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753B1 - 자동 보일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보일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753B1
KR102196753B1 KR1020190046839A KR20190046839A KR102196753B1 KR 102196753 B1 KR102196753 B1 KR 102196753B1 KR 1020190046839 A KR1020190046839 A KR 1020190046839A KR 20190046839 A KR20190046839 A KR 20190046839A KR 102196753 B1 KR102196753 B1 KR 10219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e
unit
combustion chambe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657A (ko
Inventor
박동성
Original Assignee
박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성 filed Critical 박동성
Priority to KR102019004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7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4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rotating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 F24H1/2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 F24H1/28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including one or more furnace or fire tubes
    • F24H1/287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including one or more furnace or fire tubes with the fire tubes arranged in lin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과정에서 일정한 강도와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연료펠릿을 제조 및 이용하고, 화격자의 구조를 개량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 시킴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부(100)와, 이에 연결되는 라디에이터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부(100)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연소실부(120)와, 상기 본체부(110)와 연소실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난방수 저장부(13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료펠릿(410)을 자동으로 상기 연소실부(120) 내부로 투입하는 연료공급부(140)와, 상기 연소실부(120)의 저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재를 포집하는 재받침부(150)와, 상기 연소실부(12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부(160)와, 제1화격자부(121)에 안착된 연료펠릿(410)에 점화를 수행하는 점화용 버너(170)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펠릿(410)는 중앙에 연소구멍용 통공(411)이 형성된 구슬형태로, 우드펠렛분말 30~50중량부와. 무연석탄분말 40~60중량부와, 전분 1~3중량부와, 황토 2~5중량부와, 산화철1~3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보일러 시스템{Automatic boiler system}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공개실용신안 20-2017-0004304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과정에서 일정한 강도와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연료펠릿을 제조 및 이용하고, 화격자의 구조를 개량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공개실용신안 20-2017-0004304(복합 연료 사용 자동보일러)는 소정의 석탄 연료펠릿을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자동 보일러 시스템으로, 연료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다단으로 연소를 수행함으로써 난방 효율을 높이고, 재의 배출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와 일정 온도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한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하는 보일러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석탄 연료펠릿은 무연석탄 분말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중앙으로 직경 5mm의 구멍이 천공된 2cm의 직경을 가지는 구슬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 석탄 연료펠릿은 무연석탄으로 이루어져 강도가 약할 뿐 아니라 연소과정에서 쉽게 부서지게 되어 사실상 일정한 온도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상기 자동보일러의 화격자는 평편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는 구조상 투입된 연료펠릿이 모이지 않고 흩어지는 구조로, 특히 적은 양의 연료펠릿을 투입하여 작은 화력 제어를 수행할 때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단의 화격자 중 특히 최상부의 제1화격자와 제2화격자는 장시간 연소시 상대적으로 열을 가장 많이 받게 되는 부분으로, 고열로 인해 변형이 발생되곤 하였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5672,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2646, 공개특허공보 10-2014-0001317, 등록특허공보 10-140467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과정에서 일정한 강도와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연료펠릿을 제조 및 이용하고, 화격자의 구조를 개량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일러부와, 이에 연결되는 라디에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연소실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소실부 사이에 형성되는 난방수 저장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료펠릿을 자동으로 상기 연소실부 내부로 투입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연소실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재를 포집하는 재받침부와, 상기 연소실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부와, 제1화격자부에 안착된 연료펠릿에 점화를 수행하는 점화용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부는 내부인 연소공간부에 제1화격자부, 제2화격자부 및 제3화격자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 구성되고,
상기 제1화격자부, 제2화격자부 및 제3화격자부는 연료펠릿이 투입 및 안착되어 연소되는 곳으로, 연소 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연료펠릿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료펠릿는 중앙에 연소구멍용 통공이 형성된 구슬형태로, 우드펠렛분말 30~50중량부와. 무연석탄분말 40~60중량부와, 전분 1~3중량부와, 황토 2~5중량부와, 산화철1~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화격자부 내지 제3화격자부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반달형상의 트레이부가 서로 대향 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트레이부와 트레이부의 외측 부위가 내측 부위에 비하여 일정 각도(θ) 상승되도록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화격자부 및 제2화격자부에는 화격자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는 냉각수단이 더 부착되며,
상기 냉각수단은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을 복수의 냉각관으로 분기 이송하는 분기관과, 트레이부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분기관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를 통해 트레이부의 온도를 낮추어주는 복수의 냉각관과, 상기 냉각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적수하여 유출관으로 이송하는 적수관과, 상기 적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소과정에서 일정한 강도와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연료펠릿을 이용함으로써 온도 제어가 정확하고 일정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격자를 반구형상으로 구성하여, 적은 양의 연료펠릿 투입시에도 흩어지지 않고 중앙으로 모이게 되어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격자의 저면에 물이 순환되는 냉각부재를 부착하여 고열 발생 시 냉각을 수행함으로써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보일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보일러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부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부의 평면 구성도 및 저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부의 사시도 및 측면 구성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부에 냉각부재가 부착된 구성의 분해사시도 및 저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펠릿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보일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보일러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부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부(100)와 라디에이터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보일러부(100)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연소실부(120)와, 상기 본체부(110)와 연소실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난방수 저장부(13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료펠릿을 자동으로 상기 연소실부(120) 내부로 투입하는 연료공급부(140)와, 상기 연소실부(120)의 저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재를 포집하는 재받침부(150)와, 상기 연소실부(12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부(160)와, 제1화격자부(121)에 안착된 연료펠릿에 점화를 수행하는 점화용 버너(1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 하측과 상측에는 난방수 저장부(130)로 난방수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입수관(111) 및 출수관(112)이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111) 및 출수관(112)은 각각 호스(H1)(H2)를 통해 라디에이터부(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소실부(120)는 내부인 연소공간부(124)에 제1화격자부(121), 제2화격자부(122) 및 제3화격자부(12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 구성된다.
상기 제1화격자부(121), 제2화격자부(122) 및 제3화격자부(123)는 연료펠릿이 투입 및 안착되어 연소되는 장소이며, 연소 시 제어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연료펠릿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화격자부(121)의 구성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a)(b)는 상기 제1화격자부(121)의 평면 구성도 및 저면도, 도 5의 (a)(b)는 상기 제1화격자부(121)의 사시도 및 측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화격자부(121)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반달형상의 트레이부(1211)(1212)가 서로 대향 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트레이부(1211)와 트레이부(1212)의 외측 부위가 내측 부위에 비하여 일정 각도(θ) 상승되도록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트레이부(1211)(1212)의 저면에는 상기 트레이부(1211)(1212)를 회동하는 힌지축부(1213)(1214)가 고정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화격자부(121)는 연소실부(120)에 형성된 격판(126)의 중공부에 장착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힌지축부(1213)(1214)의 일단이 상기 격판(126)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동력전달부(1811)를 통해 제1구동모터(18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모터(181)가 정방향 회전하면 동력전달부(1811)를 통해 힌지축부(1213)(1214)가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트레이부(1211)와 트레이부(1212)가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181)가 역방향 회전하면 동력전달부(1811)를 통해 힌지축부(1213)(1214)가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트레이부(1211)와 트레이부(1212)가 맞닿게 되도록 구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화격자부(121)의 특징적 구성은 반구형태로 구성되는 점이다. 즉 도 5의 (b)와 같이 각 트레이부(1211)와 트레이부(1212)의 외측 부위가 내측 부위에 비하여 일정한 각도(θ)를 가지도록 상승되도록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가짐으로써 연료펠릿이 투입되었을 때 흩어지지 않고 중앙에 잘 모이도록 구성한 점이다.
이는 낮은 온도 제어가 필요할 경우, 적은 연료펠릿을 투입할 때 화격자의 구조 상 연료가 흩어지지 않고 제1화격자부(121) 가운데로 모이게 되어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제1화격자부(121)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화격자부(122)와 제3화격자부(123)의 구조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화격자부(121)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화격자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는 냉각수단(310)이 더 부착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단(310)은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11)와, 상기 유입관(311)으로 유입된 물을 복수의 냉각관(313)으로 분기 이송하는 분기관(312)과, 트레이부(1212)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분기관(312)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를 통해 트레이부의 온도를 낮추어주는 복수의 냉각관(313)과, 상기 냉각관(313)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적수하여 유출관(315)으로 이송하는 적수관(314)과, 상기 적수관(314)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관(31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냉각관(313)은 용접 등을 통하여 상기 트레이부(1212)의 저면에 고정되고, 화격자를 이루는 트레이부의 일측에만, 또는 양측 다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는 난방수 저장부(130)에 있는 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관(315)으로 배출된 물이 다시 유입관(311)으로 순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단(310)에 흐르는 냉각수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수단(310)이 설치되는 이유는, 높은 온도로 장시간 보일러를 가동했을 때 상대적으로 열을 많이 받는 제1화격자부(121) 및 제2화격자부(122)가 고열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냉각수단(310)은 제1화격자부(121) 및 제2화격자부(12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연소실부(120)의 상단에는 연통관(125)이 연결되고 하단에는 재배출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난방수 저장부(130)는 연소실부(120)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입수관(111)을 통해 유입된 낮은 온도의 물이 열교환을 통해 온도 상승되어 출수관(112)을 통해 라디에이터부(200)로 순환 이동되도록 하여준다.
상기 연료공급부(140)는 연료펠릿 유입구(141)와, 상기 유입구(141)로 유입된 연료펠릿을 수직 상승하여 이동시키는 스크류(142)와, 상기 스크류(142)를 가이드하고 상승된 연료펠릿을 측면의 이송관(145)으로 이송하는 안내관(143)과, 상기 스크류(142)를 회전 구동하는 스크류 구동모터(144)와, 상기 안내관(143)을 통해 이송되는 연료펠릿을 연소실부(120)로 이송 투입하는 이송관(1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재받침부(150)는 상기 연소실부(1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출부(127)를 통해 배출되는 재를 포집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송풍기부(160)는 상기 연소실부(12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준다.
상기 점화용 버너(170)는 제1화격자부(121)에 안착된 연료펠릿에 점화를 수행하여 주는 버너이다.
여기서 상기 연료펠릿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인데,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펠릿(410)은 도 7(a)(b)에서와 같이 중앙에 연소구멍용 통공(411)이 형성된 구슬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펠릿(410)은 우드펠렛분말 30~50중량부와. 무연석탄분말 40~60중량부와, 전분 1~3중량부와, 황토 2~5중량부와, 산화철1~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우드펠릿분말과 무연석탄분말은 주 연료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전분은 우드펠릿분말과 무연석탄분말을 혼합한 후 일정한 모양과 크기로 가공하기 위한 접착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황토는 내열성과 응집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산화철은 1350~1400℃에 이르는 제2화격자부(122)에서도 부서지지 않고 원래의 모양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적으로, 사용 연료에 있어서 우드펠릿이나 무연 석탄을 원형 그대로 사용하여서는 부피나 중량이 일정하지 않아 정량을 보일러에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일정 연료 공급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보일러의 일정 온도유지도 불가능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연료펠릿(410)이 제공되는 것이며, 우드펠렛분말 및 무연석탄분말의 배합비는 연소될 때의 착화속도, 연소속도 등을 감안하여 정한다.
또한 연료팰릿은 연소가 다 이루어지기까지 원형이 유지되어 연소 도중 부서져 연소되지 못하고 연소판인 화격자 아래로 빠져 보일러 온도유지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단단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가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 보일러 시스템의 작동 및 작용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연료펠릿(410)을 연료공급부(140)의 유입구(141)로 투입한다.
상기 연료공급부(140)에 투입된 연료펠릿(410)는 스크류(142)가 정해진 일정 회수로 회전하면 일정양의 연료펠릿(410)이 상부로 이송되며 동시에 상단의 이송관(145)을 통해 제1화격자부(121)의 상부에 공급된다.
이때 점화용버너(170)가 점화되면 제1화격자부(121)의 상부에 있던 연료펠릿(410)이 착화되고 연소 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화격자부(121)의 상부에 있던 연료펠릿(410)이 연소 개시된 후 20~30% 정도 연소되는 이미 설정된 시점에 도달하면, 제1구동모터(181)가 구동하여 제1화격자부(121)의 트레이부(1211)(1212)가 수직으로 개방되고 연료펠릿(410)이 제2화격자부(122)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구동모터(181)가 역회전하여 상기 제1화격자부(121)의 트레이부(1211)(1212)는 닫히며 연료공급부(140)의 스크류(142)가 다시 회전하여 상기 제1화격자부(121)로 정해진 양의 연료펠릿(410)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화격자부(122)에서 타고 있던 연료펠릿(410)의 불꽃이 위쪽으로 번져 트레이부(1211)(1212)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화격자부(121)에 공급된 연료펠릿(410)을 자동으로 착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화격자부(121) 및 제2화격자부(122)에서는 동시에 연료펠릿(410)의 연소가 진행된다.
그런 과정에서 상기 제2화격자부(122)의 연료펠릿(410)이 50~60% 정도 연소되는 이미 설정된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2화격자부(122)가 열려 연료펠릿(410)이 제3화격자부(123)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3화격자부(123)의 연료펠릿(410)이 100% 연소하면, 상기 제3화격자부(123)가 열려 아래쪽으로 재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재배출부(127)이 개방되어 재가 재받침부(150)에 담겨지게 된다.
즉 상기 제1화격자부(121) 내지 제3화격자부(123)가 순차적으로 개방 및 폐쇄됨으로써 연료펠릿(410)이 공급되고 닫히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소 및 구동된다.
또한 본체의 연소실부(120)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부(160)를 이용하여 연소의 속도 및 온도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실부(120)의 연소로 난방수저장부(130)에 유입된 물이 열교환되어 난방수로 변환되고, 라디에이터부(200)로 자동 순환 공급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라디에이터부(200)는 열송풍기를 구동하여 주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시는 보일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화격자부(121) 내지 제3화격자부(123)가 반구형태로 구성되어 연료렐릿(410)이 투입되었을 때 흩어지지 않고 중앙에 잘 모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는 낮은 온도 제어가 필요할 경우, 적은 연료펠릿(410)을 투입할 때 연료펠릿(410)들이 흩어지지 않고 화격자부의 가운데로 모이게 되어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제1화격자부(121) 및 제2화격자부(122)에 트레이부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는 냉각수단(310)이 더 부착되어, 높은 온도로 장시간 보일러를 가동했을 때 상대적으로 열을 많이 받는 제1화격자부(121) 및 제2화격자부(122)가 고열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이는 특징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소과정에서 일정한 강도와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연료펠릿을 이용함으로써 온도 제어가 정확하고 일정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격자를 반구형상으로 구성하여, 적은 양의 연료펠릿 투입시에도 흩어지지 않고 중앙으로 모이게 되어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격자의 저면에 물이 순환되는 냉각부재를 부착하여 고열 발생 시 냉각을 수행함으로써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100: 보일러부 110: 본체부
120: 연소실부 121: 제1화격자부
122: 제2화격자부 123: 제3화격자부
124: 연소공간부 125: 연통관
126: 격판 127: 재배출부
130: 난방수저장부 140: 연료공급부
150: 재받침부 160: 송풍기부
170: 점화용버너 181: 제1구동모터
1211,1212: 트레이부 310: 냉각수단
311: 유입관 312: 분기관
313: 냉각관 314: 적수관
315: 유출관 410: 연료펠릿

Claims (3)

  1. 보일러부(100)와, 이에 연결되는 라디에이터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부(100)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연소실부(120)와, 상기 본체부(110)와 연소실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난방수 저장부(13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료펠릿(410)을 자동으로 상기 연소실부(120) 내부로 투입하는 연료공급부(140)와, 상기 연소실부(120)의 저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재를 포집하는 재받침부(150)와, 상기 연소실부(12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부(160)와, 제1화격자부(121)에 안착된 연료펠릿(410)에 점화를 수행하는 점화용 버너(170)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부(120)는 내부인 연소공간부(124)에 제1화격자부(121), 제2화격자부(122) 및 제3화격자부(12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 구성되고,
    상기 제1화격자부(121), 제2화격자부(122) 및 제3화격자부(123)는 연료펠릿(410)이 투입 및 안착되어 연소되는 곳으로, 연소 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연료펠릿(410)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료펠릿(410)는 중앙에 연소구멍용 통공(411)이 형성된 구슬형태로, 우드펠렛분말 30~50중량부와. 무연석탄분말 40~60중량부와, 전분 1~3중량부와, 황토 2~5중량부와, 산화철1~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제1화격자부(121) 내지 제3화격자부(123)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반달형상의 트레이부가 서로 대향 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트레이부와 트레이부의 외측 부위가 내측 부위에 비하여 일정 각도(θ) 상승되도록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화격자부(121) 및 제2화격자부(122)에는 화격자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는 냉각수단(310)이 더 부착되며,
    상기 냉각수단(310)은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11)와, 상기 유입관(311)으로 유입된 물을 복수의 냉각관(313)으로 분기 이송하는 분기관(312)과, 트레이부(1212)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분기관(312)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를 통해 트레이부의 온도를 낮추어주는 복수의 냉각관(313)과, 상기 냉각관(313)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적수하여 유출관(315)으로 이송하는 적수관(314)과, 상기 적수관(314)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관(3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보일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046839A 2019-04-22 2019-04-22 자동 보일러 시스템 KR10219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39A KR102196753B1 (ko) 2019-04-22 2019-04-22 자동 보일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39A KR102196753B1 (ko) 2019-04-22 2019-04-22 자동 보일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657A KR20200123657A (ko) 2020-10-30
KR102196753B1 true KR102196753B1 (ko) 2020-12-31

Family

ID=7304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839A KR102196753B1 (ko) 2019-04-22 2019-04-22 자동 보일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87B1 (ko) * 2014-07-17 2016-07-06 주식회사 대진에너지코퍼레이션 펠렛 연소용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028A (ko) * 2010-04-28 2011-11-03 김정길 목재 팰릿 연소기
KR101268146B1 (ko) * 2010-05-14 2013-05-27 강양곤 구형 고체연료 펠릿과 그 제조방법
KR200475672Y1 (ko) 2014-10-07 2014-12-19 김정현 펠릿 보일러
KR20170004304U (ko) * 2016-06-13 2017-12-21 박동성 복합 연료 사용 자동보일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87B1 (ko) * 2014-07-17 2016-07-06 주식회사 대진에너지코퍼레이션 펠렛 연소용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657A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944B1 (ko) 친환경 우드 펠렛 난방장치
KR101675992B1 (ko) 공기 순환식 난로
KR102196753B1 (ko) 자동 보일러 시스템
KR101243851B1 (ko)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617440B1 (ko) 고체연료 보일러용 연소장치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CN104510368B (zh) 一种烤鱼炉
CN207146376U (zh) 生物质燃料燃烧装置
CN201093544Y (zh) 生物质颗粒炊事、采暖多用炉
CN202040972U (zh) 使用生物质颗粒燃料的热水锅炉
KR101039119B1 (ko) 우드펠렛 연소장치
CN205448287U (zh) 多燃料热管间接加热热风炉
KR200481893Y1 (ko) 펠릿 난로
KR20090123167A (ko) 전자동 석탄보일러
CN204922945U (zh) 一种崖式多级生物质燃烧装置
KR101622270B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137931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CN108194917B (zh) 散煤床顶面点火烤烟热风炉
CN202066058U (zh) 下燃式可续燃柴煤炊事采暖两用炉
CN101619860B (zh) 自动添加燃料的柴草炉灶
CN202254250U (zh) 多功能无烟节能环保采暖炉
CN105003906A (zh) 一种崖式多级生物质燃烧装置
CN107440547A (zh) 一种烧烤炉燃料送料装置
KR101358790B1 (ko) 목재 펠릿을 이용한 스팀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