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932B1 -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932B1
KR102196932B1 KR1020180101359A KR20180101359A KR102196932B1 KR 102196932 B1 KR102196932 B1 KR 102196932B1 KR 1020180101359 A KR1020180101359 A KR 1020180101359A KR 20180101359 A KR20180101359 A KR 20180101359A KR 102196932 B1 KR102196932 B1 KR 10219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planting ball
fastening
soil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547A (ko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이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영 filed Critical 이종영
Priority to KR102018010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9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밭 또는 모종을 심을 수 있는 경작지 내지는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식재공 형성을 위해 드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식재공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흙 비산방지 커버가 드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토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성형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식재공 성형을 위해 상기 식재공 성형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 본체와; 상기 드릴 본체에 복수의 결합링을 구비한 착탈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재공 성형기의 식재공 성형시 상,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커버몸체를 구비하여 상기 식재공 성형기의 식재공 성형과정에서 지표면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흙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SCATTERING PREVENTION APPARATUS FOR FORMING HOLE DIG DEVICE}
본 발명은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밭 또는 모종을 심을 수 있는 경작지 내지는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식재공 형성을 위해 드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식재공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흙 비산방지 커버가 드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토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 또는 경작지 내지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다양한 채소의 모종을 이식하거나, 나무의 묘목을 심어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 식재하고자하는 채소나 묘목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간격과 깊이로 식재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식재공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주로 삽이나 호미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밭 또는 경작지의 지면에 식재공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삽 또는 호미등의 도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형식의 경우 작업이 매우 힘들고, 다수의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각종 모종을 심기 위해서는 사람이 일일이 굽혀서 삽이나 괭이로 흙에 홈을 파고 다시 비닐을 씌워야 했다. 비닐을 씌운 후에 칼로 비닐에 구멍을 내고 그 홈에 모종을 심은 뒤 손으로 흙을 돋우어야 했다. 이로 인해 많은 수의 인력이 필요하며 시간의 낭비가 있으며, 허리를 굽혀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육체적인 고통과 피로가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삽이나 호미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식재공을 형성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사용하는 도구의 종류에 따라 식재공의 깊이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모종이나 묘목의 식재 깊이가 달라져 재배상태가 고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식재공 성형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98665호 "모종이식용 홈파기 장치"(등록일자 : 2010.11.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지지바의 일측단에 모종 이식을 위하여 형성된 두둑에 씌워진 비닐을 3방향 이상으로 절개하며 상기 두둑을 형성한 흙에 모종이식 홈을 형성하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3각 이상의 팁이 분해결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3각 이상의 팁 각 변에는 상기 3방향 이상으로 비닐을 절개하는 각각의 칼날이 형성되며, 상기 팁이 결합된 지지바의 하부에는 팁으로 다음 모종이식 홈을 형성하는 자리를 표시해주는 모종이식 홈 표시구가 지지바를 관통하며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또한, 종래 식재공 형성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166766호 "식재공 형성기"(등록일자 : 1999.10.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재배지에 꽂히며 상기 재배지에 파종 및 묘목 이식을 위한 식재공을 만들기 위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통체의 단부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중공부에 담긴 흙의 쏟아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
기존 식재공 성형기는 드릴 구동부나 핸드 드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성형기를 회전시켜 식재공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지표면의 상측으로 상토가 비산되어 두둑의 형태가 변경되거나, 상대적으로 비싼 상토가 낭비될 우려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종 식재공을 형성하는 식재공 성형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식재공 성형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식재공 성형과정에서 흙이 지표면의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재공 성형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식재공 성형을 위해 상기 식재공 성형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 본체와; 상기 드릴 본체에 복수의 결합링을 구비한 착탈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재공 성형기의 식재공 성형시 상,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커버몸체를 구비하여 상기 식재공 성형기의 식재공 성형과정에서 지표면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흙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기 드릴 본체와 식재공 성형기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체결봉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봉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수용관 및 상기 수용관 내에 삽입되고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드릴 본체와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착탈수단의 끼움부와의 결합 높이에 따라 식재공 형성 깊이가 조절되는 체결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봉은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하측에 연장되고 상기 수용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깊이조절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수단의 결합링은 상기 드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체결봉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일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끼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봉은 체결부와 승강부의 경계부위에 결합되는 연결너트와, 상기 끼움부 상,하측의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수용관 내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체결봉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관을 더 구비한다.
상기 식재공 성형기는 흙이 접촉되는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면측에는 드릴의 척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축이 형성되고, 측면의 외주연에는 나선 형태의 배출홈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끼움부(312)는 "C"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식재공 성형기의 회전동작시 밭 또는 경작지 내지 비닐하우스 내부 지중에 식재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커버부재의 커버 몸체가 지표면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흙을 차단하여 흙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 몸체의 내측면에 부딪혀 외측으로의 비산이 차단된 흙은 다시 원래 위치로 낙하되면서 두둑의 형태가 변경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토로 이루어진 두둑에서의 사용시에는 상토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둘째, 본 발명 커버 몸체는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기 드릴 본체 및 식재공 성형기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재공 성형기가 중공을 통해 드릴 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바가지 형태로 형성되어 식재공이 형성되는 지표면 테두리 부위를 막아서 식재공 성형시 흙의 비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본 발명의 수용관은 커버 몸체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봉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체결봉에 대한 커버 몸체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의 체결봉은 수용관 내에 삽입되고 착탈수단에 의해 드릴 본체와 결합되며 각각의 하부가 깊이조절링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용관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이 가이드되면서 깊이조절링을 이용하여 식재공의 성형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다섯째, 본 발명의 착탈수단은 드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끼움부가 구비된 결합링과, 체결봉에 나사 결합되고 끼움부의 상,하측에서 체결봉을 지지하는 너트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봉을 드릴 본체에 너트 체결방식으로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 중 중 드릴 본체를 제외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커버부재가 드릴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커버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5b,5c는 본 발명 커버 몸체의 높이가 식재공의 형성 시기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 중 드릴 본체를 제외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커버부재가 드릴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의 일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공 성형기(1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식재공 성형을 위해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 본체(50)와; 상기 드릴 본체(50)에 복수의 결합링(310)을 구비한 착탈수단(300)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의 식재공 성형시 상,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커버몸체(210)를 구비하여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의 식재공 성형과정에서 지표면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흙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200);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200)는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기 드릴 본체(50) 및 식재공 성형기(1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중공(215)이 형성되는 커버 몸체(210)와; 상기 커버 몸체(21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봉(230)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수용관(220); 및 상기 수용관(220) 내에 삽입되고 상기 착탈수단(300)에 의해 상기 드릴 본체(50)와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착탈수단(300)의 끼움부(312)와의 결합 높이에 따라 식재공(10) 형성 깊이가 조절되는 체결봉(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 몸체(210)는 체결봉(230)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며, 이로 인해 지표면에 닿은 상태로 식재공 성형기(100)의 날이 지면 내부로 파고 들어가면서 식재공(1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지표면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상승동작되고, 식재공(10)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커버 몸체(210)가 체결봉(230)을 따라 하강동작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수용관(220)은 상기 커버 몸체의 중공(215) 테두리 부위에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체결봉(23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착탈수단(300)은 상기 드릴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체결봉(23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복수의 끼움부(312)가 구비된 결합링(310)과, 상기 체결봉(23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312)의 상,하측에서 상기 체결봉(230)을 끼움부(312)에 지지시키는 너트부재(320)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부재(320)는 나비너트를 채용할 수 있으며, 상기 끼움부(312)와 너트부재(320) 사이에 와셔부재(3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링(310)은 드릴의 구동부 외주면에 나비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체결봉(230)은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32)와, 상기 체결부(232)의 하측에 연장되고 상기 수용관(2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234)와, 상기 승강부(234)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깊이조절링(2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봉(230)의 체결부(232)와 끼움부(312)의 결합 높이에 따라 식재공 성형기(100)의 식재공(10) 형성 깊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232)와 승강부(234)의 경계부위에 연결너트(236)가 구비된다.
상기 깊이조절링(235)은 상기 승강부(234)의 각 하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원형링 구조로서, 체결봉(230)의 끼움부(312)의 결합 높이가 조절된 후에 고정됨에 따라 지표면과 접촉되어 식재공(10)의 성형 깊이를 결정하게 되므로 식재공(10)의 성형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끼움부(31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봉(230)의 체결부(232)가 끼워지도록 외측 일부가 개구된 "C"단면 구조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외측을 통해 체결봉(230)의 체결부(232)가 진입되고, 너트부재(320)에 의해 체결부(232)의 결합 높이가 조절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는 모종의 형태 즉, 모종을 키우는 모종 포트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식재공 성형기(100)는 흙 내부로 진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상부의 외경보다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식재공 성형기(100)는 흙이 접촉되는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는 외주연에 나선 형태의 배출홈(11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배출홈(110)은 식재공 성형기(100)의 회전동작시 배출홈(110) 내에서 상측으로 흙이 딸려 올라가게 됨에 따라 흙을 하부에서 상부의 지표면 상측으로 쉽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식재공 성형기(100)는 상부면에 드릴의 척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축(120)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 커버부재(200)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수용관(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봉(2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225)이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관(225)은 상기 수용관(22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수용관(220) 내에서 공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관(225)은 상기 체결봉(230)의 승강부(234)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며, 체결봉(230)과 수용관(220)의 가공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체결봉(230)의 승강동작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식재공 성형기(100)를 드릴 본체(50)에 연동되게 결합시키고, 착탈수단(300)을 이용하여 커버부재(200)를 드릴 본체(50)에 연결시킨 후에 드릴 본체(50)를 동작시켜 식재공 성형기(100)의 식재공 형성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식재공 성형기(100)와 드릴 본체(50)의 결합은 식재공 성형기(100)의 연결축을 드릴 본체(50)의 척 내부에 진입시켜 척킹동작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0)와 드릴 본체(50)의 결합은 결합링(310)을 드릴 본체(50)의 외주면에 체결볼트로 고정시킨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310)의 끼움부(312)에 체결봉(230)의 체결부(232)를 진입시키고 끼움부(312)의 상,하측에서 체결봉(230)을 지지하도록 너트부재(320)를 조여서 끼움부(312)의 상,하측 마찰 접촉력으로 체결봉(230)을 조립함으로써, 체결봉(230)의 지지위치가 끼움부(312)를 기준으로 지지됨에 따라 체결봉(230)의 하단에 마련된 깊이조절링(235)의 높이가 결정되며, 이로 인해 식재공 성형기(100)의 식재공 형성 깊이가 조절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끼움부(312)의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봉(230)의 체결부(232) 높이에 따라 지면과 접촉되는 깊이조절링(235)의 설치 높이가 가변되며, 깊이조절링(235)이 지표면에 닿는 높이가 식재공의 형성 깊이가 되므로, 체결봉(230)의 지지위치를 가변 조절함에 따라 식재공의 형성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커버 몸체(210)는 도 5a에서와 같이, 평상시 지표면과 접촉되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 몸체(210)가 체결봉(23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체결봉(230)의 승강부(234) 하측에 커버 몸체(210)의 상면이 위치하게 되지만, 커버 몸체(210)가 지표면에 접촉하여 식재공을 형성하는 초기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식재공 성형기(100)의 식재공 형성 깊이에 대응하여 커버 몸체(210)가 체결봉(230)의 승강부(234)를 따라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어 커버 몸체(210)의 상면이 승강부(234)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식재공 성형기(100)가 식재공 성형 깊이 최대치까지 성형한 경우에는 커버 몸체(210)가 도 5c에서와 같이 커버 몸체(210)가 상승하게 되어 수용관(220)이 승강부(234)의 외측을 감싸도록 겹쳐지게 된다.
이후, 드릴 본체(50)를 들어 올리면 커버 몸체(210)가 다시 도 5a에서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 몸체(210)는 식재공 성형시 바가지 형태로 지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흙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재공 성형기(100)를 통해 밭 또는 경작지 내지는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식재공(10)을 형성할 경우, 드릴 본체(50)에 식재공 성형기(100)를 결합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식재공(10) 깊이에 맞게 식재공(10)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릴 본체(50)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 구동시키면, 연결축(120)을 매개로 드릴 본체(50)와 연결된 식재공 성형기(100)가 회전동작됨에 따라 지표면을 뚫고 들어가면서 홈 형태의 식재공(1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성형기 몸체(100)가 지표면을 뚫고 들어가는 중에 흙이 배출홈(110)을 따라 상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 커버부재(200)의 커버 몸체(210)는 지표면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흙을 차단하여 흙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 몸체(210)의 내측면에 부딪혀 외측으로의 비산이 차단된 흙은 다시 원래 위치로 낙하되면서 두둑의 형태가 변경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토로 이루어진 두둑에서의 사용시에는 상토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커버 몸체(210)는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기 드릴 본체(50) 및 식재공 성형기(1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중공(2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재공 성형기(100)가 중공(215)을 통해 드릴 본체(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바가지 형태로 형성되어 식재공(10)이 형성되는 지표면 테두리 부위를 막아서 식재공 성형시 흙의 비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수용관(220)은 커버 몸체(21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봉(230)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체결봉(230)에 대한 커버 몸체(21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체결봉(230)은 수용관(220) 내에 삽입되고 착탈수단(300)에 의해 드릴 본체(50)와 결합되며 각각의 하부가 깊이조절링(235)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용관(220)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이 가이드되면서 깊이조절링(235)을 이용하여 식재공(10)의 성형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착탈수단(300)은 드릴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끼움부(312)가 구비된 결합링(310)과, 체결봉(230)에 나사 결합되고 끼움부(312)의 상,하측에서 체결봉(230)을 지지하는 너트부재(32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봉(230)을 드릴 본체(50)에 너트 체결방식으로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식재공 50 : 드릴 본체
100 : 식재공 성형기 110 : 배출홈
120 : 연결축 200 : 커버부재
210 : 커버 몸체 215 : 중공
220 : 수용관 225 : 가이드관
230 : 체결봉 232 : 체결부
234 : 승강부 235 : 깊이조절링
236 : 연결너트 300 : 착탈수단
310 : 결합링 312 : 끼움부
320 : 너트부재 330 : 와셔부재

Claims (5)

  1. 식재공 성형기(1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식재공 성형을 위해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 본체(50)와;
    상기 드릴 본체(50)에 복수의 결합링(310)을 구비한 착탈수단(300)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의 식재공 성형시 상,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커버몸체(210)를 구비하여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의 식재공 성형과정에서 지표면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흙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200)는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기 드릴 본체(50)와 식재공 성형기(1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중공(215)이 형성되어 체결봉(230)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커버 몸체(210)와, 상기 커버 몸체(21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봉(230)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수용관(220) 및 상기 수용관(220) 내에 삽입되고 착탈수단(300)에 의해 상기 드릴 본체(50)와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착탈수단(300)의 끼움부(312)와의 결합 높이에 따라 식재공(10) 형성 깊이가 조절되는 체결봉(2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봉(230)은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32)와, 상기 체결부(232)의 하측에 연장되고 상기 수용관(2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234)와, 상기 승강부(234)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깊이조절링(235)으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수단(300)의 결합링(310)은 상기 드릴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체결봉(23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일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끼움부(3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230)은 체결부(232)와 승강부(234)의 경계부위에 결합되는 연결너트(236)와, 상기 끼움부(312) 상,하측의 체결부(232)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3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수용관(220) 내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체결봉(230)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관(225)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 성형기(100)는 흙이 접촉되는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면측에는 드릴의 척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축(120)이 형성되고, 측면의 외주연에는 나선 형태의 배출홈(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12)는 "C"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KR1020180101359A 2018-08-28 2018-08-28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KR102196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59A KR102196932B1 (ko) 2018-08-28 2018-08-28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59A KR102196932B1 (ko) 2018-08-28 2018-08-28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47A KR20200024547A (ko) 2020-03-09
KR102196932B1 true KR102196932B1 (ko) 2020-12-30

Family

ID=6980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359A KR102196932B1 (ko) 2018-08-28 2018-08-28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78Y1 (ko) 2004-02-27 2004-06-04 서봉식 버섯 재배용 식균공을 형성키 위한 드릴공구
JP2009195153A (ja) * 2008-02-21 2009-09-03 Marusan Sangyo Kk 苺等の苗定植用穿孔具
JP2009285821A (ja) * 2008-06-02 2009-12-10 Fs Technical Corp 電動ドリルのガイド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穿孔装置
JP2010166822A (ja) 2009-01-20 2010-08-05 Jiro Sasaoka 掘起し機具、ドリル及び草刈機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78Y1 (ko) 2004-02-27 2004-06-04 서봉식 버섯 재배용 식균공을 형성키 위한 드릴공구
JP2009195153A (ja) * 2008-02-21 2009-09-03 Marusan Sangyo Kk 苺等の苗定植用穿孔具
JP2009285821A (ja) * 2008-06-02 2009-12-10 Fs Technical Corp 電動ドリルのガイド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穿孔装置
JP2010166822A (ja) 2009-01-20 2010-08-05 Jiro Sasaoka 掘起し機具、ドリル及び草刈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47A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1566A (ko) 모종 이식기
KR102276957B1 (ko) 파종기
KR20080082044A (ko)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200469843Y1 (ko) 농업용 비닐천공 및 모종이식홈 성형구
KR200491676Y1 (ko)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KR102196932B1 (ko)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CN107996379B (zh) 一种用于农业的大蒜种植盘结构
US20200178479A1 (en) Hillside Planter Dam
JPH1189321A (ja) ペーパーポット苗定植用穴掘り機
KR20180012513A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20210035647A (ko) 반자동 모종파종기
KR101597971B1 (ko) 모종 식재공 형성장치
KR101878122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CN212812712U (zh) 一种娃娃菜幼苗移栽装置
CN210382148U (zh) 一种多用植物种植机
KR101737453B1 (ko) 식재공 성형기
KR20042740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0411869Y1 (ko) 회전화분대
KR20200016618A (ko) 파종기
KR200493703Y1 (ko) 농사용 파지 장치
JP4191629B2 (ja) 農用苗移植機
CN213523196U (zh) 一种便捷育苗装土生根发育盆
KR20210023250A (ko) 식재공 성형장치
KR102111289B1 (ko) 마늘 배종장치
CN108377685B (zh) 蔬菜种植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