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339B1 -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339B1
KR102199339B1 KR1020200064476A KR20200064476A KR102199339B1 KR 102199339 B1 KR102199339 B1 KR 102199339B1 KR 1020200064476 A KR1020200064476 A KR 1020200064476A KR 20200064476 A KR20200064476 A KR 20200064476A KR 102199339 B1 KR102199339 B1 KR 10219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cover
braille output
hole
outpu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원
Original Assignee
곽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원 filed Critical 곽정원
Priority to KR102020006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포함하는 점자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점자 출력 모듈은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덮되,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과 홀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입력신호에 의해 왕복으로 전후진됨에 따라 상기 커버의 통과 홀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출력 대상물에 점자를 출력시키는 복수의 점자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점자 출력부는 각각 리니어모터에 의해 왕복으로 전후진되도록 구성되고, 점자 출력 장치는 상기한 구성의 점자 출력 모듈과, 상기 점자 출력 모듈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점자 출력 모듈의 해당 리니어모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Braille output module and braille output apparatus having of that}
본 발명은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집적화가 가능하고 응답 신뢰성을 향상시킨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자는 눈으로 사물을 식별할 수 없는 시각 장애인이 사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에 일정한 형태의 점을 돌출시켜 이를 손가락 끝으로 만져서 문자 및 부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점자는 특수 재질의 종이에 점필이나 프레스 기기를 이용하여 타공되지 않을 정도의 돌출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자는 시각 장애인에게 촉각에 의해 문자를 인식하게 하는 필수적 수단으로서 1824년 영국의 Braille에 의해 만들어였으며, 상하로 3점, 좌우 두 줄, 총 6점으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등의 각종 전자 및 휴대 전자 장치의 보급이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신체적인 어려움을 수반하지 않은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장애인 특히 시각 장애인들에게는 그 접근성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시간 장애인들의 사용을 가장하게 하는 각종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시각 장애인들에게 정보를 촉각으로써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점자 출력 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는,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솔레노이드 방식, 압전체 방식, 고분자 유전체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방식은, 코일에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하고 코일 내에 배치되는 점자 스틱이 힘을 받아 이동함으로써 점자 출력을 이루는 방식이고, 압전체 방식은 압전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길이가 변하고 변화된 길이의 압전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점자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또한, 고분자 유전체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이 유전율이 높은 고분자 재료의 양면에 전극을 입히고 전압을 가하여 상호 간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고분자 유전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면적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들 중, 솔레노이드 방식은 점자 출력 요소로서의 솔레노이드를 소형 집적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수반되고, 압전체 방식은 길이가 긴 압전체에 길이 변화를 일으키기 위하여 양단에 인가되는 전위차의 크기가 상당하여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분자 유전체 방식은 원하는 소정의 고분자 재료의 부피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약 1~2kV 정도의 고압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즉, 점자를 출력하기 위한 구동부 또는 구동부를 제어할 제어기를 소형화시키고 우수한 응답성을 수분하는 점자 출력 장치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36129호(2012.04.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점자 스틱이 각각의 리니어모터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형 집적화가 가능한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점자 스틱들이 각각의 리니어모터에 의해 정밀하게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어가 간단하여 제어기를 소형화시킴은 물론 우수한 응답성을 수반하여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점자 스틱들이 각각의 리니어모터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소음발생이 적음은 물론 부품 손상의 우려를 낮추어 내구성을 향상시킨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은,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덮되,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과 홀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입력신호에 의해 왕복으로 전후진됨에 따라 상기 커버의 통과 홀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출력 대상물에 점자를 출력시키는 복수의 점자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점자 출력부는 각각 리니어모터에 의해 왕복으로 전후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통과 홀은,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일정 지름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의 하부 쪽에는 단차부에 의해 상기 통과 홀 보다 지름이 큰 안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출력부는, 상기 리니어모터와, 상기 리니어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핀과, 상기 승강 핀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핀의 승강 시 상기 커버의 안착 홀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통과 홀에 그 일부가 통과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점자 스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에는 제1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점자 출력부에는, 점자 출력부가 전진하여 그 일부가 상기 커버의 통과 홀을 통과하여 돌출될 때,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2 접속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는, 상기한 구성의 점자 출력 모듈; 상기 점자 출력 모듈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점자 출력 모듈의 해당 리니어모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점자 스틱이 각각의 리니어모터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소형 집적화가 가능하여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점자 스틱들이 각각의 리니어모터에 의해 정밀하게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어가 간단하여 제어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짐은 물론 우수한 응답성이 수반되어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점자 스틱들이 각각의 리니어모터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소음발생이 적음은 물론 부품 손상의 우려가 낮아져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에서, 점자 출력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에서, 점자 출력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100)은, 내부에 일정 공간(112)을 갖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 공간(112)을 덮되,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과 홀(210)이 형성되는 커버(200) 및,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2)에 설치되어 입력 신호에 의해 왕복으로 전후진됨에 따라 상기 커버(200)의 통과 홀(210)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점자 출력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 측이 볼트나 너트 등의 결합부재(202)에 의해 하우징(1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112)을 차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버(200)에는 상하로 3점, 좌우로 2줄 등 총 6점을 이루도록 모두 6개의 통과 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과 홀(210)은 커버(2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일정 지름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 통과 홀(210)의 하부 쪽에는 단차부(220)에 의해 통과 홀(210) 보다 지름이 큰 안착 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단차부(220)에는 제1 접속단자(230)가 설치되고, 후술되는 점자 스틱(330)의 제2 접속단자(342)와 접촉이 이루어지면, 이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커버(200)의 저면에서 각 안착 홀(240)의 주변 둘레에는 나사 결합식으로 착탈되는 스토퍼(26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스토퍼(260)는 커버(200)의 안착 홀(240) 주변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 홀(250)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262)와, 이 나사부(262)와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부(264)와, 이 지지부(264)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마치 T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가압부(26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60)의 작동관계는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점자 출력부(30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2)에 설치되되, 커버(200)의 통과 홀(210) 및 안착 홀(240)과 동일 선상의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어부(400)의 입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모터(310)와, 이 리니어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핀(320)과, 이 승강 핀(320)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승강 핀(320)의 승강 시 커버(200)의 안착 홀(240)에 안착됨과 아울러 통과 홀(210)에 그 일부가 통과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점자 스틱(3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점자 스틱(330)은 안착 홀(240)을 통과하도록 안착 홀(240)의 지름과 같거나 조금 작은 직경을 갖는 안착부(334)와, 이 안착부(334)의 선단 측에 그 지름이 작게 형성되되 커버(200)의 통과 홀(210)을 통과하도록 통과 홀(210)의 지름과 같거나 조금 작은 직경을 갖는 스틱 돌기(3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스틱 돌기(332)는 그 선단이 라운드 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틱 돌기(332)와 안착부(334)의 지름 차이로 인해 그 경계에는 수평을 이루는 걸림턱(340)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340)은 커버(200)의 단차부(220)와 접촉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걸림턱(340)에는 커버(200)의 단차부(220)에 설치된 제1 접속단자(230)와 접속 또는 단락됨에 따라 제어부(400)로 입력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제2 접속단자(34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점자 스틱(330)의 안착부(334) 둘레 면에는 안착부(334)의 지름보다 그 지름이 큰 확장부(336)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 확장부(336)의 상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 돌기(338)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돌기(33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 스틱(330)이 전진하여 걸림턱(340)이 커버(200)의 단차부(220)와 밀착될 때, 스토퍼(260)의 가압부(266)와 먼저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의 강한 접촉을 예방하도록 그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관계 및 그 작용효과는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자 출력 모듈(100)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는, 상기한 구성의 점자 출력 모듈(100)과, 이 점자 출력 모듈(100)에서 복수의 점자 스틱(330)들 중, 선택된 점자 스틱(330)이 해당 리니어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지면 등에 점자가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00)와, 이 입렵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복수의 리니어모터(310)들 중, 선택된 리니어모터(3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입력부(500)의 입력 신호에 의해 복수의 리니어모터(3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리니어모터(31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리니어모터(310)의 점자 스틱(330)이 전진함에 따라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가 접속하게 되는 경우, 이 신호를 제1 접속단자(230)로부터 입력받아 해당 리니어모터(310)를 제어하여 더 이상 점자 스틱(330)이 전진하지 않도록 하고, 역 신호를 주어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점자 출력부(300)는 점자 스틱(330)의 점자 돌기가 커버(200)의 통과 홀(210)을 통과하여 지면 등의 출력 대상물에 점자를 출력하는 순간 곧바로 역 방향 신호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가 이루어지게 되는 등, 그 응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100)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 또는 금속 판 등과 같은 점자의 출력 대상물에 점자를 출력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점자 출력 장치의 입력부(500)에 미리 설정된 입력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400)는 미리 설정된 입력신호에 의해 복수의 점자 출력부(300) 중, 해당 점자 출력부(300)의 리니어모터(310)에 구동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리니어모터(310) 중, 입력신호를 입력받은 해당 리니어모터(310)는 구동하여 승강 핀(320)을 전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점자 스틱(330)이 전진하여 점자 돌기는 커버(200)의 안착 홀(240)과 통과 홀(210)을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 일부가 커버(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출력 대상물에는 커버(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점자 돌기에 의해 볼록한 점자가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점자 스틱(330)의 점자 돌기 선단 일부가 커버(200)의 통과 홀(210)을 통과하여 돌출되면서 출력 대상물에 점자를 출력시킬 때, 커버(200)의 단턱부에 설치된 제1 접속단자(230)와, 점자 스틱(330)의 걸림턱(340)에 설치된 제2 접속단자(342)가 접촉하게 되는데,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가 접속되면 제1 접속단자(230)는 이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하여 해당 리니어모터(310)에 역방향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리니어모터(310)는 승강 핀(320)을 전진시키기 위한 구동을 멈추고, 역 방향으로 구동하여 승강 핀(320)을 후진 시키게 됨으로써, 점자 스틱(330)의 점자 돌기가 커버(200)의 통과 홀(210) 내측으로 이동하여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점자 스틱(330)이 전진하여 점자 돌기가 커버(200)의 통과 홀(210)을 통해 그 선단 일부가 돌출될 때,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가 접촉될 때 충격에 의해 제1 접속단자(230) 및 제2 접속단자(342)가 손상될 우려가 있게 되는데, 이 때 점자 스틱(330)의 확장부(336) 상면 둘레에 설치된 탄성 돌기(338)가 커버(200)의 안착 홀(240) 주변 둘레에 설치된 스토퍼(260)와 먼저 접촉되어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점자 스틱(330)이 전진할 때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가 접촉하기에 앞서 탄성 돌기(338)가 스토퍼(260)의 가압부(266)와 먼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점자 스틱(330)의 전진 속도를 줄여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의 접촉 시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함에 따라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의 충격 마찰을 줄여 그 손상을 예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돌기(338)는 금속 재질의 판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고무나 실리콘재의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스토퍼(260)는 커버(200)의 저면 즉, 안착 홀(240) 주변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 홀(250)에 대하여 나사 결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점자 스틱(330)의 탄성 돌기(338)와 접촉 시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의 접촉 시 충격완화 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토퍼(260)는 커버(200)의 나사 홀(250)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262)와, 이 나사부(262)와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압부(266)로 구성됨에 따라 지지대의 길이가 다른 것을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커버(200)에 대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토퍼(260)의 가압부(266)가 탄성 돌기(338)과 접촉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점자 스틱(330)이 전진하여 점자 돌기가 커버(200)의 통과 홀(210)을 통과함에 따라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가 접촉하게 될 때의 완충 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의 접촉 시 충격에 따른 손상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점자 스틱(330)의 전진 시 제1 접속단자(230)와 제2 접속단자(342)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점자 스틱(330)과 커버(200)의 직접적인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킴에 따라 점자 스틱(330)을 비롯한 각종 부품들의 손상을 예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100)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점자 스틱(330)이 각각의 리니어모터(310)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소형 집적화가 가능하여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100)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점자 스틱(330)들이 각각의 리니어모터(310)에 의해 정밀하게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어가 간단하여 제어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짐은 물론 우수한 응답성이 수반되어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출력 모듈(100)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점자 스틱(330)들이 각각의 리니어모터(310)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소음발생이 적음은 물론 부품 손상의 우려가 낮아져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점자 출력 모듈 110 : 하우징
112 : 공간 200 : 커버
202 : 결합부재 210 : 통과 홀
220 : 단차부 230 : 제1 접속단자
240 : 안착 홀 250 : 나사 홀
260 : 스토퍼 262 : 나사부
264 : 지지부 266 : 가압부
300 : 점자 출력부 310 : 리니어모터
320 : 승강 핀 330 : 점자 스틱
332 : 스틱 돌기 334 : 안착부
336 : 확장부 338 : 탄성 돌기
340 : 걸림턱 342 : 제2 접속단자
400 : 제어부 500 : 입력부

Claims (5)

  1.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덮되,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과 홀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입력신호에 의해 왕복으로 전후진됨에 따라 상기 커버의 통과 홀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출력 대상물에 점자를 출력시키는 복수의 점자 출력부를 포함하는 점자 출력 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통과 홀은,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일정 지름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의 하부 쪽에는 단차부에 의해 상기 통과 홀 보다 지름이 큰 안착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점자 출력부는,
    상기 각각의 점자 출력부를 구동에 의해 왕복으로 전후진시키는 각각의 리니어모터와, 상기 리니어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핀 및, 상기 승강 핀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핀의 승강 시 상기 커버의 안착 홀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통과 홀에 그 일부가 통과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점자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점자 스틱은,
    상기 커버의 안착 홀을 통과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선단 측에 그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통과 홀을 통과하는 스틱 돌기와, 상기 안착부의 둘레 면에 상기 안착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저면에서 안착 홀의 주변 둘레에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출력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는 제1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점자 출력부에는, 점자 출력부가 전진하여 그 일부가 상기 커버의 통과 홀을 통과하여 돌출될 때,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2 접속단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출력 모듈.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점자 출력 모듈;
    상기 점자 출력 모듈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점자 출력 모듈의 해당 리니어모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출력 장치.
KR1020200064476A 2020-05-28 2020-05-28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 KR102199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476A KR102199339B1 (ko) 2020-05-28 2020-05-28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476A KR102199339B1 (ko) 2020-05-28 2020-05-28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339B1 true KR102199339B1 (ko) 2021-01-06

Family

ID=7412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476A KR102199339B1 (ko) 2020-05-28 2020-05-28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3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100A (ja) * 1996-05-13 1997-11-28 K G S Kk 点字セルモジュール
JP2004258424A (ja) * 2003-02-27 2004-09-16 Ask:Kk 点字表示装置
JP2005321517A (ja) * 2004-05-07 2005-11-17 Mika Fukumori 点字学習機
US20090023116A1 (en) * 2007-07-20 2009-01-22 Shaw Keith N Braille module with compressible pin arrays
KR101136129B1 (ko) 2010-08-30 2012-04-17 손화용 점자 기계
KR101469430B1 (ko) * 2013-06-28 2014-12-04 (주)맨엔텔 삼차원 촉각 표시 장치
JP5782177B2 (ja) * 2012-03-15 2015-09-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100A (ja) * 1996-05-13 1997-11-28 K G S Kk 点字セルモジュール
JP2004258424A (ja) * 2003-02-27 2004-09-16 Ask:Kk 点字表示装置
JP2005321517A (ja) * 2004-05-07 2005-11-17 Mika Fukumori 点字学習機
US20090023116A1 (en) * 2007-07-20 2009-01-22 Shaw Keith N Braille module with compressible pin arrays
KR101136129B1 (ko) 2010-08-30 2012-04-17 손화용 점자 기계
JP5782177B2 (ja) * 2012-03-15 2015-09-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駆動装置
KR101469430B1 (ko) * 2013-06-28 2014-12-04 (주)맨엔텔 삼차원 촉각 표시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9/0023116호(2009.1.22.) 1부.*
일본 특허공보 제5782177호(2015.9.24. 발행)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9686B2 (en) Operating device
JP5079820B2 (ja) 触覚刺激装置及びそれを応用した装置
KR101480813B1 (ko) 촉감 제시 장치
KR101661177B1 (ko) 솔레노이드 기반 다중배열 지원 저전력 초소형 점자셀로 사용되는 촉각셀
EP2472368A1 (en) Input device
US10297405B2 (en) Keyswitch and keyboard capable of showing movement depth
CA3120784A1 (en) Electro magnetic refreshable braille reader
JP2012256096A (ja)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装置
US9715975B2 (en) Keyswitch using magnetic force to restore cap position
KR102199339B1 (ko) 점자 출력 모듈 및 이 모듈을 갖는 점자 출력 장치
US20220066562A1 (en) Haptic feedback system
KR102138323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64495B1 (ko) 휴대 단말기 촉각 피드백 장치
CN208938860U (zh) 一种磁吸式磁力可控按键
KR101303329B1 (ko) 고집적 및 고성능 촉감제공 액추에이터, 고집적 및 고성능 촉감 액추에이터 어레이 및 촉감 감성피드백 제공장치
KR102235905B1 (ko) 전기활성고분자 기반 형상 변형 컨트롤 패널
KR101466226B1 (ko) 플렉시블 복합 촉감 생성 모듈
JP2015088157A (ja) 入力装置
KR102146458B1 (ko) 선형 진동 액추에이터
KR101097765B1 (ko) 강성구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KR200403813Y1 (ko) 점자구현장치
KR101284132B1 (ko) 고분자 유전체 기반 고성능 구동기, 그 구동기를 이용한 촉감제공 액추에이터, 진동모터, 작동방법, 촉각 감성 피드백 제공장치 및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고분자 유전체 기반 촉각 감성피드백 제공장치
KR101402403B1 (ko)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
CN112384885A (zh) 发生模拟触感的按键输入装置
KR102153838B1 (ko) 스마트물질 기반 음각 형상 변형 컨트롤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