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346B1 -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346B1
KR102664346B1 KR1020230089640A KR20230089640A KR102664346B1 KR 102664346 B1 KR102664346 B1 KR 102664346B1 KR 1020230089640 A KR1020230089640 A KR 1020230089640A KR 20230089640 A KR20230089640 A KR 20230089640A KR 102664346 B1 KR102664346 B1 KR 10266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issuance
function
electronic wallet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혁
Original Assignee
바이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2Cards defining paid or billed services or qua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큰 발행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행자 단말로부터 토큰 발행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 단말로 토큰 발행 요청을 전달하는 발행 요청 전달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행 요청 전달부로 전달받은 토큰 발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큰 발행 승인에 대한 회신과 발행량 정보를 입력받는 발행 승인부, 상기 발행 승인부로부터 입력받은 승인 정보에 기반하여 토큰을 생성하고 발행하는 토큰 발행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갑 생성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전자 지갑 생성부; 및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전자 지갑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발행부에서 발행된 토큰의 입출금 처리하는 입출금 처리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굳이 암호화폐를 구매하지 않아도 내부 토큰으로 수수료가 빠져나가는 구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수료를 지급하기 위해 메인넷의 화폐를 구매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lockchain Mainnet Token Operation Platform Service}
실시예는 블록 체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큰 발행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메인넷에서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인넷에서의 전송 수수료 처리 방법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메인넷의 경우 전송 처리 수수료를 자신들의 메인넷 코인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의 경우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발행한 토큰은 이더리움이 있어야 코인 전송이 가능하다.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전송 수수료는 가스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계산된다. 가스는 트랜잭션의 실행에 필요한 계산 작업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각각의 작업에는 가스 비용이 할당되며, 전체 트랜잭션의 수수료는 사용된 가스 양과 가스 가격을 곱한 값이다. 가스 가격은 트랜잭션을 발행하는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높은 가스 가격을 지불하면 빠른 처리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가"라는 토큰을 발행하고 다른 지갑으로 전송시에 수수료, 즉 가스비용을 이더리움으로 처리해야만 한다. 즉, 발행한 토큰 자체는 이더리움이 없이는 전송이 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더리움(암호화폐)을 구매하는 절차가 복잡하여 일반대중이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더리움 메인넷 뿐 아니라 다른 메인넷도 유사한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따라서 특정 블록체인의 메인넷에서 전송 수수료를 처리하려면 해당 블록체인의 문서나 공식 사이트에서 수수료 관련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KR 10-2021-0013810 A KR 10-2020-0119058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구매하지 않아도 내부 토큰으로 수수료가 빠져나가는 구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수료를 지급하기 위해 메인넷의 화폐를 구매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장치로서, 발행자 단말로부터 토큰 발행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 단말로 토큰 발행 요청을 전달하는 발행 요청 전달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행 요청 전달부로 전달받은 토큰 발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큰 발행 승인에 대한 회신과 발행량 정보를 입력받는 발행 승인부; 상기 발행 승인부로부터 입력받은 승인 정보에 기반하여 만료시간이 설정된 토큰을 생성하고 발행하는 토큰 발행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갑 생성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전자 지갑 생성부;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토큰 발행자에게 가맹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토큰 발행자의 응답에 따라 가맹점으로 등록하는 가맹점 등록부; 및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전자 지갑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발행부에서 발행된 토큰의 입출금 처리하는 입출금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은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실제 화폐 과금 기능인 Redeem 옵션 기능을 이용하여 판매자가 토큰 발행자로부터 받은 반환 토큰을 발행자의 청구서 수신 주소로 지급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나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발행 요청 전달부에서 발행자 단말로부터 토큰 발행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 단말로 토큰 발행 요청을 전달하는 발행 요청 전달 단계; 발행 승인부에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행 요청 전달 단계로 전달받은 토큰 발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큰 발행 승인에 대한 회신과 발행량 정보를 입력받는 발행 승인 단계; 토큰 발행부에서 상기 발행 승인 단계로부터 입력받은 승인 정보에 기반하여 만료시간이 설정된 토큰을 생성하고 발행하는 토큰 발행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갑 생성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전자 지갑 생성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전자 지갑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발행 단계에서 발행된 토큰의 입출금 처리하는 입출금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가맹점 등록부에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토큰 발행자에게 가맹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토큰 발행자의 응답에 따라 가맹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은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실제 화폐 과금 기능인 Redeem 옵션 기능을 이용하여 판매자가 토큰 발행자로부터 받은 반환 토큰을 발행자의 청구서 수신 주소로 지급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구매하지 않아도 내부 토큰으로 수수료가 빠져나가는 구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수료를 지급하기 위해 메인넷의 화폐를 구매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에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에서 등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에서 토큰 발행을 위한 세부 정보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토큰 발행을 위한 세부 정보 제출 후에 제공되는 대시보드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발행에 대한 세부 정보 제공화면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지갑 내 토큰 생성 및 이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에서 수행되는 POS 앱 실행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에서 redeem 옵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넷 가맹점 모드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행 토큰과 글로벌 메타마스크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은 관리자가 확인 후 승인, 승인 후 총 발행량을 입력, 최종 컨펌 후 토큰을 전송하고 관리자모드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큰 발행 솔루션, 거래내역(블록 트렌젝션) 열람 기능, 커뮤니티 사용자 정보 보기(이메일, 이름, 국가, 카드정보) 기능, 사용자 KYC 인증 기능, 사용자 의심계정 설정/삭제 기능, 사용자 계정정보 보기 기능, 사용자 선불카드용 큐알 코드 승인 기능, 토큰 가맹점 승인 기능, 토큰 가맹점 커미션 세팅 기능, 토큰 가맹점 주소 등록 기능 등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솔루션, 스테이킹 오픈 기능, 스테이킹 기간 설정 기능, 스테이킹 완료기간 설정 기능, 스테이킹 입금 기간 설정 기능, 스테이킹 처리 기능, 스테이킹 리퍼럴 기능을 수행하는 토큰 스테이킹 프로그램 솔루션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메이저 암호화폐 계좌 수신/전송 기능, 발행토큰기반 선불카드 신청/핀번호 관리 기능, 위치 중심 토큰 결제 가능 가맹점 찾기 기능, 토큰 개인간 거래 연결 기능, 이중 보안 OTP 장치(메일 인증) 기능, 암호화폐, 발행토큰 테더 교환 기능, 보유한 테더 마스터카드 포인트로 전환 및 사용 기능을 수행하는 토큰 분산지갑 기능 및 가맹점 등록 기능, 페이를 위한 QR 코드 기능, 거래내역 블록체인 검증 기능, 가맹점 정보 업데이트 기능, 스마트폰 포스 앱, 이중 보안장치 OTP 장치 기능, 선불카드 판매 기능, 선불카드 결제 처리 기능, 출금 신청 기능을 포함하는 포스 지갑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행자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발행자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40)의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행자는 발행자 단말(30)을 통해 토큰 발행을 요청한다.
그러면 관리자 단말(40)의 승인 단계를 거쳐서 토큰을 발행받을 수 있다. 발행자는 관리자의 승인에 의해 발행된 토큰을 판매자 단말(60)을 소지하는 토큰 판매자에게 배포한다. 그러면 소비자들은 소비자 단말(50)을 이용하여 토큰 판매자로부터 토큰을 구매한다.
그리고 토큰 발행자는 가맹점 단말(70)을 이용하는 다수의 가맹점(공급업체)들과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가맹점 단말(70)로 POS 앱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도하는 안내메시지를 함께 제공한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70)에 다운로드 및 설치된 POS 앱을 통해 토큰 추가 메뉴를 제공한다. 토큰 추가 메뉴를 클릭하면 해당 가맹점과 제휴 가능한 토큰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선택받은 토큰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행자 단말(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토큰을 발행하고 운영하고자 하는 토큰 발행자가 소지하는 단말 장치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관리자 단말(40)은 토큰 발행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 장치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발행자 단말(30)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발행 요청 전달부(1410)를 통해 발행 요청을 입력하고, 토큰 발행부(1430)에서 발행된 토큰을 활용하기 위한 전자 지갑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발행자 단말(30)은 토큰 발행자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발행자 단말(30)을 이용하여 토큰 판매자에게 배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은 토큰을 발행하고, 발행한 토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은 관리자 모드에서 발행자 단말(30)로부터 신규 토큰 발급에 대한 승인을 수행하거나, 타인에게 토큰 이전에 대한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행자 단말(30)로부터 토큰 추가 발행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토큰 공급 수량 증가에 대한 승인을 처리할 수도 있다. 관리자의 공급 수량 요청 승인에 의해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토큰 수량이 증가하게된다.
또한 관리자 단말(40)은 토큰에 대한 가맹점 가입 계약이 이루어지면 가맹점과 토큰 발행사 간에 계약 체결 내역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는 판매자의 이메일, 발행 토큰의 지갑 주소, 이름, 상태, 회사명, 업종, 수수료(%)정보를 확인하고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은 선불 카드 요청에 따른 인증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2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토큰 발행 요청자에게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발행된 토큰에 대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토큰의 규칙과 조건을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은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스마트 컨트랙트나 토큰 컨트랙트를 관리할 수도 있다. 토큰의 발행, 소각, 이동 등을 처리하며, 토큰의 규칙과 조건을 정의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고, 토큰의 전체 공급량, 소유자 주소, 트랜잭션 기록 등 토큰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다.
도 2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입출력 인터페이스(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발행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 소비자 단말(50), 판매자 단말(60) 및 가맹점 단말(70)과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프로세서(140)가 메모리(12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1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를 거쳐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수신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140)나 메모리(12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 및 서버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기록장치는 메모리(12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2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12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SSD, USB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메모리(12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메모리(120)에 로딩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30)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장치의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3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2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프로세서(14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40)는 발행 요청 전달부(1410), 발행 승인부(1420), 토큰 발행부(1430), 전자지갑 생성부(1440), 입출금 처리부(1450), 선불 카드 처리부(1460) 및 가맹점 등록부(1470)를 포함한다.
발행 요청 전달부(1410)는 발행자 단말(30)로부터 토큰 발행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 단말(40)로 토큰 발행 요청을 전달한다.
먼저, 토큰 발행을 요청하고자 하는 토큰 발행자는 발행자 단말(30)을 이용하여 세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등록 화면을 제공한다.
도 3 은 일 실시에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에서 등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 의 회원 가입을 위한 등록 화면을 통해 세부 정보를 입력하고 시작하기를 클릭한다. 예를 들어 등록 화면은 이름, 이메일, 패스워드 정보 입력필드를 포함한다. 그러면 향후 계정 복구를 위한 시드 정보를 제공해준다.
시드(seed)는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지갑의 개인키를 생성하기 위한 열쇠이다. 개인키는 암호화폐를 소유하고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이다. 블록체인 시드는 개인키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개인키로부터 암호화폐 지갑의 주소와 공개키가 파생된다.
블록체인 시드는 일련의 단어로 구성된 난수이고, 이 단어들은 보통 BIP39(Bitcoin Improvement Proposal 39)라고 하는 암호화폐 지갑 복구 방식의 표준에 따라 선택된다. BIP39은 사용자가 지갑을 잃어버렸을 때나 장치가 손상되었을 때 지갑을 복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등록시 설정한 이메일 정보 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한다.
발행 요청 전달부(1410)는 사용자 단말(20)에서 로그인 후에 토큰 발행을 위한 토큰 세부 정보를 입력받는다.
일 양상에 있어서, 발행 요청 전달부(14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발행하고자 하는 토큰에 대한 이름, 심볼, 발행량 정보, 기 발행된 토큰에 대한 발행량 증가 승인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토큰 발행 요청을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40)로 전달한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에서 토큰 발행을 위한 세부 정보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토큰 발행을 위한 세부 정보가 제출되면 대시보드 화면이 출력된다. 세부 정보 입력 화면은 이름, 기호, 총 발행량, 이메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필드를 포함한다.
발행 승인부(142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발행 요청 전달부(1410)로 전달받은 토큰 발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큰 발행 승인에 대한 회신과 발행량 정보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자의 인증 과정을 거쳐 토큰이 발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발행자에게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이용한 자격 증명을 제공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권한을 확인하여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관리자로부터의 인증 및 권한 부여가 완료되면 토큰을 생성한다. 이때 토큰은 보안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생성되며, 토큰에는 일련의 정보(클레임)가 포함될 수 있다. 토큰은 일정 기간 동안 유효하며, 만료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토큰 발행부(1430)는 발행 승인부(1420)로부터 입력받은 승인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자 단말(40)로부터의 컨펌 후 토큰을 생성하여 발행하고 관리자 모드에서 확인 가능케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토큰 발행부(1430)는 발행 승인부(1420)에서 토큰 발행에 대한 인증 및 권한 부여 완료되면 토큰을 생성한다. 토큰 발행부(1430)는 보안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토큰을 생성할 수 있으며, 토큰에는 일련의 정보(클레임)가 포함될 수 있다. 토큰은 일정 기간 동안 유효하며, 만료 시간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토큰 발행을 위한 세부 정보 제출 후에 제공되는 대시보드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발행에 대한 세부 정보 제공화면 예시도이다.
도 5 의 대시보드 화면과 같이 정상적으로 발행된 토큰 정보를 가시적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발행된 토큰의 총량이 표시된다. 그리고 발행된 토큰에 대한 사용이 이루어지면, 거래 금액 및 사용자 정보가 표시된다.
도 6 은 발행된 토큰을 타인에게 이전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관리자가 토큰 발행에 대한 승인을 완료된 후에는 도 6 과 같이 타인에게 토큰을 이전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과 같이 발행된 토큰의 총량과 발행된 토큰의 이체 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은 토큰 발행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토큰 이체시 이체할 주소와 이체 수량을 입력한 후 이체 요청을 할 수 있다.
전자지갑 생성부(1440)는 사용자 단말(35)로부터 지갑 생성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전자지갑을 생성한다.
전술한 발행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 소비자 단말(50) 및 판매자 단말(60)은 모두 사용자 단말(35)일 수 있다. 즉, 이하 사용자 단말(35)은 발행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 소비자 단말(50) 및 판매자 단말(60) 중 하나일 수 있다.
전자지갑은 사용자가 토큰을 보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지갑을 말한다. 사용자는 전자지갑을 사용하여 토큰을 보관하고, 토큰 전송이나 트랜잭션을 서명하여 블록체인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지갑은 사용자의 개인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토큰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전자지갑은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35)의 전용 앱을 통해 토큰 잔액 조회, 전송 기능, 거래 내역 확인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35)의 전용 앱을 통해 사용자가 토큰을 보유하고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전자지갑 생성부(1440)는 암호화폐 계좌 수신 및 전송 기능, 발행토큰기반 선불카드 신청 및 핀 번호 관리 기능, 위치 중심 토큰 결제 가능 가맹점 찾기 기능, 토큰 개인 간 거래 연결 기능, 이중 보안 OTP 장치(메일 인증) 기능, 암호화폐, 발행 토큰의 교환 기능, 보유한 마스터카드 포인트로 전환 및 사용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을 생성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부(1450)는 사용자 단말(35)에서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전자지갑 생성부(1440)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토큰 발행부(1430)에서 발행된 토큰의 입출금 처리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지갑 내 토큰 생성 및 이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a와 같이 전자지갑에 보유중인 토큰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오른쪽 상단 모서리의 토큰 추가를 클릭하여 토큰 추가할 수 있다. 도 8b과 같이 새로운 토큰이 런칭된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선택받은 토큰에 대해 거래 내역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도 8c와 같이 주소와 QR 코드가 표시된다.
도 8c와 같은 화면에서 해당 주소를 복사하여 관리자 모드를 실행시키고, 도 8d와 같은 팝업을 통해 주소 및 토큰 수량을 입력받고, transfer를 요청하면 토큰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e와 같은 화면을 통해 전자 지갑에 정상적으로 토큰이 입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5)에 탑재된 전용 앱을 통해 전자지갑 내에 토큰을 보유한 사용자들 간에 토큰을 P2P 즉, 개인 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가맹점 등록부(1470)는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토큰 발행자에게 가맹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토큰 발행자의 응답에 따라 가맹점으로 등록한다.
이때 전자지갑 생성부(1440)는 전용 앱을 통해 가맹점 등록부(1470)에서 등록된 가맹점 계정의 포스 전자 지갑을 생성한다.
또한 전자지갑 생성부(1440)는, 가맹점 내 결제를 위한 QR코드 제공 기능, 거래내역 블록체인 검증 기능, 가맹점 정보 업데이트 기능, 스마트폰 포스 앱, 이중 보안장치 OTP 장치 기능, 출금 신청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포스 전자 지갑을 생성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에서 수행되는 POS 앱 실행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a는 가맹점 단말(70)이 POS 앱을 다운로드하면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9b와 같이 토큰 추가 메뉴에서 토큰 추가를 클릭하면 해당 가맹점과 제휴할 수 있는 토큰을 받게 된다.
도 9b의 리스트에 포함된 토큰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9c와 같은 해당 토큰에 대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받기(receive)를 실행하면 해당 가맹점의 결제 주소를 출력한다. 주소를 클릭하여 비용 지불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35)로 보내거나, 도 9d와 같이 생성되는 QR 코드로 스캔하여 지불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맹점의 결제 주소 또는 QR 코드를 인쇄하여 매장 앞에 붙여 넣거나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맹점의 결제 주소에 접속하거나 QR 코드를 스캔하여 지불할 수 있다. 도 9e는 POS 기능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POS 기능 실행을 위해 선불카드를 발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전자지갑 생성부(1440)는 암호화폐 계좌 수신 및 전송 기능, 발행토큰기반 선불카드 신청 및 핀 번호 관리 기능, 위치 중심 토큰 결제 가능 가맹점 찾기 기능, 토큰 개인 간 거래 연결 기능, 이중 보안 OTP 장치(메일 인증) 기능, 암호화폐, 발행 토큰의 교환 기능, 보유한 마스터카드 포인트로 전환 및 사용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을 생성한다.
선불 카드 처리부(1460)는 전자지갑 생성부(1440)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선불카드의 발급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불 카드 처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35)의 전용 앱을 통해 POS 기능을 제공한다.
선불카드의 사용을 위해 선불 카드 처리부(1460)는 선불 카드를 발급하고,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선불 카드는 사용자 지갑의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70)을 통해 선불 카드에 대한 상환 금액에서 충전 금액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70)로 선불 카드를 스캔하면 사용자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가 선불 카드의 사용자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사용자 전자 지갑에서 청구된 금액이 출금되고 선불 카드를 통해 결제가 가능하다.
이때 결제는 블록체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전용 앱을 통해 거래 내역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에서 redeem 옵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Redeem 옵션은 판매자가 토큰 발행자로부터 받은 반환 토큰, 실제 화폐 과금 기능이다. 사용을 클릭하면 받는 토큰은 발행자의 청구서 수신 주소로 지급된다. POS Wallet에 입력된 모든 토큰은 다른 지갑으로 이전할 수 없고, 토큰 발행자의 계약된 주소로만 토큰이 전송 가능하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넷 가맹점 모드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의 가맹점 등록 화면의 예시도이다.
토큰의 가맹점 가입을 원하는 가맹점을 등록했다면 이제 가맹점과 계약 후 커미션을 설정한다. 가맹점과 계약 시 토큰 발행사와 가맹점 간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양식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경우 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토큰 발급자 대시보드로 돌아가서 공급업체 목록을 클릭한다.
그리고 등록된 판매자를 클릭하면 판매자를 위한 기본 정가 정보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판매자의 이메일, 토큰 지갑 주소, 이름, 상태, 회사명, 업종, 수수료(%)가 있다. 관리자는 이름, 업종, 수수료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1b는 토큰 사용 가능한 가맹점의 위치를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업데이트/중단/제거 오른쪽 버튼은 작업 완료 후 업데이트를 하면 시스템에 반영되며,일시 중단을 하면 시스템에 벤더가 노출되지 않는다. remove는 벤더 전체를 삭제하는 메뉴이다.
주소 메뉴는 가맹점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지갑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 따라 토큰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을 보여주기 위한 기능이다.
또한 토큰 트랜잭션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가 청구하면 블록체인 기록이 남게 된다.
업데이트/중단/제거 오른쪽 버튼은 작업 완료 후 업데이트를 하면 시스템에 반영되며, 일시 중단을 하면 시스템에 벤더가 노출되지 않는다. remove는 벤더 전체를 삭제하는 메뉴이다. 또한 잔액 섹션을 통해 판매자가 보유한 토큰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행 토큰과 글로벌 메타마스크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 와 같이 메타 마스크에 네트워크를 추가한다. 메인넷 토큰을 연결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발급 토큰은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운용될 뿐만 아니라 전 세계 메타마스크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다. 즉, 발행된 토큰으로 거래하는 사람들이 잠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b와 같이 필요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하면 메타 마스크에 성공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도 12c와 같이 토큰 가져오기 기능을 통해 토큰을 추가할 수 있다. 토큰을 얻으려면 스마트 계약을 추가해야한다. 일 예로 메타마스크에 코인이 추가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전자 지갑에서 메타마스크 지갑으로 이체가 가능하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의 전용 앱상에서 메타마스크 지갑을 클릭하여 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타 마스크 주소와 보낼 코인 수량을 입력하여 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보안 강화를 위해 이메일 OTP 인증을 더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메타 마스크에서 토큰을 받았는지 토큰이 메타 마스크 지갑으로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인에게 토큰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을 이용한 오픈몰 운영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오픈몰 기능은 제품의 등록 및 판매,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뿐 아니라 페이팔, 현금, 암호화폐등의 다양한 결제 수단의 설정 기능, 제휴 마케팅, 판매 분석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나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큰 발행 요청이 수신되면(S200) 관리자 단말로 토큰 발행 요청을 전달한다(S205).
그리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발행 요청 전달 단계로 전달받은 토큰 발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큰 발행 승인에 대한 회신과 발행량 정보를 입력받는다(S210).
이후에 발행 승인 단계로부터 입력받은 승인 정보에 기반하여 토큰을 생성하고 발행한다(S220).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갑 생성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전자지갑을 생성한다(S230).
일 양상에 있어서, 전자 지갑 생성 단계는 암호화폐 계좌 수신 및 전송 기능, GPG 발행토큰기반 선불카드 신청 및 핀번호 관리 기능, 위치 중심 토큰 결제 가능 가맹점 찾기 기능, 토큰 개인간 거래 연결 기능, 이중 보안 OTP 장치(메일 인증) 기능, 암호화폐, 발행 토큰의 교환 기능, 보유한 마스터카드 포인트로 전환 및 사용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을 생성한다.
이때 전자 지갑 생성 단계는, 가맹점 내 결제를 위한 QR코드 제공 기능, 거래내역 블록체인 검증 기능, 가맹점 정보 업데이트 기능, 스마트폰 포스 앱, 이중 보안장치 OTP 장치 기능, 출금 신청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포스 전자 지갑을 생성한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전자 지갑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토큰 발행 단계에서 발행된 토큰의 입출금 처리한다(S240).
이후에 가맹점 정보를 입력받아 가맹점 등록하고, 전자 지갑 생성 단계는 가맹점 등록 단계에서 등록된 가맹점 계정의 포스 전자 지갑을 생성한다(S250).
그리고 전자 지갑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선불카드의 발급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S260).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35 : 사용자 단말 70 : 가맹점 단말
20 : 네트워크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메모리 130 :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 프로세서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장치로서,
    발행자 단말로부터 토큰 발행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 단말로 토큰 발행 요청을 전달하는 발행 요청 전달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행 요청 전달부로 전달받은 토큰 발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큰 발행 승인에 대한 회신과 발행량 정보를 입력받는 발행 승인부;
    상기 발행 승인부로부터 입력받은 승인 정보에 기반하여 만료시간이 설정된 토큰을 생성하고 발행하는 토큰 발행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갑 생성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전자 지갑 생성부;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토큰 발행자에게 가맹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토큰 발행자의 응답에 따라 가맹점으로 등록하는 가맹점 등록부; 및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전자 지갑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발행부에서 발행된 토큰의 입출금 처리하는 입출금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은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실제 화폐 과금 기능인 Redeem 옵션 기능을 이용하여 판매자가 토큰 발행자로부터 받은 반환 토큰을 발행자의 청구서 수신 주소로 지급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생성부는,
    암호화폐 계좌 수신 및 전송 기능, 발행토큰기반 선불카드 신청 및 핀번호 관리 기능, 위치 중심 토큰 결제 가능 가맹점 찾기 기능, 토큰 개인 간 거래 연결 기능, 이중 보안 OTP 장치(메일 인증) 기능, 암호화폐, 발행 토큰의 교환 기능, 보유한 마스터카드 포인트로 전환 및 사용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선불카드의 발급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선불 카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생성부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가맹점 등록부에서 등록된 가맹점 계정의 포스 전자 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생성부는,
    가맹점 내 결제를 위한 QR코드 제공 기능, 거래내역 블록체인 검증 기능, 가맹점 정보 업데이트 기능, 스마트폰 포스 앱, 이중 보안장치 OTP 장치 기능, 출금 신청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포스 전자 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6. 하나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발행 요청 전달부에서 발행자 단말로부터 토큰 발행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 단말로 토큰 발행 요청을 전달하는 발행 요청 전달 단계;
    발행 승인부에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행 요청 전달 단계로 전달받은 토큰 발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큰 발행 승인에 대한 회신과 발행량 정보를 입력받는 발행 승인 단계;
    토큰 발행부에서 상기 발행 승인 단계로부터 입력받은 승인 정보에 기반하여 만료시간이 설정된 토큰을 생성하고 발행하는 토큰 발행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갑 생성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전자 지갑 생성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전자 지갑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발행 단계에서 발행된 토큰의 입출금 처리하는 입출금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가맹점 등록부에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토큰 발행자에게 가맹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토큰 발행자의 응답에 따라 가맹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은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실제 화폐 과금 기능인 Redeem 옵션 기능을 이용하여 판매자가 토큰 발행자로부터 받은 반환 토큰을 발행자의 청구서 수신 주소로 지급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생성 단계는,
    암호화폐 계좌 수신 및 전송 기능, GPG 발행토큰기반 선불카드 신청 및 핀번호 관리 기능, 위치 중심 토큰 결제 가능 가맹점 찾기 기능, 토큰 개인간 거래 연결 기능, 이중 보안 OTP 장치(메일 인증) 기능, 암호화폐, 발행 토큰의 교환 기능, 보유한 마스터카드 포인트로 전환 및 사용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토큰 분산 지갑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선불카드의 발급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선불 카드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생성 단계는,
    상기 가맹점 등록 단계에서 등록된 가맹점 계정의 포스 전자 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생성 단계는,
    가맹점 내 결제를 위한 QR코드 제공 기능, 거래내역 블록체인 검증 기능, 가맹점 정보 업데이트 기능, 스마트폰 포스 앱, 이중 보안장치 OTP 장치 기능, 출금 신청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포스 전자 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30089640A 2023-07-11 2023-07-11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6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640A KR102664346B1 (ko) 2023-07-11 2023-07-11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640A KR102664346B1 (ko) 2023-07-11 2023-07-11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346B1 true KR102664346B1 (ko) 2024-05-10

Family

ID=9107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640A KR102664346B1 (ko) 2023-07-11 2023-07-11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3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08B1 (ko) * 2018-04-24 2018-10-04 (주)에스씨씨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전자지갑 관리 시스템
KR20190090699A (ko) * 2018-01-25 2019-08-02 김택균 통합 암호화폐 보관 및 보안강화를 위한 월렛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119058A (ko) 2019-04-09 2020-10-19 안승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KR20210013810A (ko) 2019-07-29 2021-0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체인 기반의 스마트 투어리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16147B1 (ko) * 2020-04-20 2021-02-16 이상열 디지털화폐 운영 시스템
JP2022080178A (ja) * 2020-11-17 2022-05-27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交流支援装置、支援対象端末、支援者端末、トークン流通システム装置、交流支援方法、独自トークンに関するリクエスト送信方法、トークン流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699A (ko) * 2018-01-25 2019-08-02 김택균 통합 암호화폐 보관 및 보안강화를 위한 월렛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04208B1 (ko) * 2018-04-24 2018-10-04 (주)에스씨씨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전자지갑 관리 시스템
KR20200119058A (ko) 2019-04-09 2020-10-19 안승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KR20210013810A (ko) 2019-07-29 2021-0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체인 기반의 스마트 투어리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16147B1 (ko) * 2020-04-20 2021-02-16 이상열 디지털화폐 운영 시스템
JP2022080178A (ja) * 2020-11-17 2022-05-27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交流支援装置、支援対象端末、支援者端末、トークン流通システム装置、交流支援方法、独自トークンに関するリクエスト送信方法、トークン流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5104B2 (en) Verification system for secure transmission in a distributed processing network
CN111373429B (zh) 使用数字令牌和安全账本数据库的安全离线交易系统
KR101852935B1 (ko)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EP3405862B1 (en) Network node authentication
US20170372417A1 (en) Digital asset account management
KR20190028517A (ko) 트랜잭션 장치에 의한 디지털 자산 분산
JP2023518923A (ja) デジタル資産交換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11775967B2 (en) Transaction delegation method, transaction deleg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287626B1 (ko) 블록체인 기반 마일리지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63483A1 (en) Merchant card exchange facilitator system
JP6667010B2 (ja) モバイルプリペイドカードの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クローンカード保存装置及びサービス方法
US20120173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uthenticating, implementing, brokering data transfers, and collecting fees for data transfers among distributed electronic devices and servers
KR102010013B1 (ko) 가상결제정보를 이용한 비대면 거래 및 정산 방법, 관리 서버
KR102664346B1 (ko)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30558A (ko) 암호 화폐 거래소의 타거래소 연동거래 운영 방법
KR102664344B1 (ko)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70025B1 (ko)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9203516A1 (ko)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방법
KR10238301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1460A (ko)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안전거래 중개시스템 및 방법
CN114140251B (zh) 一种基于代理重加密的电子门票质押方法和系统
KR102645868B1 (ko)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방법
KR20220028307A (ko)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21168177A (ja) 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方法、及び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システム
KR20200143263A (ko) 가맹점 주도의 결제솔루션 기반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