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525A -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525A
KR20040035525A KR1020020064699A KR20020064699A KR20040035525A KR 20040035525 A KR20040035525 A KR 20040035525A KR 1020020064699 A KR1020020064699 A KR 1020020064699A KR 20020064699 A KR20020064699 A KR 20020064699A KR 20040035525 A KR20040035525 A KR 20040035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oice
mobile terminal
sms
sms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5525A/ko
Publication of KR2004003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525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SMS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서비스 시스템(200)은 이동 단말기(210), 무선 기지국(120), 이동 통신 교환국(130), SMS 센터(140), 타사 이동 단말기(212), 타사 무선 기지국(220),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 음성 서비스 서버(240),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한 채 이동하고 있는 중에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도, 간단한 키조작에 의해 즉시로 수신한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여 그 내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나이가 많은 연장자인 경우에도, 수신한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게 됨으로써, 종래 SMS 문자 메시지를 돋보기나 안경 등을 사용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Text Message into Voice Message}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SMS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구성된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 상대방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SMS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120), 이동 통신 교환국(130), SMS 센터(140) 등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SMS 문자 서비스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이다.
무선 기지국(120)은 기지국 전송기(BTS: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122),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24), 및 중계기(Cell Enhancer: 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 전송기(12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 단말기(11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미도시)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22)가 위치한 위도와 경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12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1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2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1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등록은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22)가 이동 단말기(110)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 단말기(11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은 이동 단말기(11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 단말기(110)가 이동통신 교환국(130)간을 이동할 때, 그리고, 이동 단말기(110)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 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124)는 위치 등록된 이동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무선 기지국(120)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무선 기지국(120)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이동 통신 교환국(130) 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칭함)(134)에 이동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32)로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여기서, HLR(132)은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의 전화 호를 비롯하여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단말기 고유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HLR(132)은 이동 단말기(110)가 위치한 무선 기지국(120)과 이동 통신 교환국(130)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 자료 수집 기능도 갖는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 가입자는 이동 단말기(110)를 이용해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110)에 구비된 키패드로 상대방에게 전달할 SMS 메시지를 작성해 송신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한다.
SMS 문자 전송 기능은 이동 단말기(110)에서 작성된 단문 메시지가 무선 신호로 무선 기지국(120)을 거쳐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되고, 이동 통신 교환국(130)에서 SMS 센터(140)로 수신할 이동 단말기의 번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SMS 센터(140)에서 단문 메시지로 전환하여 수신할 이동 단말기를 관할하는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동 통신망 가입자가 이동 단말기(110)를 휴대한 채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이동하고 있는 중에 SMS 메시가 수신되는 경우, 즉시로 수신 SMS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정지한 상태나 운행 중에 주차할 수 있는 일정한 장소에 주정차시켜야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를 휴대한 이용자가 손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이동 단말기(110)의 키버튼을 조작할 수 없어 수신 SMS 메시지를 즉시로 확인하지 못하며, 특히 이동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나이가 많은 연장자인 경우, 이동 단말기의 LCD 화면이 작은 관계로 표시되는 SMS 문자 메시지를 쉽게 확인하지 못하고 돋보기나 안경 등을 사용함으로써 확인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수행해야 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SMS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SMS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음성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이동 단말기 120 : 무선 기지국
130 : 이동통신 교환국 132 : HLR
134 : VLR 140 : SMS 센터
200 : 음성 서비스 시스템 210 : 이동 단말기
212 : 타사 이동 단말기 220 : 무선 기지국
230 :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 240 : 음성 서비스 서버
250 :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 302 : 프로그램 메모리
304 : 키입력부 306 : LCD 표시부
308 : 데이터 저장부 310 : 모드 상태 저장부
312 : 가입자 정보 저장부 314 : 마이크로 프로세서
316 : DSP 318 : 베이스밴드 변환부
320 : 스피커 322 : 마이크로폰
324 : 안테나 326 : RF 신호 처리부
410 : 프로그램 저장부 420 : 메모리
430 : 제어부 440 : 표시부
450 : NIC 460 : 데이터베이스 서버
470 : 키입력부 610 : 음성 변환부
본 발명의 제1 목적에 따른 구성은,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음성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하여 무선 신호로 송출하거나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전송할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SMS 센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출된 상기 전송할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로 전달하는 이동 통신망;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 요구시 음성 메시지로 송출해 주는 음성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에 의하면, 제1 목적과 같이 구성된 시스템의 문자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SMS 센터를 거쳐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와 수신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번호와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의 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에서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에 의하면,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음성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무선 신호로 송출하거나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SMS 메시지의 음성 출력 명령시 음성으로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SMS 센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출된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로 전달하는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목적에 의하면, 제3 목적과 같이 구성된 시스템의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작성해 상기 이동 통신망을 거쳐 상기 SMS 센터(140)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SMS센터에서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상기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수신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을 출력하거나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가 상기 SMS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SMS 메시지의 음성 출력에 대한 키입력이 있으면, 저장되어 있는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따른 음성 서비스 시스템(200)은 이동 단말기(210), 무선 기지국(120), 이동 통신 교환국(130), SMS 센터(140), 타사 이동 단말기(212), 타사 무선 기지국(220),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 음성 서비스 서버(240),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1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011" 이동 통신망가입자 단말기이다. 타사 이동 단말기(212)는 다른 이동 통신망, 예컨대 "016" 이동 통신망 가입자 단말기이다.
타사 무선 기지국(220)과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기지국(120) 및 이동통신 교환국(13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서비스 서버(240)는 다수의 이동 단말기(210) 및 타사 이동 단말기(212)에 대해 전달할 SMS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전환하여 송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는 다수의 이동 단말기(210) 및 타사 이동 단말기(212)로 전달할 SMS 메시지에 대응되게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
HLR(232)은 도 1에서 설명한 HLR(132)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이동 단말기(210, 21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이동 단말기(210, 212)는 프로그램 메모리(302), 키입력부(304), LCD 표시부(306), 데이터 저장부(308), 모드 상태 저장부(310), 가입자 정보 저장부(312), 마이크로 프로세서(314),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칭함)(316), 베이스밴드 변환부(318), 스피커(320), 마이크로폰(322), 안테나(324), RF 신호 처리부(326)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302)에는 단말기 자체의 기능을 구현하고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다.
키입력부(304)는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와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이를 음성으로출력하도록 하는 기능키도 구비하고 있다. 이 기능키는 "Send" 키나 "*" 키, "#" 키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LCD 표시부(306)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며, 데이터 저장부(308)는 단말기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키입력부(304)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단말기로 수신된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모드 상태 저장부(310)는 키입력부(304)에 의해 선택된 현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312)에는 가입자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가입자 정보는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로서, 상기 가입자 정보 저장부(312)는 카드 형태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이동 통신망에서 이용하는 통상적인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모드 상태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근거로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LCD 표시부(306)로 표시해 주는 기능을 제어한다. 이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로 전송한다(TX DATA).
DSP(316)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DSP(316)는 베이스밴드 변환부(318)와 음성데이터(SPEECH)를 주고 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는 RF 신호 처리부(326)와 DSP(316), 스피커(320), 및 마이크로폰(322)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스피커(32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322)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326)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326)의 전력(POWER)을 제어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326)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안테나(324)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RF 신호 처리부(326)는 안테나(324)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RF 신호 처리부(326)로 출력한다.
도 4는 음성 서비스 서버(24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음성 서비스 서버(240)는 프로그램 저장부(410), 메모리(420), 제어부(430), 표시부(4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이하 'NIC'라 칭함)(450), 데이터베이스 서버(460), 키입력부(470)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410)는 SMS 센터(140)로부터 전송되어 온 SMS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음성 변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420)는 제어부(4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43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특히 SMS 센터(140)로부터 SMS 메시지가 전송되어 오면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수신할 이동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고, 이후 수신할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표시부(440)는 음성서비스 서버(24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Monitor) 형태로 제공되며, 키입력부(470)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 뿐만 아니라 SMS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요청에 대한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NIC(45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 230) 및 SMS 센터(140)와의 통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60)는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60)는 SMS 메시지가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거나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요청시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해당 음성 메시지를 읽어오는 기능을 한다. 또한, 키입력부(470)에 의해 수정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60)는 예컨대, 오라클(Oracle)사의 "Oracle 9i DB Release 2" 서버 프로그램이나, 마이크로 소프트(MicroSoft)사의 "MS-SQL 서버 2000"의 서버 프로그램 등으로 음성서비스 서버(24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된다.
키입력부(470)는 관리자가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정보 내용을 수동적으로 새로이 추가하거나 갱신할 때 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사용한다. 또한, 프로그램 저장부(410)의 음성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경우에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성 서비스 시스템(200)의 동작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설명의 편리를 위해 이동 단말기(210)를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로 하고, 타사 이동 단말기(212)를 S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타사 "016" 이동 통신망의 가입자인 타사 이동 단말기(212)에서 S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 이동 단말기(210)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물론, 동일한 "011" 이동 통신망의 가입자인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과정도 동일하다.
타사 이동 단말기(212)를 소지한 이용자는 키입력부(304)를 조작하여 단문 메시지 내용의 문장을 작성하고, 수신할 이동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타사 이동 단말기(21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RF 신호 처리부(326)를 통해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무선 신호는 타사 무선 기지국(220)으로 전송된다. 타사 무선 기지국(220)은 수신한 무선 신호를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으로 전달한다.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은 전송 데이터를 SMS 센터(140)로 전달하고, SMS 센터(140)에서는 수신한 전송 데이터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으로 전송해 준다.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은 수신 이동 단말기의 번호를 근거로 이를 관할하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SMS 메시지가 포함된 전송 데이터를 전송해 준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전송 데이터를 음성 서비스 서버(240)로 전달해 줌과 더불어 무선 기지국(120)을 거쳐 이동 단말기(210)로 전송해 준다(S510).
음성 서비스 서버(2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데이터를 근거로, 송신 이동 단말기 번호, 수신 이동 단말기 번호, SMS 메시지 및 SMS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해 둔다.
즉, 음성 서비스 서버(240)의 제어부(430)는 전송 데이터 중 SMS 메시지를 프로그램 저장부(410)의 음성 변환 프로그램에 따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고, 이 음성 메시지를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송신 이동 단말기 번호와, 수신 이동 단말기 번호, SMS 메시지에 대응시켜 저장해 두는 것이다(S520).
이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210)가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거쳐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 접속하여 상기 SMS 메시지 내용을 음성으로 확인하기까지 보관해 두기 위함이다.
한편, 무선 기지국(120)을 거쳐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4)가 상기 SMS 메시지를 LCD 표시부(306)로 표시함과 더불어 스피커(320)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을 출력한다(S530).
따라서, 이동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210)로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사용자는 수신한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210)의 키입력부(304)에 구비된 "Send" 기능키를 입력한다.
이동 단말기(210)의 키입력부(304)에 구비된 "Send" 키는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상대방 전화 번호를 입력한 후 누르는 통화키이나, 본 발명에서는 SMS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는 기능키로 동작한다. 물론,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더라도 사용자가 곧바로 "Send"키를 누르지 않고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Send"키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Send"키는 통화키로 동작한다.
이동 단말기(2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수신한 상기 SMS 메시지를 데이터 저장부(308)에 저장한다. 이는 이동 단말기(210)의 사용자로 하여금 나중에 다시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저장된 SMS 메시지는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SMS 메시지에 대응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 서비스 서버(240)의 콜백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210)의 LCD 표시부(306)로 SMS 메시지가 표시되고, 스피커(320)로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이 출력되어, 이동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신한 SMS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기 위해 키입력부(304)에 구비된 "Send"키를 입력한다(S540).
이동 단말기(2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키입력부(304)로부터 SMS 메시지의 음성 출력키, 즉 "Send"키가 입력되면, 무선 기지국(120)과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거쳐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 접속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210)는 자신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접속한다(S550).
음성 서비스 서버(240)는 접속된 이동 단말기(210)의 가입자 정보를 근거로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를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210)의 번호를 찾고, 이에 대응된 음성 메시지를 읽어온다.
그리고, 음성 서비스 서버(240)는 음성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거쳐 현재 접속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210)로 전송해 준다(S560). 따라서, 이동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의 스피커(320)를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210)가 수신한 SMS 메시지를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서 음성으로 제공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210) 자체에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2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10)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성에서, 텍스트 데이터로 된 SMS 메시지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610)를 구비하게 된다.
즉, 이동 단말기(210)로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수신한 SMS 메시지를 문자 데이터로 데이터 저장부(308)에 저장해 두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304)로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 또는 "#"키가 입력될 경우, 데이터 저장부(308)에 저장되어 있는 SMS 메시지 데이터를 음성 변환부(610)를 통해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DSP(316)와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를 거쳐 스피커(320)로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같은 조건으로 하여, 이동 단말기(210)를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로, 타사 이동 단말기(212)를 S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타사 이동 단말기(212)는 타사 "016"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단말기로서, 타사 이동 단말기(212)에서 S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과정부터 설명하고, 이어 이동 단말기(210)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타사 이동 단말기(212)를 소지한 이용자는 키입력부(304)를 조작하여 SMS 메시지 내용의 문장을 작성하고, 수신할 이동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타사 이동 단말기(21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RF 신호 처리부(326)를통해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무선 신호는 타사 무선 기지국(220)으로 전송된다. 타사 무선 기지국(220)은 수신한 무선 신호를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으로 전달하며,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은 전송 데이터를 SMS 센터(140)로 전달한다(S710).
SMS 센터(140)에서는 수신한 전송 데이터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으로 전송해 준다. 타사 이동통신 교환국(230)은 수신 이동 단말기의 번호를 근거로 이를 관할하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SMS 메시지가 포함된 전송 데이터를 전송해 준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전송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20)을 거쳐 이동 단말기(210)로 전송해 준다(S720).
음성 서비스 서버(2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데이터를 근거로, 송신 이동 단말기 번호, 수신 이동 단말기 번호, SMS 메시지 및 SMS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해 둔다.
한편, 무선 기지국(120)을 거쳐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4)가 상기 SMS 메시지를 LCD 표시부(306)로 표시함과 더불어 스피커(320)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을 출력한다(S730).
따라서, 이동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210)로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사용자는 수신한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210)의 키입력부(304)에 구비된 "Send" 키를 입력한다. 여기서, "Send"키 대신에 "*" 또는 "#" 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210)의 키입력부(304)에 구비된 "Send" 키는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상대방 전화 번호를 입력한 후 누르는 통화키이나, 본 발명에서는 SMS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는 기능키로 동작한다. 물론,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더라도 사용자가 곧바로 "Send"키를 누르지 않고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Send"키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Send"키는 통화키로 동작한다.
이동 단말기(2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수신한 상기 SMS 메시지를 데이터 저장부(308)에 저장한다(S740). 이는 이동 단말기(210)의 사용자로 하여금 나중에 다시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 단말기(210)의 LCD 표시부(306)로 SMS 메시지가 표시되고, 스피커(320)로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이 출력되어, 이동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신한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기 위해 키입력부(304)에 구비된 "Send"키를 입력한다(S750).
이동 단말기(2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4)는 키입력부(304)로부터 SMS 메시지의 음성 출력키, 즉 "Send"키가 입력되면, 데이터 저장부(308)에 저장되어 있는 SMS 메시지 데이터를 읽어와 음성 변환부(610)에 의해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DSP(316)와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를 거쳐 스피커(320)로 음성으로 출력한다(S760).
따라서, 이동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의 스피커(320)를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SMS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한 채 이동하고 있는 중에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도, 간단한 키조작에 의해 즉시로 수신한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여 그 내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나이가 많은 연장자인 경우에도, 수신한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확인하게 됨으로써, 종래 SMS 문자 메시지를 돋보기나 안경 등을 사용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8)

  1.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하여 무선 신호로 송출하거나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210);
    상기 전송할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SMS 센터(140);
    상기 이동 단말기(210)에서 송출된 상기 전송할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140)로 전달하는 이동 통신망(220, 230);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210)에서 음성 출력 요구시 음성 메시지로 송출해 주는 음성 서비스 서버(240); 및
    상기 이동 단말기(210)의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통신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대해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국(230);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210)에서 발생하는 통화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23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기지국 전송기(222); 및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 오프를 포함한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며, 위치 등록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기(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자체의 기능을 구현하고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수신한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접속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302);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와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는 키입력부(304);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거나 수신한 SMS 메시지를 표시해 주는 LCD 표시부(306);
    단말기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수신한 상기 SMS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08);
    상기 키입력부(304)에 의해 선택된 현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310);
    상기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가입자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312);
    상기 키입력부(304)에 의해 수신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로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4);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DSP:316);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베이스밴드 변환부(318);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320);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322);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24); 및
    상기 안테나(324)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RF 신호 처리부(32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는,
    상기 SMS 센터(140)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음성 변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410);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SMS 센터(140)로부터 상기 SMS 메시지가 전송되어 오면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수신할 이동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고, 이후 수신할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430);
    상기 제어부(4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메모리(420);
    상기 SMS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요청에 대한 처리 현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440);
    상기 이동 통신망(220, 230) 및 상기 SMS 센터(140)와의 통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450);
    상기 SMS 메시지가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210)로부터 상기 SMS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요청시 상기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해당 음성 메시지를 읽어오는 기능을 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60); 및
    상기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내용을 수동적으로 새로이 추가하거나 갱신할 때 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사용하는 키입력부(4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할 메시지는 타사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타사 이동 단말기(212)에서 작성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304)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키는 "*" 또는 "#", "Send"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는 타사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타사 이동 단말기(212)로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도,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8.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하여 무선 신호로 송출하거나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210, 212); 상기 전송할 메시지를 상기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SMS 센터(140); 상기 이동 단말기(212)에서 송출된 상기 전송할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140)로 전달하는 이동 통신망(220, 230);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210)에서 음성 출력 요구시 음성 메시지로 송출해 주는 음성 서비스 서버(240); 및 상기 이동 단말기(210, 212)의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250)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 단말기(212)에서 상기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SMS 센터(140)를 거쳐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와 수신 이동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서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212)의 번호와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의 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에서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에서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로 요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에서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가 수신한 상기 SMS 메시지를 LCD 표시부로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가 수신한 상기 SMS 메시지에는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SMS 메시지에 대응된 상기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음성 서비스 서버(240)의 콜백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의 키입력부(304)에 구비된 "Send"키 또는 "*", "#"키 중 하나를 선택 입력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12.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음성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무선 신호로 송출하거나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SMS 메시지의 음성 출력 명령시 음성으로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210);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SMS 센터(140); 및
    상기 이동 단말기(210)에서 송출된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140)로 전달하는 이동 통신망(220, 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210)는,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변환부(610);
    단말기 자체의 기능을 구현하고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302);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와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는 키입력부(304);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거나 수신한 SMS 메시지를 표시해 주는 LCD 표시부(306);
    단말기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수신한 상기 SMS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08);
    상기 키입력부(304)에 의해 선택된 현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310);
    상기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가입자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312);
    상기 키입력부(304)에 의해 수신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4);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DSP:316);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베이스밴드 변환부(318);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320);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322);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24); 및
    상기 안테나(324)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318)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RF 신호 처리부(32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통신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대해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국(230);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21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23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기지국 전송기(222); 및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 오프를 포함한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며, 위치 등록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기(2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304)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키는 "*" 또는 "#", "Send" 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
  16.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무선 신호로 송출하거나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SMS 메시지의 음성 출력 명령시 음성으로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210, 212);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SMS 센터(140); 및 상기 이동 단말기(212)에서 송출된 상기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140)로 전달하는 이동 통신망(220, 230)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 단말기(212)에서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작성해 상기 이동 통신망(220, 230)을 거쳐 상기 SMS 센터(140)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SMS 센터(140)에서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상기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수신 이동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을 출력하거나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가 상기 SMS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에서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SMS 메시지의 음성 출력에 대한 키입력이 있으면, 저장되어 있는 상기 SMS 메시지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수신 이동 단말기(210)의 키입력부(304)에 구비된 "Send"키 또는 "*", "#"키 중 하나가 선택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전송할 문자 메시지는 타사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타사 이동 단말기에서 작성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KR1020020064699A 2002-10-22 2002-10-22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5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699A KR20040035525A (ko) 2002-10-22 2002-10-22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699A KR20040035525A (ko) 2002-10-22 2002-10-22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525A true KR20040035525A (ko) 2004-04-29

Family

ID=3733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699A KR20040035525A (ko) 2002-10-22 2002-10-22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55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269A (ko) * 2002-11-20 2004-05-28 인철환 유무선 복합 다기능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42577B1 (ko) * 2004-12-14 2006-11-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60063B1 (ko) * 2004-02-10 2006-12-26 주식회사 엠키 문자 메시지의 음성 변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8914B1 (ko) * 2005-07-19 2007-12-27 박임복 에스엠에스 문자를 이용한 양방향 메시지 서비스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94A (ko) * 1998-08-13 2000-03-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20010027175A (ko) * 1999-09-10 2001-04-06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58733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20028501A (ko) * 2000-10-10 2002-04-17 김철권 통신망에서의 음성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간의 변환 방법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94A (ko) * 1998-08-13 2000-03-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20010027175A (ko) * 1999-09-10 2001-04-06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58733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20028501A (ko) * 2000-10-10 2002-04-17 김철권 통신망에서의 음성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간의 변환 방법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269A (ko) * 2002-11-20 2004-05-28 인철환 유무선 복합 다기능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60063B1 (ko) * 2004-02-10 2006-12-26 주식회사 엠키 문자 메시지의 음성 변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2577B1 (ko) * 2004-12-14 2006-11-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88914B1 (ko) * 2005-07-19 2007-12-27 박임복 에스엠에스 문자를 이용한 양방향 메시지 서비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6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종료 후 이동통신망에서의음성 녹음 방법 및 시스템
JP4403349B2 (ja) 電話の加入者管理装置、電話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着信履歴情報の管理方法
KR20040035521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친구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5525A (ko)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05333A (ko)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34260A (ko) Sms를 이용한 인스탄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66598B1 (ko)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66858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번호 원격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04384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모임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87716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신 마취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200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 전환시스템 및 방법
KR100466861B1 (ko) 유무선 통합형 사설망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488369B1 (ko) 무선 인터넷 책갈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801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1440A (ko) 무선 인터넷 배너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90690B1 (ko)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의 실시간 수신을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35694A (ko) 전자메일을 통한 문자메시지 전달 방법
KR2004010551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40027130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대리 운전자 보험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70002149A (ko)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로 개인 공개 프로필 정보를획득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KR20040091416A (ko) 수신자 부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72262B1 (ko) 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와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0514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KR20040081220A (ko) 비동기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장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