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908B1 - 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 - Google Patents

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908B1
KR102198908B1 KR1020190019363A KR20190019363A KR102198908B1 KR 102198908 B1 KR102198908 B1 KR 102198908B1 KR 1020190019363 A KR1020190019363 A KR 1020190019363A KR 20190019363 A KR20190019363 A KR 20190019363A KR 102198908 B1 KR102198908 B1 KR 102198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support
support member
tunnel
flang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1127A (en
Inventor
홍석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908B1/en
Publication of KR2020010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1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0Special cross- sections, e.g.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터널 지보재는,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되어 지반하중을 지지하는 터널 지보재에 있어서, 상기 터널 지보재는 상기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며 장방향으로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장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수직하게 결합된 웹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지보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기 웹과 플랜지 일부가 제거된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체결된 고정부로 구성된 고정수단과, 상기 터널 지보재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두 개의 터널 지보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얼라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에 복수개의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지보재가 막장 내측 굴착면에 완전히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unnel support material and a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disclosed tunnel support member is a tunnel support member disposed along a tunnel excavation surface to support a ground load, wherein the tunnel support member faces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has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A fixing means comprising a web formed along the flange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flange, and comprising a fixing hole from which the web and a part of the flange are remov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nd a fixing part fastened to the fixing hole,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for connecting two different tunnel support members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nd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posing a plurality of fixing means on the support material so that the support material can be complete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membrane.

Description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Tunnel support and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

본 발명은 터널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널 굴착 후 형성된 굴착 내측면과 지보재의 결합력을 강화하면서 숏크리트 타설시 지보재에 균일하게 숏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한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support material used in a tunnel reinforcement method and a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aterial is uniformly filled with shotcrete when placing shotcrete while reinforc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excavation inner surface formed after tunnel excavation and the support material. It relates to a tunnel support material and a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터널을 굴진시키는 공사를 시행할 때에는 지반의 침몰 및 암반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터널을 굴진 시킴과 동시에 지보재를 설치한다. 지보재는 터널주위에 발생하는 지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통상의 격자지보(lattice Girder)나 단면이 H 형태를 갖는 지보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지보재는 NATM(New Austrian Turnnelling Method) 공법에서 터널 공사시 아치형 지보공의 설치를 위하여 록볼트, 와이어 매쉬, 숏크리트 등의 타설 공사와 함께 병행하여 설치되고 있다.When performing a tunnel excavation construction, the tunnel is excavated and supports are installed to prevent the sinking of the ground and the fall of the rock mass. The support material effectively supports the acupressure generated around the tunnel, and a conventional lattice support material or a support material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is used. These support materials ar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casting work such as rock bolt, wire mesh, and shotcrete for the installation of arched support holes during tunnel construction in the NATM (New Austrian Turnnelling Method) method.

도 1은 일반적으로 숏크리트 및 지보재에 의해 시공된 터널 단면도이고, 도 2는 지보재가 설치된 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generally constructed by shotcrete and a support material,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gion in which a support material is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터널(100)의 시공순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발파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터널 진행방향으로 막장을 형성시킨다.Referring to FIG. 1, in general, when looking at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tunnel 100, first, a curtai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unnel progress using a method such as blasting.

이와 같은 막장은 인위적으로 형성시킨 것이기 때문에, 막장(101)의 이완에 따른 붕괴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붕괴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막장(101)의 내측 굴착면(112)에 'H' 형강 또는 삼각단면으로 결속된 철근 프레임으로 구성된 지보재(120)를 설치한다.Since such a curtain is artificially formed, there is a risk of collapse due to the relaxation of the curtain 101.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risk of collapse, a support member 120 is installed on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112 of the curtain 101, consisting of a'H' section steel or a reinforcing bar frame bound in a triangular cross-s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보재(120)가 막장(101)의 내측 굴착면(112)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터널(1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보재(120)는 터널(100) 일측 하단에서 내측 굴착면(112)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지보재(120)는 터널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member 12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112 of the makjang 10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unnel 100,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20 are disposed along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112 at one lower end of the tunnel 100. In addition, these support members 120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unnel.

상기와 같이, 지보재(120)가 설치되면 숏크리트(130: Shot Crete)를 타설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보재(120)를 설치하기 전 막장(101) 내측 굴착면(112)을 따라 1차 숏크리트를 타설하고, 숏크리트가 타설된 내측 굴착면(112)을 따라 지보재(120)를 설치한 다면 다시 2차 숏크리트를 타설한다. 숏크리트 타설은 경우에 따라 수회 반복하여 타설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설치된 상기 지보재(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때까지 숏크리트를 타설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material 120 is installed, shotcrete 130 is poured. More specifically, before installing the support member 120, the primary shotcrete is poured along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112 of the curtain 101, and the support member 120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112 where the shotcrete is placed. If so, pour the second shotcrete again. Shotcrete pouring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in some cases, and shotcrete is poured until the generally installed support member 1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지보재(120)는 막장 내측 굴착면(112)의 전 영역을 따라 가해지는 지반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역할을 한다.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120 serves as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ground load applied along the entire area of the excavation surface 112 inside the membrane.

상기 지보재(120) 상에 숏크리트(130) 타설이 완료되면 부직포를 포설하고 추가적으로 콘크리트 라이닝 작업을 하여 최종 터널 내측 굴착면(112)의 지지작업을 완료한다.When the casting of the shotcrete 130 is completed on the support material 120, a nonwoven fabric is installed and additionally concrete lining is performed to complete the support work of the excavation surface 112 inside the final tunnel.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지보재(120)는 'Ⅰ' 형상 또는 'H' 형상의 철근 프레임(빔)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보재(120)와 인접한 영역에서 공동들(C1, C2)이 발생한다.However, in general, since the support member 120 uses a reinforcing bar frame (beam) of a'I' shape or a'H' shape, as shown in FIG. 2, the cavities C1 in the area adjacent to the support member 120 , C2) occurs.

즉, 상기 지보재(120)는 수직한 웹(120c)을 사이에 두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및 제2 플랜지(120a, 120b)로 구성되는데, 웹(120c)과 제2 플랜지(120b) 사이에 숏크리트(130)가 완전히 타설되지 못한 제1 공동(C1)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member 120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flanges 120a and 120b, respectively,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the vertical web 120c interposed therebetween, between the web 120c and the second flange 120b.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cavity C1 in which the shotcrete 130 is not completely poured occurs.

또한, 일반적으로 터널(100)의 구조는 원통형, 단면이 타원형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막장(101) 내측 굴착면(112)은 유선형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지보재(120)의 제1 및 제2 플랜지(120a, 120b)는 웹(120c)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플랜지(120a, 120b)는 상기 웹(120c)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general, since the tunnel 10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112 of the makjang 101 has a streamlined structure.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20a and 120b of the support member 120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eb 120c.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20a and 120b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web 120c interposed therebetwee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20a)의 상측면과 내측 굴착면(112) 사이에 미세한 제2 공동(C2)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동은 지보재(120)가 내측 굴착면(112)과 완전히 밀착되어 지반하중을 지지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막장 붕괴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minute second cavity C2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20a and the inner side excavation surface 112. Such a cavity may cause a risk of collapse of the wall because the support member 12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112 and does not support the ground load.

등록특허공보 제10-1385971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85971

본 발명의 목적은, 지보재에 복수개의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지보재가 막장 내측 굴착면에 완전히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support material and a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so that a plurality of fixing means are disposed on the support material so that the support material can be complete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curtai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막장 내측 굴착면과 접촉하는 플랜지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유선형 구조의 내측 굴착면에 지보재의 플랜지가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on the flange in contact with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f the membrane so that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f a streamlined structure, and a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보재의 플랜지와 웹이 만나는 내측 모서리 영역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숏크리트 타설시 플랜지와 웹의 교차 지점에서 타설되는 숏크리트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한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nnel support material that prevents the amount of shotcrete poured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lange and the web from being reduced by forming the inner edge region where the flang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web mee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It is to provide a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보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얼라인부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지보재를 연결할 때 지보재들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support member that prevents the support members from shifting from each other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by forming an alignment part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tunnel support memb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보재의 플랜지 내측과 웹 주위에 복수의 요철패턴을 형성하여 타설되는 숏크리트와 지보재의 결합력을 강화시킨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support material in which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and around the web to enhanc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cast shotcrete and the support material, and a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는,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되어 지반하중을 지지하는 터널 지보재에 있어서, 상기 터널 지보재는 상기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며 장방향으로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장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수직하게 결합된 웹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지보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기 웹과 플랜지 일부가 제거된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체결된 고정부로 구성된 고정수단과, 상기 터널 지보재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두 개의 터널 지보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얼라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unnel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tunnel support member disposed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o support a ground load, the tunnel support member faces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has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in a long direction. A flange having a, and a web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flange, and fastened to the fixing hole and the fixing hole from which the web and a part of the flange are remov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unnel support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consisting of a fixed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parts for connecting two different tunnel support members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장방향과 수직한 단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웹이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제1 곡률을 갖는 유선형 구조를 갖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웹이 교차하는 내측에는 제2 곡률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터널 지보재의 웹과 플랜지 일부가 제거된 고정홀 내측에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외측 둘레에도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 외측의 터널 굴착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lange has a streamlined structure having a first curvature i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web is arranged based on a unidirectio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direction, and has a second curvature inside the flange and the web crossing, and the fixing The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inside the fixing hole from which the web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and a part of the flange are removed, and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around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ixing part penetrates the fixing hole and the tunnel outside the flan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bined with the excavation surface.

또한, 상기 제1 얼라인부와 제2 얼라인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상대적인 결합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터널 지보재에 형성된 제1 얼라인부는 다른 터널 지보재에 형성된 제2 얼라인부와 결합되고, 상기 터널 지보재에 형성된 제2 얼라인부는 또 다른 터널 지보재에 형성된 제1 얼라인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얼라인부와 제2 얼라인부는 요철 구조, 나사한 구조, 유선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터널 지보재의 플랜지 단면과 웹 단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터널 지보재의 플랜지와 웹 표면에는 타설되는 숏크리트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복수의 요철 패턴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lignment portion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are formed in a relative coupling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alignment portion formed on the tunnel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formed on another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tunnel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alignment portion formed on another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alignment portion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are formed in any one of an uneven structure, a screwed structure, and a streamlined structure. It is formed on the flange cross-section and the web cross-section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atterns are formed on the flange and the web surface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to reinforce the bonding force with the shotcrete to be poured.

또한, 상기 플랜지와 상기 웹이 T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상기 웹은 상기 플랜지가 배치되지 않은 타단에 상기 플랜지와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and the web may have a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web may have a first guide portion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lange at the other end where the flange is not disposed.

또한, 상기 웹은 하나 이상의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b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며 장방향으로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장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수직하게 결합된 웹을 포함하고, 터널 지보재의 장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기 웹과 플랜지 일부가 제거된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체결된 고정부로 구성된 고정수단과, 상기 터널 지보재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두 개의 터널 지보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얼라인부가 형성된 터널 지보재를 시공하는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nge faci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having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eb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flange, A fixing means consisting of a fixing hole from which a part of the web and flange has been remov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 fixing part fastened to the fixing hole, and two tunnel support memb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A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 tunnel support material in which first and second alignment units are formed for connecting, the method comprising: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long a tunnel excavation surface; Fixing the tunnel support material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pouring shotcrete.

또한, 상기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는, 제1 터널 지보재를 배치하는 단계; 제2 터널 지보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널 지보재와 상기 제2 터널 지보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널 지보재와 상기 제2 터널 지보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널 지보재의 웹과 상기 제2 터널 지보재의 웹을 중첩하여 금속판을 배치하고 제1 록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널 지보재의 웹과 상기 금속판이 중첩된 영역을 고정하고 제2 록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터널 지보재의 웹과 상기 금속판이 중첩된 영역을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may include: arranging a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rranging a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And fixing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to each other, wherein the fixing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to each other comprises: a web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 A metal plate is arranged by overlapping the web of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nd the area where the web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aterial and the metal plate overlap is fixed using a first rock bolt, and the web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aterial using a second rock bolt. And the overlapped region of the metal plate may be fixed.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에 복수개의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지보재가 막장 내측 굴착면에 완전히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The tunnel support material and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posing a plurality of fixing means on the support material so that the support material can be complete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membra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막장 내측 굴착면과 접촉하는 플랜지에 장방향뿐만 아니라 단방향으로도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유선형 구조의 내측 굴착면에 지보재의 플랜지가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nd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not only in the long direction but also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on the flange in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membran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ange of the is completely conta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의 플랜지와 웹이 만나는 내측 모서리 영역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숏크리트 타설시 플랜지와 웹의 교차 지점에서 타설되는 숏크리트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nd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inner edge area where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web mee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shotcrete poured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lange and the web during shotcrete casting.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mount from decrea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얼라인부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지보재를 연결할 때 지보재들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nd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upport members from shifting from each other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by forming an alignment part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의 플랜지 내측과 웹 주위에 복수의 요철패턴을 형성하여 타설되는 숏크리트와 지보재의 결합력을 강화시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nd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ast shotcrete and the support material by forming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on the inside of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and around the web.

도 1은 일반적으로 숏크리트 및 지보재에 의해 시공된 터널 단면도이다.
도 2는 지보재가 설치된 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Ⅰ-Ⅰ'선과 Ⅱ-Ⅱ'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가 제1 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들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에 숏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보재에 숏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보재 단면도들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generally constructed by shotcrete and support material.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rea in which a support member is install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un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I-I' and II-II' of FIG. 3.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nnel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y a first alignment unit and a second alignment unit.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nnel support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hotcrete is poured into a tun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hotcrete is poured into a tunnel support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unnel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include','have','consists of' and the like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only' is used. In the case of express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singular, it includes the case of including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upper','upper of','lower of','next to','right' Or, unless'direct'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after','following','after','before', etc. It may also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can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un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터널 시공시 막장 내측 굴착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도록 아치형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터널 지보재(200)는 하나의 플랜지(201)와 상기 플랜지(201)에 수직하게 형성된 웹(220)을 포함한다. 따라서 'T'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unnel suppo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cuat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long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curtain during tunnel construction. In more detail,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includes one flange 201 and a web 220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lange 201. Therefore, it can have a'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상기 플랜지(201)는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타원형 곡면을 따라 아치형 또는 유선형(곡선형)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201)는 터널 굴착면과 밀착되어 지반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장방형(빔 구조)로 형성되고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웹(220)은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는 플랜지(201)의 외측면과 반대되는 내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flange 201 is disposed to face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is formed in an arcuate or streamlined (curved) shape along an elliptical curved surface. Accordingly, the flange 20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eam structur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o support the ground load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The web 220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201 faci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또한, 상기 웹(220)은 플랜지(201)의 장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웹(220)의 측면 방향은 아치형 또는 유선형(곡선형)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터널 지보재(200)와 막장 내측 굴착면과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수단을 형성하였다. 고정수단에 관해서는 아래와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since the web 22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201,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web 220 is formed in an arcuate or streamlined (curved)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fixing mea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and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curtain. The fixing mea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FIG. 5.

따라서, 상기 플랜지(201)와 웹(22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된 구조로 형성된 후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지보재(200)는 막장 내측 굴착면을 따라 설치되어 지반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아치형 또는 곡선(유선형) 구조를 갖는다.Accordingly, the flange 201 and the web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formed in a separate structure and then combined and used. The tunnel support 200 has an arcuate or curved (streamlined) structure because it serves to support the ground load by being installed along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curtain.

또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수직 웹(220)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수단(23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232)은 웹(220)의 일부와 플랜지(201)의 일부가 제거된 관통홀(231)과 상기 관통홀(231)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201)와 접촉하는 내측 굴착면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2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xing means 232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web 220. The fixing means 23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31 from which a part of the web 220 and a part of the flange 201 are removed, and the through hole 231 is inserted into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ange 201 It includes a fixing portion 230 that can be coupled.

또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일측과 타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1 및 제2 얼라인부(210a, 21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얼라인부(210a)는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얼라인부(210a)는 요철구조, 나사산 구조, 유선형 구조, 원형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210a and 210b in one and the other edge regions. The first alignment part 210a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alignment part 210a is protruded or recessed. For example, the first alignment part 210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uneven structure, a threaded structure, a streamlined structure, and a circular structure.

상기 제2 얼라인부(210b)는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얼라인부(210a) 구조와 상대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얼라인부(210a)가 돌출된 형태인 경우 제2 얼라인부(210b)는 제1 얼라인부(210a)와 결합될 수 있는 함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lignment part 210b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second alignment part 210b is protruded or recessed,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relative to the structure of the first alignment part 210a. For example, when the first alignment portion 210a has a protruding shape,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210b may be formed in a concave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the first alignment portion 210a.

따라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두 개 이상의 터널 지보재(200)가 서로 결합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제1 얼라인부(210a)와 제2 얼라인부(210b)가 1차적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지보재(200)가 서로 얼라인부들(210a, 210b)에 의해 결합되면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두 터널 지보재(200)를 결합시킨다.Therefore, whe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combining two or more tunnel support members 200, the first alignment unit 210a and the second alignment unit 210b are primarily coupled to each other.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wo or more support members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alignment portions 210a and 210b, the two tunnel support members 200 are more firmly coupled using a coupling means.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의 플랜지(201)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막장 내측 굴착면은 아치형, 타원형 단면 구조를 갖고 있어 표면이 완전한 수평면이 아니기 때문에 터널 지보재(200)가 내측 굴착면에 완전히 접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flange 201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is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case where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does not completely contact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because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has an arcuate, ellip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surface is not a perfectly horizontal surface.

따라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플랜지(201)가 아치형 또는 유선형 내측 굴착면을 따라 밀착되어 지반하중을 최대로 지지할 수 있어, 막장 붕괴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201 is in close contact along the arcuate or streamlined inner excavation surface to support the ground load to the maximum,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collapse.

도 4 및 도 5는 도 3의 Ⅰ-Ⅰ'선과 Ⅱ-Ⅱ'선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가 제1 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들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Ⅰ-Ⅰ' and Ⅱ-Ⅱ' of Fig. 3, and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tunnel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y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units. It is a drawing,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nnel support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도 3과 함께 도시된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플랜지(201)와 웹(220)이 'T'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수평기준선(HL)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201)의 외측면은 소정의 제1 곡률(R1)을 갖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막장 내측 굴착면에 전 영역이 밀착될 수 있다.4 to 7 shown together with FIG. 3,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nge 201 and a web 220 having a'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Based o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L,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201 is formed in a streamlined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first curvature R1, so that the entire area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film.

상기 터널 지보재(200)는 장방향(빔 방향)으로는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지만 장방향에 수직한 단방향을 기준으로 제1 곡률(R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201)는 상기 웹(220)을 중심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웹(220)이 위치한 수직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즉, 상기 플랜지(201)는 단방향으로도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has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in the long direction (beam direction), but has a first curvature R1 based on a unidirectio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direction. Accordingly, both edges of the flange 201 around the web 220 ar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web 220 is located. That is, the flange 201 has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even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 플랜지(2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기준선(VL) 방향으로 웹(2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웹(220)과 상기 플랜지(201)가 교차하는 내측면은 소정의 제2 곡률(R2)을 갖는다. 즉, 상기 웹(220)의 가장자리에서 제2 곡률(R2)을 따라 상기 플랜지(201)의 내측과 연결되어 있어 숏크리트 타설시 숏크리트가 제2 곡률(R2)을 따라 충분히 채워져 상기 터널 지보재(200)의 다른 영역보다 적은 양의 숏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b 220 is formed in the vertical reference line (VL)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flange 201, and the inner surface where the web 220 and the flange 201 cross is a predetermined second curvature It has (R2). That is, the edge of the web 220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lange 201 along the second curvature R2, so that when shotcrete is poured, the shotcrete is sufficiently filled along the second curvature R2 so that the tunnel support material 200 It can prevent less shotcrete from being poured than other areas of

또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수직한 웹(220)의 일측 단에만 플랜지(201)가 형성되어 있어 웹(220)의 타측 단으로부터 타설되는 숏크리트가 그대로 웹(220)과 플랜지(201)의 내측면에 채워져 종래 빈번히 발생하던 지보재 내측의 공동들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nge 201 formed only at one end of the vertical web 220, so that the shotcrete poured from the other end of the web 220 remains the web 220 and the flange 201 ),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avities inside the support material that were frequently occurring in the past.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웹(220)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고정수단(232)들이 형성되어 있어, 단순히 터널 지보재(200)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막장 굴착 내측면에 설치하지 않는다. 즉, 상기 터널 지보재(200)가 막장 굴착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후, 고정수단(232)의 결합력에 의해 터널 지보재(200)를 굴착 내측면에 결합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ixing means 232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eb 220, so that on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Do not install. That is, after the tunnel support 200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kjang excavation, the tunnel support 20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cavation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fixing means 232.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32)이 위치한 영역에서는 웹(220)과 플랜지(201)의 일부가 제거된 고정홀(231)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홀(231)을 따라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홀(231)에는 고정부(230)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고정홀(231)을 관통하여 굴착 내측면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고정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region where the fixing means 232 is located, a fixing hole 231 from which a part of the web 220 and the flange 201 has been removed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31 are formed along the fixing hole 231. The thread is formed. A fixing part 230 is fastened to the fixing hole 231, and the fixing part 230 penetrates through the fixing hole 231 and is inserted and fixed to a certain depth of the inner side of the excavation.

예를 들어, 상기 터널 지보재(200)를 설치하기 전 막장 굴착 내측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굴착 내측면 상에 숏크리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232)의 고정부(230)는 숏크리트층을 관통하여 상기 막장 굴착 내측면이 일정 깊이까지 삽입된다.For example, if shotcrete is poured on the inner side of a film excavation before the tunnel support 200 is installed, a shotcrete lay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xcavation. Accordingly, the fixing part 230 of the fixing means 232 penetrates the shotcrete layer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makjang excavation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따라서, 상기 터널 지보재(200)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수단(232)들에 의해 터널 지보재(200)의 플랜지(201)는 굴착 내측면과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ange 201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can maintain a strong coupling for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cavation by the plurality of fixing means 232 disposed o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또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복수개의 터널 지보재들을 연결해 설치할 경우, 터널 지보재들 간의 미스얼라인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 지보재(2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제1 및 제2 얼라인부(210a, 210b)를 형성한다.In addition, whe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 members, in order to prevent misalignment between the tunnel support members,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units ( 210a, 210b) is 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지보재에 복수개의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지보재가 막장 내측 굴착면에 완전히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unnel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posing a plurality of fixing means on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support member can be complete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curta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막장 내측 굴착면과 접촉하는 플랜지에 장방향뿐만 아니라 단방향으로도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유선형 구조의 내측 굴착면에 지보재의 플랜지가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on the flange in contact with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f the curtain so that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f the streamlined structure.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지보재의 플랜지와 웹이 만나는 내측 모서리 영역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숏크리트 타설시 플랜지와 웹의 교차 지점에서 타설되는 숏크리트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reduction of the amount of shotcrete poured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lange and the web when casting shotcrete by forming the inner edge region where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web mee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지보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얼라인부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지보재를 연결할 때 지보재들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upport members from shifting from each other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by forming alignment portion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도 6을 참조하면, 제1 터널 지보재(200a)의 후단에는 제2 얼라인부(210b)가 형성되고, 제2 터널 지보재(200b)의 전단에는 제1 얼라인부(210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터널 지보재(200b)의 제1 얼라인부(210a)와 제1 터널 지보재(200a)의 제2 얼라인부(210b)가 서로 결합되어 두 개의 터널 지보재(200a, 200b)를 연결할 때 서로 어긋나지(미스얼라인)는 문제를 방지한다.Referring to FIG. 6, a second alignment portion 210b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and a first alignment portion 210a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b. That is, when the first alignment portion 210a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b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210b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two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isalignment (misalignment) prevents problem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얼라인부(210a, 210b)는 터널 지보재의 플랜지(201)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고정된 설계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터널 지보재들을 연결할 때 미스 얼라인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은 터널 지보재의 웹 상에도 형성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플랜지와 웹 모두에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210a and 210b are formed in a region of the flange 201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However, this is not a fixed design structure. Therefore, means for preventing misalignment when connecting the tunnel support members may be formed on the web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and in some cases, may be formed on both the flange and the web.

이와 같이, 두 개의 터널 지보재(200a, 200b)가 제1 및 제2 얼라인부(210a, 210b)에 의해 1차적으로 연결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240)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두 터널 지보재(200a, 200b)를 연결한다. 도 7은 두 개의 터널 지보재(200a, 200b)의 제1 및 제2 얼라인부(210a, 210b)의 연결관계와 연결수단(240)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다. 즉, 도 7의 두 개의 터널 지보재(200a, 200b)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달리 장방향(빔 방향)으로는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고 장방향에 수직한 단방향을 기준으로 제1 곡률(R1)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two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are primarily conn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units 210a and 210b, as shown in FIG. 7, using the connection means 240 The two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are connected.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210a and 210b of the two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and the connection means 240. That is, the two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of FIG. 7 have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in the long direction (beam direction), and the first curvature R1 is based on a unidirectional vertical direction. ) Can be formed.

상기 연결수단(2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241)과 록볼트(242)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두 개의 금속 빔(터널 지보재)을 서로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240 may be configured using a metal plate 241 and a rock bolt 242 as shown in the drawing, but this is not fixed. Accordingly, various connecting means capable of connecting and fixing the two metal beams (tunnel support) to each other can be applied.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수단(240)이 제1 터널 지보재(200a)의 웹(220)과 제2 터널 지보재(200b)의 웹(220) 상에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이것은 고정된 설계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240)이 제1 터널 지보재(200a)와 제2 터널 지보재(200b)가 연결되는 영역을 따라 웹(220)과 제1 및 제2 얼라인부(210a, 210b)를 완전히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means 240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on the web 220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and the web 220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b, but this is a fixed design structure. no. Therefore, the connecting means 240 completely surrounds the web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210a and 210b along the region where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b are connected. Can be arranged to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에 숏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보재에 숏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hotcrete is poured into a tun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hotcrete is poured into a tunne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함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단방향으로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플랜지(201)가 형성되어 있어, 막장(101)의 가장자리 내측 굴착면(112)을 따라 플랜지(201)의 외측면이 위치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along with FIG. 3,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nge 201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even in a unidirectional direction, so that the excavation surface 112 inside the edge of the curtain 101 )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201 is loca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장의 구조는 아치형 또는 타원형 단면구조로 되어 있고, 굴착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진행되어 있기 때문에 막장 굴착 내측면(112)은 완전히 수평면이 아니다.As shown in Fig. 8, the structure of the makjang has an arcuate or ellip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surface 112 of the makjang excavation is not a completely horizontal plane because it proceeds in a specific direction by excavation.

상기 터널 지보재(200)는 장방향으로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201)는 장방향에 수직한 단방향을 기준으로도 수직한 방향으로 휘어 있는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has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lange 201 has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that is curved in a vertical direction even with a unidirectional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의 플랜지(201)와 굴착 내측면(112)의 접촉 영역을 보면 종래 기술과 달리 갭(gap)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nge 201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excavation, it can be seen that unlike the prior art, a gap is not 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의 플랜지(201)는 막장(101)의 지반하중을 전 영역에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ange 201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ground load of the membrane 101 in all areas.

또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의 웹(220)은 일측에만 플랜지(201)가 연결되어 있어, 숏크리트 타설시 플랜지(201)와 웹(220) 사이에 공동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타설되는 숏크리트가 상기 플랜지(201)의 내측면과 웹(220)에 공급되어 상기 웹(220)과 상기 플랜지(201)의 내측면에 숏크리트가 채워진다.In addition, the web 220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nge 201 connected to only one side, so that a cavity is not formed between the flange 201 and the web 220 when casting shotcrete. That is, the poured shotcrete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201 and the web 220 so that the shotcrete is fill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web 220 and the flange 201.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웹(220)과 플랜지(201) 사이(B 영역)에 소정의 곡률(R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웹(220) 가장자리와 플랜지(201) 내측면 사이를 따라 숏크리트가 충분히 채워져 지보재의 특정 영역에서 숏크리트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R2 between the web 220 and the flange 201 (area B), so the edge and the flange of the web 220 (201) Shotcrete is sufficiently filled along the inner side to prevent imbalance of shotcrete in a specific area of the support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의 웹(220)은 일측 단에만 플랜지(201)가 형성되어 있어, 종래 'H' 형상 지보재에서 발생하던 C 영역에서의 공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b 220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nge 201 formed only at one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avitation in region C, which has occurred in the conventional'H' shape support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보재(200)로서 터널 재보재(200)와 타설되는 숏크리트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웹(220)의 둘레와 플랜지(201)의 둘레에 복수의 요철패턴(310)을 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보재(200)는 웹(220)의 둘레와 플랜지(201)의 내측면에 복수의 요철패턴(310)을 형성하였다. 다른 예로, 터널 내측 굴착면에 1차 숏크리트를 타설하고 1차 숏크리트가 타설된 내측 굴착면에 지보재를 설치한 후 2차 숏크리트를 타설 할 경우에 1차 숏크리트와 플랜지(2010) 외측면과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보재(200)는 웹(220)의 둘레와 플랜지(201)의 내측 및 외측의 둘레에 복수의 요철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숏크리트가 웹(220)과 플랜지(201)에 형성된 요철패턴(310) 사이로 채워져 있어, 터널 지보재(200)와 숏크리트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리 수 있다. 이와 같이 숏크리트와 터널 지보재(200)의 결합력이 강화되면 지보재이 지지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 침투나 지반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습기나 공기 등을 차단할 수 있다. As a tunnel support materia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eb 220 and the flange 201 in order to reinforc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unnel reinforcement 200 and the shotcrete to be poured ( 310) can be placed.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9, i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310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web 220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201. As another example, when first shotcrete is poured on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f a tunnel and a support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n which the first shotcrete is placed, and then the secondary shotcrete is poured,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shot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2010) In order to reinforce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may be dispos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eb 220 and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lange 201. Accordingly, the shotcrete is filled between the web 220 and the concave-convex pattern 310 formed on the flange 201,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and the shotcrete can be strengthened. In this way, whe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hotcrete and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is strengthened, not only the support member may increase its support, but also moisture or air that may be transmitted from the ground may be blocked.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보재 단면도들이다.10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unnel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와 함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이 형상 단면이 'T'자 형태일 경우, 'H' 단면을 갖는 지보재 보다 숏크리트와의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9와 같이, 터널 지보재(200)의 웹(220)과 플랜지(201)에 요철패턴(310)을 형성할 수 있지만, 복수의 요철패턴을 형성할 경우 지보재 자체의 인장력과 탄성력이 줄어들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to 13 together with FIGS. 3 and 4, whe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shape, the bonding force with shotcrete is weaker than that of the support member having a'H' cross section. Can be.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9, an uneven pattern 310 may be formed on the web 220 and the flange 201 of the tunnel support 200, but when forming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the tensile force and elasticity of the support material itself This can be reduc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더 두꺼운 금속빔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그럴 경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To prevent this, it can be formed with a thicker metal beam,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0은 터널 지보재(200)의 일측 단에 플랜지(201)를 형성하고, 타측 단에 제1 가이드부(27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271)는 웹(220)의 타측단에서 상기 플랜지(201)와 수평한 방향(플랜지의 단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FIG. 10, a flange 20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tunnel support 200 and a first guide 271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The first guide part 27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web 220 in a horizontal direction (one direction of the flange) with the flange 201.

상기 제1 가이드부(271)는 웹(220)과 일체로 또는 분리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웹(220)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상기 플랜지(201)의 단방향의 폭보다는 작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숏크리트를 타설할 때 제1 가이드부(271)와 웹(220)의 교차 내측에서 공동이 발생하지 않는 폭으로 설정한다.The first guide portion 27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or separate from the web 220, and a distance protruding from the web 220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flange 201 in one direction. More preferably, when the shotcrete is poured, it is set to a width in which a cavity does not occur inside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guide portion 271 and the web 220.

이와 같이, 'T'자 형태의 터널 지보재(200)에 제1 가이드부(271)를 형성할 경우, 공동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타설되는 숏크리트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guide portion 271 is formed o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T' shape, there is an advantage of reinforc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shotcrete to be poured whil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cavity.

도 11은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의 웹(220) 일측에 제2 가이드부(272)를 형성하되 상기 제2 가이드부(272)는 웹(220)을 기준으로 플랜지(201)와 수평하게 일측 방향으로만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부(272)의 폭은 플랜지(201)의 일측 단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하되, 숏크리트를 타설할 때 제2 가이드부(272)와 웹(220)의 교차 내측에서 공동이 발생하지 않는 폭으로 설정한다.11 is a second guide portion 27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eb 220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econd guide portion 272 is horizontal with the flange 201 based on the web 220 It is formed only in one direction.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part 27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ne-side width of the flange 201, but when shotcrete is poured, a cavity does not occur inside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guide part 272 and the web 220. Set to width.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 두 개를 서로 연결할 때, 터널 지보재(200)에 형성된 얼라인부의 구조를 도시하였다.12 and 13, when two tunnel support member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tructure of an alignment portion formed o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is illustrated.

도 12에서는 제1 터널 지보재(200a)와 제2 터널 지보재(200b)가 제1 얼라인부(310a)와 제2 얼라인부(310b)에 의해 연결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널 지보재(200)는 일측단에 제1 얼라인부(210a)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제2 얼라인부(210b)가 형성된다.In FIG. 12,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b are connected by the first alignment unit 310a and the second alignment unit 310b.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tunnel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lignment portion 210a is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alignment portion 210b is formed at the other end.

상기 제1 얼라인부(210a)와 제2 얼라인부(210b)는 서로 상대적인 구조로 형성되는데 어느 하나의 얼라인부가 돌출 구조로 형성된 경우 다른 하나의 얼라인부는 돌출 구조와 결합될 수 있는 요부 구조로 형성된다.The first alignment part 210a and the second alignment part 210b are formed in a structure relative to each other. When one of the alignment parts has a protruding structure, the other alignment part has a concave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protruding structure. Is form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널 지보재(200a)의 후단과 제2 터널 지보재(200b)의 전단이 제1 및 제2 얼라인부(310a, 310b)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1 터널 지보재(200a)의 후단에 형성된 제2 얼라인부(310b)는 나사산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제2 터널 지보재(200b)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얼라인부(310a)는 상기 제2 얼라인부(310b)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rear end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b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310a and 310b.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310b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is formed in a threaded structure, and the first alignment portion 310a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b is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It is formed in a threaded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with (310b).

도 12에서는 제1 얼라인부(310a)와 제2 얼라인부(310b)가 터널 지보재(200a, 200b)의 플랜지(201)와 웹(220) 끝단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터널 지보재(200a, 200b)는 플랜지(201)의 단면과 웹(220)의 단면이 모두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In FIG. 12, the first alignment portion 310a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310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lange 201 and the web 220 of the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Accordingly, in the first and second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cross-section of the flange 201 and the cross-section of the web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xed.

도 13에서는 제1 터널 지보재(200a)와 제2 터널 지보재(200b)에 유선형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얼라인부(410a, 41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널 지보재(200a)의 후단에 형성된 제2 얼라인부(410b)는 일측 플랜지(201)에 함몰 유선형 구조, 타측 플랜지(201)에 돌출 유선형 구조, 웹(220) 단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유선형 함몰 구조를 포함한다.In FIG. 13,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410a and 410b having a streamlined structure are formed on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b,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410b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200a has a streamlined structure recessed in one side flange 201, a streamlined structure protruding in the other side flange 201, and web 220 It includes a streamlined recessed structur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ross section.

상대적으로 제2 터널 지보재(200a)의 제1 얼라인부(410a)는 플랜지(201) 일측에 돌출 유선형 구조, 타측 플랜지(201)에 함몰 유선형 구조, 웹(220) 단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유선형 돌출 구조를 포함한다.Relatively, the first alignment portion 410a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200a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lange 201 and has a streamlined structure, a streamlined structure recessed in the other flange 201, and a streamlined protru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eb 220 Includes structur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얼라인부(410a)와 제2 얼라인부(410b)가 서로 결합되어 두 개의 터널 지보재들(200a, 200b)의 단면이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부(410a, 410b)는 도 7에서 설명한 연결수단에 의한 터널 지보재의 연결의 전단계이므로 결합력 보다는 서로 다른 두 터널 지보재(200a, 200b)가 정밀하게 중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As shown in FIG. 12, since the first alignment portion 410a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410b are coupled to each other, cross-sections of the two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do not deviate from each oth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units 410a and 410b are a pre-step of connection of the tunnel support material by the connection means described in FIG. 7, they function to precisely overlap the two different tunnel support members 200a and 200b rather than the coupling force. .

하지만, 상기 제1 얼라인(410a)과 제2 얼라인(410b)은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결합력은 연결수단의 결합력보다 약하지만 수평방향의 결합력은 연결수단의 결합력을 갖는다.However, since the first alignment 410a and the second alignment 41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ond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weaker than that of the connecting means, but the bonding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s the bond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an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지보재에 복수개의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지보재가 막장 내측 굴착면에 완전히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unnel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posing a plurality of fixing means on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support member can be complete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curta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막장 내측 굴착면과 접촉하는 플랜지에 장방향뿐만 아니라 단방향으로도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유선형 구조의 내측 굴착면에 지보재의 플랜지가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on the flange in contact with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f the curtain so that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f the streamlined structure.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지보재의 플랜지와 웹이 만나는 내측 모서리 영역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숏크리트 타설시 플랜지와 웹의 교차 지점에서 타설되는 숏크리트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mount of shotcrete pour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lange and the web from decreasing by forming the inner edge region where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web mee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지보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얼라인부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지보재를 연결할 때 지보재들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upport members from shifting from each other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by forming alignment portion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지보재의 플랜지 내측과 웹 주위에 복수의 요철패턴을 형성하여 타설되는 숏크리트와 지보재의 결합력을 강화시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ast shotcrete and the support member by forming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on the inside of the flange of the support member and around the we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보재는 도 3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지보재에 숏크리트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널 지보재는 웹에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은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배치한 후 숏크리트 타설 작업시 숏크리트가 제1 숏크리트 결합홀에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숏크리트와 터널 지보재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은 웹을 경계로 일측에 공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숏크리트 타설시 웹을 경계로 숏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아 생긴 공동이 발생하면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은 숏크리트를 유입시켜 공동을 매입함으로 공동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이 복수개일 경우, 숏크리트 유입을 광범위하게 하여 공동을 제거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은 X자, Z자 또는 W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널 지보재는 플랜지에 제2 숏크리트 결합홀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숏크리트 결합홀은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배치한 후 숏크리트 타설 작업시 숏크리트가 제2 숏크리트 결합홀에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숏크리트와 터널 지보재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숏크리트 결합홀은 플렌지를 경계로 일측에 공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숏크리트 타설시 플랜지를 경계로 숏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아 생긴 공동이 발생하면 제2 숏크리트 결합홀은 숏크리트를 유입시켜 공동을 매입함으로 공동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숏크리트 결합홀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숏크리트 결합홀이 복수개일 경우, 숏크리트 유입을 광범위하게 하여 공동을 제거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2 숏크리트 결합홀은 X자, Z자 또는 W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tunnel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otcrete coupling hole in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3 to 13. More specifically, the tunnel support material may have a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 disposed in the web. The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 allows the shotcrete to flow into the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 when the shotcrete is poured after the tunnel support is disposed on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hotcrete and the tunnel support. In addition, the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 may prevent a cavity from occurring on one side of the web. That is, when a cavity is generated when shotcrete is not poured across the web at the time of shotcrete pouring, the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 can remove the cavity by introducing the shotcrete to fill the cavity. One or more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s may be disposed.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s, the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s may be arranged in an X-shape, Z-shape, or W-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removal rate of the cavities by widening the inflow of shotcrete. 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may have a second shotcrete coupling hole disposed in the flange. The second shotcrete coupling hole allows the shotcrete to flow into the second shotcrete coupling hole when the shotcrete is poured after the tunnel support is placed on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hotcrete and the tunnel support. In addition, the second shotcrete coupling hole may prevent a cavity from occurring on one side of the flange boundary. That is, when a cavity is generated when shotcrete is not poured across the flange when the shotcrete is poured, the second shotcrete coupling hole can remove the cavity by introducing the shotcrete to fill the cavity. One or more second shotcrete coupling holes may be disposed.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cond shotcrete coupling holes, the second shotcrete coupling holes may be arranged in an X-shape, Z-shape, or W-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removal rate of cavities by widening the inflow of shotcrete.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도 3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지보재 및 도시되지는 않고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지보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시공 방법은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고정하는 단계,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support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3 to 13 and a suppor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out being shown. The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fixing the tunnel support material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pouring shotcrete.

보다 구체적으로,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는 제1 터널 지보재를 배치하는 단계, 제2 터널 지보재를 배치하는 단계, 제1 터널 지보재와 제2 터널 지보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널 지보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제1 터널 지보재의 플랜지 외측면이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제2 터널 지보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제2 터널 지보재의 플랜지 외측면이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여 배치하면서 제1 터널 지보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얼라인부와 제2 터널 지보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 얼라인부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터널 지보재와 제2 터널 지보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는 제1 터널 지보재의 웹과 제2 터널 지보재의 웹을 중첩하여 금속판을 배치하고 제1 록볼트를 이용하여 제1 터널 지보재의 웹과 금속판이 중첩된 영역을 고정하고 제2 록볼트를 이용하여 제2 터널 지보재의 웹과 금속판이 중첩된 영역을 고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includes arranging a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rranging a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and fixing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to each other. can do.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may face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the first alignment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faces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2 Alignment part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step of fixing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to each other is to arrange a metal plate by overlapping the web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web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and use the first rock bolt to form the web and the metal plate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The overlapped region may be fixed, and the overlapped region of the web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metal plate may be fixed using the second rock bolt.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는 터널 지보재가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되면 지보재의 웹과 플랜지에 배치된 고정홀에 고정부를 관통시켜 고정부가 터널 굴착면과 결합함으로 터널 지보재가 터널 굴착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고정홀과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의 내주면과 고정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는 터널 굴착면과 결합하는 일단이 터널 굴착면과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뾰족한 형상일 수 있다. In the step of fixing the tunnel support material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using a fixing means, whe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is disposed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he fixing part penetrates the fixing hole arranged in the web and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fixing part is combined with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an be fixed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fixing hole and a fixing part. Threads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The fixing part may have a pointed shape so that one end that is coupled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1차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또는 2차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1차 숏크리트를 타설 하는 경우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 및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고정하는 단계 이전에 실행될 수 있다. 즉,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는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1차 숏크리트가 타설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2차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 및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고정하는 단계 이후에 시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1차 숏크리트를 타설 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2차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만 시행할 수 있다. 이 경우, 2차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 및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고정하는 단계 이후에 시행될 수 있다.The step of pouring shotcrete may include the step of pouring the first shotcrete or the step of pouring the second shotcrete. For example, in the case of pouring the primary shotcrete, the step of pouring shotcrete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of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the step of fix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hat is,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he tunnel support material may be disp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rimary shotcrete is placed on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he step of pouring the secondary shotcrete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ep of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the step of fix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s another example, the step of pouring the first shotcrete may be omitted and only the step of pouring the second shotcrete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step of placing the secondary shotcrete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ep of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the step of fix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에 복수개의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지보재가 막장 내측 굴착면에 완전히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posing a plurality of fixing means on the support material so that the support material can be complete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curta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막장 내측 굴착면과 접촉하는 플랜지에 장방향뿐만 아니라 단방향으로도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유선형 구조의 내측 굴착면에 지보재의 플랜지가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of the support material completely contacts the inner excavation surface of the streamlined structure by forming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not only in the long direction but also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on the flange in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nside the membrane. It works as far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의 플랜지와 웹이 만나는 내측 모서리 영역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숏크리트 타설시 플랜지와 웹의 교차 지점에서 타설되는 숏크리트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shotcrete pour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lange and the web by forming the inner edge region where the flang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web mee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re is one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얼라인부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지보재를 연결할 때 지보재들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upport members from shifting from each other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by forming an alignment part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은, 지보재의 플랜지 내측과 웹 주위에 복수의 요철패턴을 형성하여 타설되는 숏크리트와 지보재의 결합력을 강화시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ast shotcrete and the support by forming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on the inside of the flange of the support and around the web.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binations of configur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터널
101: 막장
200: 터널 지보재
201: 플랜지
210a: 제1 얼라인부
210b: 제2 얼라인부
220: 웹
232: 고정수단
240: 연결수단
271: 제1 가이드부
272: 제2 가이드부
100: tunnel
101: the curtain
200: tunnel support material
201: flange
210a: first alignment unit
210b: second alignment unit
220: Web
232: fixing means
240: connection means
271: first guide part
272: second guide part

Claims (12)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되어 지반하중을 지지하는 터널 지보재에 있어서,
상기 터널 지보재는 상기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며 장방향으로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장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수직하게 결합된 웹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지보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기 웹과 플랜지 일부가 제거된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체결된 고정부로 구성된 고정수단과,
상기 터널 지보재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두 개의 터널 지보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얼라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장방향과 수직한 단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웹이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제1 곡률을 갖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I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arranged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to support the ground load,
The tunnel support member is a flange faci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having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web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flange,
A fixing means comprising a fixing hole from which a portion of the web and flange has been remov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nd a fixing part fastened to the fixing hole,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for connecting two different tunnel support members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The flange is a tunnel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eamlined structure having a first curvature i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web is arranged based on a unidirectio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ong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웹이 교차하는 내측에는 제2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The method of claim 1,
Tunnel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curvature inside the flange and the web cros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터널 지보재의 웹과 플랜지 일부가 제거된 고정홀 내측에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의 외측 둘레에도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의 외측의 터널 굴착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ans has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inside the fixing hole from which the web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and a part of the flange are removed, and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around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ixing part penetrates the fixing hole and the flange Tunnel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with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of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부와 제2 얼라인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상대적인 결합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tunnel support member, wherein the first alignment portion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are formed in a relative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지보재에 형성된 제1 얼라인부는 다른 터널 지보재에 형성된 제2 얼라인부와 결합되고, 상기 터널 지보재에 형성된 제2 얼라인부는 또 다른 터널 지보재에 형성된 제1 얼라인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lignment portion formed on the tunnel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a second alignment portion formed on another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formed on the tunnel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a first alignment portion formed on another tunnel support member. Tunnel support materi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부와 제2 얼라인부는 요철 구조, 나사산 구조, 유선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터널 지보재의 플랜지 단면과 웹 단면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portions are formed in any one of an uneven structure, a threaded structure, and a streamlined structure, and formed on a flange cross section and a web cross section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지보재의 플랜지와 웹 표면에는 타설되는 숏크리트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복수의 요철 패턴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The method of claim 1,
A tunnel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atterns are formed on the flange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web surface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with the shotcrete to be po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웹이 T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상기 웹은 상기 플랜지가 배치되지 않은 타단에 상기 플랜지와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nge and the web have a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web is a tunnel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uide portion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lang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lange is not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하나 이상의 제1 숏크리트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web is a tunnel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hotcrete coupling hole.
터널 굴착면과 마주하며 장방향으로 아치형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장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수직하게 결합된 웹을 포함하고, 터널 지보재의 장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기 웹과 플랜지 일부가 제거된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체결된 고정부로 구성된 고정수단과, 상기 터널 지보재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두 개의 터널 지보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얼라인부가 형성된 터널 지보재를 시공하는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
A flange facing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tunnel and having an arcuate or streamlined structur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eb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flange, and the web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And a fixing means consisting of a fixing hole from which a part of the flange is removed and a fixing part fastened to the fixing hole, and first and second alignment parts for connecting two different tunnel support members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In the tunnel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 tunnel support material in which is formed,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Fixing the tunnel support material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ouring shotcr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지보재를 터널 굴착면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는,
제1 터널 지보재를 배치하는 단계;
제2 터널 지보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널 지보재와 상기 제2 터널 지보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널 지보재와 상기 제2 터널 지보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널 지보재의 웹과 상기 제2 터널 지보재의 웹을 중첩하여 금속판을 배치하고 제1 록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널 지보재의 웹과 상기 금속판이 중첩된 영역을 고정하고 제2 록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터널 지보재의 웹과 상기 금속판이 중첩된 영역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지보재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rranging the tunnel support member along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rranging the first tunnel support material;
Arranging a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And
Including; fixing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to each other,
The fixing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to each other may include placing a metal plate by overlapping the web of the first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web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and using a first rock bolt. A tunnel support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fixing a region where the web of the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metal plate overlap, and fixing the region where the web of the second tunnel support member and the metal plate overlap using a second rock bolt.
KR1020190019363A 2019-02-19 2019-02-19 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 KR102198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363A KR102198908B1 (en) 2019-02-19 2019-02-19 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363A KR102198908B1 (en) 2019-02-19 2019-02-19 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27A KR20200101127A (en) 2020-08-27
KR102198908B1 true KR102198908B1 (en) 2021-01-05

Family

ID=7223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363A KR102198908B1 (en) 2019-02-19 2019-02-19 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908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7331B2 (en) * 1997-12-17 2002-01-15 株式会社奥村組 Method of forming support body using support segments
KR101385971B1 (en) 2013-08-30 2014-04-16 함정아 A construction method for tunnelling
KR102087101B1 (en) * 2017-04-04 2020-03-1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unnel support method utilizing T-shape support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27A (en)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565B1 (en) Wale and strut with internal steel tube
KR20060125129A (en)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twin tunnel by pre-excavation of the tunnel's main section and double support of central part and method how to optimize reinforcement level of a tunnel by changing result of stresses and strains of the main structures of the tunnel
CN105735468A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 and reinforced concrete beam
KR100783256B1 (en) Composite girder having connection structure of inclined members in composite girder with steel truss web using embedded t-type perfobond and such connection structure
JP6692197B2 (en) Underground continuous wall joint structure
KR2013011238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struts using end plate
KR102198908B1 (en) A tunnel suppo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unnel support
JP5819278B2 (en) Continuous wall member, continuous wall construction method
KR20140069845A (en) Retaining wall using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KR100784885B1 (en) Composite girder with steel truss web having hinge connecting,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KR101983381B1 (en) Adjustable Stiffener For Steel Pipe Strut
JP2021042610A (en) Culve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0882294B1 (en) The support material for a tunnel
KR101818428B1 (en) Filler for forming mating surface of concret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pile using the same
KR101664668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JP2016215376A (en) Method for producing segment, and concrete-integrated type steel segment
CN212296365U (en) Corrugated plate shaft supporting structure and subway shaft
JP6692175B2 (en) End structure of preceding el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ll
JP2018009388A (en) End structure of preceding el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continuous wall
JP639732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water stop plate mounting member, water stop plate, rebar mount and continuous underground wall
KR102484548B1 (en) Support Structure for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US2234782A (en) Fabricated metal structure
KR20180112469A (en) Tunnel support method utilizing T-shape support member
JP3673508B2 (en) Intermediate shaft construction method and intermediate shaft
JP2011074570A (en) Method for constructing tu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