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144A -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144A
KR20050005144A KR20030045117A KR20030045117A KR20050005144A KR 20050005144 A KR20050005144 A KR 20050005144A KR 20030045117 A KR20030045117 A KR 20030045117A KR 20030045117 A KR20030045117 A KR 20030045117A KR 20050005144 A KR20050005144 A KR 2005000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obile communication
call
tex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4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4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5144A/ko
Publication of KR2005000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144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한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통화 내용을 확인 가능하게 남기고자 하게 되면, 음성통화 내용을 문자변환하여 단문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 상에서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와,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의 실행에 의해 상기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통화에 따른 통화음성 신호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통화 내용이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VOICE CALL CONVERT TO CHARACTER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망 상의 발신측 및 착신측 상호간의 음성통화 내용을 문자변환하여 문자메시지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 또는 유선 전화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를 통한 음성통화가 수행되도록 함과 더불어, 부가기능으로서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보관하였다가 착신자에게 송출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와, 착신자와 발신자 간에 문자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단문메시지(SMS) 전송 서비스를 갖추고 있다.
그에 더하여, 최근에는 음성통화를 위해 호접속을 요청하는 발신측 가입자를 착신측에서 미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해당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번호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를 이용하여 표시하기 위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소정의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단말기 가입자가 그 음성통화 내용을 남기고자 하는 경우에, 특정한 기능키 조작에 의해 음성녹음 기능이 실행되어 착신측 및 발신측의 음성통화 내용을 해당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기의 메모리수단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메모리수단의 저장용량에 따른 녹음시간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방과의 통화내용을 적정하게 남기는 것이 어렵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전파 수신감도가 저하되어 잡음 등의 혼입에 의해 음성통화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 내의 메모리수단을 통한 음성녹음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가 어렵게 됨과 더불어, 단말기 가입자가 청취하고자 통화내용을 제대로 숙지하기가 어렵게 되지만 차후의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통신망을 통한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통화 내용을 확인 가능하게 남기고자 하게 되면, 음성통화 내용을 문자변환하여 단문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자변환 처리서버에서의 음성통화에 따른 음성내용을 문자변환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이동통신 단말기, 14,16:이동통신 기지국,
18,20:기지국 제어기, 22,26:이동통신 교환기,
24,28: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 30:홈위치 등록기,
32:단문메시지 센터, 34:문자변환 처리서버,
36: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 상에서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와,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의 실행에 의해 상기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통화에 따른 통화음성 신호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통화 내용이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 이동통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14,16),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18,20),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2,26),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24,28),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30), 단문메시지 센터(32), 문자변환 처리서버(34) 및,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36)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12)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각각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해당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특정 기능키의 조작에 의해 음성통화 내용을 문자로 변환하기 위한 서비스의 요청을 수행하고,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음성통화 내용이 문자변환된 단문메시지를 수신받아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이동통신 기지국(14,16)은 기저대역의 신호처리와,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가입자의 단말기와 직접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서, 이는 RF무선 신호의 처리에 의해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10,12)에 대한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각 기지국 제어기(18,20)는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14,18)과 각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26)의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되는 이동통신 기지국(14,16)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2)에 대한 무선채널 할당 및 해제기능과, 단말기 및 기지국의 송신출력 제어기능, 셀간의 핸드오프 결정, 이동통신 기지국(14,18)의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26)는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각각의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24,28) 또는 홈위치 등록기(30)를 통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 또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로부터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문자변환 처리서버(34)와 접속하여 착신측 및 발신측 음성통화 내용을 전송함에 의해, 각 통화음성이 문자변환되도록 하고, 음성통화 내용이 문자변환된 단문메시지를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각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24,28)는 각각의 이동통신 교환기(22,26)가 관장하는 지역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30)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등록된 전체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와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32)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10) 간에 작성되는 문자메시지를 단문메시지로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를 통해 문자변환된 음성통화 내용에 따른 문자데이터를 단문메시지의 형태로 변환하여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는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12) 간의 음성통화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음성통화 내용에 대한 통화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문자변환처리를 수행하고, 그 문자변환된 음성통화 내용의 문자데이터를 단문메시지 센터(32)에 제공하여 단문메시지로서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36)는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로부터 문자변환된 음성통화 내용에 따른 문자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 처리모듈(40)과, 문자변환 모듈(40), 문자메시지 생성 모듈(44)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인식 처리모듈(40)은 상기 각 이동통신 교환기(22,26)로부터 수신받은 발신측의 송화음성 신호와 착신측의 수화음성 신호를 음성인식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음성인식 처리하게 된다.
상기 문자변환 모듈(42)은 상기 음성인식 처리된 각 통화음성 신호에 대한 음성인식 코드데이터를 미리 규정된 문자변환 알고리즘에 다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문자메시지 생성 모듈(44)은 상기 문자변환된 통화음성 신호에 대한 문자데이터를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생성하여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32)에 제공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는 이동 통신망 상의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26)를 통해 호접속을 수행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10).
그 상태에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 중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상의 특정 기능키를 키조작하여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의 수행을 요청하게 되면(단계 S11), 문자변환 처리서버(34)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 또는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6)를 통해 서비스 요청을 받고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서비스 실행 응답을 수행한다(단계 S12).
그 다음에,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6)에 대해 통화음성의 송출을 요청하게 되고(단계S13), 각 이동통신 교환기(22,26)에서는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12) 간의 상호 음성통화에 따른 통화음성 신호를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에 제공한다(단계 214).
이에,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의 음성인식 처리모듈(40)에서는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26)로부터 수신받은 송화/수화 음성신호를 음성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음성인식 처리하여 음성인식 코드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단계 S15), 문자변환 모듈(42)에서는 음성인식 처리에 따른 음성인식 코드데이터를 미리 규정된 문자변환 알고리즘에 따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6).
그에 따라,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의 문자메시지 생성모듈(44)은 통화음성이 문자변환된 문자데이터를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생성하여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하게 되고(단계 S17), 상기 문자메시지를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단문메시지 센터(32)에 제공하게 된다(단계 S18).
한편,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32)에서는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로부터의 통화음성이 문자변환된 문자메시지를 단문메시지의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단계 S19).
여기서, 상기 문자변환 처리서버(34)에서는 상기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음성이 문자변환된 문자메시지를 차후에 원하는 시간에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에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통화 내용을 문자변환하여 단문메시지로서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통화음성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체적으로 저장하지 않고서도 음성통화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시간의 음성통화 내용에 대한 길고을 전달받는 것이 가능하고, 전파간섭이나 음질불량에 따라 유발되는 불명확한 통화내용을 정확하게 전달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5)

  1.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 상에서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받는 제 1단계와,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의 실행에 의해 상기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통화에 따른 통화음성 신호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음성통화 내용이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특정 기능키의 키조작에 의해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통화음성 신호를 음성인식 알고리즘에 의하여 음성인식 처리하여 음성인식 코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인식 처리에 의한 음성인식 코드데이터를 미리 규정된 문자변환 알고리즘에 따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문자메시지로서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음성통화 내용이 문자변환된 문자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변환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차후에 문자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문자변환된 문자데이터를 단문메시지(SMS)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KR20030045117A 2003-07-04 2003-07-04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KR20050005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5117A KR20050005144A (ko) 2003-07-04 2003-07-04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5117A KR20050005144A (ko) 2003-07-04 2003-07-04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144A true KR20050005144A (ko) 2005-01-13

Family

ID=3721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5117A KR20050005144A (ko) 2003-07-04 2003-07-04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1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89B1 (ko) * 2005-12-10 2007-08-08 이기영 통신기기 음성인식 문자변환시스템
US7333803B2 (en) * 2004-01-20 2008-02-19 Lucent Technologies Inc. Network support for voice-to-text memo service
CN102970664A (zh) * 2012-12-07 2013-03-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增值业务实现方法、设备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803B2 (en) * 2004-01-20 2008-02-19 Lucent Technologies Inc. Network support for voice-to-text memo service
KR100747689B1 (ko) * 2005-12-10 2007-08-08 이기영 통신기기 음성인식 문자변환시스템
CN102970664A (zh) * 2012-12-07 2013-03-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增值业务实现方法、设备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880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672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short text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2005000514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KR20050041742A (ko)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9730A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KR10026082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KR101006332B1 (ko) 메시지 변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350248B1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KR100695998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단말기 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101002284B1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21771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채팅방법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7421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US780152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ignaling system thereof
KR100522944B1 (ko)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직접 전송 방법
KR100620094B1 (ko) 동일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다중 서비스를 제공할 때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과금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83743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성애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4065A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수신자부담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40035525A (ko)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41881B1 (ko) 지능망 문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72074B1 (ko) 대체 회신번호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과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100732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KR10072366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vd를 이용한 ars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