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488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488B1
KR102197488B1 KR1020190041410A KR20190041410A KR102197488B1 KR 102197488 B1 KR102197488 B1 KR 102197488B1 KR 1020190041410 A KR1020190041410 A KR 1020190041410A KR 20190041410 A KR20190041410 A KR 20190041410A KR 102197488 B1 KR102197488 B1 KR 10219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et
amount
pay
consumer
p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058A (ko
Inventor
안승원
Original Assignee
안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원 filed Critical 안승원
Priority to KR102019004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4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06Q30/0216Investment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지불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은 소비자가 지정한 금액으로 지갑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지갑이 생성되면 생성된 지갑의 구조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으로 구분하고, 각 월렛에 적립되는 금액을 지갑생성 금액에 따라 산출하는 월렛서버; 를 포함하고, 월렛서버는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투자한 금액을 거래코인 및 포인트 토큰으로 교환하여 소비자와 가맹점에게 수익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SYSTEM FOR PAYING USING BLOCK CHAIN AND METHOD FOR PAYING USING THEREOF}
페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불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해 소비자의 투자 금액에 따라 현금처럼 이용할 수 있는 페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지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불리고,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정보는 다양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도 매우 광범위하다. 대표적으로 블록체인은 가상통화에 사용되는데, 이때는 블록에 금전 거래 내역을 저장해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전송하고, 거래 때마다 전송된 데이터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밖에도 전자 결제나 디지털 인증뿐만 아니라 화물 추적 시스템, P2P 대출, 원산지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추적하거나 예술품의 진품 감정, 위조화폐 방지, 전자투표, 전자시민권 발급, 차량 공유, 부동산 등기부, 병원 간 공유되는 의료기록 관리 등 신뢰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기술이다.
특히, 블록체인은 모바일 또는 온라인을 통한 지불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미리 해결되어야 할 여러 문제점이 있다. 그 중 한가지 문제는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된 금액을 사용하기 위한 수요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수요처는 재화나 용역의 판매자가 되는데,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판매자들이 당면한 문제는 페이를 본인이 받더라도 그 페이를 2차적으로 받아 줄 판매자가 존재해야 한다.
이러한 해결 과제는 지속적으로 시스템에 가입할 가맹점, 소비자, 판매자를 모집하고, 가입한 고객에 수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하므로 해결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현재에는 블록체인으로 생성되는 페이의 미래 지향성과 수익성이 있다 하더라도 당장 비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니 페이는 그저 페이퍼 머니(Paper money)에 불과한 상황이다.
1. 한국 특허공개 제 10-2018-0123967 (2018.11.20) 2. 한국 특허등록 제 10-1919586 (2018.11.12)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판매자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월렛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지불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지갑이 생성되면 이를 크레디트 월렛과 비즈니스 월렛으로 구분하고, 비즈니스 월렛은 현금처럼 판매자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크레디트 월렛에는 금액에 따라 이자가 누적되도록 하고, 매일 일정수준의 페이가 적립되도록 하여 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및 판매자가 시스템 조합 가입으로 인한 이자 수익을 창출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은 소비자가 지정한 금액으로 지갑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지갑이 생성되면 생성된 지갑의 구조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월렛에 적립되는 금액을 지갑생성 금액에 따라 산출하는 월렛서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월렛서버는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투자한 금액을 거래코인 및 포인트 토큰으로 교환하여 소비자와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인 가맹점에게 수익을 발생시킨다.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시스템(A)은 소비자가 지정한 금액으로 지갑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지갑이 생성되면 생성된 지갑의 구조가 비즈니스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월렛에 적립되는 금액을 지갑생성 금액에 따라 산출하는 비즈니스 월렛서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비즈니스 월렛에서 생성되는 페이의 금액을 사용하는 시스템(B)을 생성하여 기존의 페이시스템(A)을 응용하는 시스템이다. 소비자와 가맹점간에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소비자가 투자한 금액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B)에 아이디를 생성하게 되면 기존의 페이시스템(A)의 크레디트월렛에서 비즈니스월렛으로 매일 적립되는 금액이 소비자 지불시스템(B)에 자동산출 적립되며 소비자 지불 시스템에서는 판매점에 사용하기 위한 방식으로 지불코인으로 자동 전환되어 지불시스템(B)에 가입한 판매점(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은 (A) 사용자 단말은 페이시스템에 가입하고, 소비자가 지정한 금액으로 지갑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월렛서버는 지갑이 생성되면 생성된 지갑의 구조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으로 구분하고, 각 월렛에 적립되는 금액을 지갑생성 금액에 따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B) 단계; 는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투자한 금액으로 거래코인을 교환하여 소비자 및 가맹점에게 수익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C)복수개의 판매자 서버에서 비즈니스 월렛에 누적된 금액으로 서비스 또는 상품 금액을 지불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확립되는 경우, 가입 사용자 별 이자 수익이 근로 없이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과 국가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국가가 추진하고 있는 복지 시스템이나 노령 연금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고, 기초 생활 수급자에 대한 지원 등 다양한 개인적, 국가적 투자 및 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불방법이 정착되는 경우, 블록체인의 수요 및 공급처가 안정적으로 운용되므로 소비자간 거래에 대한 수급이 조절되어, 경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재화나 용역의 판매자에게 현금을 보전할 수 있고 판매자는 그 페이를 다른 판매자가 받아줄 수 있는 유통의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어느 단계의 판매자라 할지라도 현금 보전과 자신의 판매에 대한 제품이나 용역의 가치에 대한 불만이 없는 구조가 되면 페이는 보편성을 가지게 되고 소비자 판매자 모두 합리적인 인정하에 페이 시스템이 자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품 생산자 그리고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이익을 주고,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페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월렛서버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일차 별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의 페이 변화를 나타낸 표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 수에 의해 달라지는 현금교환 비율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의 수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가맹점의 현금 보전율을 표시한 도면
도 8은 실시예에서 조합원 비즈니스 월렛의 페이가 조합거래소의 코인으로 변환된 경우 금액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페이시스템의 조합원 월렛과 조합거래소 지불 코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조합원인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에 표시되는 페이와 코인 사용 현황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조합거래소의 코인현황과 코인, 현금 교환 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은 월렛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판매자 서버(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에 가입하고, 소비자가 지정한 금액으로 지갑을 생성한다.
월렛서버(200)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페이시스템에 가입하는 소비자의 개인 정보 및 기기정보를 이용해 동기화 하고, 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의 지갑이 생성되면 생성된 지갑의 구조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으로 구분한다. 이후, 월렛서버(200)는 소비자가 비즈니스 월렛의 페이를 사용한 횟수 및 금액, 사용 그룹, 지갑생성 금액에 따라 각 월렛에 적립되는 금액을 산출한다.
또한, 월렛서버(200)는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투자한 금액으로 거래코인을 교환하여 소비자 및 가맹점에게 수익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판매자 서버(200)은 비즈니스 월렛에 누적된 금액으로 서비스 또는 상품 금액을 지불 받을 수 있는 복수의 판매자 단말이 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페이 시스템은 조합거래소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합거래소 서버는 소비자, 가맹점을 포함하는 조합원을 관리하고, 상기 조합원의 월렛 금액을 누적 시간과 양에 따라 일정부분 조합코인으로 변경한다. 예컨대, 조합거래소 서버는 조합원 월렛에 포함된 페이를 기설정된 변환율을 적용하여 조합코인으로 환산하고, 상기 조합원의 페이 수익 일정 기간이상 누적된 경우, 누적된 수익을 일정부분 조합거래소로 전송하도록 요청하여 조합원들의 재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조합원은 월렛에서 발생된 수익이 일정 기간 적립되면 월렛의 페이를 조합 거래소의 페이지갑으로 전송해야 한다. 조합거래소로 전송할 때는 페이가 코인으로 전환되는데, 페이와 코인의 전환 비율은 조합원의 수와 수익에 따라 조합거래소에서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서 조합원 비즈니스 월렛의 페이가 조합거래소의 코인으로 변환된 경우 금액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페이당 0.8코인의 비율로 페이가 조합거래소의 코인으로 변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페이를 조합 거래소로 전송 시 전송하고자 하는 앞의 모든 숫자를 합산해서 보내야 한다. 예컨대, 1일차 숫자와 3일차 숫자와 7일차 숫자를 합산해서 전송할 때 조합거래소 에서 산출한 합산 금액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거래정지 숫자의 범위에 들어가게 된다.
조합원 비즈니스 월렛의 는 개인적으로 크레디트 영역으로 전환되면 실수 배(예컨대 6배수 등)의 숫자가 되지만 조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조합원의 어플리케이션에는 크레디트 영역에서 0.2% 차감되어 비즈니스 영역으로 전환된 후 합산되는 페이의 숫자만 기록된다. 페이 시스템은 조합원이 사용한 페이는 새로운 조합원이 월렛에서 생성된 페이의 판매 및 조합거래소로 전송하는 코인을 통해 새로운 재원을 마련하게 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월렛서버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월렛서버의 데이터 처리 블록은 조합원 관리모듈(110), 월렛금액 산출모듈(130) 및 투자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조합원 관리모듈(110)은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단말 기기정보를 관리하고, 소비자 별 월렛 및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고,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와 소비자를 관리한다. 실시예에서 조합원 관리모듈(110)은 본 시스템에서 금융상품을 제공하기 때문에 필요한 일련의 보안 프로그램 설치 및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의 동기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특히 조합원 관리모듈(110)은 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및 판매자 조합원을 신용등급, 페이 사용 금액 및 판매, 소비 서비스 종류, 가입 기간 등에 따라 그룹(group)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월렛금액 산출모듈(130)은 소비자가 입금한 투자금액에 따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에 입금되는 금액을 산출하고, 투자이익, 소비자의 거래 및 누적 시간에 따라 각 월렛에 저장되는 금액을 산출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월렛금액 산출모듈(130)은 특정 소비자가 추가 금액을 입금하거나, 비즈니스 월렛에 포함된 페이를 소속된 그룹에서 소비할 때마다, 그룹에 속해있는 조합원들이 월렛에 증가되는 페이를 산출한다.
투자모듈(150)은 크레디트 월렛에 누적된 금액으로 블록체인에 투자하고, 투자 수익을 산출 및 분배한다. 특히 투자모듈(150)은 소비자 개개인의 크레디트 월렛에 포함된 페이로 투자한 후 이익 또는 손해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익과 손해를 소비자가 속한 그룹의 다른 소비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투자모듈(150)은 소비자 개개인의 크레디트 월렛 페이로 투자된 상품의 수익률에 따라 크레디트 월렛에 누적된 페이가 다른 조합원의 투자 수익률만큼 증액되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페이지갑 생성모듈(210), 금액설정모듈(230), 운영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페이지갑 생성모듈(210)은 소비자가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에 가입하는 경우, 소비자 기기정보 및 개인정보에 따라 페이지갑을 생성한다. 또한, 금융 프로그램에 설치 및 소비자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데이터 보안을 위한 일련의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금액설정모듈(230)은 페이지갑에 포함되는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 각각에 저장되는 금액을 소비자의 투자 및 소비 금액에 따라 설정한다. 또한, 페이시스템에 포함된 조합원 그룹의 투자수익률을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특정 조합원 그룹으로 가입을 권유하거나, 소비자가 포함된 그룹의 투자 수익률 및 이익률에 따라 비즈니스 월렛 및 크레디트 월렛에 포함된 페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운영모듈(250)은 소비자가 비즈니스 월렛에 있는 금액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 금액과 횟수 사용하는 가맹점에 따라 남겨지는 비즈니스 월렛 금액을 산출하고, 사용자가 크레디트 월렛으로 투자하는 금액 및 상기 월렛서버의 투자수익률, 상기 크레디트 월렛의 생성 기간에 따라 소비자 각각의 크레디트 월렛 금액을 산출한다.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은 소비자가 월렛을 생성하여 유지한 기간이 일정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즈니스 월렛의 잔여 금액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금액을 재충전한다. 또한,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에게는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의 결제 금액과 횟수에 따라 판매자의 비즈니스 월렛에 수익이 누적되도록 한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시스템에서는 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와 소비자의 신용등급, 월렛에 보유된 페이액수, 가입기간, 소비금액 및 회수에 따라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소비자가 페이를 사용하거나 투자 수익률이 생성될 때, 그 이익을 그룹에 소속된 조합원 모두와 공유하도록 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또는 판매자는 직접 투자하지 않아도 같은 그룹에 소속된 다른 조합원의 소비 및 투자 성과에 따라 자신의 월렛에 누적된 페이를 증액시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페이시스템의 지불방법 및 운용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페이시스템을 이용한 지불방법 및 페이시스템 운용방법의 작용(기능)은 데이터 표시 장치 및 시스템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S1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110)에서 개인정보 등 가입정보를 단말에 입력하여 페이 시스템 가입하고, S20 단계에서는 소비자 정보를 월렛서버(130)로 전송한다. S30 단계에서 월렛서버(130)는 전달받은 소비자 정보를 통해 소비자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고 소비자 단말과 동기화 한다.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과정에는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서 클럭 주파수나 비트, 프레임, 워드 등을 일치키는 과정뿐만 아니라, 금융상품 가입을 위한 아이디 생성 및 소비자 개인정보 접근에 대한 보안강화를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도 포함 될 수 있다. 예컨대, 월렛서버(130)는 소비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소비자 개인정보 및 고유 단말정보를 이용해 소비자 별 고유 아이디를 생성한 후 수신한 소비자 개인정보를 삭제하거나, 비밀번호 및 생체 정보 입력을 통해 소비자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소비자가 전송하는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소비자 신원을 확인하여 상품 가입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S40 단계에서는 판매자 단말 및 서버(150)에서 판매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에 가입하고, S50 단계에서 판매자 정보를 월렛서버(130)로 전송한다.
S60 단계에서 월렛서버(130)는 판매자 정보를 전송 받아, 판매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판매자 또는 서버와 동기화 한다. S60 단계에 포함된 동기화 과정에서도 판매자 단말 및 서버로부터 전송된 판매자 고유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삭제 및 보안과정이 수행 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과정에는 판매자 신원 확인을 위한 판매자 고유 정보 전송과정과 암호화 과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과정은 개인 소비자와 가맹점 등 조합원의 거래 히스토리 정보를 추적하거나 거래 히스토리 정보에서 합산 금액 일치 여부를 파악하여 조합원과 서버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는 조합원을 식별하고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특정 조합원과 거래히스토리 중 홀수 또는 짝수 번째 거래 이벤트 발생 시 합산 금액을 확인하여 조합원을 식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합원으로부터 동기화 요청을 받은 날짜가 홀수일 경우, 특정 조합원과 서버의 거래 히스토리 중 첫번째, 세번째, 다섯번째 등 홀수 번째 거래 중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거래 합산 금액 정보를 확인하고 조합원이 서버로 전송한 합산 금액과 서버에 저장된 합산 금액이 일치 하는 경우, 조합원과 서버의 동기화를 완료 시킬 수 있다. 실시예를 설명할 때는 조합원으로부터 동기화 요청을 받은 날짜가 홀수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거래 히스토리를 선택하는 기준 정보는 거래날짜, 조합원의 고유번호, 거래 요청 시간 등 서버 관리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에 사용된 히스토리 정보는 재사용 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합산 금액은 조합원과 서버간 페이 전송 시 전송된 페이의 자리 수를 모두 합산한 값이나 전송 완료된 페이의 합산 값을 산출하여 확인 할 수 있다.
S70 단계에서 월렛서버(130)는 가입된 소비자와 판매자를 관리한다. 예컨대, 소비자와 판매자의 투자 금액, 각 월렛에 누적된 페이 및 투자 수익률을 관리하고, 조합원 그룹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조합원 그룹 생성은 소비자 및 판매자의 월렛 페이 액수, 가입기간, 소비 총액과 횟수 등에 따라 구분되어 그룹이 생성될 수 있다.
S80 단계에서는 월렛서버(130)에서 소비자와 판매자의 투자금액과 수익금액을 산출한다. 실시예에서 월렛서버(130)는 소비자의 비즈니스 월렛 및 크레디트 월렛에 존재하는 페이금액과 소비자 및 판매자가 속한 조합 그룹별 투자 수익률에 따라 생성되는 수익금액을 산출한다. 또한, 소비자가 비즈니스 월렛 페이를 사용하는 횟수와 사용 금액에 따라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페이 및 소비자에게 누적되는 페이를 산출 할 수 있다.
S90 단계에서 월렛서버(130)는 소비자의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에 포함된 금액 각각을 소비자 속한 조합 그룹의 투자 이익과 소비자가 페이를 사용한 액수와 횟수에 따라 산출한다. 또한, S90 단계에서 월렛서버(130)는 소비자가 페이를 사용할 때 사용 금액에 따라 판매자에게 지불되는 페이 및 판매자가 포함된 그룹의 투자 수익률에 따라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페이를 산출한다. 또한, 가입자 별로 크레디트 월렛에서 비즈니스 월렛으로 전환되는 페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실제 이용 예 및 운용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페이 지갑은 소비자가 1페이당 100원~150원의 금액으로 지갑을 생성하면 비즈니스월렛과 크레디트월렛으로 분류된다. 소비자는 자신이 구입한 금액에 따라 페이의 금액이 정해져 지갑이 형성된다. 예컨대, 소비자가 200만원으로 지갑을 생성할 경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페이에 100원을 할당하여 2만개의 월렛이 비즈니스 영역과 크레디트 영역으로 나뉘어 적립된다. 표 1은 비즈니스영역과 크레디트 영역에 분할된 페이를 나타낸 것이다.
단위: 페이
비즈니스 크레디트
16000 4000
실시예에서는 크레디트 영역에 있는 페이를 비즈니스 영역으로 전환하거나 그 반대로 페이를 전환할 수 있다. 만일 비즈니스 영역에 형성된 금액을 크레디트 영역으로 전환할 경우 실시예에서는 비즈니스 영역 금액의 6배수가 되어 크레디트 영역으로 전환된다. 즉, 비즈니스 영역 16000×6=96000개가 되어 크레디트 영역으로 전환되고, 이때, 비즈니스 영역에 있는 금액 4000원과 합하여 크레디트 영역의 개수는 100000개가 된다.
100000개의 페이는 금액으로 10,000,000원이 된다. <표 2>는 비즈니스 영역의 페이를 크레디트 영역으로 전환한 상태의 페이 수를 나타낸 표이다.
비즈니스 크레디트
0 100000
실시예에서 크레디트 영역의 금액은 매일 0.2%가 차감되어 비즈니스 영역으로 전환된다. 표 3은 0.2프로 차감된 가입 1일차의 월렛 영역 별 페이 수를 나타낸다.
비즈니스 크레디트
200 99800
또한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일차 별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의 페이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에서 크레디트 영역은 일종의 은행과 같이 페이를 적립시키고 소비자는 자신의 금액을 크레디트 영역으로 적금하여 매일 이자를 비즈니스 지갑으로 지급받아 비즈니스 지갑에 나오는 금액을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비즈니스 지갑에 지급된 금액을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으나 비즈니스 지갑에 지급된 금액을 사용하지 않고 크레디트 지갑으로 전환하면 비즈니스 금액의 실수 배 (예컨대 6배수)가 되어 크레디트 지갑에 적립이 된다. 표 4는 표 3에 개시된 비즈니스 영역의 페이를 크레디트 영역으로 적립하는 경우 크레디트 영역에 적립되는 페이 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비즈니스 크레디트
0 99800+1200=110000
실시예에서 소비자가 200만원의 금액으로 본 페이 시스템에 가입하는 경우, 크레디트 영역에서 실수 배의 페이를 적립하기 때문에, 10,000,000원을 적금하여 매일 비즈니스 영역으로 이동되는 20000원의 이자 금액으로 생활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매일 이자 금액을 사용하지 않고 크레디트 지갑에 적립할 경우 1년이면 3,770,786×100원=377,078,600원의 금액이 크레디트 지갑에 쌓여 매일 7480 ×100원 = 748,000원의 이자 수익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
즉, 200만원의 금액으로 실시예에 가입한 사용자 라면, 1년 후 매일 748,000원을 수익을 창출한다.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의 페이를 일방적인 페이퍼 머니(Paper Money)에 불과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실시예는 블록체인 기술에 근거한 시스템으로서 소비자(수요자)와 판매자(공급자) 들은 미래 수익을 예상하여 페이에 많은 돈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은 지불 수단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있어 지불 수단이 한 국가만의 거래가 아닌 국가와 국가 각 나라의 국민과 국민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개인간의 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실시예에서는 페이 지갑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페이의 숫자는 많은데 그 페이를 소모할 수 있는 수요처가 있어야 한다. 페이의 수요처는 재화의 판매자나 용역의 판매자가 되는데 실시예에서는 페이 시스템에 판매자 서버 및 판매자 단말이 포함되도록 하여 소비자가 자신이 적립한 페이를 판매자에게 지급하고, 소비자와 판매자는 지급된 페이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10번째 페이지갑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10일간 매일 페이 지갑 현금 방에 모인 페이의 수는 1982.095665가 된다. 1982개의 페이는 가맹점에 지급할 코인으로 기록되어 나타난다. 이는 페이 숫자의 80%가 되어 지불코인으로 나타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불코인 수의 35%가 현금코인과 거래코인으로 자동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실시예에서 현금코인은 가맹점이 회원으로부터 지불 받은 지불코인을 조합에 현금으로 교환 요청 시 현금으로 전환활 수 있는 코인을 말하며 거래코인은 가맹점이 받은 코인을 다른 가맹점 또는 경비로 지급할 수있는 코인이다. 실시예에서 현금코인은 1코인당 100원 이므로 554.96개의 현금코인은 55496원을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는 가치이다. 거래코인은 가맹점이 받은 거래코인을 다른 가맹점에 결재할 수 있는 코인이다. 실시예에서 거래코인 554.96개를 다른 가맹점에 결재할 경우 도 5의 <표 6>에서와 같이 코인 및 토큰으로 변환되어 결제될 수 있다.
만일, 회원이 200만원의 금액으로 페이 지갑을 생성하였을 경우 페이 시스템에 의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페이의 수는 51844개 금액으로 계산하면 5184400원이 된다. 회원이 가맹점에 제품을 구매할 시 페이와 판매금액의 비율은 2:1이다. 예를 들어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판매가격이 10000원이면 페이는 200페이(20000원)이 되는 것이다. 10000원의 제품을 200페이(20000원)에 구매하는 것이다.
200페이를 가맹점에 지불하려면 조합에서 지급하는 코인으로 교환하여야 한다. 200페이를 코인으로 교환하면 160지불 코인이 회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전환 된다. 200페이가 160코인으로 전환되는 이유는 페이 지갑에 200페이가 지급될 경우 현금방과 고정방에 80:20이 되어 적립이 된다. 현금방의 페이는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페이고 고정방의 페이는 사용할 수 없는 페이다. 고정방의 페이의 숫자에서 매일 0.2% 차감되어 현금 방에 적립이 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늦다. 그래서 페이를 코인으로 전환할 시 현금방 페이 숫자를 계산하는 것이다. 회원이 본인의 페이 지갑에 있는 페이를 조합에 지불코인으로 교환하려면 불편하다. 그래서 페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에서 자동으로 페이의 숫자를 계산하여 지불할 수 있는 코인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회원은 10일 이내에 자신의 현금방에 있는 페이를 조합의 페이 지갑에 전송하면 된다. 전환 후 1년간 회원이 적립한 페이의 숫자는 51844개가 된다.
이러한 효과는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규약과 시스템 및 시스템 가입자들간 규약에 의해서 창출 가능하다. 이 규약은 페이를 통화로서의 기능을 갖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임 즉 조합 또는 그룹을 구성함으로써 창출할 수 있다. 여기서 조합 또는 그룹이란 페이 시스템에 가입된 소비자, 판매자 및 소비자와 판매자 의 구성모임으로, 소비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자신의 페이 가치를 조절하고 판매자는 자신의 이익이 있는 범위 내에서 서로 유통되도록 하는 소집단이다.
실시예는 시스템에 가입된 소비자와 판매자의 신뢰도, 페이액수, 가입기간, 소비페이 액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비자와 판매자가 소속되는 조합 또는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은 조합의 규약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의 조합원이 되면 조합 차원에서 조합원간의 거래를 위한 거래 시스템에 의해 거래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때, 페이 지갑의 페이 지급 시스템은 각자가 운영하지만 소비 생활을 하기 위해 가맹점에 지불하기 위해서는 조합 거래 시스템의 운영 규약을 따라야 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 수에 의해 달라지는 현금교환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한 전체 회원의 수가 100만명 이상이 되면 가맹점에 지급할 현금교환 비율의 변동이 있게 된다. 가맹점의 현금 교환비율이 낮아질 수 있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페이를 통한 유통구조가 만들어지고 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소비자 및 판매자의 페이지갑 생성 시 조합에서 인정한 페이 지갑 소유자에 의해 페이 지갑을 생성할 수 있으며 조합에서 인정한 소개자는 조합원이 페이 생성시 설정하는 페이 금액의 일정비율 (예컨대, 30%)만 판매할 수 있다. 예컨대, 페이 시스템의 조합원이 되고자 하는 사람이 200만원의 페이지갑을 만들고자 한다면 소개자는 200만원의 30%에 해당하는 600,000원에 해당하는 금액만 판매할 수 있다. 나머지 70%에 해당하는 1,400,000원은 조합에서 페이를 판매하여 조합원 중 재화 또는 용역판매를 하는 조합원의 현금 보전을 위해 적립된다. 소비자는 자신이 적립한 금액으로 소비자 조합원은 조합 가맹점 어디서라도 제품을 구입할 수 있으며 가맹점에서 발행하는 현금 영수증 처리까지 가능하다.
또한,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 가맹점은 제품 판매가격 대비 160%의 금액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소비자 조합원들이 현금이 아닌 페이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으로 제품을 구매할 때 발생될 수 있는 결과이다. 제품 판매가격 대비 조합원 판매 시 판매 가격이 160%에 대한 세부 항목은 원가 및 경비에 대한 현금 판매 56%, 판매이익 44%, 페이 가맹점 보상 수익 60%가 된다. 이때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인 가맹점 보상 수익은 현재의 시장은 현금 위주의 판매 방식이다. 이는 페이의 판매를 실행하는 선도적인 측면이 있고 소비자 조합원들도 기존의 시장에서 제품을 구입하려면 자신의 현금 소득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오게 된다. 하지만 페이로 제품을 구입하게 될 경우 현금 소득의 감소는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보상 수익을 가맹점에 주게 되는 것이다. 조합원들이 가맹점에 지급하게 될 금액은 일반 페이로 지불하게 되면 자신들이 가맹점에 주게 되는 페이의 보상 수익에 대한 의미가 없게 된다. 그 이유는 가맹점이 일반 페이와 조합원들의 페이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조합원은 페이를 지불할 때 조합원과 가맹점이 상호 보상에 대한 규약의 의미로 조합원이 지급하는 “조합원 거래 코인”을 지불 한다.
이때 거래 코인은 현금과 동일한 가치를 가지는 포인트의 의미를 지닌 코인이다. 실시예에서 조합원이 발행하는 거래 코인은 “1페이당 0.8코인”의 가치를 정해서 거래 코인을 지불한다. 가맹점은 기존“제품 판매가격에서 100원당 2페이”의 가격으로 조합원들에게 판매한다. 예컨대, 가맹점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제품의 판매 가격이 10,000원이라면 조합원에게는 20,000원에 판매하게 되는 결과다. 일반 페이로 제품 값을 지불가치로 환산하면 200페이가 된다. 코인으로 교환하여 지불하면 160코인이 된다.
실시예에서는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조합원이 되면 조합에서 운영하는 조합 앱 프로그램이 조합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고 조합원은 가맹점에서 제품 대금을 지불할 때 조합원 앱 프로그램으로 가맹점과 거래할 수 있다. 이하 조합원의 거래코인 생성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조합원의 거래코인 생성과정 실시예
실시예에서는 조합원의 페이 지갑에서 생성되는 페이의 수치가 페이 지갑과의 연동 없이 조합 서버에서 자동으로 계산하여 조합원의 서버에 저장되어 조합원의 스마트 단말에 사용가능 코인 수량이 표시될 수 있다. 조합원은 사용가능 코인의 범위 내에서 가맹점에서 제품이나 용역의 대금을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합원은 자신이 지불한 코인의 수량에 대해 자신의 페이 지갑에 있는 금액을 10일 단위로 적립되어 있는 페이를 조합 거래소의 페이 지갑으로 전송해야 한다. 10일 단위로 전송이 되지 않을 시 거래 정지가 된다. 페이를 조합 거래소로 전송한 후 조합에 전화를 할 경우 거래는 다시 재개된다.
소비자가 사용한 페이는 조합에서 새로운 조합원이 페이 지갑 생성시 페이의 판매를 통해 새로운 재원으로 마련된다. 1년 경과 후 본인의 페이에서 크레디트 영역의 지갑에 있는 페이의 수를 조합에 증명(사진 또는 직접 방문)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면 본인의 페이 수를 본인의 지갑에 남아 있는 페이의 숫자가100,000개가 될 수 있도록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금액 -200만원 범위) 재충전한다. 크레디트 지갑에 있는 100,000개의 페이의 숫자는 본인이 페이 지갑생성시 지불한 금액이다.
조합원은 새로운 조합원의 가입에 의해 자신의 페이를 재충전할 수 있다. 이때, 본인이 1년 동안 사용한 페이의 숫자는 56,000개 정도가 된다. 조합거래소의 페이 지갑에서 비즈니스 지갑에 쌓인 페이의 숫자이기 때문에 신규 조합원 생성시 200만원의 재원이 마련된다. 조합원 본인이 사용한 페이를 새로운 조합원이 구매하기 때문에 페이를 사용한 조합원은 신규 조합원이 생성되는 한 매년 재 투입금 없이 년 280만원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는 재정 수입이 줄어드는 가운데 물가 상승과 지출의 규모가 커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본인의 생산 소득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소비 지출의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지불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에서 무한대로 페이가 발행되는 것이 아니기에 가능하다. 각 페이 별 제한된 수에서 이미 발행이 되었고 더 이상 페이는 발행이 되지 않는다. 페이 수의 증가는 페이 지갑을 소유하고 있는 페이 회원들에 의해 증가 되고 있기 때문에 조합에서 무제한적인 페이 숫자가 늘지 않는다. 그래서 이미 국제적으로 어느 정도 통용의 길로 가고 있는 페이 시스템의 기술과 기반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의 조합 지불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블록체인 페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조합이어야 한다. 이는 국제적으로 페이 시대가 도래할 때 가장 효율적인 페이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지불 시스템은 소비자의 이익과 함께 제품 또는 용역 판매자의 이익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가맹 판매자의 거래 시스템과 수익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가맹점은 조합원들에게 제품을 판매할 시 제품 판매가 대비 160% 판매가의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품 판매가가 10,000원이라면 16,000원의 판매가로 증액될 수 있다. 이는 조합원이 1년 페이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금액이 페이 가격으로 5,600,000원 이상이다. 페이 조합원이 발생하는 이익이 200만원으로 5,600,000원의 소비 생활을 할 수 있다면 이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수치이며 경제 구조와 유통의 개념에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성립할 수 있는 이론이 아니다. 따라서 제품 구매 시“100원당 2페이”즉“200”원으로 제품을 사겠다는 규약을 하고 모인 집단이 페이 조합이다. 이에 따라 가맹점은 현실적인 문제인 원자재 및 경비의 문제를 현금화 할 수 있는 시스템과 제품 판매 이익에 대해 인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조합원이 인정하는 가맹점 보상 수익시스템을 도입하여 조합을 운영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의 수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가맹점의 현금 보전율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 판매가 10,000원 인 상품의 경우, 조합원인 소비자가 제품 판매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결재 시 지불 금액“10,000”으로 입력하면 조합원이 지불할 지불코인은 “160”으로 표시된다. 상기의 금액과 지불 코인 액수는 페이 서버로부터 분산방식으로 수신하여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소비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에서 자동 산출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일반 페이 지급 방식으로 살펴보자. 만일, 판매가가 “10,000원”이면 페이“200”개가 된다. 페이“200”개면 금액으로“20,000”원에 해당한다.“200”페이를 가맹점에 지급하면 비즈니스 지갑에 “160”크레디트 지갑에 “40”개가 적립된다. 비즈니스 지갑에 적립된 금액은 당장 현금화가 가능한 지갑이고 크레디트 지갑에 적립된 금액은 당장 현금화가 어렵고 매일“0.2%”씩 차감되어 비즈니스 지갑에 쌓이게 되니 매일 “40개”의 0.2%가 차감되어 비즈니스 지갑에 쌓인다 하더라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
“40”개의 0.2%면 매일“ 0.08개”금액으로 환산하면 0.08×100원=“8”원에 해당한다. 따라서, 크레디트 지갑에 쌓인 금액은 조합의 계정에서는 무시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는 수익화 관점에서 비즈니스 지갑에 있는 금액 위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페이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경우에는 수익 구조를 살펴보면 조합원이 가맹점에서 제품을 구매하려면 조합이 인정하는 페이를 지불코인으로 교환해서 거래 해야 한다. “200”토큰이 가맹점의 비즈니스 지갑으로 적립될 금액이“160”임으로 조합원이 지급한“200”페이는“160”코인으로 전환된다. 200페이가 160코인이 됨으로“1페이”당 코인 교환 비율은“0.8”코인이 된다.“0.8”코인당 100원이 된다. 이로 인해, 가맹점은 판매가“10,000”원의 제품을“160”코인에 판매할 수 있는 것이다. 소비자에게 “160”코인을 지불 받으면 가맹점 단말 어플리케이션에는 지불코인, 현금화 코인, 거래코인, 토큰포인트의 4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지불 받은“160”코인에 대해 각 영역별로 나누어 지는 비율 관계는“지불코인”-160. 지불코인 기준 “현금화 코인”-”35%”. “거래코인”-35% “토큰포인트”-30%로 구분될 수 있다.“현금화 코인”은 1코인당“100원”임으로“56원” “거래코인”은“56개”“토큰포인트”는“48”개가 된다. 현금화 코인-가맹점이 거래소에 현금코인을 현금교환 요청 시 24시간 이내 현금으로 교환해서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한다.
거래코인-가맹점이 타 가맹점에 지불하는 코인, 포인트 토큰-가맹점이 조합원에게 제품 판매 시 조합에서 코인을 지불하지 않고 토큰을 지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가맹점이 토큰을 코인으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50개의 토큰 중 50%는 조합원의 포인트 적립이다. 제품을 판매한 가맹점에서 조합원이 재 구매 시 조합원의 어플리케이션에 포인트 코인의 수가 나타난다. 조합원은 제품 구매 후 지불 시 조합원 본인의 지불해야 할 코인과 포인트 코인을 합산하여 지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맹점은 자신이 어떤 단계에서라도 받은 지불 코인이 기존 판매가 대비 현금 56% 를 지급 받을 수 있다. 가맹점의 수익은 일반 판매가 기준으로 현금 56%, 판매마진 포함한 판매 수익 46%, 조합원 보상 수익 34.4% 정도가 된다. 조합 가맹점이 가지는 직접적인 수익은 아니지만 고객관리 포인트 12.8%, 페이 포인트 12.8%를 합치면 160이 된다.
실시예에서는 가맹점이 토큰을 페이코인(샵코인과 같은 개념)으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페이코인은 현금을 교환할 때 지불하는 수수료 코인과 같다. 현금코인을 현금으로 교환할 때 현금교환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데, 이때 페이코인을 현금교환 수수료로 지급한다. 페이코인을 가맹점이 보유하고 있는 토큰으로 구매하면 된다. 현금교환 수수료가 교환하고자 하는 현금 금액의 5%가 되는데 이에 해당하는 금액을 토큰으로 페이코인을 구매해서 지불하면 현금교환이 된다.
페이코인과 토큰의 교환비율은 1:5의 방식이다.
“조합시스템 -> 은행 -> 가맹점”의 처리과정으로 현금이 가맹점 계좌에 입금된다. 또한 페이코인은 조합회원의 수가 증가할 때 가맹점의 “현금코인”, ”거래코인”의 비율이 감소하는데 페이코인은 일반 블록체인의 암호화폐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음으로 가맹점의 수익 보전을 할 수 있다.
조합원이 16,000코인을 지불할 시의 현금 보전율을 살펴보자. 조합원이 16,000코인을 지불할 시 현금 조합원이 1,600,000원의 제품을 코인으로 구매하였을 때, 각 단계별 가맹점이 현금화 하였을 경우 어느 단계에 이르더라도 현금 보전율이 남아 있는 상태가 된다. 조합원의 구매액이 1,600,000원에 이르려면 조합원의 구매 기간이 100일 정도가 소요 된다. 이때 조합에서 보유한 페이의 숫자는 10000개가 넘는다. 신규 조합원에게 페이를 판매하면서 조합원의 현금 보전율은 유지가 되게 된다. 1년간 조합원의 구매 금액이 280만원에서 300만원 정도라고 봤을 때 충분히 가맹점에 현금 보전율은 유지가 되게 되어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페이시스템의 조합원 월렛과 조합거래소 지불 코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현금방 및 고정 방은 소비자 월렛의 비즈니스 월렛 및 크레디트 월렛에 해당하고, 지불코인은 조합원인 소비자의 페이와 사용한 페이에 따라 조합 거래소로 이체된 코인 액수를 나타낸다. 조합원이 조합거래소로 전송한 지불 코인은 조합 시스템에서 페이시스템의 이익률, 새로운 조합원 및 조합원의 페이 사용률 등에 따라 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조합원인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에 표시되는 페이와 코인 사용 현황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합원이 소비자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페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면, 대금지불, 코인현황, 가맹점현황, 상품 및 마켓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소비자가 가맹점에서 코인을 통해 결제하는 경우, 가맹점 정보와 사용가능 코인, 결제금액, 결제코인이 표시되고, 코인으로 결제를 완료한 경우, 지불금액과 지불 후 남아있는 사용가능 코인이 표시된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조합거래소의 코인현황과 코인, 현금 교환 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페이시스템의 조합원은 가맹점의 페이 코인(샵코인)을 매도 및 매수 할 수 있다. 예컨대, 가맹점의 페이 코인 매입 시 토큰으로 매입하고, 투자자의 페이 코인 매입 시 현금매입하도록 한다. 또한, 투자자는 매도한 수량을 24시간 이내에 재 매입하는 경우, 투자자의 토큰 매도 시 페이 코인 시세로 매도하도록 하고 조합에서 코인시세로 매도인에게 입금할 때는 은행 수수료와 거래수수료 제외한 금액을 전달하도록 한다. 이는 선입선출 매도방식으로 수익 발생 범위 내에서 코인을 매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도하고자 하는 수량에 한해서 시세 차익 지급한다. 실시예에서 페이코인 매도, 매수의 시세 결정은 코인 시세차익 내에서 산출된다. 실시예에서는 시세차익의 30%까지 지급하고 연말까지 30%를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 익년의 첫 거래 금액에서 잔여 금액을 환수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세 차익의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거래를 중단 하고 조합 보유코인으로 거래를 진행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조합 보유 코인은 조합의 임원진이 보유한 페이코인이 될 수 있다. 페이 시스템에서 소비자와 가맹점 간 거래 사항 및 페이 코인 거래에 대한 제반 상황은 모두 조합 시스템에 기록된다.
가맹점은 가맹점의 현금교환비율이 25%이고, 거래코인이 25%인 경우, 1차 페이 코인 구매 시 매입시세 100원에 해당하는 토큰으로 매입할 수 있다. 2차 페이코인 구매 시에는 보유토큰으로 매입 시 샵 코인 경매 구입방식을 적용하여 가맹점에 한해 매도 및 매수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샵 코인의 수익 지급은 매도 희망 물량에 한해서 수익을 지급하도록 하고, 샵 코인을 매도 희망으로 24시간 내에 업로드 하지 않은 수량에 한해서는 매도 물량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은 시점부터 거래가 진행되도록 한다. 예컨대 특정 조합원이 보유한 샵 코인 수량인 100,000개 인 경우, 매도 물량을 50,000 개만 업로드 한 경우, 업로드 된 물량에 대해서만 시세차익을 적용하여 수익을 돌려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업로드 한 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매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물량의 수량은 페이 코인 매도 수량이 0이 되는 시점부터 거래가 진행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1차매도와 2차 매도가 희망 수량의 50%씩 분할되어 진행 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술인 페이를 기반으로 한 지불 시스템 조합은 소비자는 무엇을 하든 소비를 하면서 자신의 소득을 뒷받침 할 수 한다. 지출은 소득대비 지불의 수준이 결정 된다. 판매자는 소비자의 줄어드는 소득과 함께 판매 소득이 줄어 든다. 페이 조합 시스템은 소비자의 개인 소득과 관계없이 지불의 수준이 유지되고 판매자는 조합이라는 유대감과 함께 조합원인 소비자에 의해 줄어들지 않는 판매 소득과 상호 보상 관계를 갖는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5)

  1.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에 있어서,
    소비자가 지정한 금액으로 지갑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지갑이 생성되면 생성된 지갑의 구조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월렛에 적립되는 금액을 지갑생성 금액에 따라 산출하는 월렛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월렛서버는
    상기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투자한 금액을 거래코인 및 포인트 토큰으로 교환하여 소비자와 가맹점에게 수익을 발생시키고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은
    비즈니스 월렛에 누적된 금액으로 서비스 또는 상품 금액을 지불 받는 복수의 판매자 단말; 및
    상기 소비자, 가맹점을 포함하는 조합원을 관리하고, 상기 조합원의 월렛 금액을 누적 시간과 양에 따라 일정부분 조합코인으로 변경하는 조합거래소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렛서버는
    상기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단말 기기정보를 관리하고, 소비자 별 월렛 및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고, 상기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를 관리하는 조합원 관리모듈;
    소비자가 입금한 투자금액에 따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에 입금되는 금액을 산출하고, 투자이익, 소비자의 거래 및 누적 시간에 따라 각 월렛에 저장되는 금액을 산출하고, 월렛에 저장된 페이 수에 따라 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인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지불코인, 가맹점이 회원으로부터 결제 금액에 따라 지불 받는 현금코인 및 상기 지불코인의 일정 비율을 차지하는 거래코인과 가맹점에서 지불하는 포인트 토큰을 각각을 월렛에 적립된 페이에 따라 산출하는 산출모듈;
    상기 크레디트 월렛에 누적된 금액으로 블록체인에 투자하고, 투자 수익을 산출 및 분배하는 투자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렛서버는
    판매자 및 소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를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기간, 페이 숫자 및 월렛의 개수, 투자금액에 따라 그룹화 한 조합인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조합원이 페이를 통해 가맹점에서 결제하거나, 조합원의 크레디트 월렛에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수익을 산출하여 그룹에 포함된 조합원에게 제공되는 수익률, 월렛에 제공 페이 및 가맹점에서 현금으로 사용하는 거래코인과 포인트 토큰으로의 전환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월렛서버는
    연간 가입자 수 및 재가입자 수와 조합에 따라 상기 조합원에게 제공되는 페이 및 페이의 현금 환산률을 산출하고
    새로운 소비자를 유치한 소개자가 조합에 가입시킨 소비자의 수에 따라 상기 소개자에게 지급되는 페이 및 현금 환산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소비자가 상기 시스템에 가입하는 경우, 소비자 기기정보 및 개인정보에 따라 페이지갑을 생성하는 페이지갑 생성모듈;
    상기 페이지갑에 포함되는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 각각에 저장되는 금액을 소비자의 투자 및 소비 금액에 따라 설정하는 금액설정모듈;
    상기 소비자가 비즈니스 월렛에 있는 금액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 금액과 결제횟수 및 사용하는 가맹점에 따라 남겨지는 비즈니스 월렛 금액을 산출하고, 사용자가 크레디트 월렛으로 투자하는 금액 및 상기 월렛서버의 투자수익률, 상기 크레디트 월렛의 생성 기간에 따라 소비자 각각의 크레디트 월렛 금액을 산출하는 운영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은
    상기 소비자가 월렛을 생성하여 유지한 기간이 일정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즈니스 월렛의 잔여 금액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금액을 재충전하고,
    상기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에게는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의 결제 금액과 횟수에 따라 상기 판매자의 비즈니스 월렛에 수익이 누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거래소는
    상기 조합원 월렛에 포함된 페이를 기설정된 변환율을 적용하여 조합코인으로 환산하고, 상기 조합원의 페이 수익 일정 기간이상 누적된 경우, 누적된 수익을 일정부분 조합거래소로 전송하도록 요청하여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조합원들의 재원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 시스템.
  9.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은 페이시스템에 가입하고, 소비자가 지정한 금액으로 지갑을 생성하는 단계;
    (B) 월렛서버는 상기 지갑이 생성되면 생성된 지갑의 구조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월렛에 적립되는 금액을 지갑생성 금액에 따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 는
    상기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투자한 금액으로 거래코인을 교환하여 소비자 및 가맹점에게 수익을 발생시키고
    상기 (B) 단계; 는
    상기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단말 기기정보를 관리하고, 소비자 별 월렛 및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고, 상기 페이 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를 관리하는 단계;
    소비자가 입금한 투자금액에 따라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에 입금되는 금액을 산출하고, 투자이익, 소비자의 거래 및 누적 시간에 따라 각 월렛에 저장되는 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크레디트 월렛에 누적된 금액으로 블록체인에 투자하고, 투자 수익을 산출 및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은
    (C)복수개의 판매자 서버에서 비즈니스 월렛에 누적된 금액으로 서비스 또는 상품 금액을 지불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는
    소비자가 상기 시스템에 가입하는 경우, 소비자 기기정보 및 개인정보에 따라 페이지갑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지갑에 포함되는 비즈니스 월렛과 크레디트 월렛 각각에 저장되는 금액을 소비자의 투자 및 소비 금액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비즈니스 월렛에 있는 금액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 금액과 횟수 사용하는 가맹점에 따라 남겨지는 비즈니스 월렛 금액을 산출하고, 사용자가 크레디트 월렛으로 투자하는 금액 및 상기 월렛서버의 투자수익률, 상기 크레디트 월렛의 생성 기간에 따라 소비자 각각의 크레디트 월렛 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은
    상기 소비자가 월렛을 생성하여 유지한 기간이 일정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즈니스 월렛의 잔여 금액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금액을 재충전하고,
    상기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에게는
    페이시스템에 가입한 소비자의 결제 금액과 횟수에 따라 상기 판매자의 비즈니스 월렛에 수익이 누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는
    월렛에 저장된 페이 수에 따라 시스템에 가입한 판매자인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지불코인, 가맹점이 회원으로부터 결제 금액에 따라 지불 받는 현금코인 및 상기 지불코인의 일정 비율을 차지하는 거래코인과 가맹점에서 지불하는 포인트 토큰을 각각을 월렛에 적립된 페이에 따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의 지불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복수개의 판매자 서버에서 비즈니스 월렛에 누적된 금액으로 서비스 또는 상품 금액을 지불 받는 단계; 는
    판매자 서버 및 소비자 단말을 포함하는 페이시스템 조합원과 월렛서버 또는 조합거래소 서버간 보안, 인증 및 식별을 위한 동기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시스템의 지불방법.
KR1020190041410A 2019-04-09 2019-04-09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KR102197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410A KR102197488B1 (ko) 2019-04-09 2019-04-09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410A KR102197488B1 (ko) 2019-04-09 2019-04-09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58A KR20200119058A (ko) 2020-10-19
KR102197488B1 true KR102197488B1 (ko) 2021-01-04

Family

ID=7304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410A KR102197488B1 (ko) 2019-04-09 2019-04-09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662B1 (ko) * 2020-11-06 2022-12-09 김봉건 분산원장 기반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664344B1 (ko) 2023-06-19 2024-05-08 바이즌 주식회사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64346B1 (ko) 2023-07-11 2024-05-10 바이즌 주식회사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455B1 (ko) 2013-01-24 2015-04-06 주식회사 하나은행 전자 지갑을 이용한 가맹점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1908701B1 (ko) 2017-08-14 2018-10-16 오영한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586B1 (ko) 2017-05-10 2018-11-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사물 인터넷 기기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서버, 서비스 제공 단말, 및 사용자 전자 지갑
KR20180123967A (ko) 2018-04-30 2018-11-20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사물 인터넷 기기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서버, 서비스 제공 단말, 및 사용자 전자 지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455B1 (ko) 2013-01-24 2015-04-06 주식회사 하나은행 전자 지갑을 이용한 가맹점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1908701B1 (ko) 2017-08-14 2018-10-16 오영한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 https://blog.naver.com/ceonjoy/221505321368, "라이트닝 피치 월렛, LN 기반 비트코인 이체,결제 서비스 제공" (2019.04.04.) 1부.*
전기통신회선 https://blog.naver.com/neces2/221371087829 ,"존버족을 위해 연 1% 포인트 주는 비트코인지갑 B.bank(비뱅크)" (2018.10.04.) 1부.*
전기통신회선 https://cafe.naver.com/nexontv/1905315, "로얄코인(LoyalCoin)을 소개합니다." (2018.12.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58A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32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based on uniform code issuance, method therefor, and sensing access device
US5592376A (en) Currency and barter exchange debit card and system
AU2001256518B2 (en) Electronic processing system
US20010001856A1 (en) Prepaid cash equivalent card and system
US7066383B2 (en) System for marketing leisure activity services through prepaid tickets
US20210358038A1 (en) Decentralized system for maintaining fractionalized interests in physical assets
KR102094101B1 (ko) 연동형 디지털화폐 시스템 및 그 방법, 전용 디지털화폐와 연동되는 전자지갑 간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45017A (zh) 一种实现全民创业的电子商务方法
CN103718200A (zh) 用于通过电子钱包支付的系统
KR1021974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CN107862570A (zh) 实现大众创业的电子商务方法
JP2008522295A (ja) 顧客ロイヤルティプログラムの運営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904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encoding and global exchange architecture
CN107833098A (zh) 大众创业电商平台
US20220027902A1 (en) Decentralized system for fractionalized tokens
JP201913929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製造方法
CN111445281A (zh) 基于区块链的积分监控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043065A1 (en) Service Based Certificate
JP2019067362A (ja) ポイントシステムを用いた3者型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
KR20210103700A (ko) 캐쉬백 서비스에 기반한 추가 기부창업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659542B1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상품권 발행 및 사용 시스템
US117903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offline payment with virtual currency for nodes included in mobile-based blockchain distributed network
JP3237895U (ja) 報酬分配システム
JP2019067052A (ja) ポイントシステムを用いた3者型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
JP2001344499A (ja) ポイント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