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129B1 - H형강 면취 장치 - Google Patents

H형강 면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129B1
KR102197129B1 KR1020190146489A KR20190146489A KR102197129B1 KR 102197129 B1 KR102197129 B1 KR 102197129B1 KR 1020190146489 A KR1020190146489 A KR 1020190146489A KR 20190146489 A KR20190146489 A KR 20190146489A KR 102197129 B1 KR102197129 B1 KR 102197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ocessing
processing unit
cutting edg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문택
Original Assignee
서주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주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주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metal, e.g. skat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for travelling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하고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H형강 면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는 웹과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갖는 H형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H형강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H형강의 일 측면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가공하는 제1 가공부, 상기 H형강의 다른 측면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가공하는 제2 가공부, 및 상기 H형강과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 롤러를 갖는 복수의 측부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공부와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Description

H형강 면취 장치{H-BEAM CHAMF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면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형상의 모서리를 면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H형강 등의 용접을 위해서는 용접 부위에 돌출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모서리를 면취한다. 특히, 복공판에 사용되는 H형강에 용접으로 돌출부가 발생하면 자동차가 복공판 위를 운행할 때, 자동차 타이어가 용접 돌출부에 맞닿아 접지되어 운행 시에 용접 돌출부(비드)에 의해 자동차의 브레이크 제동이 되지 않고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복공판에 사용되는 H형강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모서리를 면취한다.
또한, 맞대기 용접은 충분한 용입이 이루어져야 하나, 철강재 상부 용접 시에 용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자동차 운행 시, 피로도에 의해 용접 부분이 파단되는 불량(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H형강의 면취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H형강의 측면 면취 가공은 기계가공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행하고 있는 공정으로 작업자가 핸드면취기, 자동 절삭기계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작업에 의한 면취 공정은 작업성이 떨어지고 면취 가공 부위의 가공면을 균일하게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링머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H형강의 한쪽 측면의 상부 모서리를 가공한 후에 하부 모서리를 가공하고, 다른 쪽 측면 상부 모서리를 가공한 후에 하부 모서리를 가공하여야 하는 등 부위별로 각각 별도로 반복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각 작업마다 균일한 가공 정도를 얻을 수 없어 가공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신속하고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H형강 면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는 웹과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갖는 H형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H형강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H형강의 일 측면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가공하는 제1 가공부, 상기 H형강의 다른 측면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가공하는 제2 가공부, 및 상기 H형강과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 롤러를 갖는 복수의 측부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공부와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들은 각각 상기 웹,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와 맞닿도록 설치되고,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롤러를 가압하는 지지 로드와 상기 지지 로드를 이동시키는 지지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지지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H형강을 가압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1 가공부와 상기 제2 가공부 사이에 상기 웹을 지지하는 복수의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가공부는 상기 H형강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밀링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밀링 커터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된 복수의 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밀링 커터는 제1 높이로 돌출된 제1 절삭날과 상기 제1 높이보다 더 작은 제2 높이로 돌출된 제2 절삭날과 상기 제2 높이보다 더 작은 제3 높이로 돌출된 제3 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2 절삭날은 상기 제1 절삭날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절삭날은 상기 제2 절삭날보다 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롤러를 가압하는 지지 로드와 상기 지지 로드를 이동시키는 지지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일부의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웹과 맞닿도록 설치되며, 일부의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맞닿도록 설치되며, 일부의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부 플랜지와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가공부에는 구동 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제1 가공부는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가공부와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각도 센서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이송부는 복수의 이송 롤러와 상기 이송 롤러를 회전시키는 이송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H형강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를 하부로 가압 지지하는 상부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송 롤러와 대응되는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H형강 면취 가공 장치는 이동하는 H형강의 측면을 이격 배치된 제1 가공부와 제2 가공부를 이용하여 열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밀링 커터의 칼날이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어 가공 시에 열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센서와 회동 실린더를 이용하여 가공부의 경사각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의 제1 가공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의 제2 가공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링 커터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의 제1 가공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머신 설치용 작업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101)는 지지대(20), 이송부(120), 제1 가공부(140), 제2 가공부(160), 구동 모터(130), 측부 가이드부재(110), 상부 가이드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H형강(10)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웹(11)과 웹(11)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상부 플랜지(12), 상부 플랜지(12)와 마주하도록 웹(11)에 고정된 하부 플랜지(13)를 포함할 수 있다. H형강(10)은 상부 플랜지(12) 또는 하부 플랜지(13)에 복수의 사각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무늬 H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늬 H형강은 복공판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H형강(10)은 아무런 무늬를 갖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대(20)는 H형강(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이어진 상부 지지대(21)와 상부 지지대(21)의 하부에서 지면에 대하여 세워져 상부 지지대(22)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상부 지지대(21)는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이송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송부(120)는 H형강(10)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며, 복수의 이송 롤러(121)를 포함한다. 이송 롤러(121)는 상부 지지대(21)에 거치대(25)를 매개로 고정되며, 거치대(25)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120)는 이송 롤러(121)와 이송 롤러(121)를 회전시키는 이송 구동부(125)와 이송 롤러(121)와 이송 구동부(125)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123)를 포함하며, 이송 구동부(125)는 전동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이송 롤러(121)는 상부 지지대(2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H형강(10)을 지지하고 이송시킬 수 있다.
복수의 측부 가이드부재(110)가 H형강(1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일부의 측부 가이드부재(110)는 웹(11)과 맞닿도록 설치되고, 일부의 측부 가이드부재(110)는 상부 플랜지(12)와 맞닿도록 설치되며, 일부의 측부 가이드부재(110)는 하부 플랜지(13)와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측부 가이드부재(110)는 H형강(10)이 지정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하여 H형강(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측부 가이드부재(110)가 웹(11)뿐만 아니라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3)와 맞닿아 지지하면 가열된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부 가이드부재(110)는 H형강(10)과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 롤러(114)와 지지 롤러(114)를 가압하는 지지 로드(113)와 지지 로드(113)를 이동시키는 지지 실린더(112)와 지지 로드(113)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 롤러(11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라켓(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롤러(114)는 지지 실린더(112)에 의하여 H형강(10)에 가압되어 H형강(10)과 맞닿아 회전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12)에는 복수의 상부 가이드부재(170)가 설치되며, 상부 가이드부재(170)는 이송 롤러(121)와 대응되는 상부에 설치된다. 즉, 상부 가이드부재(170)는 이송 롤러(121)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H형강(10)을 이송 롤러(121)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재(170)는 H형강(10)과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 롤러(174)와 지지 롤러(174)를 가압하는 지지 로드(173)와 지지 로드(173)를 이동시키는 지지 실린더(172)와 지지 로드(173)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 롤러(17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라켓(1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공부(140)는 H형강(10)의 일 측면의 상부 플랜지(12)와 하부 플랜지(13)와 맞닿아 가공하며, 제2 가공부(160)는 H형강(10)의 다른 측면의 상부 플랜지(12)와 하부 플랜지(13)를 가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의 제1 가공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가공부(140)는 밀링 커터(150)와 밀링 커터(150)를 지지하는 바디(143)와 바디(143)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 풀리(144)를 포함할 수 있다. H형강(10)의 일측 측면에는 상부 플랜지(12)를 가공하는 제1 가공부(140)와 하부 플랜지(13)를 가공하는 제1 가공부(140)가 각각 설치된다. 밀링 커터(150)는 상부 플랜지(12)의 상단 모서리와 하부 플랜지(13)의 하단 모서리에 각각 맞닿도록 설치되며, 밀링 커터(150)는 상부 플랜지(12)의 상면 또는 하부 플랜지(13)의 하면에 대하여 45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바디(143)는 이송 실린더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공부(140)에는 제1 가공부(14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45)은 플레이트와 바디를 감싸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공부(140)에는 제1 가공부(1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130)가 연결 설치되며, 구동 모터(130)는 모터 본체(131)와 모터 본체(131)에 연결 설치된 구동 풀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풀리(132)와 피동 풀리(144)는 벨트(135)를 매개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피동 풀리(144)와 구동 풀리(132)는 체인, 기어 등의 동력 전달 수단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의 제2 가공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가공부(160)는 밀링 커터(150)와 밀링 커터(150)를 지지하는 바디(163)와 바디(163)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 풀리(164)를 포함할 수 있다. H형강(10)의 다른 측면에는 상부 플랜지(12)를 가공하는 제2 가공부(160)와 하부 플랜지(13)를 가공하는 제2 가공부가 각각 설치된다. 밀링 커터(150)는 상부 플랜지(12)의 상단 모서리와 하부 플랜지(13)의 하단 모서리에 각각 맞닿도록 설치되며, 밀링 커터(150)는 상부 플랜지(12)의 상면 또는 하부 플랜지(13)의 하면에 대하여 45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바디(163)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공부(160)에는 제2 가공부(16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6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65)은 플레이트와 바디를 감싸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공부(160)에는 제2 가공부(16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130)가 연결 설치된다.
제1 가공부(140)와 제2 가공부(160)는 H형강(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1 가공부(140)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 열이 어느 정도 발산된 후에 제2 가공부(160)에 의하여 가공되므로 열의 집중에 의하여 H형강(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링 커터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밀링 커터(150)는 H형강의 모서리와 맞닿아 H형강의 모서리를 면취하여 경사면을 형성한다. 밀링 커터(15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된 복수의 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밀링 커터(150)는 밀링 커터(150)의 선단에서 제1 높이(H1)로 돌출된 제1 절삭날(151)과 제1 높이(H1)보다 더 작은 제2 높이(H2)로 돌출된 제2 절삭날(152)과 제2 높이(H2)보다 더 작은 제3 높이(H3)로 돌출된 제3 절삭날(153)을 포함할 수 있다.
밀링 커터(150)는 3배수의 절삭날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밀링 커터는 9개의 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삭날(151), 제2 절삭날(152), 및 제3 절삭날(153)은 밀링 커터(150)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되,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제1 절삭날(151), 제2 절삭날(152), 및 제3 절삭날(153)이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면, 가공 시에 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절삭날(152)은 제1 절삭날(151)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고, 제3 절삭날(153)은 제2 절삭날(152)보다 더 외측에 설치된다. 즉, 제일 외측에 설치된 절삭날이 가장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제일 내측에 설치된 절삭날이 가장 많이 높이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외측에서 H형강(10)이 밀링 커터(150)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높이가 가장 낮으며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3 절삭날(153)과 H형강(10)이 가장 먼저 맞닿는다.
면취 가공 시에는 마찰로 H형강(10)에 많은 열이 발생하며, 이러한 열은 H형강(10)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열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면취 가공 시에 높이가 가장 낮은 제3 절삭날(153)이 가장 먼저 커팅한 후, 제2 절삭날(152)이 커팅하며, 이후에 제1 절삭날(151)이 커팅하면 한번에 많은 양을 커팅하는 경우에 비하여 절삭 시에 열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커팅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밀링 커터(15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순차적으로 배열된 절삭날에 의하여 커팅이 반복되고, H형강(10)은 이동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커팅되므로 신속하게 면취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101)는 신속하게 가공하면서도 이격배치된 제1 가공부(140)와 제2 가공부(160)에 의하여 열의 집중을 방지하고, 절삭날들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열에 의하여 H형강(10)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의 제1 가공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102)는 지지부(190), 온도 감지 센서(181), 칩 수집부(183)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가공부(140)와 구동 모터(130)는 지지부(19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가공부(160)와 구동 모터(130)도 지지부(19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가공부(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90)와 제2 가공부(160)를 지지하는 지지부(19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1 가공부(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90)에 대한 설명으로 제2 가공부(160)를 지지하는 지지부(190)의 설명을 대체한다.
지지부(190)는 제1 가공부(140)와 구동 모터(13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91)과 지지 프레임(19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192)과 지지 프레임(191)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각도 센서(193)와 지지 프레임(191)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191)을 회전시키는 회동 실린더(19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91)은 제1 가공부(140)와 구동 모터(130)를 지지하며 지면에 고정된 구조물에 중심축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중심축(192)은 지지 프레임(191)을 관통하는 막대로 이루어지며, 지지 프레임(191)은 중심축(19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각도 센서(193)는 중심축(192) 또는 지지 프레임(191)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191)의 회전각을 측정하며, 디지털 각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 실린더(194)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지지 프레임(191)과 연결되어 지지 프레임(191)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 가공부(140)와 H형강(1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회동 실린더(194)를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191)을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1 가공부(140)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공부(140) 및 제2 가공부(160)의 하부에는 칩 수집부(183)가 설치되는데 칩 수집부(183)는 컨베이어 벨트와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 하단에 배치된 수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칩을 용이하게 수집하기 위해서 지지대(20)에는 칸막이(18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칸막이(182)에는 H형상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공과정에서 발생된 칩은 컨베이어 벨트 위에 적재되며, 컨베이어 벨트에 적재된 칩은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하여 수집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H형강(10)의 면취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발생된 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가공을 멈추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칩 수집부(183)가 설치되면 가공을 정지하지 않고도 칩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면취 장치(102)는 온도 감지 센서(181)를 더 포함하는데, 온도 감지 센서(181)는 비접촉식 온도 센서로 이루어지며 H형강(1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감지 센서(181)는 적외선 온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181)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이송 구동부(125)에 신호를 전송하여 H형강(10)의 이송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송 속도가 감소되면 제1 가공부에 의한 가공과 제2 가공부에 의한 가공 사이의 시간이 증가하므로 발생된 열을 방출하여 H형강(10)이 과도하게 가열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 센서(181)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H형강(10)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H형강(1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90)를 이용하여 제1 가공부(140) 및 제2 가공부(160)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칩 수집부(183)를 이용하여 발생된 칩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 센서(181)를 구비하여 H형강(10)이 과열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1, 102: H형강 면취 장치
10: H형강
지대: 20:
21: 상부 지지대
22: 하부 지지대
25: 거치대
110: 측부 가이드부재
112, 172: 지지 실린더
113, 173: 지지 로드
114, 174: 지지 롤러
115: 롤러 브라켓
120: 이송부
121: 이송 롤러
123: 연결 로드
125: 이송 구동부
130: 구동 모터
131: 모터 본체
132: 구동 풀리
140: 제1 가공부
143, 163: 바디
144, 164: 피동 풀리
145, 165, 191: 지지 프레임
150: 밀링 커터
160: 제2 가공부
170: 상부 가이드부재
181: 온도 감지 센서
183: 칩 수집부
190: 지지부
192: 중심축
193: 각도 센서
194: 회동 실린더

Claims (7)

  1. 웹과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갖는 H형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H형강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H형강의 일 측면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가공하는 제1 가공부;
    상기 H형강의 다른 측면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가공하는 제2 가공부; 및
    상기 H형강과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 롤러를 갖는 복수의 측부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공부와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H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들은 각각 상기 웹,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와 맞닿도록 설치되고,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롤러를 가압하는 지지 로드와 상기 지지 로드를 이동시키는 지지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지지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H형강을 가압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1 가공부와 상기 제2 가공부 사이에 상기 웹을 지지하는 복수의 상기 측부 가이드부재들이 설치된 H형강 면취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부는 상기 H형강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밀링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밀링 커터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된 복수의 절삭날을 포함하는 H형강 면취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커터는 제1 높이로 돌출된 제1 절삭날과 상기 제1 높이보다 더 작은 제2 높이로 돌출된 제2 절삭날과 상기 제2 높이보다 더 작은 제3 높이로 돌출된 제3 절삭날을 포함하는 H형강 면취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삭날은 상기 제1 절삭날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절삭날은 상기 제2 절삭날보다 더 외측에 설치된 H형강 면취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부에는 구동 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제1 가공부는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가공부와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각도 센서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H형강 면취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복수의 이송 롤러와 상기 이송 롤러를 회전시키는 이송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H형강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를 하부로 가압 지지하는 상부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송 롤러와 대응되는 상부에 설치된 H형강 면취 장치.
KR1020190146489A 2019-11-15 2019-11-15 H형강 면취 장치 KR102197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89A KR102197129B1 (ko) 2019-11-15 2019-11-15 H형강 면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89A KR102197129B1 (ko) 2019-11-15 2019-11-15 H형강 면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129B1 true KR102197129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89A KR102197129B1 (ko) 2019-11-15 2019-11-15 H형강 면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1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1890A (zh) * 2022-05-19 2022-08-09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机械配件加工用除毛刺设备
CN115492306A (zh) * 2022-08-26 2022-12-20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腹板孔的热轧h型钢及其生产方法
KR20230060228A (ko) 2021-10-27 2023-05-04 서주스틸 주식회사 H형강 면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면취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94A (ja) * 1993-06-25 1995-01-13 Synx Kk 開先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セット定規
JPH10138029A (ja) * 1996-11-08 1998-05-26 Masanobu Naba 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ー、それに使用するチップ及びh形鋼の開先部の加工方法
KR100357748B1 (ko) * 1993-12-14 2003-01-15 그로비 에이/에스 구조재의기계적인모파기를위한모서리연삭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94A (ja) * 1993-06-25 1995-01-13 Synx Kk 開先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セット定規
KR100357748B1 (ko) * 1993-12-14 2003-01-15 그로비 에이/에스 구조재의기계적인모파기를위한모서리연삭기
JPH10138029A (ja) * 1996-11-08 1998-05-26 Masanobu Naba 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ー、それに使用するチップ及びh形鋼の開先部の加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228A (ko) 2021-10-27 2023-05-04 서주스틸 주식회사 H형강 면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면취 방법
CN114871890A (zh) * 2022-05-19 2022-08-09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机械配件加工用除毛刺设备
CN115492306A (zh) * 2022-08-26 2022-12-20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腹板孔的热轧h型钢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129B1 (ko) H형강 면취 장치
KR101721693B1 (ko) 파이프 커팅장치 및 방법
US20040149105A1 (en) Plunge slitter with clam style anvil rollers
EP2816338B1 (en) Tire testing method and tire testing machine
US20080066597A1 (en) Rotary die cutter
US6216756B1 (en) Log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75666A (ko) 흄관 절단기
CA2072803C (en) Circular saw blade straightening machine
CN201900385U (zh) 激光焊输送线
CN107089021B (zh) 胎肩垫胶供料装置
FI71508B (fi) Anordning foer slipning av torksylindern hos en pappersmaskin
EP1637300B1 (en) Holding and advancing device for natural cork slabs
US2893479A (en) Tire truing device comprising hydraulically operated tire support and adjustable cam operated cutting tool
JPH01148429A (ja) 連続ストリップを打抜き機械に送るための送り装置
KR20090068396A (ko) 원형관의 단면 개선 가공기
JP2517891Y2 (ja) 鋼管切断・開先機
KR20140142513A (ko) 면취기
CN220885904U (zh) 一种废旧油管热轧机送料设备
CN111017612A (zh) 一种竹篾自动上料装置
CN219340735U (zh) 一种棒材传输料架
RU214086U1 (ru) Станок для вырезания боковин из шин
CN220560524U (zh) 一种钢材自动切割装置
CN212223163U (zh) 一种新型生物质纤维加工装置
CN114137069B (zh) 一种用于钢棒端部的缺陷探伤系统及其使用方法
SU568240A1 (ru) Машина дл измельчени покрыше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