솔부는 상기 홍창부재 적층된 홍창패드 중 최하단에 형성된 홍창패드(211-1)가 전방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굽부재는,
    하부면이 후방방향에서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이루어지되,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5°내지 7°인 제1경사면(221)이 형성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명홀(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외측에는 굽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조탭(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탭은,
    외주면에 다수의 보조체결공(510)이 구비되며, 내주면에 보조공명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댄스용 탭슈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탭 및 힐탭은,
    상기 공명부의 내주면에 증폭부재(321,4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댄스용 탭슈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힐탭은,
    하부면이 후방방향에서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제2경사면(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댄스용 탭슈즈.
  7. 삭제
KR1020200052414A 2020-04-29 2020-04-29 탭댄스용 탭슈즈 KR10220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414A KR102200434B1 (ko) 2020-04-29 2020-04-29 탭댄스용 탭슈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414A KR102200434B1 (ko) 2020-04-29 2020-04-29 탭댄스용 탭슈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434B1 true KR102200434B1 (ko) 2021-01-08

Family

ID=7412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414A KR102200434B1 (ko) 2020-04-29 2020-04-29 탭댄스용 탭슈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4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3599A (en) * 1938-08-29 1939-09-19 Albert L Sothen Jingling dancing tap
US2443727A (en) * 1947-02-11 1948-06-22 Mont Frank J Du Dancing tap
US5996251A (en) * 1998-10-22 1999-12-07 Laduca; Phillip F. Combination jazz dancing and character/tap dancing shoe
JP6653798B2 (ja) * 2017-01-10 2020-02-26 アビリティア株式会社 靴のヒール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3599A (en) * 1938-08-29 1939-09-19 Albert L Sothen Jingling dancing tap
US2443727A (en) * 1947-02-11 1948-06-22 Mont Frank J Du Dancing tap
US5996251A (en) * 1998-10-22 1999-12-07 Laduca; Phillip F. Combination jazz dancing and character/tap dancing shoe
JP6653798B2 (ja) * 2017-01-10 2020-02-26 アビリティア株式会社 靴のヒール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7607A1 (en)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compressible lattice structure
US8161666B2 (en) Shoe construction with double upper
US1000429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protective member for a control device
JP2018534990A (ja) 靴、特に運動靴
US20080078104A1 (en) Shoe Construction With Double Tongue
JP2016147053A (ja) シューズ用ソール
KR102200434B1 (ko) 탭댄스용 탭슈즈
CN104411198A (zh) 用于舞鞋的踢片
US6338205B2 (en) Footwear with molded web platform for attaching outsole
JP2001008703A (ja) 履き物
US20070180734A1 (en) Shoe insole featuring sand / sand-like material
US6978560B2 (en) Shoe having an upper with a welt-like fold line
JP2002336005A (ja) かかとがない靴の靴敷き
KR200413008Y1 (ko) 샌들
JP2001017203A (ja) 屋内運動用,及び水中運動用シューズの靴底
JP2000093202A (ja) 靴のインソール構造
JPH0473001A (ja) 綱引き靴用の靴底
CN213604748U (zh) 一种可弹奏式造曲音乐鞋
KR100460400B1 (ko) 충격흡수 기능이 강화된 구두 및 구두 제조방법
JP3616252B2 (ja) ピアノのペダル
KR200252039Y1 (ko) 충격흡수 기능이 강화된 구두
US20160073726A1 (en) Foot supporting structure of a cycling shoe with improved ergonomics
KR200197540Y1 (ko) 앞뒤 없는 신발
JP2005304578A (ja) 履物底
US1780230A (en) Tap for dancing slippers or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