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330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330B1
KR100732330B1 KR1020060029260A KR20060029260A KR100732330B1 KR 100732330 B1 KR100732330 B1 KR 100732330B1 KR 1020060029260 A KR1020060029260 A KR 1020060029260A KR 20060029260 A KR20060029260 A KR 20060029260A KR 100732330 B1 KR100732330 B1 KR 10073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group call
call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2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폰북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그룹 콜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그룹 콜 구현 방법은,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룹 콜 대상자들을 입력받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번 필드에 보이스 서버의 접속 번호 및 그룹 콜 대상자 수를 기록한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의 이동교환국을 통해 보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c) 이동통신 단말기가 입력받은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를 기록한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보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d) 보이스 서버가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들 사이에 호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Method of implementing group call using the phone book of a mobile phone and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룹 콜 구현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폰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제1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와 대응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의 제1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제2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5a와 대응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의 제2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제어부
12 : 키입력부 13 : 표시부
14 : 이동통신 송수신부 15 : 메모리
20 : 무선 접속망 22 : 기지국
23 : 기지국 제어기 30 : 이동교환국
4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50 : 보이스 서버
60 : 이동통신망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룹 콜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사용하여 그룹 콜을 위한 전화번호를 보이스 서버로 전달하도록 하는 그룹 콜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그룹 콜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로 보이스 서버에 접속하고, 보이스 서버에 구비된 ARS를 통해 그룹 콜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들을 일일이 입력함으로써 그룹 콜을 요청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룹 콜의 대상자가 많은 경우 사용자가 대상자들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 대중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폰북 기능이 서비스되고 있다. 폰북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일반적으로 상대방 정보)를 입력(등록)해 놓고, 이후 필요할 때 상대방 정보를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증가되면서 폰북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폰북에서 상대방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이름별, 그룹별, 번호별, 단축키별 검색이 있는데, 이렇게 검색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콜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그룹 콜을 요청할 때 폰북을 이용하여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전화번호를 그룹 콜을 수행하는 보이스 서버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그룹 콜 구현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폰북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그룹 콜을 구현하는 방법은,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룹 콜 대상자들을 입력받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번 필드에 보이스 서버의 접속 번호 및 그룹 콜 대상자 수를 기록한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의 이동교환국을 통해 보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c) 이동통신 단말기가 입력받은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를 기록한 전화 번호 단문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보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d) 보이스 서버가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들 사이에 호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콜 구현 시스템(1)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 무선 접속망(20), 이동교환국(3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40) 및 보이스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그룹 콜을 요청하는 측의 단말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 키입력부(12), 표시부(13), 이동통신 송수신부(14) 및 메모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입력부(12)는 사용자에 의하여 번호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13)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서 문자 및 수자를 표시하거나 기능 메뉴 화면를 표시하며 또한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표시한다.
이동통신 송수신부(14)는 이동통신망 시스템과 음성 및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구성으로,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통신 방식으로 CDMA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송수신부(14)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22) 간에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 채널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채널 및,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체크하거나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 Message Service) 송수신 등을 위한 페이징 채널을 형성한다.
메모리(15)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또 본 발명에 따른 폰북 처리 및 그룹 콜 요청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15)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15)는 폰북 정보들이 저장 관리한다.
제어부(11)는 폰북 처리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폰북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부(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그룹 콜 대상자들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룹 콜 대상자들이 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2)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1)는 도 4a 또는 도 5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송수신부(14)를 통해 이동통신망(60)으로 송신한다. 도 4a에서는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에 착신번 필드에 보이스 서버(50)의 접속 번호(예를 들어, #8700) 및 그룹 콜 대상자 수를 기록한다. 이에 비하여, 도 5a에서는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착신번 필드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입력받은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의 일부(도면에서는 1번째 CTN(Customer Telephone Number))를 더 기록하도록 한다. 이는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착신번 필드(예를 들어, 24바이트가 할당됨) 영역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1)는 메모리(15)의 폰북 정보를 검색하여 미리 선택된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를 인출하여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송수신부(14)를 통해 이동통신망(60)으로 송신한다. 이때,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의 소스 주소 필드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자신의 CTN이 기록되고, 목적지 주소 필드에는 그룹 콜을 처리하는 보이스 서버(50)의 특번이 기록되고, 메시지 바디(Message body)에는 도 4b 또는 도 5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콜의 대상자들의 CTN이 기록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접속망(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기지국(22)과 기지국 제어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지국(22)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24)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 제어기(24) 사이에서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24)는 기지국(22)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한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의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기지국(22)의 송신 출력 제어,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무선 접속망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무선 접속망(20)은 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과 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CDMA 2000 1X, CDMA 2000 1X EV-DO(Evolution-Data Only) 등의 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지국(22)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이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등의 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인 경우에는 기지국(22)은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무선 접속망(20)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CDMA 이동 통신망에 한정되지 않고, GSM망 및 현재 표준화가 진행 중인 제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교환국(30)은 다수의 전자식 교환기를 구비하여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교환국(30)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에서의 IS-95 A/B/C 시스템, 제 3세대 및 제 4세대 이동 통신망을 모두 지원한다. 이를 위해 이동 교환국(30)은 분산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교환국(30)은 셀(Cell) 단위의 패킷(Pack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이동 교환국(30)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도 4a 또는 도 5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착신번 필드를 확인한다. 이동 교환국(30)은 착신번 필드에 보이스 서버(50)의 접속 번호가 기록된 경우 해당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보이스 서버(50)로 전송한다.
SMSC(40)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SME(Short Message Entity)들 사이에 한정된 크기의 문자 형태로 전달하는 통신서비스로서, 임의의 순간에 수신할 수 없는 착신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단문을 그 가입자가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저장하였다가 전달하여 주고 통화중인 착신 가입자에게도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갖고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의 SMSC(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도 4b 또는 도 5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보이스 서버(50)로 전송한다.
보이스 서버(50)는 SS7(Common Channel Signaling System No. 7)기반의 호 처리/음성 처리/음성 분배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여러 사람과 통화를 할 때 음성을 복제(duplicate)하여 여러 사람에게 분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의 보이스 서버(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이동 교환국(30)을 통해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전달받아 그룹 콜 설정을 위한 준비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SMSC(40)를 통해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고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이때, 보이스 서버(50)는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수가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착신번 필드에 기록된 그룹 콜 대상자 수와 일치할 때에만 정상적인 호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보이스 서버(50)는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들에 대응하는 단말기들 사이에 호를 설정하고 관리하는데, 이 과정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식과 다르지 아니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보이스 서버(50)가 호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폰북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그룹 콜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폰북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룹 콜 대상자들을 선택한다. 이때,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 는 미리 메모리(15)의 폰북 정보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대상자 입력 과정에서는 미리 저장된 폰북 정보에서 그룹 콜 대상자를 선택한 선택 정보만이 추가적으로 기록된다(S100).
그룹 콜 대상자들이 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2)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S11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착신번 필드에 보이스 서버(50)의 접속 번호 및 그룹 콜 대상자 수를 기록한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60)의 이동교환국(30)을 통해 보이스 서버(50)로 전달한다(S120).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메모리(15)의 폰북 정보에서 그룹 콜 대상자로 선택된 자들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SMSC(40)를 통해 보이스 서버(50)로 전달한다(S130).
그러면, 보이스 서버(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이동 교환국(30)을 통해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전달받아 그룹 콜 설정을 위한 준비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SMSC(40)를 통해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고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이때, 보이스 서버(50)는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수가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착신번 필드에 기록된 그룹 콜 대상자 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40).
S140 단계에서 일치하지 않은 경우, 보이스 서버(50)는 에러 처리를 하고 그룹 호출을 종료한다(S150). 한편, S140 단계에서 일치하는 경우, 보이스 서버(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들 사이에 호를 설정하고 관리하게 된다(S16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그룹 콜을 요청할 때 그룹 콜 대상자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대신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관리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선택함으로써 그룹 콜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룹 콜을 요청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그룹 콜 대상자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할 가능성도 대폭 줄어들게 된다.

Claims (3)

  1. 폰북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그룹 콜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룹 콜 대상자들을 입력받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번 필드에 보이스 서버의 접속 번호 및 그룹 콜 대상자 수를 기록한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의 이동교환국을 통해 보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c) 이동통신 단말기가 입력받은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를 기록한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보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d) 보이스 서버가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들 사이에 호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콜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착신번 필드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입력받은 그룹 콜 대상자들의 전화번호의 일부를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콜 구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보이스 서버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수가 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의 착신번 필드에 기록된 그룹 콜 대상자 수와 일치할 때에만 정상적인 호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콜 구현 방법.
KR1020060029260A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KR10073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60A KR100732330B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60A KR100732330B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330B1 true KR100732330B1 (ko) 2007-06-25

Family

ID=3837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260A KR100732330B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3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54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회의 통화 방법
KR20040083765A (ko) * 2003-03-25 2004-10-06 주식회사데이콤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전화회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9549A (ko) * 2003-08-19 2005-03-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다중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54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회의 통화 방법
KR20040083765A (ko) * 2003-03-25 2004-10-06 주식회사데이콤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전화회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9549A (ko) * 2003-08-19 2005-03-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다중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6741B2 (en) Method for client-based multicast message transmission
JP5027921B2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KR100732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484074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99980B1 (ko) 양방향 sms 메시지 전송을 통한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101146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21771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채팅방법
KR101092829B1 (ko) 그룹 지정 본인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97881B1 (ko)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145A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7970A (ko) 개인정보 노출 방지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애칭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42508B1 (ko) 영상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6997A (ko) 발신정보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제공 방법
KR101056280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사랑의 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9193A (ko)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교환기 및 방법
KR2005000514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KR10072366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vd를 이용한 ars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4155A (ko) 착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착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63972B1 (ko) 콜백 번호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8910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06199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감시하는 방법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