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414B1 - 핸드형 무선 방역기 - Google Patents

핸드형 무선 방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414B1
KR102199414B1 KR1020180166921A KR20180166921A KR102199414B1 KR 102199414 B1 KR102199414 B1 KR 102199414B1 KR 1020180166921 A KR1020180166921 A KR 1020180166921A KR 20180166921 A KR20180166921 A KR 20180166921A KR 102199414 B1 KR102199414 B1 KR 10219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chemical solution
body case
hand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539A (ko
Inventor
최윤구
Original Assignee
골드포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드포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골드포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1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3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u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05B1/343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 B05B1/344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the interface being a cone having the same axis as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는 전방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송풍 장치가 장착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약액 저장부; 양단이 각각 상기 송풍 장치와 상기 약액 저장부에 연통되어 상기 송풍 장치 구동시 상기 송풍 장치 내 고압 공기를 상기 약액 저장부로 이송시키는 공기 이송관과, 양단이 상기 약액 저장부와 상기 입구에 연통되어 상기 약액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을 상기 본체 케이스의 입구로 이송시키는 약액 이송관을 구비한 이송관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입구에 결합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며 분사구를 갖는 원뿔 형상의 선회류 유도캡;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의 구동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고, 상기 약액은 상기 약액 이송관을 따라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분사구까지 이송되어 전방을 향하여 분사되며,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회전 날개가 설치되어 고압 공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날개는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충전기에 전기를 충전시킨다.

Description

핸드형 무선 방역기{HAND TYPE STERILIZER}
본 발명은 핸드형 무선 방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팬의 회전으로 생기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자가 충전시키는 핸드형 무선 방역기에 관한 것이다.
방역기는 액상의 약성을 가진 물질을 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분사하는 장치로서, 작동방식, 용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가정용, 농업용, 산업용 등의 용도와 분무 대상에 따라서 무상 또는 입상으로 분무되는 입자의 크기, 형태, 분무면적 등이 다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의 방역기가 존재한다.
기존의 배터리를 이용한 핸드형 무선 방역기는 모터를 이용하여 팬을 돌려 바람을 한쪽 방향으로 보냄으로써 약액을 분사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역기는 배터리의 수명이 짧고, 충전 시간이 길며, 작업 시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52826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역기의 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시키는 핸드형 무선 방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는 전방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송풍 장치가 장착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약액 저장부, 양단이 각각 상기 송풍 장치와 상기 약액 저장부에 연통되어 상기 송풍 장치 구동시 상기 송풍 장치 내 고압 공기를 상기 약액 저장부로 이송시키는 공기 이송관과, 양단이 상기 약액 저장부와 상기 입구에 연통되어 상기 약액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을 상기 본체 케이스의 입구로 이송시키는 약액 이송관을 구비한 이송관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입구에 결합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며 분사구를 갖는 원뿔 형상의 선회류 유도캡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의 구동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고, 상기 약액은 상기 약액 이송관을 따라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분사구까지 이송되어 전방을 향하여 분사되며,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회전 날개가 설치되어 고압 공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날개는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 날개는 회전 날개가 코일로 감겨져 구성되어 회전자의 역할을 하며, 상기 회전 날개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링이 마그넷으로 형성된 고정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링의 일측면과 상기 충전기가 도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충전기는 상기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기의일측에 배터리가 연결되어 상기 핸드형 무선 방역기 내부에 함께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분리형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충전기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에 따르면, 입자의 굵기가 작은 안개(포그) 형태로 분사 가능한 효과가 있다. 기존의 핸드형 무선 방역기는 풍속과 풍향이 약해서 입자의 굵기가 굵은 안개비 형태였다.
또한, 제품 내부에 배터리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작업의 불안감, 장시간출정, 고비용의 방비 추가 구입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분리 교체용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의 자가 충전으로 교체 시간이 늘어나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 선회류 유도캡의 분리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분무기(100)는 본체 케이스(110), 약액 저장부(130), 이송관부(150) 및 선회류 유도캡(1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110)의 전방에는 입구(115)가 돌출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노즐(113)과 송풍 장치(111)가 장착된다. 노즐(113)은 입구(115)의 중앙에 고정 배치되고 선회류 유도캡(170)의 분사구(17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13)에는 본체 케이스(110)의 입구(115)까지 연장된 약액 이송관(153)이 삽입되어 결합한다. 송풍 장치(111)는 모터(111a)와,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111a)의 구동으로 축회전하는 회전팬(111b)과, 회전팬(111b) 및 모터(111a)를 감싸는 하우징(111c)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우징(111c)은 공기유입구의 직경은 크게 하고 공기배출구의 직경은 좁게 형성함으로써 회전팬(111b)의 고속회전에 의해 하우징(111c)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많으나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적게 되어 하우징(111c) 내부에 높은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다음, 약액 저장부(130)는 약액이 저장되는 탱크를 구비하며, 본체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약액 저장부(130)의 상측에는 공기 이송관 결합홀(131a)과 약액 이송관 결합홀(1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약액 저장부(130)와 본체 케이스(110)가 결합 시, 본체 케이스(110)에 장착된 이송관 결합구(140)가 전술한 두 결합홀(131a, 13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송관 결합구(140)에는 이송관부(150)가 연결되어 있다. 이송관 결합구(140)를 통해 두 이송관(151, 153)이 약액 저장부(130)에 연통된다.
다음, 이송관부(150)는 공기 이송관(151)과 약액 이송관(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 이송관(151)은 일단이 송풍 장치(111)에 연통되고 타단이 약액 저장부(130)에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 이송관(151)의 일단은 송풍 장치(111)의 하우징(111c) 전방의 공간(S)에 위치한다. 그리고 공기 이송관(151)의 타단은 이송관 결합구(140)에 연결되고 이송관 결합구(140)가 약액 저장부(130)에 설치된 공기 이송관 결합홀(131a)에 삽입됨으로써 공기 이송관(151)의 타단이 약액 저장부(130)와 연통된다. 이렇게 하여 송풍 장치(111) 구동시 송풍 장치(111) 내 고압 공기는 공기 이송관(151)을 통해 약액 저장부(130)로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약액 이송관(153)은 일단이 약액 저장부(130)에 연통되고 타단이 본체 케이스(110)의 입구(115)까지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이송관(153)의 일단은 이송관 결합구(140)에 연결되고 이송관 결합구(140)가 약액 저장부(130)에 설치된 약액 이송관 결합홀(131b)에 삽입됨으로써 약액 저장부(130)와 연통된다. 약액 이송관 결합홀(131b)에는 약액 공급관(133)이 연결되고 약액 공급관(133)의 끝은 약액 저장 탱크의 저면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여 약액 이송관(153)의 일단이 약액 저장부(130)에 연통된다. 그리고, 약액 이송관(153)의 타단은 본체 케이스(110)의 입구(115)까지 연장된다.
먼저, 송풍 장치(111)의 모터(111a)의 구동으로 회전팬(111b)이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공기가 도 3에 도시된 하우징(111c) 전방의 공간(S)에 누적됨으로써 공간(S) 내에 공기압이 높아진다. 높은 공기압에 의해 하우징(111c)의 공간(S)에 누적된 공기 중 일부는 공기 이송관(151)을 따라 약액 저장부(130)로 이송되고, 나머지 공기는 선회류 유도캡(170)의 분사구(171)와 노즐(113) 사이의 공기분사공(175)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공기 이송관(151)을 따라 하우징(111c) 내부에서 약액 저장부(130)로 밀려온 공기에 의해 약액 저장부(130)내부의 공기압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약액 저장 탱크 내의 공기압이 커짐으로써 약액이 약액 공급관(133)과 약액 이송관(153)을 통해 약액 저장부(130) 외부로 반출된다. 반출된 약액은 약액 이송관(153)을 통해 본체 케이스(110)의 입구(115)측으로 이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 선회류 유도캡의 분리확대도이다.
이에 따라, 본체 케이스(110)의 입구(115)에는 선회류 유도캡(170)이 결합된다. 선회류 유도캡(170)은 그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뿔 형상 구조로 형성되며, 최선단에 분사구(171)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 장치(111)를 구동시키면 약액은 노즐(113)을 통해 전방으로 분무되고, 동시에 고압의 공기는 선회류 유도캡(170)의 분사구(171)와 노즐(113) 사이의 공기분사공(175)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무되는 약액은 토네이도 형태로 되어 전방 분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분무 방식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회류 유도캡(170)의 내주면 구조를 고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선회류 유도캡(170)은 본체 케이스(110)의 입구(115)에 회전 결합되는 대직경부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경사부와, 경사부 선단의 소직경부로 구성되는데, 선회류 유도캡(170)의 내주면, 특히, 경사부와 소직경부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음각 도랑(173)이 분사구(171)측까지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음각 도랑(173)은 경사부에서 소직경부에 이르기까지 선회류 유도캡(170)의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빗겨난 방향으로 내주면에 음각 처리되어 있다.
소직경부는 내경이 가장 작으므로 복수의 음각 도랑(173)이 근접 배열되고, 경사부에서는 대직경부로 갈수록 인접한 음각 도랑(173)끼리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상이 된다. 송풍 장치(111)에서 뿜어져나와 선회류 유도캡(170)으로 진입한 고압의 공기는 경사부를 거치면서 나선형의 음각 도랑(17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분출 방향이 비틀어지고, 기류가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동시에 나선 형태로 회전하는 선회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공기는 소직경부를 지나면서 벤츄리 효과에 의해 분사 속력이 급격히 높아져 소직경부를 지난 고속의 회전류는 분사구(171)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공기의 분사와 동시에, 노즐(113)에서는 약액 이송관(153)을 통해 이송된 약액이 노즐(113)을 통해 분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가 선회류 유도캡(170)의 분사구(171)와 노즐(113) 사이의 공기분사공(175)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기 때문에, 노즐(113)에서 분무된 약액의 분무 방향과 분무 상태는 공기의 기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고속의 선회류가 분무되는 약액의 주변에서 토네이도 바람을 일으키기 때문에, 약액은 고속의 선회류에 의해 토네이도 형태로 분산되어 전방으로 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무선 방역기는 전방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송풍 장치가 장착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약액 저장부, 양단이 각각 상기 송풍 장치와 상기 약액 저장부에 연통되어 상기 송풍 장치 구동시 상기 송풍 장치 내 고압 공기를 상기 약액 저장부로 이송시키는 공기 이송관과, 양단이 상기 약액 저장부와 상기 입구에 연통되어 상기 약액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을 상기 본체 케이스의 입구로 이송시키는 약액 이송관을 구비한 이송관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입구에 결합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며 분사구를 갖는 원뿔 형상의 선회류 유도캡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의 구동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고, 상기 약액은 상기 약액 이송관을 따라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분사구까지 이송되어 전방을 향하여 분사되며, 상기 선회류 유도캡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회전 날개가 설치되어 고압 공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날개는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무선 방역기는 기본적으로 모터와 팬을 이용하여 바람을 전방으로 분사하여 바람의 힘을 이용해 약액을 전방 분사한다.
이때, 본 발명은 분사되는 바람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구체적으로, 토출구 선단에 회전 날개(180)를 설치하여 분사되는 바람을 받아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회전 날개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전기 충전기에 결합시킨다. 이에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고 작업시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기존의 방역기는 배터리가 방역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배터리 교체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방역기는 배터리를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들이 배터리 소진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하고, 작업 시간이 길때에는 고가의 장비를 예비로 구입하여야 하는 비용적인 측면을 해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 날개(180)는 상기 회전 날개(180)가 코일로 감겨져 구성되어 회전자의 역할을 하며, 상기 회전 날개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링이 마그넷으로 형성된 고정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회전하는 회전자(회전 날개)로 인해 상기 고정자(외주면을 형성하는 링)에 유도 전류가 흐르고 이와 같은 전류는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링의 일측면과 도선으로 연결된 상기 충전기로 이동하며 상기 충전기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충전기는 상기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기의일측에 배터리가 연결되어 상기 핸드형 무선 방역기 내부에 함께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터리는 분리형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충전기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약액 분무기 110: 본체 케이스
111: 송풍 장치 113: 노즐
120: 충전기 130: 약액 저장부
140: 이송관 결합구 150: 약액 저장부
151: 공기 이송관 153: 약액 이송관
170: 선회류 유도캡 171: 분사구
173: 음각 도랑
180: 회전 날개 190: 충전기
191: 분리형 배터리

Claims (5)

  1. 전방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송풍 장치(111)가 장착된 본체 케이스(110);
    상기 본체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약액 저장부(130);
    양단이 각각 상기 송풍 장치(111)와 상기 약액 저장부(130)에 연통되어 상기 송풍 장치(111) 구동시 상기 송풍 장치(111) 내 고압 공기를 상기 약액 저장부(130)로 이송시키는 공기 이송관과, 양단이 상기 약액 저장부(130)와 상기 입구에 연통되어 상기 약액 저장부(130)에 저장된 약액을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입구로 이송시키는 약액 이송관(153)을 구비한 이송관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상기 입구에 결합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며 분사구를 갖는 원뿔 형상의 선회류 유도캡(170);
    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111)의 구동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선회류 유도캡(170)의 분사구(171)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고, 상기 약액은 상기 약액 이송관(153)을 따라 상기 선회류 유도캡(170)의 분사구까지 이송되어 전방을 향하여 분사되며,
    상기 선회류 유도캡(17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회전 날개(180)가 설치되어 고압 공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날개(180)는 충전기(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시키고,
    상기 선회류 유도캡(170)은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입구에 회전 결합되는 대직경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 선단의 소직경부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소직경부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음각 도랑(173)이 상기 분사구 측까지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소직경부는 내경이 가장 작으므로 상기 복수의 음각 도랑(173)이 근접 배열되고, 상기 경사부에서는 상기 대직경부로 갈수록 인접한 음각 도랑끼리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무선 방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는,
    회전 날개가 코일로 감겨져 구성되어 회전자의 역할을 하며, 상기 회전 날개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링이 마그넷으로 형성된 고정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무선 방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링의 일측면과 상기 충전기가 도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무선 방역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핸드형 무선 방역기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기의 일측에 배터리가 연결되어 상기 핸드형 무선 방역기 내부에 함께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무선 방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분리형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충전기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무선 방역기.
KR1020180166921A 2017-12-27 2018-12-21 핸드형 무선 방역기 KR102199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80706 2017-12-27
KR1020170180706 201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539A KR20190079539A (ko) 2019-07-05
KR102199414B1 true KR102199414B1 (ko) 2021-01-06

Family

ID=6722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921A KR102199414B1 (ko) 2017-12-27 2018-12-21 핸드형 무선 방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52B1 (ko) * 2019-08-21 2021-02-15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KR102344333B1 (ko) * 2019-10-31 2021-12-29 주식회사 라온테크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KR102374965B1 (ko) * 2020-01-02 2022-03-16 (주)이노테크 방역용 소독기
KR102452167B1 (ko) * 2020-11-11 2022-10-11 주식회사 이레그린 휴대가능한 방역용 분무기
KR102252082B1 (ko) 2020-11-18 2021-05-17 에스씨엘앤에스 주식회사 포터블 무선 방역 소독기
CN114132194B (zh) * 2021-12-06 2022-04-22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电动汽车电磁弹射式充电系统及充电回收方法
KR102587344B1 (ko) * 2022-01-24 2023-10-12 주식회사 코드스테리 백팩형 매질 분사 및 활성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57Y1 (ko) 2002-06-12 2002-09-11 최중덕 공압회전공구
JP2010274249A (ja) * 2009-06-01 2010-12-09 Tsutomu Katsura ノズル
KR101601731B1 (ko) * 2015-02-12 2016-03-09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및 살충처리가 가능한 청소기 헤드 장치 및 그 구성 방법
KR101692347B1 (ko) * 2015-04-17 2017-01-0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776B1 (ko) 2016-11-10 2018-08-17 박윤호 방역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57Y1 (ko) 2002-06-12 2002-09-11 최중덕 공압회전공구
JP2010274249A (ja) * 2009-06-01 2010-12-09 Tsutomu Katsura ノズル
KR101601731B1 (ko) * 2015-02-12 2016-03-09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및 살충처리가 가능한 청소기 헤드 장치 및 그 구성 방법
KR101692347B1 (ko) * 2015-04-17 2017-01-0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539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414B1 (ko) 핸드형 무선 방역기
CN106687218B (zh) 静电流体输送系统
CA2715205C (en) Electrostatic spray system
KR101966067B1 (ko) 약액 분무기
KR20170066332A (ko) 휴대식 초미세 분무기
CN103752442B (zh) 充电式手持电动喷枪
JP6873084B2 (ja) 静電式スプレーガン用インペラ
CN212439496U (zh) 一种静电气溶胶喷雾消毒机
CN212439495U (zh) 一种主动送风的静电气溶胶喷雾消毒机
JP2016048062A (ja) 小型発電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除電除塵装置
CN209577086U (zh) 一种微型超低容量喷雾机
JP2016048666A (ja) ノズル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除電除塵装置
CN111729115B (zh) 一种主动送风的静电气溶胶喷雾消毒机及其工作方法
CN209502026U (zh) 一种静电离心雾化装置
CN214554537U (zh) 一种出雾口结构、雾化系统及便携式迷雾机
CN207609577U (zh) 一种uv漆分离及回收装置
JP5963820B2 (ja) 外部からの電力供給不要な除電除塵装置
CN111888510A (zh) 一种静电气溶胶喷雾消毒机及其工作方法
CN210545787U (zh) 一种耐磨型喷枪及喷涂装置
JP2016048109A (ja) バルブ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除電除塵装置
EP3331648B1 (en) Cascade system
JP2018115558A (ja) 発電装置
JP4441066B2 (ja) 粉体塗装ガン及び粉体塗料の塗装方法
CN109530115A (zh) 一种静电离心雾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