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973B1 -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973B1
KR102199973B1 KR1020190082767A KR20190082767A KR102199973B1 KR 102199973 B1 KR102199973 B1 KR 102199973B1 KR 1020190082767 A KR1020190082767 A KR 1020190082767A KR 20190082767 A KR20190082767 A KR 20190082767A KR 102199973 B1 KR102199973 B1 KR 10219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dliner
air purifier
sliding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건
Original Assignee
(주)허니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허니아이티 filed Critical (주)허니아이티
Priority to KR102019008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설치 공간에 삽입되어 헤드라이너와 루프 패널 사이의 인입 공간으로 횡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변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가변 브래킷이 횡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에 실내등이 배치된 공기청정기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Air cleaner combined use indoor light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헤드라이너가 장착되어 있는 실내등 장착 위치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는 자차 및 주변차량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의 배기, 차량 밖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등의 오염된 대기공기, 차량 실내에서의 흡연으로 인한 오염 등으로 인해 외부환경보다 심각한 수준의 오염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운전자를 비롯하여 동승자들이 도어를 개폐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승차함에 따라 여러 장소에 노출되는 특성에 의해 차량 실내에는 각종 부유 세균, 곰팡이 등이 번식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여름 장마철 등에는 차량 내부의 세균, 곰팡이 양의 증가로 인해 불쾌한 냄새와 함께 탑승자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더욱이, 차량은 추운 겨울철이나 더운 여름철에 히터 또는 에어컨을 가동시킴에 따라 환기시스템을 내부순환모드로 설정하여 운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게 되는바,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차량 실내의 오염지수는 더욱 커지게 되어 운전자를 비롯한 동승자들의 건강 위해의 우려와 함께 운전자의 집중력을 저하시켜 안전운전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대부분의 차량에는 환기시스템을 갖추고, 이러한 환기시스템에는 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장치가 설치되기는 하지만,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에 의해 1-2개의 여과필터만 구비하고 있으며, 이 또한 제때 필터를 교체해주지 못함에 따라 차량 실내의 공기정화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 실내에 배치가 가능한 별도의 차량용 공기청정기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컵 홀더 또는 콘솔박스 위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USB 또는 차량용 시거 잭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공간에 따른 제약을 받음은 물론 별도의 전원선을 연결해야 하는 등,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6700호(2018.02.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되어 있는 실내등 장착 위치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되어 있는 실내등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이 실내등 장착 위치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킴에 따라 차량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차량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를 비롯한 동승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그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기존의 차량 실내등 전원선을 이용하여 상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충전용 전원선을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보다 쾌적한 차량의 실내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운전자 및 동승자들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는, 차량 실내의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설치 공간에 삽입되어 헤드라이너와 루프 패널 사이의 인입 공간으로 횡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변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가변 브래킷이 횡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에 실내등이 배치된 공기청정기 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변 브래킷은, 제1 가변 브래킷과 제2 가변 브래킷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변 브래킷과 제2 가변 브래킷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는 하향 절곡된 제1 슬라이딩 결합부 및 제2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결합부 및 제2 슬라이딩 결합부에는,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양측에 각각 일정 깊이만큼 패인 제1 안착요부 및 제2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요부 및 제2 안착요부 상에는 횡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슬라이딩 홀 및 제2 슬라이딩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홀 및 제2 슬라이딩 홀 상부 측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각각 안착되어 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제1 안착 홈 및 제2 안착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 브래킷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송풍 팬 및 실내등을 사이에 두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전면 측 및 후면 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저부에 형성되는 필터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흡기공이 형성된 흡입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측 면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둘레에 걸쳐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걸림 턱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 턱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와 후크 결합되기 위한 걸림 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의 타측 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양 측에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가변 브래킷과 상기 본체 사이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이 수용되며, 충격 흡수를 위한 링 형상의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되어 있는 실내등 장착 위치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되어 있는 실내등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이 실내등 장착 위치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킴에 따라 차량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차량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를 비롯한 동승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그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기존의 차량 실내등 전원선을 이용하여 상시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별도의 충전용 전원선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바, 보다 쾌적한 차량의 실내 환경이 제공되어 쾌적성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운전자 및 동승자들의 만족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공기청정기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20)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는, 차량 실내 천장의 헤드라이너(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실내 천장에의 헤드라이너(20)에는 차량 실내의 조명을 밝히기 위한 실내등이 설치되는데, 이 실내등이 설치되는 위치에 실내등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는, 기존의 실내등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선을 연결함에 따라 실내등의 기능과 함께 공기청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전원선 연결 없이 상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공기청정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배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는, 차량 실내의 헤드라이너(20)에 형성된 장착 홈(22)에 삽입되어 헤드라이너(20)와 루프 패널(30) 사이의 인입 공간으(24)로 횡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과, 이 가변 브래킷(100)이 횡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200) 및 이 고정 브래킷(2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체(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은, 각각 객체를 이루는 제1 가변 브래킷(110)과 제2 가변 브래킷(12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1 가변 브래킷(110)과 제2 가변 브래킷(120)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는 제1 슬라이딩 결합부(112) 및 제2 슬라이딩 결합부(122)가 대략 ㄷ자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슬라이딩 결합부(112) 및 제2 슬라이딩 결합부(122)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결합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114) 및 제2 슬라이딩부(12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기능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고정 브래킷(200)은,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이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양쪽에 각각 일정 깊이만큼 패인 제1 안착요부(210) 및 제2 안착요부(220)가 형성되고, 제1 안착요부(210) 및 제2 안착요부(220) 상에는 횡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슬라이딩 홀(212) 및 제2 슬라이딩 홀(2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슬라이딩 홀(212) 및 제2 슬라이딩 홀(222) 상부 측에는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의 제1 슬라이딩부(114) 및 제2 슬라이딩부(124)가 각각 안착되어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루어지기 위한 제1 안착 홈(214) 및 제2 안착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슬라이딩 홀(212) 및 제2 슬라이딩 홀(222)의 너비보다 그 너비가 큰 제1 안착 홈(214) 및 제2 안착 홈(224)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슬라이딩부(114) 및 제2 슬라이딩부(124)는 제1 슬라이딩 홀(212) 및 제2 슬라이딩 홀(222)을 통과하지 않고 제1 안착 홈(214) 및 제2 안착 홈(224)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과, 고정 브래킷(200)의 결합 관계 및 그 작동 관계는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고정 브래킷(200)의 일측 면에는 후술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체(300)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310)와 후크 결합되기 위한 걸림 돌기(23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부 케이스(310)와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와 체결되기 위한 결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와, 이 상부 케이스(3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320)와, 상부 케이스(310) 및 하부 케이스(320)의 전방 및 후방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330) 및 후면 케이스(340)와, 하부 케이스(320)의 개구된 하면 부위를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 케이스(350)로 구성되는 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케이스(330) 및 후면 케이스(340)에는 각각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킨 상태에서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흡입 케이스(350)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복수의 흡기공(3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는,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아 작동이 이루어지는 송풍 팬(370)과, 하부 케이스(320) 및 흡입 케이스(350)에 개재되는 여과필터(360)와, 하부 케이스(32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되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실내등(326)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의 본체(300)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310) 상면에는 그 둘레에 걸쳐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걸림 턱(312)이 형성되고, 이 걸림 턱(312)의 일측 내면에는 고정 브래킷(200)의 걸림 돌기(230)와 원-터치 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걸림 홈(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310)의 양 측면에는 고정 브래킷(200)의 결합부(240)와 측 방향으로 연통되는 체결 홀(3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의 본체(300)를 이루는 하부 케이스(320)는, 하부 중앙 측에 여과필터(360)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 수용부(321)가 일정 높이만큼 형성되고, 이 필터 수용부(321)의 상부 쪽에는 송풍 팬(370)의 구동에 따라 공기가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수용부(321)의 양 측면에는 여과필터(360)가 삽입된 상태에서, 여과필터(360)가 아래 방향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파지하기 위한 파지 돌기(323)가 형성되고, 전후측 면에는 흡입 케이스(350)의 일측 면 및 타측 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 돌기(354) 및 잠금 돌기(356)와 후크 결합되기 위한 걸림 홈(325) 및 잠금 홈(327)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320)에는 통과 홀(322)의 주변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향돌출되어 상부 케이스(310)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 돌기(324)가 4점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의 본체(300)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 그리고 전면 케이스(330)와 후면 케이스(340)는 각각 서로 연접하는 부분에 후크 및 후크 홈이 형성되어 원-터치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너가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체(300)의 상부 케이스(310)와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요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400)는 본체(300)의 상부 케이스(310) 상면에 둘레에 걸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 턱(312) 외주 면을 감싸는 링(Ring)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고정 브래킷(200)이 인입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차량의 헤드라이너가 설치되는 따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는, 기존에 차량 실내의 천장 즉, 헤드라이너에서 실내등이 설치된 부위에 교체로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헤드라이너(20)에는 기존의 실내등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 홈(22)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장착 홈(22)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되는 양 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은 헤드라이너(20)의 장착 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 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벌어짐에 따라 낙하의 우려 없이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량의 헤드라이너(20)는 루프 패널(3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사이드 레일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바, 헤드라이너(20)와 루프 패널(30) 사이에는 일정 너비의 간격을 갖는 인입 공간(24)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도 8a 및 도 9a에서와 같이,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한 쌍이 가변 브래킷(100) 양 끝단의 간격은 헤드라이너(20)에 형성된 장착 홈(22)의 양 너비에 대응되어 장착 홈(22)을 통해 종 방향으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을 고정 브래킷(200)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양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이 헤드라이너(20)와 루프 패널(30) 사이의 인입 공간(24) 내에서 서로 대향되는 양 쪽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바,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의 양 단부는 헤드라이너(20)의 상면에 걸림 상태를 이루어 아래 방향으로 낙하되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의 조립 관계 및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헤드라이너(20)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등을 탈거시킨 후, 실내등이 탈거됨에 따라 헤드라이너(20)에 형성된 장착 홈(22)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를 장착시킨다.
이 때,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체(300)를 선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케이스(320)의 통과 홀(322) 상부에 송풍 팬(370)을 배치시키고, 하부 케이스(320)의 양 측에 실내등(326)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310)와 후크 결합에 의해 조립시킨다.
이 때, 각각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케이스(330) 및 후면 케이스(340)도 상부 케이스(310) 및 하부 케이스(320)의 전후측에 각각 후크 결합에 의해 조립시킨다.
다음에, 하부 케이스(320)의 하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필터 수용부(321)에 여과필터(360)를 인입시키되, 여과필터(360)가 아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필터 수용부(321)의 양 측면에 형성된 파지 돌기(323)에 의해 그 하면이 걸림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320)의 필터 수용부(321) 하면을 흡입 케이스(350)로 덮어서 고정시키면 된다. 즉, 흡입 케이스(35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돌기(230)를 하부 케이스(320)의 필터 수용부(321) 일 측면에 형성된 걸림 홈(325)에 후크 결합시키고, 흡입 케이스(350)의 타측에 형성된 잠금 돌기(356)를 하부 케이스(320)의 필터 수용부(321) 타 측면에 형성된 잠금 홈(327)에 결합시켜서 고정시키면,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체(30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체(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우선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과 고정 브래킷(200)을 결합시킨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200)의 제1 슬라이딩 홀(212) 및 제2 슬라이딩 홀(222)의 저부로부터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250)를 삽입시키고, 제1 슬라이딩 홀(212) 및 제2 슬라이딩 홀(222)을 통과한 결합부재(250)의 단부는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의 제1 슬라이딩부(114) 및 제2 슬라이딩부(124)에 형성된 결합공과 체결시킨다.
이 때,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의 제1 슬라이딩부(114) 및 제2 슬라이딩부(124)는 고정 브래킷(200)의 제1 슬라이딩 홀(212) 및 제2 슬라이딩 홀(2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안착 홈(214) 및 제2 안착 홈(22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제1 안착 홈(214) 및 제2 안착 홈(224)을 따라 측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 즉, 제1 가변 브래킷(110)과 제2 가변 브래킷(120)은, 고정 브래킷(200)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측 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과 고정 브래킷(20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은 고정 브래킷(200)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측 방향 이동시켜서,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 각 단부의 간격을 최대로 축소시키고, 이 상태에서 가변 브래킷(100)을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너(20)의 장착 홈(22)에 인입시킨 후,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을 서로 대향되는 반대 방향으로 측 방향 이동시켜서,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 양 단부가 헤드라이너와 루프 패널(30) 사이의 인입 공간(24)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변 브래킷(100) 및 고정 브래킷(200)은 차량의 헤드라이너(20)에 대하여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여 아래로 낙하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 및 고정 브래킷(200)을 차량의 헤드라이너(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체(300)와 고정 브래킷(200)을 결합시키면 된다.
즉, 고정 브래킷(2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230)를 본체(300)의 상부 케이스(310) 걸림 턱(312)의 일측 내면에 형성된 걸림 홈(미도시됨)에 대하여 후크 결합시키고, 상부 케이스(310)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 홀(314)을 통해 볼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됨)를 삽입하여 고정 브래킷(200)의 결합부(240)와 체결시켜서 고정시키게 되면,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체(300)는 고정 브래킷(200)에 대하여 안정적인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고정 브래킷(200)에 대하여 본체(300)의 상부 케이스(310)를 결합시킬 때, 고정 브래킷(200)과 본체(300)의 상부 케이스(310) 사이에 링 형상의 탄성부재(400)를 배치시키게 되면, 한 쌍의 가변 브래킷(100)과 본체(300) 사이에 탄성부재(40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따른 요동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본체(300) 및 본체(300) 내의 구성품들의 분리가 예방됨은 물론 파손 또한 예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를 차량 헤드라이너(20)의 장착 홈(22)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해당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실내등의 점등 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는 헤드라이너(20)의 장착 홈(22)에 대하여 상기한 조립 순서에 의해 조립할 때, 기존의 실내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등(326) 및 송풍 팬(370)에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내등 점등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실내등(326)이 점등되어 종래에서와 같이 실내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공기청정기 작동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송풍 팬(370)의 가동으로 공기청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공기청정기 작동 스위치 조작으로 송풍 팬(370)이 가동하게 되면, 흡입 케이스(350)의 흡기공(352)을 통해 차량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여과필터(360)를 통과하면서 오염원이 걸러지게 되며, 오염원이 걸러진 청정공기는 하부 케이스(320)의 통과 홀(322)을 통과한 후, 전면 케이스(330)의 토출구 및 후면 케이스(340)의 토출구를 통해 양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 실내 공기는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에 의하면, 차량의 헤드라이너(20)에 장착되어 있는 실내등 장착 위치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차량의 헤드라이너(20)에 장착되어 있는 실내등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이 실내등 장착 위치에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킴에 따라 차량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차량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를 비롯한 동승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10)에 의하면, 그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기존의 차량 실내등 전원선을 이용하여 상시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별도의 충전용 전원선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바, 보다 쾌적한 차량의 실내 환경이 제공되어 쾌적성이 크게 향상됨에 운전자 및 동승자들의 만족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20 : 헤드라이너
22 : 장착 홈 24 : 인입 공간
30 : 루프 패널 100 : 한 쌍의 가변 브래킷
110 : 제1 가변 브래킷 112 : 제1 슬라이딩 결합부
114 : 제1 슬라이딩부 120 : 제2 가변 브래킷
122 : 제2 슬라이딩 결합부 124 : 제2 슬라이딩부
200 : 고정 브래킷 210 : 제1 안착요부
212 : 제1 슬라이딩 홀 214 : 제1 안착 홈
220 : 제2 안착요부 222 : 제2 슬라이딩 홀
224 : 제2 안착 홈 230 : 걸림 돌기
240 : 결합부 250 : 결합부재
300 : 본체 310 : 상부 케이스
312 : 걸림 턱 314 : 체결 홀
320 : 하부 케이스 321 : 필터 수용부
322 : 통과 홀 323 : 파지 돌기
324 : 간격유지 돌기 325 : 걸림 홈
326 : 실내등 327 : 잠금 홈
330 : 전면 케이스 340 : 후면 케이스
350 : 흡입 케이스 352 : 흡기공
354 : 걸림 돌기 356 : 잠금 돌기
400 : 탄성부재

Claims (6)

  1. 차량 실내의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설치 공간에 삽입되어 헤드라이너와 루프 패널 사이의 인입 공간으로 횡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변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가변 브래킷이 횡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에 실내등이 배치된 공기청정기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가변 브래킷은,
    제1 가변 브래킷과 제2 가변 브래킷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변 브래킷과 제2 가변 브래킷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는 하향 절곡된 제1 슬라이딩 결합부 및 제2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결합부 및 제2 슬라이딩 결합부에는,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양측에 각각 일정 깊이만큼 패인 제1 안착요부 및 제2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요부 및 제2 안착요부 상에는 횡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슬라이딩 홀 및 제2 슬라이딩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홀 및 제2 슬라이딩 홀 상부 측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각각 안착되어 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제1 안착 홈 및 제2 안착 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 브래킷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송풍 팬 및 실내등을 사이에 두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전면 측 및 후면 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저부에 형성되는 필터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흡기공이 형성된 흡입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측 면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둘레에 걸쳐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걸림 턱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 턱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와 후크 결합되기 위한 걸림 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의 타측 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양 측에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팅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브래킷과 상기 본체 사이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이 수용되며, 충격 흡수를 위한 링 형상의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KR1020190082767A 2019-07-09 2019-07-09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KR10219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67A KR102199973B1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67A KR102199973B1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973B1 true KR102199973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767A KR102199973B1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453A (ko) * 2021-04-21 202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장착형 에어써큘레이터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716U (ja) * 1983-10-20 1985-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清浄器の取付構造
JP2007050792A (ja) * 2005-08-18 2007-03-01 Denso Corp 車両用空気清浄器
KR101826700B1 (ko) 2016-11-15 2018-03-22 (주)엘씨디앤티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180047162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대창 오버헤드 콘솔형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716U (ja) * 1983-10-20 1985-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清浄器の取付構造
JP2007050792A (ja) * 2005-08-18 2007-03-01 Denso Corp 車両用空気清浄器
KR20180047162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대창 오버헤드 콘솔형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KR101826700B1 (ko) 2016-11-15 2018-03-22 (주)엘씨디앤티 차량용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453A (ko) * 2021-04-21 202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장착형 에어써큘레이터 구조
KR102554256B1 (ko) 2021-04-21 2023-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장착형 에어써큘레이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39688U (zh) 空气净化器
CN204611988U (zh) 包括uv发光二极管和光催化过滤器的紧凑型空气净化器
KR102199973B1 (ko)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실내등 겸용 공기청정기
KR101112109B1 (ko)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KR101178201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CN204739687U (zh) 空气净化器
CN219083286U (zh) 中央空调
ES2819061T3 (es) Depurador de aire para vehículo
KR20080071829A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CN204730343U (zh) 空气净化器
CN116733761A (zh) 风扇灯
CN205669733U (zh) 一种带有空气过滤功能的灯具
KR20040050022A (ko) 자동차용 실내 공기정화기
KR20100126050A (ko) 주차 블럭
CN211995100U (zh) 一种具有甲醛净化功能的车载空气净化器
CN216845100U (zh) 用于空气净化器的壳体组件及空气净化器
CN211254900U (zh) 一种防掉落的家用电梯用天花板
KR20120085991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100066177A (ko) 공기조화기
KR200367918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200367931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200319296Y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0367920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20110003840A (ko) 차량용 공기정화기
KR200345265Y1 (ko)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의 에어 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