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881B1 -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881B1
KR102197881B1 KR1020170088583A KR20170088583A KR102197881B1 KR 102197881 B1 KR102197881 B1 KR 102197881B1 KR 1020170088583 A KR1020170088583 A KR 1020170088583A KR 20170088583 A KR20170088583 A KR 20170088583A KR 102197881 B1 KR102197881 B1 KR 102197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transmitted
called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300A (ko
Inventor
백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8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8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는,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의 전송형태를 결정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특성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catenated Short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용량을 초과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연결 메시지(Concantenation Messag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 외에도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비하는데, 문자 메시지 서비스(Shortest Messaging Service, SMS)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단문 메시지(SMS)를 시작으로 텍스트 외 음악, 사진, 동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대용량 문자 메시지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연결 메시지(Concatenated SMS)도 개발되었다.
한편, 연결 메시지(Concatenated SMS)는 발송된 단문 메시지(SMS)가 지원 가능한 최대 크기를 초과한 경우 착신자에게 2건 이상으로 분할하여 전달해주는 서비스인데, 이는 수신 단말이 OMA 표준규격을 지원하는 단말일 것을 전제로 한다. OMA 표준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로 연결 메시지(Concatenated SMS)가 전달되는 경우, 수신 단말은 메시지를 조립할 수 없어 메시지가 잘못 표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단문 메시지(SMS)를 통한 각종 서비스 제공이 증가하고 있는데, 일부 특수 기능을 갖는 서비스의 경우, 그 성격상 단문 메시지(SMS)가 연결 메시지(Concatenated SMS)로 분할되는 것을 막고 있어, 해당 서비스와 관련하여서는 연결 메시지(Concatenated SMS)가 전달되지 못하고 메시지가 잘못 전달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메시지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 및 단말 특성을 반영하여 발신측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정확하게 수신측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수신측으로 전달된 메시지 전달 형태를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서비스(로직)의 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7792호 "LTE 브로드캐스트 기법을 사용한 대형 쇼핑몰의 모바일 기깅 대한 광고 전송방법"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문의 SMS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전송 형태를 서비스 특성 및 착신 단말의 유형(type)에 따라 결정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일 측면에 따른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는,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의 전송형태를 결정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특성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특성은,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구분자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착신 단말은,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순서대로 배열하여 병합 후 하나의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특성이 비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거나 상기 착신 단말이 비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멀티메시지 변환기로 전송하며, 상기 멀티메시지 변환기로 전송된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신 단말이 비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불가 메시지를 회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의 전송형태를 결정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특성을 확인하여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특성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에 대한 판단결과를 기초로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특성은,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형태 결정 단계는,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연결 메시지 형태로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 변환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구분자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연결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착신 단말은,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순서대로 배열하여 병합 후 하나의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형태 결정 단계는,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형태 결정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태로 결정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멀티메시지 변환기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변환 단계는, 상기 멀티메시지 변환기로 전송된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형태 결정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이 비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불가 메시지를 회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지원 가능한 크기를 초과한 단문 메시지(SMS)에 대해 특수 목적의 서비스 특성 및 다양한 규격의 단말이 사용되는 이동통신 환경 특성을 반영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 형태를 결정하는 로직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형태를 결정하는 로직을 제공하여 메시지 전달 성공율을 높여 메시지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단문 메시지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메시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 단말(100), 무선 접속망(200), 코어망(300), 외부망(400), 그리고 착신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500)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사용자 기기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신 단말(100)은 호 요청, 메시지 전송 요청, 데이터전송 요청을 하는 단말이며,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적으로 또는 설정에 의하여 단문 메시지(SMS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는 대용량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착신 단말(500)은 호, 메시지, 데이터 전송 등의 목적지가 되는 단말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500)은 연결 메시지(Concatenated SMS)를 지원하지 않는 피쳐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메시지(Concatenated SMS)는 3GPP에서 제안하는 소정 크기(ex, 140byte)를 초과하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에 대한 처리방안으로, 발신측이 소정 크기를 초과하는 큰 용량의 텍스트를 2건 이상의 단문 메시지(SMS 메시지)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수신측으로 전달하고, 수신측은 이를 모두 수신한 뒤 조립하여 1개의 메시지로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통신규격이다.
SMS 메시지들은 음성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채널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통상적인 음성 네트워크는 RAN(Radio Access Network)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RAN은 도 1의 무선 접속망(200)에, 코어 네트워크는 도 1의 코어망(300)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접속망(200)은 발신 단말(100)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미도시) 및 기지국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접속망(200)은 단말(100)로부터의 호 요청 신호, 데이터 전송 신호 등을 코어망(300)으로 전송한다.
코어망(300)은 무선 접속망(200)을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다른 RAN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들에 연결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코어망(300)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 홈 위치 등록기(320, HLR), 멀티 메시지 변환기(330, MMC),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센터(340, MMSC)를 포함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착신 단말(500)이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500)로 전송할 메시지의 전송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전송형태는, SMS 메시지, 연결 메시지(Concantenation Message),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Message) 중 하나의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320, HLR: Home location register)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센터(AuC; 미도시)는 인증 벡터를 생성하며 가입자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320, HLR)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 단말 정보 등을 포함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센터(MMSC) 등에 가입자 정보, 가입자 단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 메시지 변환기(330, MMC: Multi-Message Converter)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로부터 단문 메시지(SMS 메시지)의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초과 메시지를 전달받아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단문 메시지(SMS 메시지)의 데이터 크기는 문자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망에서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말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센터(340, MMSC: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는, 멀티 메시지 변환기(330, MMC)로부터 전송된 MMS 메시지를 착신 단말(500)에 전송한다.
외부망(400)은, 코어망(300)에 속하는 회선 교환부(미도시) 또는 패킷 교환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망이다. 회선 교환부는 음성 통화 등 회선(circuit)의 송수신에 관련되며, 회선 교환부와 연결되는 외부망(400)은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종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일 수 있다. 패킷 교환부는 패킷(Packet)의 송수신에 관련되며, 패킷 교환부와 연결되는 외부망(400)은 인터넷(Internet)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망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의 블럭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메시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고장원인분석 장치(4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또는 RF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통신부(311), 서비스특성 판단부(313), 단말특성 판단부(315), 메시지 변환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311)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변형된 메시지를 착신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311)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가 소정 크기(ex, 140byte)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를 전송 형태의 변형 없이 착신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가 소정 크기(ex, 140byte)를 초과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서비스특성 판단부(313)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특성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서비스 특성 테이블과 비교하여 해당 서비스가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서비스 특성은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특성은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 서비스인지 여부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에 미리 알려져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SMS 메시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SMS 메시지가 연결 메시지로 변형되는 것을 거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개통 목적으로 SMS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연결 메시지로 변형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특성 판단부(313)는, SMS 메시지가 연결 메시지로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는 서비스를 따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말특성 판단부(315)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착신 단말(500)이 연결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한다. 연결 메시지는 OMA 표준규격을 지원하는 단말에서만 지원되므로, 단말특성 판단부(315)는 홈 위치 등록기(320, HLR)에 착신 단말(500) 정보를 문의할 수 있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320, HLR)는, 착신 단말(500)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단말 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메시지 변환부(317)는, 서비스특성 판단부(313) 및 단말특성 판단부(315)로부터 판단결과를 수신하여 착신 단말(500)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메시지는 통신부(311)를 통해 착신 단말(50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고 착신 단말(500)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시지 변환부(317)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연결 메시지 프로토콜 인자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착신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메시지 프로토콜 인자는, 해당 메시지가 일반 SMS 메시지가 아니라 연결 메시지라는 것을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 분할된 메시지 세트(set)를 구분할 수 있는 참조번호(reference number), 분할된 메시지 개수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MaX numver), 분할된 메시지 순서를 확인할 수 있는 순차번호(sequence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메시지 변환부(317)는, 대용량의 메시지(300)를 복수의 단문 메시지(310_1, 310_2, 310_3)로 분할하여 통신부(311)를 통해 착신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분할된 각각의 단문 메시지(310_1, 310_2, 310_3)는 각 단문 메시지의 순서를 나타내는 구분자 필드(320), 발신 단말의 번호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필드(340), 착신 단말의 번호를 나타내는 착신 단말 필드(350) 및 분할된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 필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구분자 필드(320)에 의하여 각 단문 메시지는 순서대로 배열되며, 하나의 연결 메시지(Concatenation Message)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로부터 복수의 단문 메시지(310_1, 310_2, 310_3)를 전송받은 착신 단말(500)은 구분자 필드(320)의 구분자를 이용하여 세 개의 단문 메시지를 하나의 연결 메시지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500)은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순서대로 배열하여 병합 후 하나의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지 않거나, 착신 단말(500)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시지 변환부(317)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500)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추가로 판단한다.
착신 단말(500)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시지 변환부(317)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멀티 메시지 변환기(330, MMC)로 전송한다. 멀티 메시지 변환기(330, MMC)가, 수신받은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센터(340, MMSC)로 전달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센터(340, MMSC)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 또한, 착신 단말(500)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지 못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시지 변환부(317)는, 통신부(311)를 통해 발신 단말(100)로 전송불가 메시지를 회신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가 소정 크기(ex, 140byte)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변형 없이 착신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가 소정 크기(ex, 140byte)를 초과하는 대용량 메시지인 경우 이하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대용량 메시지를 수신하면(S401), 홈 위치 등록기(320, HLR)에 착신 단말(500)의 정보를 문의하여 착신 단말 정보를 전달받는다(S403). 실시예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320, HLR)로부터 전달받은 착신 단말 정보는 착신 단말(500)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대용량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특성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정보(ex, 서비스 특성 테이블)와 비교하여 해당 서비스가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한다(S405).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에 미리 알려져 메모리에 서비스 특성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SMS 메시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SMS 메시지가 연결 메시지로 변형되는 것을 거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개통 목적으로 SMS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연결 메시지로 변형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SMS 메시지가 연결 메시지로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는 서비스를 따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가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 경우(S405, Yes), 착신 단말(500)의 연결 메시지 지원 판단단계(S407)로 진행한다. 또한, 해당 서비스가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S405, No), 착신 단말(500)의 MMS 메시지 지원 판단단계로 진행한다(S413).
해당 서비스가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 경우(S405, Yes),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500)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한다(S407). 착신 단말(500)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경우(S407, Yes),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착신 단말(500)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연결 메시지 형태로 결정하며, 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구분자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연결 메시지 형태로 변환한다(S409).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변환된 연결 메시지를 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S411).
도 3을 참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대용량의 메시지(300)를 복수의 단문 메시지(310_1, 310_2, 310_3)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각각의 단문 메시지(310_1, 310_2, 310_3)는 각 단문 메시지의 순서를 나타내는 구분자 필드(320), 발신 단말의 번호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필드(340), 착신 단말의 번호를 나타내는 착신 단말 필드(350) 및 분할된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 필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구분자 필드(320)에 의하여 각 단문 메시지는 순서대로 배열되며, 하나의 연결 메시지(Concatenation Message)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로부터 복수의 단문 메시지(310_1, 310_2, 310_3)를 전송받은 착신 단말(500)은 구분자 필드(320)의 구분자를 이용하여 세 개의 단문 메시지를 하나의 연결 메시지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500)은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순서대로 배열하여 병합 후 하나의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가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S405, No), 또는 착신 단말(500)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S407, Yes),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500)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추가로 판단한다(S413).
착신 단말(500)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S413, Yes),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멀티 메시지 변환기(330, MMC)로 전송한다. 멀티 메시지 변환기(330, MMC)는, 수신받은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센터(340, MMSC)로 전달하고(S415),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센터(340, MMSC)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S417).
착신 단말(500)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S413, No),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310, SMSC)는, 발신 단말(100)로 전송불가 메시지를 회신할 수 있다(S419).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발신 단말
200: 무선 접속망
300: 코어망 310: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
311: 통신부 313: 서비스특성 판단부
315: 단말특성 판단부 317: 메시지 변환부
320: 홈 위치 등록기 330: 멀티 메시지 변환기
340: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센터
400: 외부망
500: 착신 단말

Claims (14)

  1.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의 전송형태를 결정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특성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이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지 않거나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이 아니면, 상기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은,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구분자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착신 단말은,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순서대로 배열하여 병합 후 하나의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멀티메시지 변환기로 전송하며,
    상기 멀티메시지 변환기로 전송된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신 단말이 비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불가 메시지를 회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장치.
  8.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의 전송형태를 결정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특성을 확인하여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특성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에 대한 판단결과를 기초로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이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지 않거나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이 아니면, 상기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은,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특성이 연결 메시지 형태를 지원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연결 메시지 형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구분자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연결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메시지를 지원하는 착신 단말은,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순서대로 배열하여 병합 후 하나의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태로 결정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멀티메시지 변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메시지 변환기로 전송된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이 비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불가 메시지를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20170088583A 2017-07-12 2017-07-12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97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83A KR102197881B1 (ko) 2017-07-12 2017-07-12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83A KR102197881B1 (ko) 2017-07-12 2017-07-12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00A KR20190007300A (ko) 2019-01-22
KR102197881B1 true KR102197881B1 (ko) 2021-01-04

Family

ID=6528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583A KR102197881B1 (ko) 2017-07-12 2017-07-12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8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10B1 (ko) 2006-11-13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ip 메시징 서비스에서 메시지 스레드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103A (ko) * 2006-11-13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ip 메시지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간에인터워킹 시스템 및 방법
KR101008429B1 (ko) * 2008-11-26 2011-01-14 주식회사 케이티 메시지 포맷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97792A (ko) 2015-02-10 2016-08-18 삼정캐스트 주식회사 Lte 브로드캐스트 기법을 사용한 대형 쇼핑몰의 모바일 기기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10B1 (ko) 2006-11-13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ip 메시징 서비스에서 메시지 스레드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00A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3262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mobile phone number
US10182158B2 (en) Voice gateway-based communication method
CN113841172A (zh) 用于处置消息的网络节点以及在其中执行的方法
JP2017531336A (ja) トランキング通信サービス処理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ue、記憶媒体
US20120295647A1 (en)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displaying short message icon
US9742829B1 (en) Managing multimedia messages being transmitted to recipient devices of foreign networks
KR102197881B1 (ko)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9089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8609A (ko) 통신망을 이용한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4021A (ko)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방법
KR10084042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6253B1 (ko) 멀티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시스템, 방법 및 멀티메시지 변환기
KR102258170B1 (ko) 소프트웨어 유심을 이용한 투폰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843713B2 (en) Smart caller-ID
KR100940392B1 (ko)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732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US10003939B2 (en) Method of providing DTMF-based interactive text response services
KR20090001145A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2290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JP6545467B2 (ja) 接続制御装置、接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936155A (zh) 一种短消息签名的处理方法及装置
CN114697928A (zh) 数据通信方法、通信终端
KR20100127980A (ko) 텍스트 길이에 따른 단문메시지 차등 과금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38426B1 (ko) 음성통화 중 정지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