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76Y1 -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76Y1
KR200491676Y1 KR2020180001295U KR20180001295U KR200491676Y1 KR 200491676 Y1 KR200491676 Y1 KR 200491676Y1 KR 2020180001295 U KR2020180001295 U KR 2020180001295U KR 20180001295 U KR20180001295 U KR 20180001295U KR 200491676 Y1 KR200491676 Y1 KR 200491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und
hole
limiting plat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75U (ko
Inventor
강상길
Original Assignee
강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길 filed Critical 강상길
Priority to KR2020180001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7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구(300)가 지지대(100)의 끝단에 배치되며, 지지대(100)와 성형구(300) 사이에 제한판(200)이 구비됨으로써, 모종 작업시 모종삽 대신 간단한 방법으로 밭에 일정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구(300)가 지지대(100)의 끝단에 배치되며, 지지대(100)와 성형구(300) 사이에 제한판(200)이 구비됨으로써, 모종 작업시 모종삽 대신 간단한 방법으로 밭에 일정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종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Apparatus for forming hole to transplant seeding}
본 고안은 모종용 구멍의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밭 위에 모종용 구멍을 간단한 작업으로 형성할 수 있는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늘이나 양파를 비롯하여 밭에서 재배하는 농작물 중 발아할 때나 묘목인 시기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 보존하여야 하는 작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온 및 수분의 증발을 막아주기 위해 두둑에 비닐을 덮어 주게 된다.
이 경우 비닐과 두둑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과 이식홈을 형성하여 이곳에 작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또는 어린 모종 등을 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두둑에 덮인 비닐에 구멍을 천공할 때는 대부분 칼이나 끝이 날카로운 도구 등을 이용하여 비닐에 구멍을 뚫어 찢은 뒤 이 구멍을 통해 호미 등으로 일일이 두둑에 홈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어 작업자들에거 부담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동록실용 제20-0469843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구(300)가 지지대(100)의 끝단에 배치되며, 지지대(100)와 성형구(300) 사이에 제한판(200)이 구비됨으로써, 모종 작업시 모종삽 대신 간단한 방법으로 밭에 일정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는, 일단에 손잡이(110)가 구비된 지지대(100); 일단이 상기 지지대(100)의 타단에 장착되며, 지면과 접하여 상기 지지대(100)가 지면에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한판(200); 상기 제한판(200)의 타단 방향에 배치되며, 지면에 삽입되어 구멍을 성형하는 성형구(300); 상기 성형구(300)를 지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00); 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지지대(100)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레버(410);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성형구(300)와 연결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421)이 형성된 가압축(420); 상기 구동레버(410)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레버(4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430); 상기 지지대(100)의 자전되게 장착되며,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산(421)과 맞물리는 암나사산(44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430)와 맞물림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430) 회전시 상기 가압축(420)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베벨기어(442)가 구비된 회전체(440); 를 포함한다.
일단이 상기 지지대(1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체(440)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44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체(4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탄성부재(45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한판(200)의 테두리에는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될 때 펼쳐졌다가.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상기 성형구(300)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토굴집게(50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토굴집게(500)는, 상기 제한판(20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한판(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게부재(510); 일단이 상기 제한판(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집게부재(510)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집게부재(510)의 타단을 상기 성형구(300) 방향으로 모이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52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구(300)가 지지대(100)의 끝단에 배치되며, 지지대(100)와 성형구(300) 사이에 제한판(200)이 구비됨으로써, 모종 작업시 모종삽 대신 간단한 방법으로 밭에 일정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종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440)는 구동레버(4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축(420)을 하강시켜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적은 노동력으로 지면에 모종용 구멍을 형성하여 모종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지지대(100)와 상기 회전체(440) 사이에 상기 제1탄성부재(4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구동레버(410)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성형구(300)가 바닥에서 자동으로 상승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토굴집게(500)는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되었다가 상승할 때 위로 밀려 올라온 토사들을 집어 옮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형성된 구멍에 토사가 다시 흘러 내려가 구멍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구멍을 크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성형구(300)가 지면에 구멍을 형성한 후 상승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성형구(300)가 지면에 구멍을 형성한 후 상승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는 지지대(100), 제한판(200), 성형구(300), 구동수단(400) 및 토굴집게(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00)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긴 막대 형상이며, 상단에는 손잡이(1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한판(200)이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10)는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손잡이(110)의 외주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10)는 상단이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형태, 즉 일자형이 아닌 'T'자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 일단에는 후술하는 회전체(440)가 안착되는 안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120)는 지지대(100)의 내경에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후술하는 가압축(420)이 삽입되도록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판(200)은 상기 지지대(100)보다 지름이 큰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의 하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제한판(200)은 지면과 접하여 상기 지지대(100)가 지면에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성형구(300)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구동수단(400)에 의해 지면에 삽입되어 구멍을 성형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성형구(300)의 외주면에는 스크류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회전하면서 지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성형구(300)를 지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구동레버(410), 가압축(420), 제1베벨기어(430), 회전체(440) 및 제1탄성부재(4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레버(410)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100)의 측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구동레버(410)의 타단은 일단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를 세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잡고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축(420)은 원통형의 긴 막대 형상이며, 외주면에는 수나사산(421)이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성형구(30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압축(420)은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후술할 상기 회전체(44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작동된다.
상기 제1베벨기어(430)는 상기 구동레버(410)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레버(410)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회전체(440)는 상기 지지대(100)의 내주면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돌기와 상기 제1베벨기어(43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440)는 상기 가압축(420)을 감싸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가압축(420)의 수나사산(421)에 맞물리는 암나사산(44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430)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4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체(440)는 상기 제1베벨기어(430)의 회전시 자전하여 상기 가압축(420)을 상하 이동시킨다.
즉, 상기 구동레버(41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베벨기어(410)에 의해 상기 회전체(440)가 자전하게 되고, 상기 수나사산(421)과 상기 암나사산(44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가압축(420)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체(440)는 구동레버(4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축(420)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적은 노동력으로 지면에 모종용 구멍을 형성하여 모종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450)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440)의 외측을 감싸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450)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1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체(440)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부재(450)는 상기 회전체(440)가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체(440)를 타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되게 하며, 이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된 후 자동으로 지면 위로 올라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와 상기 회전체(440) 사이에 상기 제1탄성부재(4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구동레버(410)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성형구(300)가 바닥에서 자동으로 상승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토굴집게(500)는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될 때 펼쳐졌다가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서 상승하면 오므라들어 지면에 토사를 파내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토굴집게(500)는 집게부재(510) 및 제2탄성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게부재(510)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한판(20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집게부재(510)는 상단이 상기 제한판(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에는 후크부(5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511)는 상기 성형구(30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측면이 지면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경사지고,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520)는 타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한판(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집게부재(510)의 하단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탄성부재(520)는 이완된 상태로 상기 제한판(200)과 상기 집게부재(510) 사이에 장착되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집게부재(510)를 상기 성형구(300)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토굴집게(500)는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되었다가 상승할 때 위로 밀려 올라온 토사들을 집어 옮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형성된 구멍에 토사가 다시 흘러 내려가 구멍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구멍을 크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0) 및 상기 토굴집게(500) 없이 상기 제한판의 하단에 상기 성형구만 배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모종용 구멍 형성시 상기 지지대를 지면에 가압하여 상기 성형구가 지면에 삽입되도록 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구(300)가 상기 제한판(200)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굴집게(500)는 상기 후크부(511)가 상기 성형구(300)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를 구멍을 형성할 지면 위에 올려 놓고, 상기 구동레버(410)를 일방향으로 돌려 상기 회전체(4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체(4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축(420)은 상기 성형구(300)와 함께 하강되고, 상기 성형구(300)는 지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0)도 지면 방향으로 약간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되면서 상기 토굴집게(500)는 벌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450)는 상기 회전체(4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압축된다.
이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레버(41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4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440)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가압축(420)은 상기 성형구(300)와 함께 상승된다.
이때 상기 토굴집게(500)는 상기 성형구(300) 방향으로 오므라들어 주변에 솟은 토사들을 집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구(300)가 지지대(100)의 끝단에 배치되며, 지지대(100)와 성형구(300) 사이에 제한판(200)이 구비됨으로써, 모종 작업시 모종삽 대신 간단한 방법으로 밭에 일정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종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440)는 구동레버(4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축(420)을 하강시켜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적은 노동력으로 지면에 모종용 구멍을 형성하여 모종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지지대 110 : 손잡이
200 : 제한판 300 : 성형구
400 : 구동수단 410 : 구동레버
420 : 가압축 421 : 수나사산
430 : 제1베벨기어 440 : 회전체
441 : 암나사산 442 : 제2베벨기어
450 : 제1탄성부재
500 : 토굴집게 510 : 집게부재
511 : 후크부 520 : 제2탄성부재

Claims (5)

  1. 일단에 손잡이(110)가 구비된 지지대(100);
    일단이 상기 지지대(100)의 타단에 장착되며, 지면과 접하여 상기 지지대(100)가 지면에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한판(200);
    상기 제한판(200)의 타단 방향에 배치되며, 지면에 삽입되어 구멍을 성형하는 성형구(300);
    상기 성형구(300)를 지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00);
    상기 제한판(200)의 테두리에는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 삽입될 때 펼쳐졌다가, 상기 성형구(300)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상기 성형구(300)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토굴집게(500);을 포함하며,
    상기 토굴집게(500)는,
    상기 제한판(20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한판(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게부재(510);
    일단이 상기 제한판(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집게부재(510)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집게부재(510)의 타단을 상기 성형구(300) 방향으로 모이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지지대(100)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레버(410);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성형구(300)와 연결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421)이 형성된 가압축(420);
    상기 구동레버(410)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레버(4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430);
    상기 지지대(100)에 자전되게 장착되며,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산(421)과 맞물리는 암나사산(44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430)와 맞물림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430) 회전시 상기 가압축(420)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베벨기어(442)가 구비된 회전체(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대(1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체(440)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44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체(4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탄성부재(4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 일단에는 상기 회전체(440)가 안착되는 안착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는 상기 가압축(420)이 삽입되도록 축공이 형성되는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520)는 타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한판(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집게부재(510)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KR2020180001295U 2018-03-26 2018-03-26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KR200491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95U KR200491676Y1 (ko) 2018-03-26 2018-03-26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95U KR200491676Y1 (ko) 2018-03-26 2018-03-26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75U KR20190002475U (ko) 2019-10-07
KR200491676Y1 true KR200491676Y1 (ko) 2020-05-18

Family

ID=6816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95U KR200491676Y1 (ko) 2018-03-26 2018-03-26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166A (ko) 2022-07-20 2024-01-29 조정문 전동드릴을 이용한 식물의 식재홀 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3006A (zh) * 2020-11-26 2021-01-29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手持简易玉米播种器
CN115226601B (zh) * 2022-07-15 2024-03-22 浙江冶民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园林绿地节水灌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01U (ko) * 1990-06-04 1992-02-18
KR950005168Y1 (ko) * 1993-02-25 1995-06-26 황행철 농업용 지주구멍 천공기
JP2544704Y2 (ja) * 1993-05-24 1997-08-20 株式会社丸山製作所 刈取機
KR200469843Y1 (ko) 2012-12-18 2013-11-14 주식회사 용천 농업용 비닐천공 및 모종이식홈 성형구
KR20170002990U (ko) * 2016-02-17 2017-08-25 전도현 입식 파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166A (ko) 2022-07-20 2024-01-29 조정문 전동드릴을 이용한 식물의 식재홀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75U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676Y1 (ko) 모종용 구멍 형성장치
US8056646B2 (en) Planting tool
US4932339A (en) Bulb and bedding planter
US6843324B2 (en) Gardening implement
WO2018152657A1 (zh) 移苗器
US6125776A (en) Device for digging planting holes for bedding plants and the like
KR20160097575A (ko) 다용도 파종기
US10897843B1 (en) Apparatus for planting seeds
US5438940A (en) Manual plant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plants
US10264722B2 (en) Bulb planter
CN109168428B (zh) 一种园林花苗种植挖坑设备
CN208113306U (zh) 一种植株幼苗栽种器
US9661796B1 (en) Bulb, plant, and seedling digging tool
JP2012080815A5 (ko)
TWM535935U (zh) 植栽專用之泥土挖掘器
KR102196932B1 (ko) 식재공 성형기용 흙 비산방지장치
US20240180053A1 (en) Gardening Tools and Methods for Making Gardening Tools
CN215601884U (zh) 一种农作用菜苗种植设备
US7128166B2 (en) Planting tool
CN107409543B (zh) 一种园艺种子种植装置
KR102270695B1 (ko) 식재공 성형장치
KR101804016B1 (ko) 정원 키트
KR102321035B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WO2019059068A1 (ja) 移植ツール
KR200490557Y1 (ko) 모종 복토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