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119B1 - 압축 공기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119B1
KR102200119B1 KR1020200087183A KR20200087183A KR102200119B1 KR 102200119 B1 KR102200119 B1 KR 102200119B1 KR 1020200087183 A KR1020200087183 A KR 1020200087183A KR 20200087183 A KR20200087183 A KR 20200087183A KR 102200119 B1 KR102200119 B1 KR 10220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water
foam
compressed air
guid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최병민
전상률
조재희
손창협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62C5/02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with air or gas present as su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02Apparatus for mixing extinguishants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62C5/02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with air or gas present as such
    • A62C5/024Apparatus in the form of pipes
    • B01F15/001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50Pipe mixers, i.e. mixers wherein the materials to be mixed flow continuously through pipes, e.g. column mixers
    • B01F3/044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7/0090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소화수가 유입되는 소화수 공급 모듈부;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를 따라 이동되는 소화수에 폼을 공급하는 폼 공급 모듈부;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를 따라 이동되는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혼합 소방수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 및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 폼 공급 모듈부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 폼 공급 모듈부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 공기포 시스템{COMPRESSED AIR FOAM SYSTEM}
본 발명은 압축 공기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수, 폼 및 공기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압축 공기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물(소화수)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데, 산업의 발달에 따라서 화재도 유류, 가스 또는 각종 화학물질의 연소 등 진압이 어려운 상황으로 전개되는 일이 더욱 발생하고 있어 물만으로는 소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물만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 효과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화재가 확대될 우려가 있어, 소화수에 포소화 약제를 혼합한 거품 형태의 혼합 소방수를 방사하여 가연체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방수와 포소화 약제의 혼합비율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만 가장 효과적인 거품 형태의 혼합 소방수가 형성되며, 화재 현장에서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그러나 소방수와 포소화 약제를 혼합하도록 이루어진 종래의 압축 공기포 장치는 사용자가 소방수와 포소화 약제의 혼합비율에 맞게 소방수가 배출되는 소방수 배출밸브와 포소화 약제가 배출되는 약제 배출밸브를 직접 조절해야되기에, 소방수와 포소화 약제의 혼합비율이 정확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압축 공기포 장치는 배관을 따라 흐르는 소방수에 포소화 약제를 투입하여 소방수와 포소화 약제를 혼합함에 있어, 수차와 같은 별도의 혼합 부재를 이용하여 소방수와 포소화 약제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혼합 부재의 회전과정에서 미세기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기포의 발생으로 인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거품 형태로 혼합 소방수가 방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압축 공기포 장치는 별도의 혼합 부재가 구비되어야 하기에, 압축 공기포 장치의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화수, 폼 및 공기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효과적으로 혼합 소방수를 방사할 수 있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3400호(2015.04.0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소화수, 폼 및 공기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소화수가 유입되는 소화수 공급 모듈부;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를 따라 이동되는 소화수에 폼을 공급하는 폼 공급 모듈부;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를 따라 이동되는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혼합 소방수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 및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 폼 공급 모듈부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 폼 공급 모듈부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는, 소화수가 유입되는 소화수 유입구가 형성된 소화수 유입 파이프; 상기 소화수 유입 파이프와 연결되며, 소화수가 보관되는 소화수 보관 파이프;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와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 펌프; 상기 소화수 공급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소화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와 연결되며, 일단부에는 폼 분사 노즐이 결합되어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혼합 소방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혼합 소방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 조절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는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로 이동되는 혼합 소방수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는,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로 이동되는 소화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소화수 조절 밸브; 및 상기 소화수 조절 밸브의 후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로 이동되는 소화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소화수 유량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소화수 유량 측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소화수의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화수 공급 펌프 및 소화수 조절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공급 펌프에는 복수개의 소화수 분지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는 복수개의 상기 소화수 분지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 내부에 수용된 소화수를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로 회수하여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소화수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압력 조절부는, 일단은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연결된 제1 회수 파이프; 상기 제1 회수 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는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 및 일단은 상기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와 연결된 제2 회수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는 상기 제1 회수 파이프로부터 가압되는 소화수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회수 파이프와 제2 회수 파이프를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는 곡선을 이루는 곡선 라인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구비되는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구비되는 제2 플랜지를 서로 결합하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와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진동 저감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소화수와 폼의 혼합비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폼 공급 모듈부는, 폼 저장부로부터 폼이 유입되는 폼 유입부; 상기 폼 유입부로 유입된 폼을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로 공급하는 폼 공급 펌프; 상기 폼 공급 펌프의 작동 세기를 조절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로 공급되는 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폼 비례 제어밸브;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로 공급되는 폼의 공급량을 측정하는 폼 유량 측정부; 및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일단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로 폼을 공급하는 폼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폼 분사 노즐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폼 분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폼 분사홀은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는,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 리시버 탱크; 상기 에어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결합되는 압축 공기 공급 라인; 상기 압축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일이 함유된 압축 공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 및 일단부는 상기 기액 분리기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액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압축 공기를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혼합 소방수로 공급하는 압축 공기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에어 리시버 탱크에 수용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 쿨러는, 상기 에어 리시버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 리시버 탱크에 수용된 오일을 유입하는 오일 이동 안내부; 및 상기 오일 이동 안내부로부터 제공되는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 냉각부는, 열교환 바디부;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상기 열교환 바디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 라인; 상기 오일 이동 안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상기 열교환 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오일 공급 라인; 상기 열교환 바디부의 내부에서 소화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오일을 상기 오일 이동 안내부로 공급하는 오일 배출 라인; 및 상기 열교환 바디부의 내부에서 오일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소화수를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로 재공급하는 냉각수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 측정부; 상기 제1 압력 측정부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제1 압력 측정부와 제2 압력 측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소화수 공급 펌프를 제어하는 압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는 상기 폼 분사 노즐로부터 상기 배출 조절 밸브까지의 거리가 3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통합 제어부를 통해 소화수 공급 모듈부, 폼 공급 모듈부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통합 제어부는 소화수 공급 모듈부, 폼 공급 모듈부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소화수와 폼이 혼합되는 혼합 소방수와, 혼합 소방수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적의 상태로 압축 공기포를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된 폼 분사 노즐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포 시스템을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된 폼 분사 노즐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는 바는 바와 같이,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적의 상태로 압축 공기포를 방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하나의 조립체 모듈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소방차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설치 프레임(100),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 폼 공급 모듈부(300),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400) 및 통합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프레임(100)은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설치 프레임(100)은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의 뼈대를 이룬다. 즉,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들은 설치 프레임(1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는 예를 들어, 소방차의 구비되는 물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의 전반적인 이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는 소화수 유입 파이프(210),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 소화수 공급 펌프(230),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 및 배출 조절 밸브(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소화수 압력 조절부(2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화수 유입 파이프(210)에는 소화수가 유입되는 소화수 유입구(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소화수 유입구(211)는 예를 들어, 소방차에 구비된 물탱크에 연결된 연결 라인(미도시)과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물탱크에 수용된 물(소화수)은 소화수 유입구(211)를 통해 소화수 유입 파이프(2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화수 유입구(211)는 유입구 차단부재(212)에 의해 막혀진 상태로, 소화수 유입구(211)와 소방차에 구비된 물탱크에 연결된 연결 라인의 결합시에는 유입구 차단부재(212)를 분리한 상태에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는 소화수 유입 파이프(2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는 일정의 크기를 갖는 탱크 형태를 이룬다. 즉,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는 소화수 유입 파이프(210)로부터 공급된 소화수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소화수 공급 펌프(230)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소화수를 공급함에 있어,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에는 일정이 이상의 소화수가 미리 채워져 있기에,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공급되는 소화수는 끊김없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소화수 공급 펌프(230)가 소화수 유입 파이프(210)로 유입되는 소화수를 직접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공급할 경우보다 더욱 안정적인 소화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수 공급 펌프(230)는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와 연결되어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에 수용된 소화수를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소화수 공급 펌프(230)에는 복수개의 소화수 분지관(231)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는 복수개의 소화수 분지관(231) 중 어느 하나의 소화수 분지관(231)과 연결되어,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소화수 공급 펌프(230)는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에 수용된 소화수를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공급하기도 하지만, 소화수 분지관(231)에 연결되는 또 다른 소화수 연결 파이프(미도시)로도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에 수용된 소화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는 일정량 이상의 소화수를 미리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기에, 예를 들어, 복수개의 소화수 분지관(231)으로 동시에 소화수를 공급하더라도 소화수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
그리고 소화수 공급 펌프(230)에는 복수개의 소화수 분지관(231)이 구비됨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공급되는 소화수는 압축 공기포 형태로 방사되고, 또 다른 소화수 분지관에 연결된 소화수 연결 파이프로 공급되는 소화수는 그냥 소화수 형태로도 방사될 수 있는 등 동시에 다양한 형태로 소화수가 방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화재 현장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화수 분지관(231)에 압축 공기포를 방사하도록 이루어진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만 연결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는 소화수 공급 펌프(2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는 소화수 공급 펌프(230)로부터 유입된 소화수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에는 소화수 조절 밸브(241)와 소화수 유량 측정부(242)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화수 조절 밸브(241)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이동되는 소화수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소화수 유량 측정부(242)는 소화수 조절 밸브(241)의 후부에 배치되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 내에서 이동되는 소화수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소화수 유량 측정부(242)가 소화수 조절 밸브(241)의 후부에 배치되었다는 것은 소화수 유량 측정부(242)와 소화수 조절 밸브(241)가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에 결합됨에 있어,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를 기준으로 소화수 유량 측정부(242)가 소화수 조절 밸브(241)의 후부에 배치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소화수 유량 측정부(242)로부터 측정된 소화수의 유량 측정 정보는 통합 제어부(500)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소화수 유량에 맞게 소화수 조절 밸브(241)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소화수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제어부(500)는 소화수 공급 펌프(230)의 작동도 함께 제어하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미리 정해진 소화수 유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소화수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 제어부(500)는 종국에 압축 공기와 소화수의 혼합비인 공기포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소화수의 유량과 압축 공기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습식포 형태와 건식포 형태로 압축 공기포를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이 습식포 형태로 방사하는 경우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화염에 직접 압축 공기포를 분사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리고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이 건식포 형태로 방사하는 경우는 화재가 아직 전이되지 않는 곳에 분사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이 습식포 형태와 건식포 형태로 압축 공기포를 방사하는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공기포비로 압축 공기포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소화수와 압축 공기를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습식포 형태의 공기포비는 3~10배로 이루어지고, 건식포 형태의 공기포비는 11~1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포 형태의 공기포비가 3이라 가정하면, 소화수의 양이 1400 리터일 시 압축 공기량은 4200 리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소화수에 포함되는 폼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즉,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소화수 대비 폼의 혼합비를 0.8 ~ 1.2%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폼의 양은 폼 용액의 양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공기포비를 3으로 지정하고, 소화수 대비 폼의 혼합비를 1로 지정한 경우, 소화수의 양이 1400 리터인 경우, 폼의 양은 14 리터가 되고, 압축 공기량은 4200 리터가 되도록 소화수, 폼 및 압축 공기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PID(Proportinal Integral Differential) 방식을 통해 소화수, 폼 및 압축 공기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PID 방식을 이용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비례, 적분 및 미분의 3가지 조합을 통해 소화수, 폼 및 압축 공기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단순 ON/OFF 방식으로 소화수, 폼 및 압축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하게라도 변화되는 소화수, 폼 및 압축 공기량에 따라 유연하게 각 밸브를 조절하며 정밀하게 소화수, 폼 및 압축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요구하는 공기포비에 맞게 소화수, 폼 및 압축 공기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일단부에는 폼 분사 노즐(350)이 결합되며, 폼 분사 노즐(350)은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부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로 이동되는 소화수로 폼을 분사하게 된다. 이에, 소화수와 폼은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폼 분사 노즐(350)은 폼 분사 노즐(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폼 분사홀(351)이 형성된다.
이때, 폼 분사홀(351)은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소화수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폼이 토출되어 소화수의 저항을 적게 받은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폼 배출이 이루어져, 소화수와 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는 일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을 이루는 곡선 라인부(2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곡선 라인부(251)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소화수에 폼이 혼합된 혼합 소화수가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더욱 효과적인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혼합 소화수는 곡선 라인부(251)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소화수와 폼의 혼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는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소화수와 폼은 자연스럽게 혼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혼합 부재가 없더라도 소화수와 폼은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길이는 폼 분사 노즐(350)로부터 배출 조절 밸브(260) 까지의 거리가 3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제1 압력 측정부(281)와 제2 압력 측정부(282) 및 압력 스위치(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압력 측정부(281)는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에 설치되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압력 측정부(282)는 제1 압력 측정부(281)와 같이,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에 설치되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압력 측정부(282)는 제1 압력 측정부(281)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압력 스위치(283)는 제1 압력 측정부(281)와 제2 압력 측정부(282)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압력 측정부(281)와 제2 압력 측정부(282)로부터 측정된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내부 압력 정보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압력 스위치(283)는 제1 압력 측정부(281)와 제2 압력 측정부(282)로부터 측정된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범위를 유지하도록 소화수 공급 펌프(2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스위치(283)는 예를 들어, 소화수 공급 펌프(230)와 전선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화수 공급 펌프(23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타단부에는 배출 조절 밸브(26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 조절 밸브(260)는 외부로 배출되는 혼합 소화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400)의 단부는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로 이동되는 혼합 소화수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배출 조절 밸브(260)는 혼합 소화수에 압축 공기가 혼합된 상태인 압축 공기포의 외부 분사량을 최종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소화수 압력 조절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수 압력 조절부(270)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인 경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 내부에 수용된 소화수를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로 회수하여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의 내부 압력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소화수 압력 조절부(270)는 제1 회수 파이프(271),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272) 및 제2 회수 파이프(27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수 파이프(271)의 일단은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와 연결되고, 제1 회수 파이프(271)의 타단은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272)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회수 파이프(273)의 일단은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272)와 연결되고, 제2 회수 파이프(273)의 타단은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272)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에 연결된 제1 회수 파이프(271)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에 연결된 제2 회수 파이프(273)가 결합된다.
이러한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272)는 제1 회수 파이프(271)로부터 가압되는 소화수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제1 회수 파이프(271)와 제2 회수 파이프(273)를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제1 회수 파이프(271)를 통해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272)로 유입되는 소화수는 제2 회수 파이프(273)를 통해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진동 저감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저감부(290)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이 압축 공기포를 방사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진동 저감부(290)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에 구비된 제1 플랜지(243)와,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에 구비된 제2 플랜지(253)를 서로 결합하게 된다. 이에,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와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는 진동 저감부(290)에 의해 서로를 지지 고정시킴에 따라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와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는 흔들림 또는 진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폼 공급 모듈부(300)는 설치 프레임(100)에 지지되며,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소화수에 폼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폼 공급 모듈부(300)는 폼 유입부(310), 폼 공급 펌프(320), 폼 비례 제어밸브(330), 폼 유량 측정부(340) 및 폼 분사 노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폼 유입부(310)는 폼 저장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폼이 유입된다. 이때, 폼 유입부(310)로 유입되는 폼은 폼용액일 수 있다.
이러한 폼 유입부(310)로 유입된 폼은 폼 공급 펌프(320)의 작동에 의해 최종적으로 폼 분사 노즐(35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폼 공급 펌프(320)의 작동에 의해 폼 공급라인(360)을 따라 이동되는 폼은 폼 유량 측정부(340)를 경유한 후, 폼 분사 노즐(35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폼 비례 제어밸브(330)는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로 공급되는 폼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폼 비례 제어밸브(330)는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를 이동중인 소화수의 공급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로 공급되는 폼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폼 비례 제어밸브(330)의 작동은 통합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폼 유량 측정부(340)는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로 공급되는 폼의 공급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폼 유량 측정부(340)에서 측정된 폼의 공급량 정보는 통합 제어부(5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통합 제어부(500)는 폼 유량 측정부(340)로부터 제공된 폼의 공급량 정보를 기초로 폼 비례 제어밸브(3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폼 분사 노즐(350)은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일단부에 관통 삽입되어,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내부로 폼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400)는 설치 프레임(100)에 지지된다.
이러한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400)는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혼합 소방수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400)는 에어 리시버 탱크(410), 압축 공기 공급 라인(420), 기액 분리기(430) 및 압축 공기 배출 라인(4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리시버 탱크(410)는 압축기(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에어 리시버 탱크(410)는 토출되는 공기를 균등한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혼합 소방수로 미리 정해진 정확한 양의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에 이와 같은 에어 리시버 탱크(410)가 구비되지 않고, 압축기로부터 혼합 소방수로 직접 압축 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압축 공기가 균일하게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압축기로부터 혼합 소방수로 직접 압축 공기를 공급할 경우, 혼합 소방수로 제공되는 압축 공기는 파장을 이루며 맥동이 발생되어 불균일한 압축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혼합 소방수로 미리 정해진 정확한 양의 압축 공기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기로부터 에어 리시버 탱크(410)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속에 오일이 함유된 압축 공기일 수 있다.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라인(420)은 에어 리시버 탱크(4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에어 리시버 탱크(410) 내에 수용된 압축 공기를 기액 분리기(430)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기액 분리기(430)는 압축 공기 공급 라인(420)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일이 함유된 압축 공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압축 공기 배출 라인(440)의 일단부는 기액 분리기(430)에 결합된다.
이러한 압축 공기 배출 라인(440)은 기액 분리기(430)에 의해 오일이 필터링된 압축 공기를 혼합 소방수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압축 공기 배출 라인(440)의 타단부는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250)에서 이동중인 혼합 소방수로 압축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압축 공기포를 외부 방사할 수 있다.
한편,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오일 쿨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쿨러(600)는 설치 프레임(100)에 지지되며, 에어 리시버 탱크(410) 내에 수용된 오일을 냉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오일 쿨러(600)는 오일 이동 안내부(610)와 오일 냉각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 이동 안내부(610)에 구비되는 제1 오일 안내 라인(611)은 에어 리시버 탱크(410)와 연결되어, 에어 리시버 탱크(410)에 수용된 오일은 오일 이동 안내부(61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오일 이동 안내부(610)로 유입된 오일은 오일 공급 라인(623)을 통해 오일 냉각부(620)로 공급되어 고온 상태의 오일은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 냉각부(620)에서 냉각이 이루어진 오일은 오일 배출 라인(624)을 통해 오일 이동 안내부(610)로 이동된다. 그리고 오일 이동 안내부(610)에 구비되는 제2 오일 안내 라인(612)은 오일 냉각부(620)에서 열교환 과정을 거쳐 냉각된 오일을 다양한 장치로 재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오일 냉각부(620)는 오일 이동 안내부(610)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냉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일 냉각부(620)는 열교환 바디부(621), 냉각수 공급 라인(622), 오일 공급 라인(623), 오일 배출 라인(624) 및 냉각수 배출 라인(6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 바디부(621)는 오일 냉각부(62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열교환 바디부(621)에는 소화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냉각수 공급 라인(622)과 냉각수 배출 라인(625)이 연결되고, 오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오일 공급 라인(623)과 오일 배출 라인(624)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소화수는 일정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일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 공급 라인(622)은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열교환 바디부(621)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냉각수 공급 라인(622)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는 열교환 바디부(621)의 내부를 채우게 된다.
그리고 오일 공급 라인(623)은 오일 이동 안내부(610)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열교환 바디부(621)의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오일 공급 라인(623)을 따라 열교환 바디부(621)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오일은 열교환 바디부(621)의 내부에 채워진 소화수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열교환 바디부(621)에서 냉각이 이루어진 오일은 오일 공급 라인(623)과 연결된 오일 배출 라인(624)을 통해 오일 이동 안내부(6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교환 바디부(621)의 내부에서 오일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오일 쿨러에 대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인 바,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냉각수 배출 라인(625)은 열교환 바디부(621)의 내부에서 오일과의 열교환 통해 가열된 소화수를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로 재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각수 배출 라인(625)이 오일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소화수를 소방차의 구비되는 대용량의 소화수가 저장된 물탱크로부터 공급하지 않고,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공급되기 직전의 소화수가 임시로 저장되는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제1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 내에 수용된 소화수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함이다. 즉, 냉각수 배출 라인(625)을 통해 가열된 소화수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유입되기 직전의 소화수의 온도를 높이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소화수의 온도가 높여진 상태로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240)로 공급되는 소화수는 폼 분사 노즐(350)로부터 분사되는 폼과의 혼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은 냉각수 배출 라인(625)을 통해 가열된 소화수가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로 재공급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겨울철에도 소화수 보관 파이프(220) 내에 수용된 소화수는 상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설치 프레임(100)에 설치된 통합 제어부(500)를 통해 소화수 공급 모듈부(200), 폼 공급 모듈부(300)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40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이러한 통합 제어부(500)의 디스플레이는 자동화로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의 조작이 가능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사용자와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을 연결하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HMI를 통해 간편하게 압축 공기포 시스템(10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설치 프레임
200: 소화수 공급 모듈부
210: 소화수 유입 파이프
211: 소화수 유입구
212: 유입구 차단부재
220: 소화수 보관 파이프
230: 소화수 공급 펌프
231: 소화수 분지관
240: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
241: 소화수 조절 밸브
242: 소화수 유량 측정부
243: 제1 플랜지
250: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
251: 곡선 라인부
253: 제2 플랜지
260: 배출 조절 밸브
270: 소화수 압력 조절부
271: 제1 회수 파이프
272: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
273: 제2 회수 파이프
281: 제1 압력 측정부
282: 제2 압력 측정부
283: 압력 스위치
290: 진동 저감부
300: 폼 공급 모듈부
310: 폼 유입부
320: 폼 공급 펌프
330: 폼 비례 제어밸브
340: 폼 유량 측정부
350: 폼 분사 노즐
351: 폼 분사홀
360: 폼 공급라인
400: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
410: 에어 리시버 탱크
420: 압축 공기 공급 라인
430: 기액 분리기
440: 압축 공기 배출 라인
500: 통합 제어부
600: 오일 쿨러
610: 오일 이동 안내부
611: 제1 오일 안내 라인
612: 제2 오일 안내 라인
620: 오일 냉각부
621: 열교환 바디부
622: 냉각수 공급 라인
623: 오일 공급 라인
624: 오일 배출 라인
625: 냉각수 배출 라인
1000: 압축 공기포 시스템

Claims (18)

  1.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소화수가 유입되는 소화수 공급 모듈부;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를 따라 이동되는 소화수에 폼을 공급하는 폼 공급 모듈부;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를 따라 이동되는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혼합 소방수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 및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 폼 공급 모듈부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 폼 공급 모듈부 및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는, 소화수가 유입되는 소화수 유입구가 형성된 소화수 유입 파이프; 상기 소화수 유입 파이프와 연결되며, 소화수가 보관되는 소화수 보관 파이프;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와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 펌프; 상기 소화수 공급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소화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와 연결되며, 일단부에는 폼 분사 노즐이 결합되어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혼합 소방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혼합 소방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 조절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구비되는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구비되는 제2 플랜지를 서로 결합하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와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진동 저감부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는,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 리시버 탱크; 상기 에어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결합되는 압축 공기 공급 라인; 상기 압축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일이 함유된 압축 공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 및 일단부는 상기 기액 분리기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액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압축 공기를 소화수와 폼이 혼합된 혼합 소방수로 공급하는 압축 공기 배출 라인; 및 상기 설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에어 리시버 탱크에 수용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 쿨러는, 상기 에어 리시버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 리시버 탱크에 수용된 오일을 유입하는 오일 이동 안내부; 및 상기 오일 이동 안내부로부터 제공되는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냉각부는, 열교환 바디부;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상기 열교환 바디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 라인; 상기 오일 이동 안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상기 열교환 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오일 공급 라인; 상기 열교환 바디부의 내부에서 소화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오일을 상기 오일 이동 안내부로 공급하는 오일 배출 라인; 및 상기 열교환 바디부의 내부에서 오일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소화수를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로 재공급하는 냉각수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인 압축 공기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 모듈부는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로 이동되는 혼합 소방수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는,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로 이동되는 소화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소화수 조절 밸브; 및
    상기 소화수 조절 밸브의 후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로 이동되는 소화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소화수 유량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소화수 유량 측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소화수의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화수 공급 펌프 및 소화수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공급 펌프에는 복수개의 소화수 분지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는 복수개의 상기 소화수 분지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 내부에 수용된 소화수를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로 회수하여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소화수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압력 조절부는,
    일단은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연결된 제1 회수 파이프;
    상기 제1 회수 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는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 및
    일단은 상기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소화수 보관 파이프와 연결된 제2 회수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수 압력 조절밸브는 상기 제1 회수 파이프로부터 가압되는 소화수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회수 파이프와 제2 회수 파이프를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는 곡선을 이루는 곡선 라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소화수와 폼의 혼합비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 공급 모듈부는,
    폼 저장부로부터 폼이 유입되는 폼 유입부;
    상기 폼 유입부로 유입된 폼을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로 공급하는 폼 공급 펌프;
    상기 폼 공급 펌프의 작동 세기를 조절하며,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로 공급되는 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폼 비례 제어밸브;
    상기 소화수 공급 모듈부로 공급되는 폼의 공급량을 측정하는 폼 유량 측정부; 및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일단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로 폼을 공급하는 상기 폼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폼 분사 노즐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폼 분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폼 분사홀은 상기 제1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 측정부;
    상기 제1 압력 측정부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제1 압력 측정부와 제2 압력 측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소화수 공급 펌프를 제어하는 압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화수 안내 파이프는 상기 폼 분사 노즐로부터 상기 배출 조절 밸브까지의 거리가 3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포 시스템.
KR1020200087183A 2020-07-15 2020-07-15 압축 공기포 시스템 KR10220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83A KR102200119B1 (ko) 2020-07-15 2020-07-15 압축 공기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83A KR102200119B1 (ko) 2020-07-15 2020-07-15 압축 공기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119B1 true KR102200119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183A KR102200119B1 (ko) 2020-07-15 2020-07-15 압축 공기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1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592A (ko) * 2021-02-17 2022-08-24 (주)한서정공 압축공기포소화장치의 다이얼식 조작반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용 압축공기포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26407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CN115957473A (zh) * 2021-10-09 2023-04-14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压缩空气泡沫多目标多层级控制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727B1 (ko) * 2010-12-16 2011-08-02 김준환 이동식 초고압 소방포
KR101130183B1 (ko) * 2010-10-22 2012-04-02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스마트 무동력 자동식 포소화설비
KR20120104890A (ko) * 2011-03-14 2012-09-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KR101400769B1 (ko) * 2013-04-30 2014-05-29 디알비파텍 (주) 기동형 로봇 화재진압 시스템
KR20150033400A (ko) 2013-09-24 2015-04-01 이동호 지능형 멀티 에이전트 압축공기포 소화기
KR20160053494A (ko) *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세명이엔지 소방차의 소화수와 폼 원액 혼합 시스템
KR101911733B1 (ko) * 2016-11-10 2018-12-28 주식회사 나인테코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방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방용 압축공기 포 혼합방법
KR102070439B1 (ko) * 2019-08-27 2020-01-29 (주)지브이티 압축공기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183B1 (ko) * 2010-10-22 2012-04-02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스마트 무동력 자동식 포소화설비
KR101053727B1 (ko) * 2010-12-16 2011-08-02 김준환 이동식 초고압 소방포
KR20120104890A (ko) * 2011-03-14 2012-09-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KR101400769B1 (ko) * 2013-04-30 2014-05-29 디알비파텍 (주) 기동형 로봇 화재진압 시스템
KR20150033400A (ko) 2013-09-24 2015-04-01 이동호 지능형 멀티 에이전트 압축공기포 소화기
KR20160053494A (ko) *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세명이엔지 소방차의 소화수와 폼 원액 혼합 시스템
KR101911733B1 (ko) * 2016-11-10 2018-12-28 주식회사 나인테코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방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방용 압축공기 포 혼합방법
KR102070439B1 (ko) * 2019-08-27 2020-01-29 (주)지브이티 압축공기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592A (ko) * 2021-02-17 2022-08-24 (주)한서정공 압축공기포소화장치의 다이얼식 조작반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용 압축공기포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85763B1 (ko) * 2021-02-17 2023-10-06 (주)한서정공 압축공기포소화장치의 다이얼식 조작반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용 압축공기포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26407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KR102563202B1 (ko) * 2021-03-09 2023-08-03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CN115957473A (zh) * 2021-10-09 2023-04-14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压缩空气泡沫多目标多层级控制系统
CN115957473B (zh) * 2021-10-09 2024-04-30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压缩空气泡沫多目标多层级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119B1 (ko) 압축 공기포 시스템
CN207785707U (zh) 一种利用液化介质的泡沫产生装置
US8360162B2 (en) Hybrid inert gas fire suppression system
US11590374B2 (en) Mobile compressed foam firefighting system
KR101044053B1 (ko) 에어폼 방수시스템을 사용한 소방자동차
US5377765A (en) Method and means for extinguishing tank fires
JP5775217B2 (ja) 圧縮空気を用いた泡混合システム
EP1053935A4 (en) METHOD OF EXTINGUISHING FIRES WITH AN AIRCRAFT AND DEVICE THEREFOR
WO199603298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ditioned airflow inside a microenvironment and method
KR20180052462A (ko)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방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방용 압축공기 포 혼합방법
KR102200123B1 (ko) 폼 분사 노즐이 구비된 압축 공기포 시스템
US4662454A (en) Foam extinguishing system
CA2700407A1 (en) Inert gas flooding fire suppression with water augmentation
SK15522000A3 (sk) Metóda a veľkokapacitné zariadenie na výrobu protipožiarnej peny a rozpínacie / rozstrekovacie zariadenie peny
JP2020528811A (ja) 消火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ための制御装置
US6443233B1 (en) Appliance for introducing an inert gas into an extinguishant
JP2020529295A (ja) 消火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ための制御装置及び消火ノズル
SK139295A3 (en) Extinguish device
KR20110085509A (ko) 질소발생기와 물분사시스템이 결합된 복합소화시스템
US20060090874A1 (en) Protective gas device for pressure die-casting machines
CN115487456B (zh) 灭火装置
WO2021180773A1 (en) Device for producing a gas-liquid mixture for firefighting purposes
JP2003310788A (ja) 火災消火訓練装置
JPH10146398A (ja) 消火用車両
US20090288845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